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31U -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731U
KR20090010731U KR2020080005103U KR20080005103U KR20090010731U KR 20090010731 U KR20090010731 U KR 20090010731U KR 2020080005103 U KR2020080005103 U KR 2020080005103U KR 20080005103 U KR20080005103 U KR 20080005103U KR 20090010731 U KR20090010731 U KR 200900107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m
interference
stem model
mod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675Y1 (ko
Inventor
방극진
이영로
김귀동
이신호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05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09B25/025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hydraulic; pneuma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력 및 가압력과 같은 작용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밸브 스템에 장착한 상태에서 센서의 성능과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제 밸브 스템의 형태를 갖춘 밸브 스템 모형과,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일부를 감싸게 되는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과, 상기 밸브 스템 모형에 결합되어 밸브 스템 모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나선부에 내주면이 나선결합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으로 출입하는 이동관과,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상기 간섭돌기가 간섭되면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회전저항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이동관의 말단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상기 이동관이 진입하면서 간섭되어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가압력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밸브 스템, 회전력, 가압력, 작용력, 센서, 성능, 시험

Description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Sensor capability testing machine for measuring active forces of valve stem}
본 고안은 센서 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력 및 가압력과 같은 작용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밸브 스템 모형에 장착한 상태에서 센서의 성능과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등에서 주요 안전 제동 장치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밸브장치는 밸브 디스크와 밸브 시트 및 밸브 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스템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서, 밸브 디스크가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하거나 밸브 시트로 하강함으로써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밸브 스템에는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소정 기간 동안의 사용 후에는 밸브 스템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밸브 스템 의 표면에 소정의 센서를 설치하고 밸브 스템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여 밸브 스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과부하에 따른 밸브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밸브 스템에 작용하는 힘은, 회전에 따른 비틀림(torsion)과 축방향의 가압력(thrust)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밸브 스템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센서는 고정형과 착탈형의 두 가지가 있다. 그런데, 고정형 센서는 밸브 스템의 나사산이 없는 매끈한 부위에 일체로 고정되어 사용이 되는데, 고정형 센서를 밸브 스템에 일체로 고정하는 데에는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밸브 스템의 외주면에 정확하게 밀착시키는 데에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 착탈형 센서는 그 성능이 고정형 센서와 비교하여 얼마나 비슷한 측정결과를 나타내는지 알기가 어렵고, 대부분이 고정형 센서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짐으로 인해 밸브 스템에 작용하는 힘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정형 센서 및 착탈형 센서의 설계 후 기존 센서와의 성능 차이를 실제와 비슷한 조건에서 시험하고 그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센서 성능 시험장치의 필요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정형 센서와 착탈형 센서를 장착한 상태에서 실제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밸브 스템에 작용하는 회전력 및 가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센서의 성능을 비교 시험할 수 있고, 밸브 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센서의 적합성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제 밸브 스템의 형태를 갖춘 밸브 스템 모형과,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일부를 감싸게 되는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과, 상기 밸브 스템 모형에 결합되어 밸브 스템 모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나선부에 내주면이 나선결합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으로 출입하는 이동관과,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상기 간섭돌기가 간섭되면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회전저항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이동관의 말단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상기 이동관이 진입하면서 간섭되어 가압 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가압력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은, 나사선이 형성된 나선부와, 