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611B1 -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611B1
KR102043611B1 KR1020180166910A KR20180166910A KR102043611B1 KR 102043611 B1 KR102043611 B1 KR 102043611B1 KR 1020180166910 A KR1020180166910 A KR 1020180166910A KR 20180166910 A KR20180166910 A KR 20180166910A KR 102043611 B1 KR102043611 B1 KR 10204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artificial turf
clam
seedling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도
이희중
허영백
송재희
강희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6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잔디를 다각형 모양의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철심으로 인공잔디를 갯벌에 고정하여 인공잔디의 이동을 제한시켜 인공잔디 내의 공극에 잠입성 패류 유생이 착저할 수 있도록 하여 채묘를 용이하게 하고 채묘효율을 높일 수 도록한 채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culturing method for shellfish using an artficial grass)}
본 발명은 갯벌을 이용한 잠입성 패류 자연채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잔디를 갯벌에 설치하여 채묘효율을 높이고 인공잔디 내 공극에 자연적으로 잠입성 패류를 채묘하는 채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지락은 백합과에 속하는 이매패류로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애기바지락(Ruditapes variegata)이 있으며 이중 바지락이 양식되어지고 있다. 바지락은 일반적으로 자웅이체이며 유생발생 과정은 암, 수 모패로부터 방출된 정자와 난자가 수중에서 수정이 일어나며 극체 형성→2, 4, 8, 16 세포분열→상실기→포배기→낭배기→담륜자 유생기→D상유생→각정기→포복피면자유생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지락은 난타원형으로 패각 겉면에는 많은 방사륵이 있으며 성장맥과 교차하여 그물무늬처럼 되어있다. 우리나라 전 연안을 비롯하여 일본 및 중국연안에 분포하고 있다. 바지락은 갯벌 조간대 및 조하대에서 주로 채취되며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철분 및 아연, 칼슘, 미네랄, 비타민 B12도 함유되어 있어 맛이 매우 좋아 생으로는 젓갈을 담가 먹거나, 주로 삶아 먹는다.
바지락의 주 서식지는 육수의 영향을 받는 파도가 적은 내만 지형으로 기반 변동이 거의 없고 노출 시간이 6시간가량 되는 곳이다. 또한 해수의 유통이 좋으며 먹이 생물(식물 플랑크톤)이 많은 곳이다. 일반적으로 보고된 지역별 바지락의 산란시기는 인천 선재도 7-8월, 전라북도 곰소만 5-8월, 제주도 성산 7-8월로 하계산란형으로 1~2회 부분 산란을하며, 바지락의 성 성숙은 수온 및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와 밀접한 관계있다.
바지락은 1990년대 약7.5만톤 가량 생산되었으나 주요 강 하구역의 매입 및 간척으로 인한 서식지 상실을 비롯해 어장의 노후화, 기후변화, 환경오염, 질병 등에 의한 생산량 감소로 지난 30년간 약60% 가량 감소해 2017년 약 2.7만톤 가량 생산되고 있다.
서해안 갯벌 패류 중 바지락 한 품종이 차지하는 비율도 90%로 매우 높으며 서해안 갯벌 패류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품종이나 안정적인 종패 공급이 불안정한 상태이다. 안정적인 종패 공급을 위해서는 약 10,000톤 가량 지속적으로 필요하나 자급률은 20-30% 수준이다.
