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739U - 수납통 겸용 화분 - Google Patents

수납통 겸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739U
KR20090011739U KR2020080006316U KR20080006316U KR20090011739U KR 20090011739 U KR20090011739 U KR 20090011739U KR 2020080006316 U KR2020080006316 U KR 2020080006316U KR 20080006316 U KR20080006316 U KR 20080006316U KR 20090011739 U KR20090011739 U KR 20090011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ombined
storage container
pres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춘
Original Assignee
장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춘 filed Critical 장동춘
Priority to KR2020080006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739U/ko
Publication of KR20090011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과 수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수납통 겸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화분에 있어서, 상부측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고, 하부측 바닥면(14)에 배수구멍(14a)이 형성되며, 상부측 개방단부에 끼움부(16)가 형성된 몸체(10); 및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끼움부(16)와 대응되는 측벽부(24)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몸체(1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된 받침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화분 사용시 화분과 수납통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므로, 기능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으며, 보관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화분, 수납, 식물, 물, 받침

Description

수납통 겸용 화분{A flowerpot compatable with container}
본 고안은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과 수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납통 겸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초 등과 같은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용기로써, 최근 주거문화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의 취향에 부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내부에 토사를 담아 채울 수 있도록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측 바닥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 몸체와, 하부측 배수구멍을 통해서 흘러나온 물이 담겨지는 받침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분들은 대부분 화분 몸체와 받침부재가 각각 별도로 제공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화분 보관시 몸체와 받침부재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따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크기별로 제공되는 화분들의 경우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몸체와 받침부재를 각각 별도로 보관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공간확보가 용이하 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화분 몸체와 받침부재를 각각 별도로 보관함에 따라 자칫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서 쉽게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그 용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용도로 한정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화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처리가 곤란하여 그대로 방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채로 방치되어 있는 화분에 의해 주변 환경의 미관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화분과 수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는 수납통 겸용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둘째, 화분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공간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화분에 있어서,
상부측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측 바닥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상부측 개방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끼움부와 대응되는 측벽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몸체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납통 겸용 화분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납통 겸용 화분에 의하면,
첫째, 화분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통기성이 요구되는 음식물 또는 물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통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기능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다.
둘째, 화분을 구성하고 있는 받침부재를 몸체의 상부측에 결합하여 일체화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셋째, 크기별로 제공되는 화분을 보관함에 있어서, 작은 화분을 큰 화분의 내측으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보관에 따른 공간확보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 겸용 화분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 겸용 화분의 조립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고안의 수납통 겸용 화분(A)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품을 담아 보관하거나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10) 및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지며, 그 용도에 따라서 덮개 또는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2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10)는 첨부된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측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며, 내측의 바닥면(14)에 배수구멍(14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배수구멍(14a)은 몸체(10)의 바닥면에 소직경의 관통구멍들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화분을 수납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내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이나 물품이 하부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의 상부측 개방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결합돌기(16a)가 일체로 형성된 끼움부(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몸체(1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방된 상부측 직경이 하부측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받침부재(20)는 첨부된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몸체(10)의 끼움부(16)와 대응되는 측벽부(24)가 마련되고, 내측으로 안착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측벽부(24)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결합홈(2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결합돌기(16a)에 대응 결합된다.
또한, 안착부(22) 상에는 몸체(10)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안착돌기(22a)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받침부재(20)는 합성수지재 또는 자기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덮개 또는 물받이로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몸체(10) 및 받침부재(20)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 겸용 화분(A)은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화훼단지 등 어디에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주로 몸체(10)의 수용공간부(12) 내에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화분으로 사용된다. 또한, 화분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양한 용도의 수납용구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우선, 본 고안을 화분(A)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20)를 몸체(10)의 하부측으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몸체(10)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부(12) 내에 적당량의 토사(100)를 담아 채운 후 화초 등과 같은 관상용 식물(200)을 식재하여 가꾸어 주면 된다. 이때, 몸체(10)는 그 하단부의 각 모서리가 받침부재(20)의 안착부(22)상에 형성된 안착돌기(22a)에 의해 지지되면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20)를 몸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통상적인 물받이로 사용하면서 화분(A)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화분(A)에 물을 주게 되면, 과투입된 물이 몸체(10)의 내부를 통해서 하부측 배수구멍(14a)으로 흘러나와 받침부재(14a)에 모아지기 때문에 별도의 물받이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수납통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 4에서 보 여주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수용공간부(12) 내에 물기가 없는 음식물이나 통기성이 요구되는 음식물(즉, 곡물·건식품 등)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면 된다. 이때 받침부재(20)는 몸체(10)의 상부측에 결합되도록 하여 덮개로 사용하면 되는데, 이러한 받침부재(20)는 측벽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4a)이 몸체(10)의 끼움부(16)에 형성된 결합돌기(16a)에 끼워지도록 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몸체(10)의 바닥면(14)에는 작은 구멍들이 균일하게 형성된 배수구멍(14a)을 형성하여 곡물류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물품들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몸체(10) 및 받침부재(20)는 사용하는 용도와 용량에 따라 크기별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것이며, 이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큰 화분(A)의 몸체(10) 내부에 작은 화분(A',A")들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도록 한 다음, 몸체(10)의 상부측에 받침부재(20)를 결합하여 보관하면 된다. 이에 따라 화분 보관시 공간확보가 매우 용이하게 되며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 겸용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 겸용 화분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화분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을 수납통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 겸용 화분의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laims (5)

  1. 식물을 식재하여 가꿀 수 있는 화분에 있어서,
    상부측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고, 하부측 바닥면(14)에 배수구멍(14a)이 형성되며, 상부측 개방단부에 끼움부(16)가 형성된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상기 끼움부(16)와 대응되는 측벽부(24)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몸체(1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된 받침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통 겸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6)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결합돌기(1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24)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돌기(16a)와 대응되는 결합홈(24a)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통 겸용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14a)은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에 미세 관통구멍들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통 겸용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2)상에는 상기 몸체(1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안착돌기(22a)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통 겸용 화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및 받침부재(2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자기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통 겸용 화분.
KR2020080006316U 2008-05-15 2008-05-15 수납통 겸용 화분 KR200900117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16U KR20090011739U (ko) 2008-05-15 2008-05-15 수납통 겸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16U KR20090011739U (ko) 2008-05-15 2008-05-15 수납통 겸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39U true KR20090011739U (ko) 2009-11-19

Family

ID=4929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16U KR20090011739U (ko) 2008-05-15 2008-05-15 수납통 겸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7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674B2 (en) Stackable planter
US20150033625A1 (en) Sub-Irrigated Planter
US2015021613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grow ring for produce
CN105283067A (zh) 活体植物展示和储存系统、装置以及方法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JPWO2006043591A1 (ja) 植物栽培用器
US10986944B1 (en) Plant transportation system
KR20150083316A (ko) 꽃꽂이 병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20090011739U (ko) 수납통 겸용 화분
JP3166992U (ja) プランター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0260726Y1 (ko) 화분 받침대
JP3167907U (ja)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JP2003047341A (ja) 花 器
KR101436460B1 (ko) 화분 겸용 야채 포장 케이스
KR200481975Y1 (ko) 라벨 탈착식 조립형 화분용기
JP6614479B2 (ja) プランター
KR200470339Y1 (ko) 화병 겸용 화분
JP3117949U (ja) 植木鉢安定器具
JP3146756U (ja) 植物育成用容器
KR200493686Y1 (ko) 화분 키트
JP2008054526A (ja) 植物容器および植物ディスプレイ
JP3168954U (ja) 立体型植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