회전 및 가압의 작용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도록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진 센서장착부 및, 상기 나선부와 센서장착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간섭돌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회전저항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외주면을 향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통과,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간섭돌기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의 관통공에 삽입되면서 일부분이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된 간섭구와, 상기 몸통의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구를 상기 간섭돌기 쪽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몸통의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1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관통공 내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몸통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판, 그리고 상기 고정판을 상기 몸통의 후단부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간섭구의 가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력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체와, 상기 이동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들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간섭판과. 상기 간섭판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간섭판들을 상기 고정체 에 결합하는 조임볼트,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간섭판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간섭판이 고정체를 상대로 탄성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관이 진입하는 상기 간섭판의 단부가 제1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1경사면과 대향하는 상기 이동관의 단부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관의 상단부에 이동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이동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이 회전하면 상기 이동관이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으로 출입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밸브 스템에 대한 회전 및 가압의 작용력을 측정하는 센서들의 성능을 실제 밸브 스템에 적용하기에 앞서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센서에 대한 신뢰성 및 적합성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는, 예를 들어 발전소 등에서 주요 안전 제동 장치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밸브의 작동시 밸브 스템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센서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베이스부재(10)에 의해 지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베이스부재(10) 상에는 실제 밸브 스템에 상응하는 소재와 형태를 갖춘 밸브 스템 모형(20)이 설치되며, 이 밸브 스템 모형(20)에 시험하고자 하는 센서를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력(torque)과 가압력(thrust)을 발생시켜 상기 센서의 성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시험장치에 의해 시험되는 센서는 고정형 센서와 착탈형 센서를 모두 포함하며, 밸브 스템 모형(20)에 하나 이상의 시험하고자 하는 센서를 장착하게 되는데, 가능한 한 착탈성 센서와 고정형 센서를 함께 장착하여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10) 상에는 상기 밸브 스템 모형(20)뿐만 아니라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과 구동모터(40), 이동관(50), 회전저항발생부(60), 가압력발생부(70)가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밸브 스템 모형(20)은,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실제의 밸브 스템과 같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21)와, 회전력 및 가압력과 같은 작용력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형 센서(S1) 및 착탈형 센서(S2)가 함께 장착될 수 있도록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진 센서장착부(22), 그리고 나선부(21)와 센서장착부(22) 사이에서 밸브 스템 모형(20)의 외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간섭돌기(23)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은 밸브 스템 모형(20)의 일부를 감싸는 구성 요소이며, 구동모터(40)는 밸브 스템 모형(20)과 연결되어 밸브 스템 모형(20)을 회전시키는 구성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40)는 그 구동축(41)이 커플링(80)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90)에 결합이 되고, 이 회전축(90)은 밸브 스템 모형(20)과 결합이 됨으로써, 구동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밸브 스템 모형(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동관(50)은 밸브 스템 모형(20)의 나선부(21)에 내주면이 나선결합되어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슬라이딩하면서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으로 출입하게 된다. 특히,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이동관(50)이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에 회전되지 않게 결속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이동관(50)의 상단부에 일정 깊이로 이동안내홈(51)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1)에 삽입되어 이 동관(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돌기(31)가 형성되어 있어서, 밸브 스템 모형(20)이 회전하면 상기 이동관(50)이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으로 출입하게 된다.
