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265U - 생수통용 덮개 - Google Patents

생수통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265U
KR20090011265U KR2020080005756U KR20080005756U KR20090011265U KR 20090011265 U KR20090011265 U KR 20090011265U KR 2020080005756 U KR2020080005756 U KR 2020080005756U KR 20080005756 U KR20080005756 U KR 20080005756U KR 20090011265 U KR20090011265 U KR 20090011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cap
open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학현
Original Assignee
조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학현 filed Critical 조학현
Priority to KR202008000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265U/ko
Publication of KR20090011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 담수되는 생수통에 사용되는 생수통용 덮개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는, 생수통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생수통의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생수통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배출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 일단부가 상기 캡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캡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캡의 유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유로에 접촉되면서 상기 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캡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수통을 정수기에 설치하면 개폐부재가 유로에서 이동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생수통에 담수된 물이 정수기로 공급되고, 생수통을 정수기에서 분리하면 개폐부재에 의하여 유로가 밀폐되면서 생수통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생수통을 정수기에서 설치 및 분리할 때 생수통 내부의 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생수, 통, 덮개, 정수기

Description

생수통용 덮개{COVER FOR NATURAL WATER BUCKET}
본 고안은 물이 담수되는 생수통에 사용되는 생수통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통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덮개에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생수통을 냉온정수기에 설치하였을 때는 유로가 개방되고 냉온정수기에서 생수통을 분리할 때에는 유로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생수통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정수된 물이 내부로 취수되면 이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켜서 사용자가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통상의 냉온 정수기는, 크게 수도관로에 수돗물을 정수기의 내부로 직접 연결하여 취수하는 수도관 직결식(프레스식) 냉온수기와, 정수된 물이 담수되어 있는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하여 취수하는 물통식 냉온수기로 구별된다.
수돗물이 직접 취수되는 수도관 직결식 냉온정수기는 원수가 직접 취수되기 때문에 수돗물을 살균처리하가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되고, 이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하므로, 물통식 냉온수기에 비하여 그 가격 및 유지비가 더 비싸고 관리하기가 힘들어 일반 회사에서는 물통식 냉온수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물통식 냉온수기는, 생수통의 물을 다 사용하게 되면 냉온수기에 설치된 빈 생수통을 생수가 담수된 생수통으로 교체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수통을 교체할 때 생수통에 담수된 물이 쏟아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생수통을 분리시킬 때에는 입구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이므로, 많은 양의 물이 쏟아지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한편, 물이 담수되는 생수통은,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냉온수기 이외에도 커피자판기 등과 같은 곳에도 사용되는데, 자판기도 냉온수기와 마찬가지로 생수통을 설치할 때에도 그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수통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덮개에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유로가 개폐부재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여 생수통을 냉온정수기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유로가 개방되고 냉온정수기에서 생수통을 분리할 때에는 유로가 밀폐되게 함으로써, 생수통을 냉온정수기에서 설치 및 분리할 때 생수통 내부의 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수통용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는, 생수통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생수통의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생수통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배출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 일단부가 상기 캡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캡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캡의 유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유로에 접촉되면서 상기 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캡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접촉되도록 상기 캡의 외측에서 위치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캡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로를 밀폐시키는 고무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지지판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미개에 접촉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유로에서 이동될 때 움직이는 것이 최소화 되도록 상기 유로의 주위에 상기 개폐부재가 지지되는 가이드관이 상기 캡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에 의하면, 생수통을 정수기에 설치하면 개폐부재가 유로에서 이동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생수통에 담수된 물이 정수기로 공급되고, 생수통을 정수기에서 분리하면 개폐부재에 의하여 유로가 밀폐되면서 생수통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생수통을 정수기에서 설치 및 분리할 때 생수통 내부의 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정수기 또는 커피자판기 등에 사용되는 생수통(10)은 운반시 내부에 담수된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개구부에 덮 개(100)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100)는, 생수통(10)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캡(110)과, 이 캡(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120)와, 캡(110)과 개폐부재(12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캡(110)은, 생수통(10)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생수통(10)의 개구부인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생수통(10)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유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110)은, 개폐부재(120)가 유로(111)에서 이동될 때 좌우로 심하게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개폐부재(120)가 지지되는 가이드관(113)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관(113)은 캡(110)의 유로(111)가 형성된 부위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 내면에 탄성부재(1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탄성부재(130)가 삽입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관(113)에 삽입되어 있는 개폐부재(120)는, 일단부가 캡(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캡(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가이드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유로(111)를 개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개폐부재(120)는, 가이드관(113)의 외측에 위치되어 탄성부재(130)가 접촉되는 지지판(121)과, 이 지지판(121)에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가이드관(113)을 통해 캡(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로드(123)와, 이 로드(123)의 단부에 부착되어 유로(111)를 밀폐시키는 고무콕(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개폐부재(120)의 로드(123)는 가이드관(113)에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관(113)을 밀폐시키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그 단면이 십자형태를 가지며, 고무콕(125)은 탄력성이 있는 합성고무에 의하여 제작되어 그 일단부가 유로(111)의 내 면으로 삽입되면서 유로(111)를 완전하게 밀폐시킨다. 또한, 로드(123)의 단부에는 고무콕(125)이 결합되도록 결합리브(123a)가 형성되어 있고, 고무콕(125)에는 결합리브(123a)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결합구멍(125a)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120)를 가이드관(113)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0)는, 개폐부재(120)가 가이드관(113)을 따라 이동될 때 개폐부재(1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로드(123)가 삽입 가능하도록 코일스프링(130) 형태로 제공된다. 탄성부재(130)인 코일스프링(130)은 로드(123)가 삽입되도록 개폐부재(120)와 가이드관(113)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개폐부재(120)의 지지판(121)에 접촉되고 타단은 가이드관(1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턱(113a)에 접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100)가 적용되는 생수통(10)은 사용자가 생수통(10)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그 입구가 손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물이 담수되어 있는 생수통(10)을 운반할 때 생수통(10)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덮개(100)를 생수통(10)의 입구에 결합시켜 생수통(10)을 밀폐시킨다. 이때, 덮개(100)의 개폐부재(120)는 코일스프링(130)에 의하여 가이드관(113)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유로(111)가 고무콕(125)에 의하여 밀폐되어 생수통(10)을 거꾸로 들어도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생수통(10)을 정수기 또는 커피자판기 등에 설치할 때에는 덮개(100)를 분리하지 않고 생수통(10)의 입구를 정수기 또는 커피자판기의 수용부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러면 생수통(10)의 입구가 정수기 또는 커피자판기의 수용부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개폐부재(120)의 지지판(121)이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개폐부재(120)가 가이드관(113)을 따라 생수통(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유로(111)가 개방되고, 생수통(10) 내부의 물이 유로(111)를 통해 정수기 또는 커피자판기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이때, 개폐부재(120)의 로드(123)가 십자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로드(123)에 의하여 유로(111) 및 가이드관(113)이 밀폐되는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생수통(10) 내부의 물이 더욱 원활하게 공급된다.
끝으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생수통(10)을 상기 수용부에서 분리할 때에는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에 의하여 개폐부재(120)가 덮개(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유로(111)가 고무콕(125)을 통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 또는 커피자판기에서 생수통(10)을 꺼낼 때에도 생수통(10)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덮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생수통 100 : 덮개
110 : 캡 113 : 가이드관
120 : 개폐부재 121 : 지지판
123 : 로드 125 : 고무콕
130 : 탄성부재, 코일스프링