현재 어업인들은 바지락 종자를 자연에만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며 양식에 필요한 나머지 종자는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안정적인 바지락 종자 확보를 위해서는 대규모 인공종자생산 및 자연채묘를 통해 확보할 수 있다. 바지락 인공종자생산 체계는 확립되어 있으나 가격경쟁력이 낮아 산업화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채묘 기술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의 해양환경특성으로 기존에 개발된 방법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지락 양식을 위해 안정적인 종자확보는 필수적이나 자연에만 의존하는 상황에서 자연상태의 바지락 생태를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에 관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에서 잠입성 패류를 대상으로 자연채묘는 시도된 적이 없으므로 본 발명은 서해안에서 자연채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인공잔디 내 공극을 활용하여 잠입성 패류의 채묘효율을 높이기 위한 채묘방법을 개발하였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40647호에서는 갯벌 바지락 양식 및 갯벌참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을 개시한다. 상기 갯벌 바지락 양식 및 굴 양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복합식 어장 조장시설 형성방법은 갯벌어장 내의 유해생물인 쏙류가 땅굴을 파지 못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갯벌을 파내어 절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절토부 하단부에 일정한 규격의 망코를 갖는 낱셀망을 구비하며, 상기 절토부의 빈공간을 흙과 왕사모래, 굴 껍질가루등을 일정한 혼합비율로 매우는 종패발생장 및 서식장 생성단계 및 굴 양식세트 구조물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갯벌어장 쏙류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33969호에서는 지지 프레임, 상부 단축 프레임, 상부 장축 프레임, 하부 단축 프레임, 및 하부 장축 프레임을 다수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 구조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장착된 다수의 양식 케이지; 상기 양식 케이지 사이에서 상기 양식 케이지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연결경첩;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결경첩을 둘러싸고 지지하는 중간연결하우징; 최외곽의 양식 케이지를 최외곽의 상부 단축 프레임 일측에 연결하는 말단연결경첩; 및 상기 최외곽의 상부 단축 프레임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말단연결경첩을 둘러싸고 지지하며, 고정바가 일측 방향에서 맞물리는 말단연결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402683호에서는 양끝단이 개구된 관형상의 본체; 개구된 본체에 끼워질 수 있는 한쌍의 캡; 본체 내부에 내제될 수 있는 내부양성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PE그물망으로 형성된 칸막이가 형성되어 하나의 본체에 두 개의 내부양성망이 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치패 및 성패가 서로 엉기지 않는 충분한 양성공간을 제공되어 폐사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체, 캡 및 내부양성망은 내부와 외부의 조류순환이 원활하도록 그물망 및 관통공이 제작되어 있어 치패 및 성패에 영양분이 공급되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평관과 상부연결구를 통하여 수평관과 연결되는 수직관; 상기 수평관 위에 설치될 수 있는 거치대; 상기 수직관과 하부연결구를 통하여 연결되는 받침대 및 수직관에 줄걸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을 포함하는 양성망 설치대에 상기 양성망을 설치시켜 지반이 약한 갯벌에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굴의 치패 및 성패를 양식할 수 있어 건강한 굴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32849호에서는 해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채묘망이 형성되고 상기 채묘망의 상, 하부에 채묘망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 연결하도록 부죽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하부 부죽에는 부이와 무게추가 형성되어 채묘망을 해저면에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묘망의 양단 사방에는 채묘망을 해저면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부로 이루어진 새꼬막 종묘 채묘장치와 새꼬막 채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새꼬막 채묘를 용이하게 하고 채묘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채묘과정의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패류의 자연채묘는 주로 부착성 패류(굴, 담치) 및 일시 부착성 패류(새꼬막)에서 주로 굴패각, 가리비 패각, 그물 등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행해져 왔다. 