상기 회전저항발생부(60)는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밸브 스템 모형(20)에 걸리는 토크값을 측정하기 위해 밸브 스템 모형(20)의 간섭돌기(23)가 간섭되면서 회전 저항이 발생하도록 밸브 스템 모형(20)의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회전저항발생부(60)는, 상기 베이스부재(10) 상에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밸브 스템 모형(20)의 외주면을 향하는 관통공(61a)이 형성된 몸통(61)과, 밸브 스템 모형(20)의 간섭돌기(23)가 간섭될 수 있도록 몸통(61)의 관통공(61a)에 삽입되면서 일부분이 관통공(61a)으로부터 돌출된 간섭구(62)와, 몸통(61)의 관통공(61a)에 설치되어 간섭구(62)를 간섭돌기(23) 쪽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63) 및, 몸통(61)의 관통공(61a)으로부터 제1탄성부재(63)가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공(61a)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스토퍼부재(6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64)는, 관통공(61a) 내에서 제1탄성부재(63)를 지지하는 지지구(64a)와, 이 지지구(64a)가 고정되며 몸통(6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판(64b)과, 이 고정판(64b)을 몸통(61)의 후단부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제1탄성부재(63)에 의한 간섭구(62)의 가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볼트(64c)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63)에 의해 간섭구(62)가 밸브 스템 모형(20)의 간섭돌기(23)가 구비된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간섭돌기(23)의 회전을 간섭하게 되며, 이때 밸브 스템 모형(20) 에 걸리는 회전에 따른 토크값을 밸브 스템 모형(20)에 부착된 고정형 센서(S1) 및 착탈형 센서(S2)가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간섭돌기(23)는 간섭구(62)에 간섭된 상태에서 일시 정지한 다음, 구동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간섭구(62)를 밀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간섭구(62)는 제1탄성부재(63)를 일순간 수축시킨 후 간섭돌기(23)의 간섭이 해제되면 제1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공(61a) 밖으로 다시 돌출된다. 간섭구(62)는 조절볼트(64c)에 의해 가압상태가 조절될 수 있는데, 조절볼트(64c)를 조금씩 풀어서 고정판(64b)을 몸통(61)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제1탄성부재(63)의 가압력이 그만큼 감소됨으로써 간섭구(62)가 쉽게 후진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볼트(64c)의 조이고 푸는 조작에 의해 간섭구(62)의 가압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상기 고정형 센서(S1) 및 착탈형 센서(S2)에 의해 측정되는 가압력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S1,S2)들의 성능을 더욱 정확하게 시험할 수가 있다. 한편, 몸통(61)의 관통공(61a)으로부터 제1탄성부재(6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상기 고정판(64b)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제1탄성부재(63)의 정확한 지지와 제1탄성부재(63)의 가압력 조절을 위해서는 고정판(64b)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속된 상태로 제1탄성부재(63)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구(64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력발생부(70)는 베이스부재(10) 상에서 이동관(50)의 말단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이동관(50)이 진입하면서 간섭되어 가압력(즉, 스러스트에 의한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도 6은 가압력발생부(70)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베이스부재(10) 상에 밸브 스템 모 형(2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체(71)와, 상기 이동관(50)이 출입할 수 있도록 고정체(71)들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간섭판(72)과, 이 간섭판(72)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간섭판(72)들을 고정체(71)에 결합하는 조임볼트(73), 그리고 고정체(71)와 간섭판(72)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간섭판(72)이 고정체(71)를 상대로 탄성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74)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력발생부(70)에 의한 가압력 측정시에는 상기 회전저항발생부(60)의 간섭구(62)를 제거한 상태에서 밸브 스템 모형(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에 감싸여진 이동관(50)이 가압력발생부(70)로 진입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력발생부(70)로 이동한 이동관(50)의 단부는 한 쌍의 간섭판(72)에 간섭되는데, 밸브 스템 모형(20)에 가압력이 더 발생하면 간섭판(72)을 밀어내면서 간섭판(72) 사이로 삽입이 되며, 이렇게 밀어내는 압력을 상기 고정형 센서(S1)와 착탈형 센서(S2)가 측정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이동관(50)이 간섭판(72) 사이로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이동관(50)이 진입하는 간섭판(72)의 단부와 이에 대향하는 이동관(50)의 단부는 서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명세서에는 이들 경사면을 각각 제1경사면(72a)과 제2경사면(52)으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험장치는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과 가압력을 이용하여 밸브 스템 모형(20)에 장착된 고정형 센서(S1) 및 착탈형 센서(S2)의 성능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들 센서(S1,S2)에는 측정된 데이터의 상호 비교와 이를 기준으로 센서(S1,S2)들의 성능을 평가하도록 별도로 다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 등의 시스템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험장치를 이용한 시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시험하고자 하는 고정형 센서(S1)와 착탈형 센서(S2)를 밸브 스템 모형(20)의 센서장착부(22)에 장착한 다음, 밸브 스템 모형(20)의 나선부(21)를 이동관(50)에 나선결합키시고, 밸브 스템 모형(20)의 센서장착부(22) 쪽 단부를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90)에 고정한다.
