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920A -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920A
KR20090011920A KR1020070075969A KR20070075969A KR20090011920A KR 20090011920 A KR20090011920 A KR 20090011920A KR 1020070075969 A KR1020070075969 A KR 1020070075969A KR 20070075969 A KR20070075969 A KR 20070075969A KR 20090011920 A KR20090011920 A KR 2009001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trusion
coupled
suction silenc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304B1 (ko
Inventor
박복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304B1/ko
Priority to US12/219,697 priority patent/US20090028726A1/en
Priority to CNA2008101346139A priority patent/CN101354027A/zh
Publication of KR2009001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입소음기는 제1몸체(31)와 제2몸체(3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에는 각각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40)에는 결합리브(4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부(50)에는 결합채널(52)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리브(42)의 일측과 상기 결합요부(50)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는 각각 결합안내면(43,53)이 형성되어,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의 체결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면이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합돌부와 결합요부가 형상적 특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므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흡입소음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품질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밀폐형 압축기, 흡입소음기, 결합리브, 결합채널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A suction muffler for hermatic compress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흡입소음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포함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제1몸체 32: 제2몸체
33: 토출부 34: 출구덕트
35: 흡입부 36: 흡입공
37: 오일배출공 40: 결합돌부
42: 결합리브 43: 결합안내면
50: 결합요부 52: 결합채널
53: 결합안내면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형 압축기에서 압축실로 전달되는 작동유체의 소음을 제거하는 흡입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압축기의 외관을 하부용기(1)와 상부용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밀폐용기가 형성한다.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는 압축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용기(1)의 하부에는 장착플레이트(3)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3)는 압축기를 설치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5)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5)에는 압축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5)의 하부에는 모터부(7)가 구비된다. 즉, 고정자(8)가 상기 프레임(5)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8)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회전자(9)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9)는 상기 고정자(8)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프레임(5)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부(7)의 구동력으로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자(9)와 회전중심이 일치하게 상기 프레임(5)을 관통하여 크랭크축(10)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10)중 상기 프레임(5)의 하부로 연장된 부분은 상기 회전자(9)의 중심에 압입되어 크랭크축(10)과 회전자(9)는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10)의 상단에 크랭크축(10)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게 편심핀(11)이 구비된다. 상기 편심핀(11)은 커넥팅로드(13)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커넥팅로드(13)는 그 타단부가 피스톤(15)에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10)의 회전력을 피스톤(15)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피스톤(15)은 상기 프레임(5)상에 구비되는 실린더(17)를 관통하여 형성된 압축실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15)은 상기 압축실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작동유체를 압축한다.
상기 실린더(17)의 선단에는 밸브조립체(18)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조립체(18)는 상기 압축실의 내외부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조립체(18)와 함께 헤드커버조립체(19)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커버조립체(19)의 내측에는 상기 밸브조립체(18)를 통과하는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구조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밸브조립체(18)를 거쳐 실린더(17)이 압축실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흡입소음기(20)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소음기(20)의 구성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흡입소음기(20)는 크게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흡입소음기(2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에는 각각 융착돌부(21')와 융착요부(22')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융착돌 부(21')가 상기 융착요부(22')에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서로 융착하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21)에는 토출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23)는 상기 헤드커버조립체(19)와 밸브조립체(18)의 사이에 위치되어 압축실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토출부(23)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흡입소음기(20)의 내부와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가 출구덕트(24)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22)에 하부 일측에는 흡입부(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25)에는 흡입공(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공(26)은 흡입소음기(20)의 외부와 하부몸체(22)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흡입공(26)을 통해 작동유체가 흡입소음기(20)의 내부로 전달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는 토출소음기이고, 27은 흡입소음기(20)내부로 전달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배출공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흡입소음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의 융착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융착돌부(21')를 상기 융착요부(22')에 삽입되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융착돌부(21')와 융착요부(22')는 상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 전체를 둘러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이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결합시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융착돌 부(21')와 융착요부(22')에는 서로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전혀 없어 결합작업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리고, 상기 융착돌부(21')와 융착요부(22')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융착돌부(21')와 융착요부(22')의 일부가 용융되어 서로 일체로 되는 것이다. 