Claims (4)

  1. 생수통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생수통의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생수통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배출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
    일단부가 상기 캡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캡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캡의 유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유로에 접촉되면서 상기 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캡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접촉되도록 상기 캡의 외측에서 위치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캡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로를 밀폐시키는 고무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덮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지지판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미개에 접촉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덮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유로에서 이동될 때 움직이는 것이 최소화 되도록 상기 유로의 주위에 상기 개폐부재가 지지되는 가이드관이 상기 캡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덮개.
KR2020080005756U 2008-04-30 2008-04-30 생수통용 덮개 KR200900112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56U KR20090011265U (ko) 2008-04-30 2008-04-30 생수통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56U KR20090011265U (ko) 2008-04-30 2008-04-30 생수통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65U true KR20090011265U (ko) 2009-11-04

Family

ID=4155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756U KR20090011265U (ko) 2008-04-30 2008-04-30 생수통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2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5760B2 (ja) 生水安全注出装置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US20020125187A1 (en) Pour-through water treatment dispenser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KR20090011265U (ko) 생수통용 덮개
KR20120021905A (ko) 정수기용 출수밸브
KR100502704B1 (ko) 냉 온수기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KR100620955B1 (ko)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KR100922592B1 (ko) 입욕제가 구비된 연수기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20100019068A (ko) 기름 분리용 용기
CN111839219B (zh) 水箱及饮水设备
KR102601474B1 (ko) 제빙기
JP3657804B2 (ja) 水利用装置
UA58531C2 (uk) Затвор з пристроєм, що запобігає розбризкуванню, для контейнерів для рідин
KR200381098Y1 (ko) 냉온수기용 기능성 물병마개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970001482Y1 (ko) 정수기
JP2010076836A (ja) ウォーターサーバ用の給水容器
KR100456235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JP2005187076A (ja) 水利用装置
KR20130103046A (ko) 냉온수기용 노스필과 볼탑의 일체형 구조
KR20110018675A (ko)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KR200201846Y1 (ko) 물통형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