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714Y1 -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 Google Patents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714Y1
KR200234714Y1 KR2019980028348U KR19980028348U KR200234714Y1 KR 200234714 Y1 KR200234714 Y1 KR 200234714Y1 KR 2019980028348 U KR2019980028348 U KR 2019980028348U KR 19980028348 U KR19980028348 U KR 19980028348U KR 200234714 Y1 KR200234714 Y1 KR 200234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body
suction muffler
splitter
fasten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969U (ko
Inventor
탁경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8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1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14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흡입머플러(20)는 그 상단을 형성하고 토출부(30e)를 구비하는 제1분할체(30)와, 상기 제1분할체(30)와 탄성에 의해 체결되고 흡입부(40i)를 구비하는 제2분할체(40)와,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내부에 이들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부(50)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탄성을 이용한 체결을 위해 상기 제1분할체(30)에는 걸림아암(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분할체(40)에는 상기 걸림아암(31)이 체결되는 체결홈(4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막부(5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연결단(51)은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사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분할체(30)나 제2분할체(40) 측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흡입머플러(20)의 조립과정에서 그 구성부품들이 설계된 대로의 정확한 치수로 조립되어 소음을 위한 공간이 정확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흡입된 냉매의 소음을 저감시켜 압축실로 전달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팅로드(7)와 연동되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이 구비된 실린더(6)가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냉매의 소음을 저감시켜 상기 압축실(6')로 전달하는 흡입머플러(9)가 상기 압축실(6')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머플러(9)에는 흡입파이프(10)가 연결캡(11)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머플러(9)의 내부 구성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흡입머플러(9)는 전면판(9a)과 후면판(9b)을 서로 초음파융착에 의해 결합시키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명공간(9')을 형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상기 압축실(6')에서 압축된 냉매의 토출소음을 저감시키는 토출머플러이고, L은 압축기의 각 부품의 윤활과 냉각을 위한 오일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공명공간(9')은 특정주파수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소음저감을 위해 중요한 요소는 상기 공명공간(9')의 체적과, 외부의 유로로부터 상기 공명공간(9')으로 연결되는 목부의 직경과 그 목부의 길이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초음파융착으로 흡입머플러(9)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공명공간(9')의 체적이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게 되어 소음산포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초음파융착으로 흡입머플러(9)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가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작동유체를 따라 사이클 구성요소로 전달되어 이들 사이클 구성요소의 성능에 치명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공명공간의 체적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흡입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입머플러의 제조과정에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방향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폐용기 2: 프레임
3: 고정자 4: 회전자
5: 크랭크축 6: 실린더
7: 피스톤 8: 커넥팅로드
9: 흡입머플러 10: 흡입파이프
11: 연결캡 13: 토출머플러
20: 흡입머플러 30: 제1분할체
30e: 토출부 31: 걸림아암
33: 누름단 35: 걸림단
40: 제2분할체(제2분할체) 40i: 흡입부
41: 체결홈 50: 격막부(격막부)
51: 탄성연결단 52: 가이드단
53: 공명공 54: 공명공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흡입부가 형성된 제2분할체부와,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분할체부와 탄성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2분할체부와 함께 내부에 소음을 위한 유로와 공간을 형성하는 제1분할체부와,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을 위한 유로와 공간을 형성하는 격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막부의 일측은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체결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제1분할체부와 제2분할체부는 그 어느 일측이 탄성을 가지는 걸림아암을 구비하고, 타측이 상기 걸림아암이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는 정확한 치수로 조립되므로 공명공간이 설계대로 형성되어 소음성능이 최대화되고, 탄성을 사용하여 조립하므로 조립과정에서 흡입머플러의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의 흡입머플러(2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흡입머플러(20)의 외관은 토출부(30e)가 형성되고 흡입머플러(20)의 상단을 구성하는 제1분할체(30)와, 상기 제1분할체(30)와 결합되고 그 하부에 흡입부(40i)가 형성되어 흡입머플러(20)의 하단을 구성하는 제2분할체(4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머플러(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체결에 의해 상기 흡입머플러(20)의 내부에 체결되는 격막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분할체(30)에는 그 측단에 걸림아암(31)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아암(31)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에 의해 탄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할체(30)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격막부(50)의 체결을 위한 누름단(33)과 걸림단(35)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분할체(40)에는 상기 걸림아암(31)이 체결되는 체결홈(41)이 상기 걸림아암(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걸림아암(31)과 체결홈(41)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격막부(50)는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소음을 위한 공간과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격막부(50)는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격막부(50)의 내부에 공명공간(54)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 부호 53은 상기 공명공간(54)의 외부 유로와 연통시키는 공명공이다.
