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483U - 발광 고형 도포구 - Google Patents

발광 고형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483U
KR20090010483U KR2020080004764U KR20080004764U KR20090010483U KR 20090010483 U KR20090010483 U KR 20090010483U KR 2020080004764 U KR2020080004764 U KR 2020080004764U KR 20080004764 U KR20080004764 U KR 20080004764U KR 20090010483 U KR20090010483 U KR 200900104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crew
outer cylinder
light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674Y1 (ko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동아교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교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교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4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74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전등을 켜지 않고 글씨쓰기, 그리기 등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외통과,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회전캡과, 회전캡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의 제1돌기가 형성되는 안내스크류와, 외통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안내스크류의 제1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의 제2돌기가 형성되는 이동스크류와, 빛이 조사됨에 따라 빛이 투과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고형체로 형성되고 이동스크류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심재와, 심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 고형 도포구를 제공한다.
발광, 펜, 고형, 형광, 축광, 색연필, 크레파스, 나선형

Description

발광 고형 도포구 {Luminescence Soldified Coating Instrument}
본 고안은 발광 고형 도포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심재로부터 빛이 조사되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전등을 켜지 않고 간편하게 글씨쓰기, 그리기 등을 행할 수 있고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도 가능하여 이벤트용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발광 고형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펜, 싸인펜 등의 필기구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글씨, 그림 등이 부정확하게 표현되므로 주로 전등을 켜고 사용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필기구는 야간에 사용을 위해 전등을 켜게 되면 주위 사람의 수면을 방해하거나 전력낭비를 초래하는 등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발광볼펜 등과 같이 조명장치가 구비된 필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됨으로서 야간에 전등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도 글씨, 그림 등을 양호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조명장치가 구비된 필기구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부분에 근접하도록 조명장치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 조명장치를 설치한 효과가 크지 않게 때 문에 펜선 등과 같이 필기구의 선단부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펜선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펜선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펜선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펜선부분이 굵게 형성되므로 손으로 잡기에도 불편하고, 보관 등에 있어서도 불편하다.
한편, 심재가 고형체로 이루어지는 색연필, 크레파스 등은 그리기, 색칠하기 등을 행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장치가 구비된 제품이 없으므로, 야간이나 어둔 장소에서 사용시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광안료가 사용된 고형체의 투명 심재에 조명장치에 의한 빛이 투과되면서 심재에서 빛이 조사됨에 따라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전등을 켜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며 손전등, 응원용 전등, 식별용 전등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고형 도포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발광 고형 도포구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회전캡과,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의 제1돌기가 형성되는 안내스크류와, 상기 외통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 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스크류의 제1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의 제2돌기가 형성되는 이동스크류와, 빛을 투과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고형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스크류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심재와, 상기 심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은 대략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이상의 이동안내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스크류의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 심재의 한쪽 끝부분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는 상기 외통의 이동안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조립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명장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심재는 용제와 발광안료를 혼합한 잉크조성물을 고형형성물질인 고형화제를 이용하여 고형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광안료는 형광안료, 축광안료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무기안료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에 의하면, 심재를 통하여 빛이 조사되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전등을 켜지 않고 정확하고 편리하게 글씨쓰기, 그리기, 색칠하기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통의 내부에서 심재를 투과하며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특별한 외형적 변화가 없이 제조가 가능하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나아가 펜선부분의 굵기를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관 등이 용이하다.
또한, 심재의 일부를 외통으로부터 노출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손전등, 응원용 전등, 식별용 전등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캡(20)과, 상기 회전캡(20)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스크류(30)와, 상기 안내스크류(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외통(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스크류(40)와, 상기 이동스크류(40)와 함께 왕복이동하는 심재(50)와, 상기 심재(50)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10)은 대략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외통(10)의 선단부 끝부분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펜선 이 분리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캡(20)은 대략 한쪽 끝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외통(10)의 후단부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안내스크류(30)는 대략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제1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스크류(30)는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회전캡(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동스크류(40)는 대략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스크류(30)의 내부에 조립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스크류(30)의 제1돌기(32)에 대응하는 나선형의 제2돌기(42)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스크류(40)에는 상기 심재(50)의 한쪽 끝부분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부(4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외통(10)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이상의 이동안내부(13)가 원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되고, 이동스크류(40)의 지지부(46) 외면에는 상기 이동안내부(12)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이상의 이동조립부(43)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재(50)는 형광펜이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색연필이나 크레파스,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형 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형 접착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지우개 등과 같이 다양한 고형체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에서 심재(50)는 빛이 조사되면 빛이 투과되면서 방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심재(50)는 용제와 발광안료를 혼합한 잉크조성물을 고형형성물질인 고형화제를 이용하여 고형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안료는 형광안료, 축광안료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무기안료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심재(50)는 형광안료나 축광안료가 함유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형 풀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재(50)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이동스크류(40)의 지지부(46)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외통(10)의 다른쪽 끝부분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글씨쓰기, 그리기 등이 가능해진다.
상기 심재(5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광펜, 투명한 고형 풀이나 고형 접착제, 투명한 지우개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명장치(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소자(61)와, 상기 발광소자(6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66)과, 상기 전원(66)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61)에 인가하는 스위치(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소자(61)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스크류(40)의 지지부(46)(심재(50)의 한쪽 끝부분)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원(66)은 건전지, 축전지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전원(66)은 상기 회전캡(20)의 내부 또는 안내스크류(30)의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위치(64)는 누름버튼(65)을 누름에 따라 온/오프(ON/OFF)가 행해지는 푸시버튼스위치(push button switch)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스위치(64)는 상기 회전캡(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캡(20)의 다른쪽 끝면으로 상기 누름버튼(65)이 노출되고 상기 전원(61)의 음극 또는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조명장치(60)는 상기 전원(66)이 건전지, 축전지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건전지, 축전지 등을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케이스(6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지지케이스(67)는 상기 건전지, 축전지 등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스크류(40)의 내부에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원(61)으로부터 발광소자(61)에 인가시키기 위한 한쌍의 전선(62)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한쌍의 전선(62) 중 하나의 전선(62)은 상기 전원(61)의 스위치(64)와 연결되지 않은 전극(음극 또는 양극)과 상기 발광소자(6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전선(62)은 상기 스위치(64)와 발광소자(6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일실시예에 있 어서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통(10)의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마개(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개(16)는 일반적으로 보드펜이나 마카펜, 싸인펜 등에 널리 사용되는 마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외통(10)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상기 마개(16)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심재(50)이 외통(10)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회전캡(20)을 시계방향(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캡(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스크류(30)가 회전캡(2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동스크류(40)가 상기 외통(10)의 한쪽 끝부분을 향하여 전전 이동하고, 회전캡(20)을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심재(50)의 다른쪽 끝부분(이동스크류(40) 반대쪽 끝부분)이 상기 외통(10)의 바깥쪽으로 노출된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심재(50)를 노출시킨 후 상기 조명장치(60)의 스위치(64)가 온(ON)으로 되도록 누름버튼(65)을 누르면, 전기에너지가 전원으로부터 발광소자(61)에 인가되어 발광소자(61)가 빛을 방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심재(50)에 빛이 조사되고, 상기 심재(50)를 따라 끝부분까지 투과된 빛이 상기 심재(50)의 끝면으로부터 주사되어 도포면을 비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심재(50)가 발광하는 상태에서 글씨쓰기, 그리기 등을 마치고 사용을 완료하면,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작동을 행하여 원상복귀시킨다(도 2 참조).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고형 도포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Claims (5)