바지락 양식을 위해 안정적인 종자확보는 필수적이나 자연에만 의존하는 상황에서 자연상태의 바지락 생태를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바지락 자원분포 조사(A)단계; 잠입성 패류 유생조사(B)단계; 잠입성 패류 채묘기 준비 및 설치(C)단계; 상기(C) 단계에서 갯벌에 설치한 채묘기에 유생을 채묘시키는 단계(D); 채묘기를 수거하는 단계(E)로 이루어지는 갯벌에서의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공잔디를 다각형의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철심으로 인공잔디를 갯벌바닥에 고정하여 갯벌에서 인공잔디의 이동을 제한시켜 인공잔디 내 공극에 잠입성 패류 유생이 착저될 수 있도록 하는 갯벌에서의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공잔디는 합성섬유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공잔디는 다각형의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바닥판 위에 올려지는 침착판으로 이루어지며, 침착판은 바닥판과 동일한 면적의 외측틀을 형성하고 외측틀 내측에는 무결절 망지로 이루어진 그물망을 그물망의 망사가 십자로 교차하는 부분에 일정한 길이의 인공잔디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갯벌에서의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갯벌을 이용한 잠입성 패류 자연채묘 방법에 의해 수중 내 잠입하는 잠입성 패류를 인공잔디 내로 가입시켜 채묘효율을 기존 갯벌에서보다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국내 바지락 종패 수급문제 해결을 기대할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갯벌을 이용한 잠입성 패류 자연채묘 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 바지락 자연종패발생장 위치 및 정점소개, 퇴적물 채집 및 처리 모식도
도 3 바지락 자연종패발생장 바지락 자원 분포결과
도 4 침착성 패류 부유유생 조사 정점 및 조사 과정
도 5 침착성패류 부유유생 조사 결과
도 6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해역의 수치 조류도 (2017년 7월 20일 만조 및 간조시 기준)
도 7 자연종패발생지 내 침착성 패류 착생분포조사 정점 및 조사 방법
도 8 자연종패발생지 정점별 퇴적물 입도분석 결과
도 9 침착성패류 생활사 및 자연채묘유도 원리
도 10 침착성패류 채묘기질 정점 및 채묘방법, 형태, 기질
도 11 침착성패류 자연채묘 실험 모식도
도 12 크기 분포별 침착성 패류 채묘기 효과 결과
패류의 자연채묘라 함은 주로 부착성 패류(굴, 담치) 및 일시부착성 패류(새꼬막)에서 주로 굴패각, 가리비 패각, 그물 등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행해져 왔다.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에서 잠입성 패류를 대상으로 자연채묘는 시도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서해안에서 패류자연채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인공잔디 내 공극을 활용한 잠입성 패류의 채묘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갯벌을 이용한 잠입성 패류 자연채묘 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갯벌을 이용한 잠입성 패류 자연채묘 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지락 자원분포 조사(A)단계; 잠입성 패류 유생조사(B)단계; 잠입성 패류 채묘기 준비 및 설치(C)단계; 상기(C) 단계에서 갯벌에 설치한 채묘기에 유생을 채묘시키는 단계(D); 채묘기를 수거하는 단계(E)로 이루어지는 갯벌에서의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바지락 자원분포 조사(A)단계로서 바지락 자연종패발생장 내 분포조사(침착성패류 최적 채묘적지 조사) 모식도이다. 시험 장소는 바지락 자연종패발생지인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해역 11.4km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3월, 4개 라인 (A-D)에 만조시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를 기준으로 100m 간격으로 10X10X30 cm2 코어를 이용하여 5회 반복하여 채집하였다 (도 2). 채집된 퇴적물은 1~10cm가량 절취하여 5mm, 0.5mm sieve를 이용해 바지락을 분리하였으며 크기를 측정하여 크기별로 5단계로 나누었다.
바지락 자연종패발생장에서 채집한 시료는 총 49정점 245개였으며 밀도는 0-1,017 개체/m2의 범위였고, 라인별로는 B라인(0-1,017개체/m2)이 가장 높았고 C라인(0-750개체/m2)→D라인(0-700개체/m2)→A라인(0-367개체/m2) 순이었다. 지점별로는 600-1,300m 지점에 주로 분포하였고, 100-500m 범위는 0-100개체/m2로 주로 쏙(Upogebia major)이 우점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침착성 패류 최적 채묘적지로는 B라인의 900-1,000m(783-1,017개체/m2) 부분으로 결정하였다(도 3).