하지만, 융착작업은 열을 필요로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고, 융착돌부(21')와 융착요부(22')의 일부가 녹아 다시 고화되는 과정에서 융착 버어(Burr)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융착 버어는 압축기 내에서 작동유체와 함께 이동될 수 있어 압축기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결합되는 몸체부의 대응되는 부분에 몸체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구조를 가진 흡입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부의 결합이 몸체부의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형상적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된 흡입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제1몸체와,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됨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내부공간이 개구된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결합리브와 결합채널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리브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요부의 결합채널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입된다.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제1몸체나 제2몸체중 어느 일측의 외면을 둘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채널은 상기 결합리브가 형성된 반대쪽의 제2몸체나 제1몸체의 내면을 둘러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요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중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결합과정에서 상대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중 상기 결합안내면이 형성된 반대면이 상기 결합채널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중 어느 일측에는 스페이서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면이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합돌부와 결합요부가 형상적 특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므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흡입소음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품질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흡입소음기는 크게 제1몸체(31)와 제2몸체(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각각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흡입소음기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참고로, 흡입소음기는 반드시 제1몸체(31)와 제2몸체(32)의 2조각으로만 만들어질 필요는 없으며, 2조각 이상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소음기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제1몸체(31)가 상부를 형성하고, 제2몸체(32)가 하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흡입소음기를 좌우로 나누어 제1몸체가 좌측을 구성하고 제2몸체가 우측을 구성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31)에는 토출부(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33)는 헤드커버조립체와 밸브조립체의 사이에 위치되어 압축실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토출부(33)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흡입소음기의 내부와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몸체(31)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가 출구덕트(34)에 형 성된다.
상기 제2몸체(32)에 하부 일측에는 흡입부(3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35)에는 흡입공(3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공(36)은 흡입소음기의 외부와 제2몸체(32)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흡입공(36)을 통해 작동유체가 흡입소음기의 내부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는 서로 형상적 특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부(40)는 상기 제1몸체(31)의 내부 공간이 개구된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결합요부(50)는 상기 제2몸체(32)의 내부 공간이 개구된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돌부(40)는 상기 제1몸체(31)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리브(42)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리브(42)는 상기 제1몸체(31)의 외면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결합리브(42)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리브(42)는 상기 제1몸체(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결합리브(42)가 반드시 폐곡선을 이룰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 결합리브(42)가 중간중간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리브(42)의 선단중 상기 제2몸체(32)의 결합요부(50)측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결합안내면(4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43)은 본 실시예에서 곡면 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부(50)는 상기 제2몸체(32)의 내면을 따라 요입되게 형성된 결합채널(52)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채널(52)은 상기 제2몸체(32)의 내면에 상기 결합리브(42)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52)은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가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52)은 상기 제2몸체(32)의 내면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부(50)중 상기 제1몸체(31)의 결합돌부(40)와 마주보는 쪽에는 결합안내면(5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53)은 본 실시예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53)은 상기 결합돌부(40)의 결합안내면(43)과 협력하여 상기 결합돌부(40)가 결합요부(5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참고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 모두에 결합안내면(43,53)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면(43',53')을 경사진 평면으로 형성된다. 즉,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에 각각 쳄퍼(chamfer) 형태로 결합안내면(43',53')이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7은 흡입소음기 내부로 전달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배출공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소음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흡입소음기는 제1몸체(31)와 제2몸체(32)를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상기 제1몸체(31)의 결합돌부(40)와 제2몸체(32)의 결합요부(5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즉, 상기 결합돌부(40)에 구비된 결합리브(42)가 상기 결합요부(50)에 형성된 결합채널(52)의 내부로 삽입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리브(42)가 상기 결합채널(5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상기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안내면(43,53)의 안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작업자가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가 결합되도록 힘(F)을 가하면,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안내면(43,53)의 안내에 의해 상기 결합돌부(40) 및 결합요부(50)가 화살표 A,B방향으로 각각 약간의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부(40)와 결합요부(50)의 탄성변형은 상기 제1몸체(31)와 제2몸체(32)가 힘(F)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만들고, 상기 결합리브(42)가 결합채널(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리브(42)가 상기 결합채널(52)에 삽입되는 순간에 이들의 탄성변형상태는 원래의 상태 또는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부(40)의 결합리브(42)가 결합요부(50)의 결합채널(52)에 