KR101140647B1 -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 Google Patents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647B1
KR101140647B1 KR1020110029556A KR20110029556A KR101140647B1 KR 101140647 B1 KR101140647 B1 KR 101140647B1 KR 1020110029556 A KR1020110029556 A KR 1020110029556A KR 20110029556 A KR20110029556 A KR 20110029556A KR 101140647 B1 KR101140647 B1 KR 10114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dal
clam
net
farming
oy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김수민
Original Assignee
김수민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민,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수민
Priority to KR102011002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갯벌 바지락 양식 및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개시한다. 상기 갯벌 바지락 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형성방법은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절토부 하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구비하며,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등을 일정한 혼합비율로 매우는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생성단계 및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Method of removing Upogebia Major in the Tidal flat farming areas, and combined composite fish farming facility for Tapes Philippinaraum, Giant Pacific Oyster thereof using the method of making seed collection enviorment}
본 발명은 바지락양식장의 유해생물인 쏙류의 서식, 번식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시설을 통하여 바지락 치패, 성패가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갯벌 바지락 양식 및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남직역의 바지락양식장은 국내 바지락 종패의 보급 어장으로 충남, 경기, 인천, 전남, 전북지역에 바지락 종패생산장으로 공급역할을 해왔다. 매년 연간 1,500톤의 바지락 종패를 생산하여 약 24억원의 소득을 올리는 국내 유일의 바지락 종패공급장으로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2010년 8월부터 총어장면적 138ha 면적 중에서 약 100ha에 이르는 면적이 유해생물인 쏙류가 번식하여 바지락 100ha에 이르는 어장 면적을 급격하게 황폐화시켰다.
도 1은 갯벌 바지락 양식장 유해생물(쏙류; 쏙과 쏙붙이) 서식 상태를 나타낸 사진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쏙류의 서식실태를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50cm 면적안의 쏙 구멍수는 평균 약 150개, 채집 마릿수는 약 80마리, 쏙류 서식구멍의 깊이는 20~40cm 범위였다.
이러한 어장의 대책으로는 바지락 양식장의 유해생물인 쏙류만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쏙류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지금까지는 트랙터나 경운기, 고압분사기 등으로 땅속의 갱도를 파괴하고 새로 땅굴을 만들지 못하도록 매년 9월에 2회이상 제거 잡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쏙류는 다시 원상태의 규모로 출현한 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년 되풀이되는 현재의 제거방식은 소모되는 인력 및 예산에 비해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트랙터나 경운기, 고압분사기 등으로 땅속의 갱도를 파괴하고 새로 땅굴을 만들지 못하도록, 저지차원에서 매년 9월에 2회 이상 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상태로 출현이 되는 점을 고려할 때 매년 되풀이 작업은 인력 및 예산이 많이 들어야 하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갯벌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 땅속을 절토하여 쏙류의 형태적으로 두흉갑장의 크기가 약 8mm 전후로 두흉갑장의 폭보다 작은 5~7mm 크기의 낱셀망을 땅속깊이 약 20~40cm 내외 깊이로 절토하고 저질 땅속의 20cm 깊이 층에 낱셀망을 수평적으로 깔아 주므로서 쏙류가 땅속 갱도속에서 왕래하는 과정에서 낱셀망 망목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서식 불가능은 물론, 땅속을 파고 갱도를 만들지 못하도록 조성하여 구제하고 바지락 양식어장을 복원 조성할 수 있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굴양식 구조물을 활용하여 바지락 유생의 착저, 와류형성, 퇴적물 조장 등의 효과를 주고 갯벌 참굴을 양식하여 바지락 치패 및 성패가 원활히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함으로써 어장복원과 동시에 복합적 양식생산이 가능한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및 