상기 격막부(50)를 상기 제1분할체(30) 및 제2분할체(40)와 체결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누름단(3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탄성연결단(51)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연결단(51)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될 때, 상기 제1분할체(30)의 누름단(33)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누름단(33)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단(35)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단(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작용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실시예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흡입머플러(20)는 상기 제1분할체(30), 제2분할체(40) 및 격막부(50)가 탄성에 의해 체결된다. 즉,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내부에 상기 격막부(50)를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체결은 상기 걸림아암(31)의 선단부를 상기 체결홈(41)에 안착시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걸림아암(31)의 선단부가 체결홈(41)에 안착된 것은 도 5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의 내부에 상기 격막부(50)를 안착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분할체(30)와 제2분할체(40)를 상기 걸림아암(31)의 탄성을 이용하여 체결함에 있어, 상기 제2분할체(40)의 상단부와 상기 제1분할체(30)의 누름단(33)과의 사이에 상기 격막부(50)의 탄성연결단(51)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탄성연결단(51)이 상기 누름단(33)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분할체(40)의 상단부와 제1분할체(30)의 누름단(33) 사이에 눌러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분할체(30)의 걸림단(35)에 상기 격막부(50)의 가이드단(52)이 걸려져, 상기 격막부(50)의 체결이 완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격막부(50)의 반대쪽에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를 탄성아암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하고, 상기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머플러의 내부에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격막부의 일측을 상기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의 체결력에 의해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의 사이에 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흡입머플러는 조립시에 그 구성부품에 변형이나 화학적 변화등이 발생하지 않아 구성부품들이 정확한 치수로 조립되므로 특히 공명공간이 설계된대로 구성되어 보다 확실한 소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립시에 흡입머플러의 내부에 초음파융착시의 버어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흡입머플러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흡입부가 형성된 제2분할체부와,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분할체부와 탄성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2분할체부와 함께 내부에 소음을 위한 유로와 공간을 형성하는 제1분할체부와,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을 위한 유로와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사이에 체결되고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어느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연결단을 구비하는 격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결단은 체결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분할체부와 제1분할체부의 사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부와 제2분할체부는 그 어느 일측이 탄성을 가지는 걸림아암을 구비하고, 타측이 상기 걸림아암이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19980028348U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KR200234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48U KR200234714Y1 (ko)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48U KR200234714Y1 (ko)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69U KR20000014969U (ko) 2000-07-25
KR200234714Y1 true KR200234714Y1 (ko) 2001-11-22

Family

ID=6950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48U KR200234714Y1 (ko)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7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10B1 (ko) * 2002-05-20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윤활 장치
KR101377304B1 (ko) * 2007-07-27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233B1 (ko) * 2002-06-28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일체형 흡입머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10B1 (ko) * 2002-05-20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윤활 장치
KR101377304B1 (ko) * 2007-07-27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69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8387B2 (ja) リニア圧縮機
KR100194150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US6390788B1 (en) Working-fluid intaking structure for hermetic compressor
KR200234714Y1 (ko)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
KR10040246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20050019959A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KR10032452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장착구조
KR100301505B1 (ko) 밀폐형전동식압축기의흡입소음기결합구조
KR10035876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흡입 가이드캡
KR2001006172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운동변환장치
KR100299215B1 (ko) 밀폐형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KR10039594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설치구조
KR20018407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설치구조
KR10068249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장착구조
KR200163924Y1 (ko) 압축기의 밸브구조
KR100386507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고정구조
KR10046123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조립체
KR10040246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장착구조
KR20010066579A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10036645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20070093765A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밸브 어셈블리
KR20010065245A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20040017962A (ko)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KR200165730Y1 (ko)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의 냉매흡입관 결합구조
KR20010065243A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