도 4는 최적의 자연채묘시기 판정을 위한 서해안 침착성 패류 부유유생 조사 모식도를 나타낸다. 최적의 침착성 패류 자연채묘 시기를 판정하기 위하여 2017년 6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매주 부유유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정점은 기존의 자연종패발생장 해역이며 3개 라인(A-C)에 3정점 (상부, 중부, 하부)에서 조사하였다. 수직예망에 사용한 재료로는 직경 30cm의 봉고네트(25㎛)를 사용하였고5%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음 (도 4). 고정이 완료된 시료는 광학현미경(올림푸스, BX41)하에서 D-형, 각정기, 부착기로 나누어 부뉴하였다.
상기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침착성 패류 부유유생은 0-14,400 개체/톤으로 조사되었으며 2017년 9월 1일에 C정점 (D-형:6,400개체/톤; 각정기:6,400개체/톤; 부착기:1,600개체/톤)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부유유생은 조간대 상부보다는 조간대 중ㅇ부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사리보다는 조금시기 (해수유동이 적은시기)에 유생이 많이 관찰되었다. 특별히 C라인 중ㅇ하부 지역에서만 유생발생 및 착저가 정상적이었으며 A-B라인은 부착기 유생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D-형 유생→부착기, 생존율 19.7%).
C라인에만 부착기 유생이 관찰된 예상원인으로는 첫 번째로 도 6과 같이 조류의 방향이 A→C방향으로 흘러 부착기 유생이 A, B라인에 착생하지 못해 사망했거나 두 번째로는 착생한 유생이 C라인으로 모였을 경우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서해안 주요 패류양식장의 유생분포정보는 어장상태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유생자원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급변하는 갯벌환경(자원양 감소, 해적생물 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도 7은 바지락 자연종패발생장의 침착성 패류 착생 분포조사 방법을 나타낸다. 시험 장소는 기존에 연구한 주교면 해역의 B정점이며 바지락 분포조사 지점과 동일한 정점내 침착성 패류 착생분포를 8월8일부터 10월23일까지 격주로 조사하였다(도 7). 각 정점당 20X20cm 틀을 이용해 3회씩 채집하였고 채집된 시료는 1mm, 600㎛, 150㎛ sieve를 이용해 퇴적물과 치패를 육안으로 관찰해 분리하였다.
자연종패발생장 내 침착성 패류 치패 분포조사 결과
조사일시 조간대 상부
(마리/m2, m)
조간대 중부
(마리/m2, m)
조간대 하부
(마리/m2, m)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08.08 76 7 0 9 16 0 14 210 231 452 559 0 25
08.24 112 225 50 0 0 0 175 50 550 1200 1950 275 100
09.06 351 450 500 375 260 50 383 844 1,782 1,988 1,443 1,949 150
09.26 130 200 75 57 38 51 75 256 689 1,910 1,266 1,226 75
10.10 0 0 25 31 0 11 162 399 591 885 658 2,810 171
10.23 145 28 75 174 234 182 502 754 2,195 3,983 3,644 25 99
자연종패발생장 내 침착성 패류 치패분포조사 결과 조간대 중, 하부(800-1,100m) 높은 치패분포(210-3,644개체/m2)를 보였으며 치패 평균 생존율은 35.3%였다. 특이하게 9월 6일 조간대 상부(100-500m)에서 관찰된 바지락 개체군은 8월 초ㅇ중순(8/8, 8/17)에 산란된 유생이 가입된 결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침착성 패류 착생조사는 기존의 어장을 효과적으로 사용(이용, 보존, 복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자연종패발생지 정점별 퇴적물 입도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치패분포가 가장 높은 조간대 중하부 정점 (800-1,100m)의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2.1-3.7로 자갈 1.4-4.3%, 사질 45.1-83.0%, 니질+점토 1.8-7.6%였다 (도 8). 치패 착생율이 저조한 조간대 상부의 경우 니질+점토의 비율이 50%이상(52.2-73.8%) 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퇴적환경은 바지락서식이 가능한 퇴적환경 (고창/바지락 양식지: 자갈0.5%, 사질26.4%, 니질+점토73.1%)이나 이곳에 쏙(Upogebia major)이 대량서식하고 있어 쏙의 습성(Filter feeder, Dia a burrow)이 치패 착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 9는 서해안 침착성 패류 최적 채묘방법 조사 모식도를 나타낸다. 