패류의 채묘환경을 조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왕사모래와 알칼리 성분인 굴껍질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 배합하여 산성화 되어가는 양식장의 저질에 살포함으로써 갯벌 어장의 저질에 잠입하여 서식하는 바지락 치패 및 성패의 호적한 서식환경으로 복원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갯벌의 1ha 면적(100×100m)을 조성 시설할 경우에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면적은 가로 5m, 길이 50m, 통로 3m 간격으로 조성할 경우 24개(규격 5m×50cm) 단지로 배치되며, 통로에는 굴 가상식양식세트(일명: 수평망식 양식세트) 구조물을 배치하여 구조물을 활용한 바지락 유생의 와류형성 장치효과를 통하여 바지락 유생이 저질에 잘 착저할 수 있도록 조성해주고 구조물을 이용한 물리적 장애물을 이용한 부유퇴적물이 형성되도록 하여 쏙류에 의하여 딱딱해진 어장 저질을 바지락이 서식하기에 알맞은 어장으로 조성함으로써 복합적 양식생산을 할 수 있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갯벌 저질에 유해생물의 쏙류의 구제를 위하여 설치하는 낱셀망 5m(폭)×50m(길이) 제작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에 낱셀망을 직교로 연결 제작하여 설치작업과 철거가 용이 하도록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목적은 갯벌 바지락 어장중에서 쏙류가 발생한 어장은 땅굴을 파고 갱도를 많이 만들어 놓아서 저질 땅속 절토작업시 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에 대비한 부대장비 장치로 PE관 재료로 제작한 바지선 뗏목(크레인 장착, 8m(폭)×12m(길이), PE관경 직경 350 ~ 500mm)을 이용하여 간조시에 갯벌 현장작업을 위한 절토와 성토 작업 수단으로 바지선 땟목의 앙카용 샌드백을 열십자로 고정시킨 후, 앙카 고정줄을 이용하여 갯벌을 이동하면서 절토 및 성토, 모래살포, 구조물 설치작업 등, 시설작업이 용이하도록 PE관 재질로 제작한 작업 바지선 뗏목의 앙카용 샌드백을 열십자로 고정시킨 후, 앙카 고정줄을 이용하여 갯벌을 이동하면서 절토 및 성토, 모래살포, 구조물 설치작업 등, 시설작업이 용이하도록 PE관 재질로 제작한 작업 바지선 뗏목과, 뗏목에 크레인을 장착한 갯벌 절토 및 성토 작업용 바지선 뗏목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은 갯벌어장, 상기 갯벌어장 내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갯벌어장 표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낱셀망 및 상기 낱셀망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낱셀망로 인해 산성화되어가는 상기 갯벌어장의 저질을 개선하는 왕사모래와 굴 껍질가루를 혼합하여 갯벌이 산성화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은, 바지락양식의 저질 땅속에 서식하는 유해생물인 쏙류의 구제를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망의 종류는 PE망, 낱셀망, 모기장망, 어망, SUS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은 1mm ~ 10mm 크기로 형성되는 것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은 상기 갯벌의 지표면으로부터 20cm ~ 50cm 깊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왕사모래와 굴껍질 가루의 혼합비는 1~90%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은 상기 갯벌어장 내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갯벌어장 표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낱셀망, 상기 낱셀망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낱셀망로 인해 산성화되어가는 상기 갯벌어장의 저질을 개선하는 왕사모래와 굴 껍질가루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산성화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및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양 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굴 가상식 양식 세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은 1ha 갯벌어장 내에 조성될 경우, 24개의 상기 바지락종패발생장 및 440개 굴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은 가로 5m, 길이 50m, 통로 3m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가로 1~20m, 세로 10~100m 길이, 통로 1~50m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 가상식 양식세트(수평망 양식세트)구조물은 규격 2.65m(길이)×1.1m(폭)×높이 0.6m(높이)을 통로의 양방향으로 2열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은 바지락양식의 저질 땅속에 서식하는 유해생물인 쏙류의 구제를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망의 종류는 PE망, 낱셀망, 모기장망, 어망, SUS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은 1mm ~ 10mm 크기로 형성되는 홀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은 상기 바지락종패발생장의 지표로부터 20 cm ~ 50 cm 깊이 층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왕사모래와 