삽입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결합리브(42)가 결합채널(52)에 압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기 결합리브(42)가 결합채널(52)에 삽입된 부분을 통해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리브(42)의 일면, 즉 상기 결 합안내면(43)이 형성된 반대쪽면은 상기 결합채널(52)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몸체(31)나 제2몸체(32)의 어느 일측에 돌기 형태의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두어 결합리브(42)의 일면이 결합채널(52)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결합채널(52)의 내부에 시일을 두어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흡입소음기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을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부와 결합요부가 형성되는데, 이들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돌부나 결합요부의 안내를 위한 결합안내면이 곡면이거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소음기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흡입소음기를 제작하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 출된 결합돌부의 결합리브가 상기 몸체들의 결합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입된 결합요부의 결합채널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흡입소음기를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형상적 특성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흡입소음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결합과정에서 이물질의 발생이 방지되는 등 품질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제1몸체와,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결합됨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내부공간이 개구된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결합리브와 결합채널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리브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요부의 결합채널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제1몸체나 제2몸체중 어느 일측의 외면을 둘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채널은 상기 결합리브가 형성된 반대쪽의 제2몸체나 제1몸체의 내면을 둘러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요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중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의 결합과정에서 상대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중 상기 결합안내면이 형성된 반대면이 상기 결합채널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중 어느 일측에는 스페이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KR1020070075969A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KR10137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969A KR101377304B1 (ko)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US12/219,697 US20090028726A1 (en) 2007-07-27 2008-07-25 Suction muffler for hermetic compressor
CNA2008101346139A CN101354027A (zh) 2007-07-27 2008-07-28 封闭式压缩机用吸入消声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969A KR101377304B1 (ko)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20A true KR20090011920A (ko) 2009-02-02
KR101377304B1 KR101377304B1 (ko) 2014-03-26

Family

ID=4029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969A KR101377304B1 (ko) 2007-07-27 2007-07-27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28726A1 (ko)
KR (1) KR101377304B1 (ko)
CN (1) CN1013540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652A (zh) * 2012-06-19 2012-10-10 华意压缩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可减少热交换和排油量的压缩机用吸气消声器
BR102013019311B1 (pt) * 2013-07-30 2021-10-13 Embraco Indústria De Compressores E Soluções Em Refrigeração Ltda Dispositivo atenuador acústico para compressores
SG10201401663VA (en) * 2014-04-21 2015-11-27 Panasonic Corp Compressor Or Suction Muffler
CN111810382A (zh) * 2020-07-21 2020-10-23 常熟大众机器人研究院有限公司 制冷压缩机新型吸气消音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552A (en) * 1990-12-27 1992-11-17 Bristol Compressors Compressor suction noise attenuator and assembly method
US5588810A (en) * 1995-09-01 1996-12-31 Bristol Compressors, Inc. Low noise refrigerant compressor
JP3542725B2 (ja) * 1998-09-30 2004-07-14 株式会社 マーレ テネックス 自動車の吸気レゾネータ
KR200234714Y1 (ko) * 1998-12-31 2001-11-22 구자홍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JP2000337254A (ja) * 1999-05-27 2000-12-05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JP3738729B2 (ja) * 2001-11-28 2006-01-2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の音響フィルタ
US7669278B2 (en) * 2002-07-11 2010-03-02 Shima Seiki Mfg., Ltd. Structure of brush mount for cutting table
KR200319219Y1 (ko) 2003-04-21 2003-07-07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금속링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접속장치
US7398855B2 (en) * 2004-05-14 2008-07-1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sound attenuation enclosure
KR100620048B1 (ko) 2004-11-15 2006-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제어박스 기판 고정구조
KR20080000996A (ko) * 2006-06-28 2008-01-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304B1 (ko) 2014-03-26
CN101354027A (zh) 2009-01-28
US20090028726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6716B1 (en) Muffle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10040246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10137730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JP4146244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吸入バルブ
KR10185504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42196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KR20040171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00448548B1 (ko) 실린더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밀폐형 압축기
KR100400579B1 (ko) 흡입밸브 조립체
CN100373049C (zh) 密封式压缩机
KR100301505B1 (ko) 밀폐형전동식압축기의흡입소음기결합구조
KR101865515B1 (ko) 압축기용 머플러
KR10027342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100378819B1 (ko) 압축기용 흡입밸브의 고정장치
KR101313068B1 (ko) 압축기용 밸브유닛
KR20070058904A (ko) 압축기용 실린더조립체
KR100856795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170117954A (ko) 압축기용 머플러
US20060204385A1 (en) Fuel pump
KR200401342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KR100425842B1 (ko) 압축기의 실린더 헤드구조
KR10040246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고정구조
KR10043001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조립체
KR100421389B1 (ko) 압축기용 흡입밸브 조립체
KR100425847B1 (ko) 압축기의 실린더 헤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