서해안에 서식하는 침착성 패류는 일반적으로 암컷과 수컷이 수중에 방난 및 방정하여 수정된 유생이 D-형 유생→담륜자 유생→포복피면자 유생을 거쳐 기질에 착저하는 생활사를 가지고 있음 (도 9). 본 발명은 포복피면자 유생을 착저를 인공적인 채묘 형태 (바닥식, 가상식)및 채묘기질 (굴패각비드, 굴패각, 왕사, 인공잔디), 침착유도 방법(와류시설)을 이용하여 최적의 채묘방법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2017년 3월 주교면 해역 바지락자원 분포조사를 통해 가장 분포도가 높은 B라인의 900-1,100m 지점을 정점으로 선정하였고 채묘기질로는 굴 패각을 이용한 굴패각비드 (4mm), 굴패각 (3~4cm), 왕사 (3~4mm), 인공잔디 (23~28mm)을 사용하였으며, 채묘 형태로는 서해안 특성에 맞게 바닥식과 가상식 선택하였다. 또한 침착유도를 위해 바닥식과 가상식 시설 앞, 뒤, 좌, 우 1m간격으로 180cm 말뚝을 설치하였다. (도 10). 채묘시설은 2017년 7월13일 설치하였으며 10월 23일까지 격주로 채묘기질 수거와 동시에 새로운 채묘기질을 설치하였다.
전체적인 실험 모식도는 도 11과 같으며 채묘된 기질은 1mm, 600㎛, 150㎛ sieve를 이용하여 퇴적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저질은 5% 포르말린으로 고정 후 Rose bengal시약으로 염색하였다. 이후 연구실로 옮겨와 육안으로 퇴적물 내 침착성 패류를 분리하였는데, 1mm와 600㎛는 전체분리가 가능하였으나 150㎛의 경우 채집된 퇴적물의 양이 많아 sub-sample로 계수한 후 퇴적물 양으로 환산하여 추정하였다.
침착성패류 채묘유도 기술 연구실험 결과
조사
일시
바닥식
(마리*1000/m2)
바닥식+와류
(마리*1000/m2)
가상식
(마리*1000/m2)
가상식+와류
(마리*1000/m2)


비드 패각 왕사 인공잔디 비드 패각 왕사 인공잔디

비드 패각 왕사 인공잔디 비드 패각 왕사 인공잔디
08.08 0.1 0.1 0.6 0.5 0.2 0.5 0.5 1.1 0 0.3 0.1 0.1 0.1 0.1 0 0.6 0.2 0
08.24 2.9 11.7 47.4 45.4 205.9 49.9 52.4 141.9 143.2 0.8 0.2 16.7 48.8 2.4 2.6 20.8 0.8 20.8
09.06 3.7 3.9 4.6 4.1 13.8 2.0 7.3 7.9 26.4 3.5 0.8 0 0.4 1.7 0.5 0.5 0.3 1.3
09.21 0.5 0.9 3.5 2.9 4.2 3.5 4.0 3.7 6.7 0.9 0 0.1 0.2 0.4 0.1 0.1 0.1 0
10.10 1.2 4.1 1.4 2.7 5.7 5.6 3.3 4.8 7.6 1.3 0.1 0.3 0.4 0.6 0.2 0.1 0.3 0.3
10.23 0.9 2.2 1.1 2.3 4.4 1.1 0.7 3.1 3.5 2.0 0.1 0.3 0.3 0.4 0.2 0.2 0.2 0.4
침착성 패류 채묘기질 조사 결과 가장 효과 좋은 채묘 형태는 '바닥식'이었으며 채묘기질로는 '인공잔디', 침착유도를 위한 와류시설이 있는 것이 효과가 대조구 대비 71배 높았으며, 치패 생존율은 47.1%였다 (표 2, 도 12). 채묘 된 침착성 패류 대부분이 각장 0.15-0.6mm 추후,150㎛ 퇴적물 내 치패 전수조사를 실시해 정확안 채묘율을 계산할 필요가 있으며 추가적으로 유용 이매패류 (바지락, 개량조개 등) 동정도 실시할 필요가 있고, 효과적인 채묘 시기는 8월 중순~9월 초순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채묘는 기존의 바닥식 방법을 사용하되 채묘기 설치 후 퇴적물 퇴적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채묘기 수확시기를 앞당길(기존 2주→1주 이내)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새로 가입된(착저) 바지락은 9개월 후 생존율이 1.2%이며 착저 후 2달 안에 급속도로 사망하므로 채묘된 침착성패류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채묘 후 신속히 중간 육성장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원활한 종패수급을 위해서는 기존의 자연채묘기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도 13은 인공잔디 카페트 원판을 다각형의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바닥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형태를 나타낸다. 일정크기의 인공잔디 매트(20)는 매트의 모서리 또는 중앙부분에서 철심으로 갯벌바닥에 고정하여 갯벌에 인공잔디 매트가 고정되어 주변으로 이동하자 못하도록 설치한다. 철심은 약 50 내지 70cm정도로 고정가능하다. 