굴껍질 가루의 혼합비는 1~90%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바지선은 바지선 땟목의 앙카용 샌드백을 열십자로 고정시킨 후, 앙카 고정줄을 이용하여 갯벌 표면을 전후, 좌우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PE관 재질로 형성된 작업 바지선 뗏목 및 상기 앙카 고정줄을 움직이는 작업 바지선 뗏목 내에 설치된 크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PE관 직경 350~500mm, 폭 2~20m, 길이 5~20m의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어장 조장시설 형성방법은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절토부 하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구비하며,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 등을 일정한 혼합비율로 매우는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생성단계(S110) 및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단계는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단계에서 형성된 절토부 하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수평적으로 설치하는 낱셀망 설치단계 및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단계로써, 상기 절토단계에서 파낸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를 혼합하여 매우는 성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절토단계는 갯벌어장 표면으로부터 20 ~ 50 cm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셀망 설치단계는 PE망, 낱셀망, 모기장망, 어망, SUS망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망을 상기 절토부 하단부에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갯벌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 땅속을 절토하여 쏙류의 형태적으로 두흉갑장의 크기가 약 8mm 전후로 두흉갑장의 폭보다 작은 5~7mm 크기의 낱셀망을 땅속깊이 약 20 ~ 50cm 내외 깊이로 절토하고 저질 땅속의 20cm 깊이 층에 낱셀망을 수평적으로 깔아 주므로서 쏙류가 땅속 갱도속에서 왕래하는 과정에서 낱셀망 망목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서식 불가능은 물론, 땅속을 파고 갱도를 만들지 못하도록 조성하여 쏙류를 구제하고, 바지락 양식어장을 복원 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양식 구조물을 활용하여 바지락 유생의 착저, 와류형성, 퇴적물 조장 등의 효과를 주고 갯벌 참굴을 양식하여 바지락 치패 및 성패가 원활히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함으로써 갯벌어장복원과 동시에 복합적 양식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왕사모래와 알칼리 성분인 굴껍질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 배합하여 산성화 되어가는 양식장의 저질에 살포함으로써 갯벌 어장의 저질에 잠입하여 서식하는 바지락 치패 및 성패의 호적한 서식환경으로 복원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갯벌의 1ha 면적(100×100m)을 조성 시설할 경우에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면적은 가로 5m, 길이 50m, 통로 3m 간격으로 조성할 경우 24개(규격 5m×50cm) 단지로 배치되며, 통로에는 굴 가상식양식세트(일명: 수평망식 양식세트) 구조물을 배치하여 구조물을 활용한 바지락 유생의 와류형성 장치효과를 통하여 바지락 유생이 저질에 잘 착저할 수 있도록 조성해주고 구조물을 이용한 물리적 장애물을 이용한 부유퇴적물이 형성되도록 하여 쏙류에 의하여 딱딱해진 어장 저질을 바지락이 서식하기에 알맞은 어장으로 조성함으로써 복합적 양식생산을 할 수 있다.
도 1은 갯벌 바지락 양식장 유해생물(쏙류; 쏙과 쏙붙이) 서식 상태를 나타낸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식 어장 조성 시설 내에 삽입된 낱셀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바지락양식 및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배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생성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 수단인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시설방법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기능 혹은 구성에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내에 삽입된 낱셀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100)은 바지락종패발생장 및 서식장(110), 및 굴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120)을 포함한다.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110)은 갯벌어장 내에 일정한 깊이로 절토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토부(111) 하단부와 수평하게 설치된 낱셀망(110a), 상기 절토부(111)의 빈 공간은 상기 낱셀망(110a)로 인해 산성화되어가는 상기 갯벌어장의 저질개선을 위하여 왕사모래와 굴 껍질가루가 혼합된 갯벌로 채워진 산성화 방지부재(110b)로 형성된다.