이어서, 회전저항발생부(60)의 조절볼트(64c)를 조작하여 제1탄성부재(63)에 의한 간섭구(62)의 가압상태를 조절하고, 가압력발생부(70)의 조임볼트(73)를 조작하여 간섭판(72)의 상호 간격을 이동관(50)의 폭 길이에 맞게 조절하여 놓는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40)를 작동시켜 밸브 스템 모형(20)을 회전시키면, 밸브 스템 모형(20)에 구비된 간섭돌기(23)가 회전하면서 회전저항발생부(60)의 간섭구(62)에 간섭되는데, 간섭돌기(23)가 간섭구(62)를 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간섭돌기(23)에는 일시적으로 회전에 따른 하중(즉, 압력)이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 압력은 상기 고정형 센서(S1)와 착탈형 센서(S2)들에 의해 측정되고, 측정된 값은 상기 시스템장치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S1,S2)들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시 걸리는 하 중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되며, 상기 센서(S1,S2)들의 성능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에 따른 압력의 측정 후에는 스러스트에 의한 인장력 즉 가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센서(S1,S2)들의 성능을 시험한다. 이 경우에는 회전저항발생부(60)의 간섭구(62)를 제거함으로써 밸브 스템 모형(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동관(50)이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30)으로부터 가압력발생부(7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관(50)은 가압력발생부(70) 측으로 이동하면서 간섭판(72)에 걸쳐지게 되는데, 이때 밸브 스템 모형(20)이 회전하면서 이동관(50)을 더욱 밀어냄에 따라 이동관(50)의 단부가 간섭판(72)을 벌리면서 간섭판(72)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고정형 센서(S1)와 착탈형 센서(S2)가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데이터는 전술한 회전력 측정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스템장치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시험장치는 밸브 스템 모형(20)의 회전력과 가압력을 발생시켜 밸브 스템 모형(20)에 장착된 고정형 센서(S1)와 착탈형 센서(S2)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게 되며, 시험에 의해 성능이 검증된 상기 센서(S1,S2)들을 실제 밸브 스템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밸브의 건전성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밸브 스템 모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은 구성하는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과 이동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회전저항발생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가압력발생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압력발생부를 상대로 이동관의 진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재 20 : 밸브 스템 모형
21 : 나선부 22 : 센서장착부
23 : 간섭돌기 30 :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
31 : 안내돌기 40 : 구동모터
41 : 구동축 50 : 이동관
51 : 이동안내홈 52 : 제2경사면
60 : 회전저항발생부 61 : 몸통
61a : 관통공 62 : 간섭구
63 : 제1탄성부재 64 : 스토퍼부재
64a : 지지구 64b : 고정판
64c : 조절볼트 70 : 가압력발생부
71 : 고정체 72 : 간섭판
72a : 제1경사면 73 : 조임볼트
74 : 제2탄성부재 80 : 커플링
90 : 회전축 S1 : 고정형 센서
S2 : 착탈형 센서

Claims (6)

  1. 나사선이 형성된 나선부와, 회전 및 가압의 작용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도록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진 센서장착부 및, 상기 나선부와 센서장착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간섭돌기가 구비된 밸브 스템 모형;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일부를 감싸게 되는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
    상기 밸브 스템 모형에 결합되어 밸브 스템 모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나선부에 내주면이 나선결합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으로 출입하는 이동관;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상기 간섭돌기가 간섭되면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회전저항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이동관의 말단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회전시 상기 이동관이 진입하면서 간섭되어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가압력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항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외주면을 향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통;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간섭돌기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의 관통공에 삽입되면서 일부분이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된 간섭구;
    상기 몸통의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구를 상기 간섭돌기 쪽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몸통의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1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의 후단부를 폐쇄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관통공 내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몸통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을 상기 몸통의 후단부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간섭구의 가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체;