인공잔디 매트가 만드는 인공잔디(10)와 인공잔디(10) 사이의 공극에 침착형 패류 유생이 착저될 수 있도록 하여 채묘를 용이하게 하고 채묘효율을 기존 갯벌보다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국내 바지락 종패 수급문제 해결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4는 인공잔디 매트에 인공잔디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인공잔디는 다각형의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침착판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침착판은 일정면적의 외측틀을 형성하고 외측틀 내측에는 무결절 망지로 이루어진 그물망을 구성하는 망사가 십자로 교차된다. 그물망이 십자로 교차되는 부분에 일정한 길이의 인공잔디가 결합되어 잠입성 패류 채묘를 위한 인공잔디를 형성한다.
상기 인공잔디는 합성섬유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공잔디 매트(20)는 침착판(30)의 하부에 바닥판(40)을 이중으로 착탈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인공잔디가 이루는 공극으로 패류 유생이 잠입한 경우 유생의 회수를 위해 인공잔디 매트(20)를 거꾸로하여 털어야하나, 무결절 망지로 이루어진 침착판 아래에(30) 바닥판(40)이 형성되는 경우, 바닥판을 분리하는 것으로 침착판(30)을 거꾸로 하지 않고 침착판 아래측의 무결절 망사를 통과한 유생을 가볍게 털어내는 것만으로도 착저한 패류 유생을 간단히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채묘효율을 기존 갯벌보다 증가시킴으로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양식 기반확대 및 수산분야의 발전은 물론, 양식 기술의 국제경쟁력 제고로 어업인 소득증대에 기여 가능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일정한 다각형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측틀과 상기 외측틀의 내측에는 무결절 망지로 이루어진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침착판과, 상기 그물망의 망사가 십자로 교차하는 부분에 일정한 인공잔디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침착판 하부에는 바닥판이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인공잔디의 일부분을 갯벌 바닥에 철심으로 고정하여 갯벌에서 인공잔디의 이동을 제한시켜 인공잔디가 만드는 잔디와 잔디 사이의 공극에 잠입성 패류 유생이 착저될 수 있도록 한 침착성 패류채묘기를 준비 및 설치하고,
    상기 갯벌 바닥에 설치한 침착성 패류 채묘기에 바지락 유생이 채묘되도록 한 후, 채묘된 침착성 패류 채묘기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에서의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공잔디는 합성섬유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에서의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6910A 2018-12-21 2018-12-21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KR10204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910A KR102043611B1 (ko) 2018-12-21 2018-12-21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910A KR102043611B1 (ko) 2018-12-21 2018-12-21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611B1 true KR102043611B1 (ko) 2019-11-12

Family

ID=6857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910A KR102043611B1 (ko) 2018-12-21 2018-12-21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6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201A (ja) * 2003-06-27 2005-01-20 Tokushukai Kaiyo Igaku Kenkyusho:Kk プラスチック人工芝型藻礁板を用いた藻場造成
JP2010259418A (ja) * 2009-04-28 2010-11-18 Kansai Kako Kk 生分解性二枚貝類稚貝の着底用基盤材、二枚貝類増殖方法