상기 굴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120)은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110) 양옆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110)은 1ha 어장면적(100×100m)을 조성 시설할 경우에, 가로 5m, 길이 50m, 통로 3m 간격으로 조성될 수 있으며, 24개(규격 5m×50m)의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110)들로 배치된다.
상기 각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의 통로(130)에는 굴 가상식 양식세트(일명: 수평망식 양식세트)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1ha 어장면적(100×100m)을 기준으로 440(규격 2.65m(길이)×1.1m(폭)×높이 0.6m(높이))개의 굴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110) 면적을 가로 1~20m, 세로 10~100m 길이, 통로(130)는 1~50m 길이로 조성 배치할 수도 있다. 그에 따른 굴 가상 식양식세트(일명: 수평망식 양식세트)구조물(120)은 440(규격 2.65m(길이)×1.1m(폭)×높이 0.6m(높이))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120)이 1ha 면적에 50~500세트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굴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특허 제0261437 김영길,이영철, 특허출원번호 10-2009-0066975 김영길, 김수민)(120)은 조류 및 파도 등의 해수의 흐름에 대한 물리적인 장애를 주어 와류형성을 통한 저질 조성지역에 바지락 치패의 착저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토부(110a)는 갯벌 내에 패류의 서식을 방해하는 쏙과 쏙류 등의 피해 생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갯벌의 바닥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형성된 공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절토부(110a)의 깊이는 20 ~ 50cm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낱셀망(110a)은 바지락 양식장의 유해생물인 쏙과 쏙붙이의 서식을 막기 위하여 설치하는 망으로서, 망의 종류는 PE망, 낱셀그물망, SUS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낱셀망(110a)은 저질에 수평적으로 깔아 놓는 망으로서, 망 코의 크기는 1mm ~ 50mm 이내에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5~7mm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저질 땅속을 절토하여 찾을 수 있는 쏙과 쏙붙이의 두흉갑장 크기가 약 8mm 전후이므로, 상기 쏙과 쏙붙이의 두흉갑장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을 나타낸다.
상기 망 코의 크기가 1mm ~ 50mm 이내에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낱셀망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평이 어그러져서 사선 형태로 매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낱셀망(110a)는 상기 절토부(111) 하단부 약 20 ~ 50 cm 내외 깊이 층에 수평적으로 형성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는 쏙류(예컨대, 쏙과 쏙붙이)가 땅속 갱도속에서 왕래하는 과정에서 낱셀망 망목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높이로서, 상기 낱셀망(110a)으로 인해 상기 쏙과 쏙붙이는 땅속을 파고 갱도를 만들지 못하게 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쏙류가 50cm 정도 이내에 땅굴을 파고, 그 안에서 서식하고, 여름에는 20cm 정도 이내에 땅굴을 파고 서식한다. 바지락은 15cm ~20cm 이내에서 서식함으로, 상기 낱셀망은 계절에 따라 위치(약 20cm ~ 50cm 이내)가 가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절토부(111) 하단부에 낱셀망(110a)을 설치한 후, 상기 낱셀망(110a)으로 인한 갯벌어장의 산성화를 막기 위하여 절토부의 빈 공간을 왕사모래와 굴껍질가루가 혼합된 갯벌로 채워준다. 이때, 갯벌과 상기 왕사모래와 굴껍질가루의 혼합비율은 1~9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배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생성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 방법(S100)은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생성단계(S110) 및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S12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생성단계(S110)는 절토단계(S10), 낱셀망 설치단계(S20), 성토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절토단계(S10)는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절토단계(S10)에서는 상기 쏙과 쏙붙이가 50cm 깊이로 동굴을 파고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를 퇴치하기 위하여 갯벌의 바닥을 20cm ~ 30cm 깊이로 절토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낱셀망 설치단계(S20)는 상기 절토단계(S10)에서 형성된 절토부 하단부에 1mm ~ 50mm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수평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토단계(S10)에서 형성된 절토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낱셀망 코의 크기는 5mm ~ 7m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갯벌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 땅속 내에 서식하는 쏙류의 두흉갑장 크기가 약 8mm 전후임으로, 쏙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낱셀망 코의 크기를 5mm ~ 7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쏙과 쏙붙이가 기존의 동굴에서 서식하여 다시 번식하더라도 상기 낱셀망으로 인해 동굴을 파지 못하고 서식이 불가능해지므로 쏙류의 패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성토단계(S30)은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단계로써, 상기 절토단계에서 파낸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를 혼합하여 채우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토단계(S10)에서 파낸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를 1:1로 혼합하여 상기 절토부 상에 채우는 단계로서, 이러한 성토단계는 상기 낱셀망으로 인해 갯벌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또한 갯벌 어장의 저질 개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는 단계이다.