    상기 이동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들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간섭판;
    상기 간섭판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간섭판들을 상기 고정체에 결합하는 조임볼트;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간섭판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간섭판이 고정체를 상대로 탄성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이 진입하는 상기 간섭판의 단부가 제1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1경사면과 대향하는 상기 이동관의 단부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의 상단부에 이동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 징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이동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 스템 모형이 회전하면 상기 이동관이 상기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밸브 스템 모형 하우징으로 출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KR20080005103U 2008-04-17 2008-04-17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KR200446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103U KR200446675Y1 (ko) 2008-04-17 2008-04-17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103U KR200446675Y1 (ko) 2008-04-17 2008-04-17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31U true KR20090010731U (ko) 2009-10-21
KR200446675Y1 KR200446675Y1 (ko) 2009-11-20

Family

ID=4153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5103U KR200446675Y1 (ko) 2008-04-17 2008-04-17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543A (zh) * 2017-04-26 2017-07-14 重庆科技学院 一种钢构件轴向受压演示机构自适应装置
CN110641852A (zh) * 2019-08-19 2020-01-03 煤炭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大流量试验液防喷溅及回收装置及方法
CN110665854A (zh) * 2019-09-30 2020-01-10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机油阀芯行程检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654B1 (ko) * 2015-02-03 2016-10-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동력구동밸브용 센서감도 교정장치 및 그 교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67A (ja) 1997-07-11 1999-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きのこ状弁の強度試験法
JP2000292331A (ja) 1999-02-01 2000-10-20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ス製エンジンバルブの強度試験方法及び強度試験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543A (zh) * 2017-04-26 2017-07-14 重庆科技学院 一种钢构件轴向受压演示机构自适应装置
CN106952543B (zh) * 2017-04-26 2023-12-22 重庆科技学院 一种钢构件轴向受压演示机构自适应装置
CN110641852A (zh) * 2019-08-19 2020-01-03 煤炭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大流量试验液防喷溅及回收装置及方法
CN110665854A (zh) * 2019-09-30 2020-01-10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机油阀芯行程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675Y1 (ko) 200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675Y1 (ko) 밸브 스템의 작용력 측정용 센서 성능 시험장치
KR101527315B1 (ko) 공기구동기의 스프링 성능 시험 장치
RU2016120204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силия уплотнения сальника клапана
US20090013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motor-operated valve
KR101207810B1 (ko) 인장 및 압축 하중 부가장치
TW200946891A (en) Vibration testing machine
JP2016535250A (ja) 摩擦材料の弾性特性を特徴とする装置及び方法
KR20090095908A (ko) Mov 구동기 성능시험장치
CN106092874A (zh) 一种测量装置
US20140033505A1 (en) Electric drive for a processing tool such as a blind rivet setting appliance, processing tool and method for the closed-loop controlled setting of a rivet with such an electric drive
KR101015038B1 (ko) 액추에이터용 시험장치
JP3668252B2 (ja) オルタネータのステータウェッジの締まり具合を量的に測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548590B1 (ko) 발전소 이에이치컨버터의 테스트 블록 및 방법
AT8792U2 (de) Vorrichtung zum kalibrieren des kraftaufnehmers bei prüfständen
RU2555275C2 (ru) Система измерения удлинения шпилек при одновременной затяжке гайковертом по значению момента
JP3719240B2 (ja) ボルトの軸力測定装置
CN106525188B (zh) 流量计测试工装
KR20010085048A (ko) 현장에 설치된 안전밸브의 직접 시험방법 및 장치
JP2009276211A (ja) 継手装置および試験装置
CN210051473U (zh) 具有防干扰功能的扭矩测试装置
JP2009080026A (ja) 締付けトルク測定装置
CN107607310B (zh) 一种闸阀关闭件强度试验方法
KR100861895B1 (ko) 축류형 팬 블레이드의 유압 구동방식용 피치 컨트롤러동특성 시험장치
CN206208648U (zh) 一种齿轮齿顶硬度测量的辅助装置
KR20160095551A (ko) 동력구동밸브용 센서감도 교정장치 및 그 교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