KR101140647B1 (ko) 2011-03-31 2012-05-03 김수민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KR101402683B1 (ko) 2013-11-15 2014-06-13 대한민국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KR101468612B1 (ko) * 2014-09-17 2014-12-03 곽철우 유실방지기능이 구비된 해양식물 이식장치
KR101533969B1 (ko) 2013-08-16 2015-07-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JP2015130851A (ja) * 2014-01-14 2015-07-23 福島 徹 牡蠣幼生付着採取器
KR101632849B1 (ko)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201A (ja) * 2003-06-27 2005-01-20 Tokushukai Kaiyo Igaku Kenkyusho:Kk プラスチック人工芝型藻礁板を用いた藻場造成
JP2010259418A (ja) * 2009-04-28 2010-11-18 Kansai Kako Kk 生分解性二枚貝類稚貝の着底用基盤材、二枚貝類増殖方法
KR101140647B1 (ko) 2011-03-31 2012-05-03 김수민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KR101533969B1 (ko) 2013-08-16 2015-07-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KR101402683B1 (ko) 2013-11-15 2014-06-13 대한민국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JP2015130851A (ja) * 2014-01-14 2015-07-23 福島 徹 牡蠣幼生付着採取器
KR101468612B1 (ko) * 2014-09-17 2014-12-03 곽철우 유실방지기능이 구비된 해양식물 이식장치
KR101632849B1 (ko)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갯벌연, 바지락 치패 자연채묘기술 개발, 수산인신문(2017.12.21.)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s et al. Effects of stocking size and density on growth and survival of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 in ponds
CN102823529A (zh) 一种拟目乌贼苗种培育方法
KR101475414B1 (ko)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KR101632849B1 (ko)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2017920A (zh) 自然虾夷扇贝幼体拖网采集室内培育的采苗方法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JP2011244795A (ja) アサリ等の潜砂性二枚貝の陸上生産方法
CN106804496A (zh) 罗氏沼虾高密度分层式集约化养殖方法
CN106719183A (zh) 织锦巴非蛤苗种的海区中培方法
Walford et al. Floating hatchery and net cage culture of Penaeus indicus in the Straits of Johore, Singapore
Gökalp et al. Design for large-scale maricultures of the Mediterranean demosponge Chondrosia reniformis Nardo, 1847 for collagen production
CN110140680B (zh) 一种合浦珠母贝底播养殖方法
KR102094037B1 (ko)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KR102094038B1 (ko)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KR102043611B1 (ko) 인공잔디를 이용한 잠입성 패류 채묘방법
CN102835356A (zh) 方格星虫人工亲体选育方法
Macintosh Aquaculture in coastal lagoons
Liu et al. The clam, Xishi tongue Coelomactra antiquata (Spengler), a promising new candidate for aquaculture in China
Parsons Advantages in tray cultivation of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Strangford Lough, N. Ireland
CN111149742B (zh) 一种唐冠螺幼体制备及培养方法
KR101968913B1 (ko) 해삼 혼합 양식방법
Frey The pond fisheries of the Philippines
KR101402670B1 (ko) 갯벌참굴 양성망 거치대용 참굴 유생 채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