상기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S200)는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양측에 설치되며, 이는 공개특허 10-2011-0009531에 기재된 가상세트식 굴 양식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S200)는 공개특허 10-2011-0009531에 기재된 설치 방법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 수단인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시설은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300)은 바지선 뗏목(310) 및 크레인(320)을 포함한다.
상기 바지선 뗏목(310)은, 다수개의 PE 관경(미도시)들을 뗏목처럼 부착하여 제작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규격을 8m(폭)×12m(길이), PE관경 직경 350~500mm에서 폭 2~20m, 길이 5~20m, 바지선 뗏목 제작용 PE관경의 구격에 있어서도 직경 200~1,500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지선 뗏목(310)은 소형 발전기(미도시)를 탑재하여 상기 크레인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크레인(320)은 상기 소형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갯벌이동 견인 앙카(330)와 견인 앙카(330)를 잇는 견인 닻줄(331)을 통해 상기 바지선 뗏목(310)을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300)은 8m(폭)×12m(길이), PE관경 직경 350~500mm)를 규격으로 제조하여 간조시에 갯벌 현장작업을 위한 절토와 성토 작업 수단으로 바지선 땟목의 앙카용 샌드백을 열십자로 고정시킨 후, 앙카 견인 닻줄(331)을 이용하여 갯벌을 이동하면서 절토 및 성토, 모래살포, 구조물 설치작업등을 수행한다.
이때, 시설작업이 용이하도록 PE관 재질로 제작한 작업 바지선 뗏목과, 뗏목에 크레인을 장착함으로써 갯벌 절토 및 성토 작업시에 누구나 용이하게 그 재질과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갯벌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 땅속을 절토하여 쏙류의 두흉갑장의 크기가 약 8mm 전후로 두흉갑장의 폭보다 작은 5~7mm 크기의 낱셀망을 땅속깊이 약 20~40cm 내외 깊이로 절토하고 저질 땅속의 20cm 깊이 층에 낱셀망을 수평적으로 깔아 줌으로서 쏙류가 땅속 갱도속에서 왕래하는 과정에서 낱셀망 망목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서식 불가능은 물론, 땅속을 파고 갱도를 만들지 못하도록 조성하여 구제하여 바지락 양식어장을 복원 조장할 수 있다.
또한, 굴 양식 구조물을 활용하여 바지락 유생의 착저, 와류형성, 퇴적물 조장 등의 효과를 주고 갯벌참굴을 양식하여 바지락 치패 및 성패가 원활히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함으로써 어장복원과 동시에 복합적 양식생산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왕사모래와 알칼리 성분인 굴 껍질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 배합하여 산성화 되어가는 양식장의 저질에 살포함으로써 갯벌 어장의 저질에 잠입하여 서식하는 바지락 치패 및 성패의 호적한 서식환경으로 복원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갯벌의 1ha 면적(100×100m)을 조성 시설할 경우에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면적은 가로 5m, 길이 50m, 통로 3m 간격으로 조성할 경우 24개(규격 5m×50cm) 단지로 배치되며, 통로에는 굴 가상식양식세트(일명: 수평망식 양식세트) 구조물을 배치하여 구조물을 활용한 바지락 유생의 와류형성 장치효과를 통하여 바지락 유생이 저질에 잘 착저할 수 있도록 조성해주고 구조물을 이용한 물리적 장애물을 이용한 부유퇴적물이 형성되도록 하여 쏙류에 의하여 딱딱해진 어장 저질을 바지락이 서식하기에 알맞은 어장으로 조성함으로써 복합적 양식생산을 할 수 있다.
또한, PE관 재료로 제작한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크레인 장착, 8m(폭)×12m(길이), PE관경 직경 350 ~ 500mm)을 이용하여 간조시에 갯벌 현장작업을 위한 절토와 성토 작업 수단으로 바지선 땟목의 앙카용 샌드백을 열십자로 고정시킨 후, 앙카 고정줄을 이용하여 갯벌을 이동하면서 절토 및 성토, 모래살포, 구조물 설치작업 등, 시설작업이 용이하도록 PE관 재질로 제작한 작업 바지선 뗏목의 앙카용 샌드백을 열십자로 고정시킨 후, 앙카 고정줄을 이용하여 갯벌을 이동하면서 절토 및 성토, 모래살포, 구조물 설치작업 등, 시설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110a: 낱셀망
110b: 산화방지 부재 111: 절토부
120: 굴 가상식 양식 세트 구조물 130: 통로 300: 이동식 바지선 크레인 310: 바지선 뗏목
320: 크레인 330: 견인 앙카
331: 견인 닻줄

Claims (19)

  1. 갯벌어장;
    상기 갯벌어장 내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갯벌어장 표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낱셀망; 및
    상기 낱셀망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낱셀망로 인해 산성화되어가는 상기 갯벌어장의 저질을 개선하는 왕사모래 또는 굴 껍질가루로 이루어지는 산성화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조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은,
    바지락양식의 저질 땅속에 서식하는 유해생물인 쏙류의 구제를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망의 종류는 PE망, 낱셀망, 모기장망, 어망, SUS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조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은,
    1mm ~ 50mm 크기로 형성되는 것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조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은,
    상기 갯벌의 지표면으로부터 20cm ~ 50cm 깊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조장방법.
  5. 삭제
  6. 갯벌어장 내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갯벌어장 표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낱셀망, 상기 낱셀망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낱셀망로 인해 산성화되어가는 상기 갯벌어장의 저질을 개선하는 왕굴껍질 또는 굴 껍질가루로 이루어지는 산성화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및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양 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굴 가상식 양식 세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은,
    1ha 갯벌어장 내에 조성될 경우, 24개의 상기 바지락종패발생장 및 440개 굴 가상식 양식세트 구조물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락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은,
    가로 1~20m, 세로 10~100m, 통로 1~50m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 가상식 양식세트(수평망 양식세트)구조물은,
    규격 2.65m(길이)×1.1m(폭)×높이 0.6m(높이)을 통로의 양방향으로 2열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과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은,
    바지락양식의 저질 땅속에 서식하는 유해생물인 쏙붙이 구제를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망의 종류는 PE망, 낱셀망, 모기장망, 어망, SUS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은,
    1mm ~ 50mm 크기로 형성되는 홀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은,
    상기 바지락종패발생장의 지표로부터 20cm~50cm 깊이 층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 어장 조장시설.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절토부 하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구비하며,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등을 일정한 혼합비율로 매우는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생성단계(S110) 및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S120)를 포함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어장의 형성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단계에서 형성된 절토부 하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수평적으로 설치하는 낱셀망 설치단계; 및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단계로써, 상기 절토단계에서 파낸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를 혼합하여 매우는 성토단계를 포함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어장의 형성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토단계는,
    갯벌어장 표면으로부터 20 ~ 50 cm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어장의 형성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낱셀망 설치단계는,
    PE망, 낱셀망, 모기장망, 어망, SUS망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망을 상기 절토부 하단부에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바지락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갯벌어장 조장시설 형성방법.
KR1020110029556A 2011-03-31 2011-03-31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KR10114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56A KR101140647B1 (ko) 2011-03-31 2011-03-31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56A KR101140647B1 (ko) 2011-03-31 2011-03-31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647B1 true KR101140647B1 (ko) 2012-05-03

Family

ID=4627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56A KR101140647B1 (ko) 2011-03-31 2011-03-31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24B1 (ko) 2018-04-26 2018-08-31 대한민국 쏙 자동 수확장치
KR101944708B1 (ko) * 2018-04-26 2019-02-07 대한민국 쏙 차단틀 및 이를 이용한 쏙 구제가 가능한 바지락 양성방법
KR102043611B1 (ko) 2018-12-21 2019-11-12 대한민국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KR102094038B1 (ko) 2019-10-30 2020-03-30 대한민국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2094037B1 (ko) 2019-10-30 2020-05-26 대한민국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586B1 (ko) 1996-12-11 2001-03-02 배광효 천연무기질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14466B1 (ko) 2004-04-30 2006-08-2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패류 양식장 저질 개선제
KR20100008391A (ko) * 2008-07-16 2010-01-26 박하춘 개펄 및 적조구제물질 및 이를 이용한 구제방법
KR20110009531A (ko) * 2009-07-22 2011-01-28 김영길 가상세트식 굴 양식 구조물 및 굴 양식을 위한 이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586B1 (ko) 1996-12-11 2001-03-02 배광효 천연무기질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14466B1 (ko) 2004-04-30 2006-08-2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패류 양식장 저질 개선제
KR20100008391A (ko) * 2008-07-16 2010-01-26 박하춘 개펄 및 적조구제물질 및 이를 이용한 구제방법
KR20110009531A (ko) * 2009-07-22 2011-01-28 김영길 가상세트식 굴 양식 구조물 및 굴 양식을 위한 이의 설치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24B1 (ko) 2018-04-26 2018-08-31 대한민국 쏙 자동 수확장치
KR101944708B1 (ko) * 2018-04-26 2019-02-07 대한민국 쏙 차단틀 및 이를 이용한 쏙 구제가 가능한 바지락 양성방법
KR102043611B1 (ko) 2018-12-21 2019-11-12 대한민국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KR102094038B1 (ko) 2019-10-30 2020-03-30 대한민국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2094037B1 (ko) 2019-10-30 2020-05-26 대한민국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647B1 (ko)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NZ73546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JP6709937B2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CN101326894B (zh) 一种人工藻场及其构建方法
NZ735291A (en) Ephemeral substrates for oyster aquaculture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CN106900197A (zh) 一种滨海盐土生态循环可持续综合改良方法
CN108142029A (zh) 沿海滩涂退养还田的方法
CN103598149A (zh) 一种光裸方格星虫滩涂高产养殖方法
KR102026032B1 (ko) 바다숲 조성장치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CN201571405U (zh) 网包式海珍品增殖礁
CN214783600U (zh) 一种复合型生态驳岸
KR102094037B1 (ko)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KR102094038B1 (ko)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1944708B1 (ko) 쏙 차단틀 및 이를 이용한 쏙 구제가 가능한 바지락 양성방법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CN209941601U (zh) 一种补水型河道的生态修复系统
JP2001152428A (ja)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KR20120072581A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101686856B1 (ko) 복합형어초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243624A (zh) 盐碱湿地中普通燕鸥繁殖生境的修复方法
Frame et al. Big egg marsh experimental restoration in Jamaica Bay, New York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20110002356U (ko) 침하(쇄굴)방지식 다목적 해중림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