  1. 외통과,
    상기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회전캡과,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의 제1돌기가 형성되는 안내스크류와,
    상기 외통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스크류의 제1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의 제2돌기가 형성되는 이동스크류와,
    빛을 투과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고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스크류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심재와,
    상기 심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발광 고형 도포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이동스크류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이동스크류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상기 전원이 설치된 이동스크류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발광소자의 점등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광 고형 도포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용제에 형광안료 또는 축광안료를 혼합한 잉크조성물을 고형형성물질인 고형화제를 이용하여 고형화하여 이루어지는 발광 고형 도포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발광 고형 도포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이상의 이동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스크류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스크류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돌기가 형성되고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 심재의 한쪽 끝부분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스크류의 지지부 외면에는 상기 외통의 이동안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조립부가 형성되는 발광 고형 도포구.
KR2020080004764U 2008-04-11 2008-04-11 발광 고형 도포구 KR200465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64U KR200465674Y1 (ko) 2008-04-11 2008-04-11 발광 고형 도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64U KR200465674Y1 (ko) 2008-04-11 2008-04-11 발광 고형 도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83U true KR20090010483U (ko) 2009-10-15
KR200465674Y1 KR200465674Y1 (ko) 2013-03-05

Family

ID=4155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764U KR200465674Y1 (ko) 2008-04-11 2008-04-11 발광 고형 도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69Y1 (ko) * 2010-01-28 2014-03-06 동아교재 주식회사 인출식 고형 마커
CN104773008A (zh) * 2015-03-12 2015-07-15 余建强 一种环保中性笔笔杆及笔帽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69Y1 (ko) * 1996-10-23 1999-09-01 김동환 발광터치펜
KR100353748B1 (ko) * 1999-10-13 2002-09-26 (주)윈조이 발광 필기구
KR200222616Y1 (ko) 2000-08-30 2001-05-15 이병호 필기구
KR200218225Y1 (ko) 2000-09-28 2001-03-15 이병호 필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69Y1 (ko) * 2010-01-28 2014-03-06 동아교재 주식회사 인출식 고형 마커
CN104773008A (zh) * 2015-03-12 2015-07-15 余建强 一种环保中性笔笔杆及笔帽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674Y1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3996A (en) Pen with led indicator
US7926968B2 (en) Dual mode luminous ball pen
JP2005118207A (ja) 紫外線照射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ユニット
KR200465674Y1 (ko) 발광 고형 도포구
US7547109B2 (en) Photo-chromic material application apparatus
CN200984897Y (zh) 带led灯的多功能笔
US6719473B1 (en) Light emitting pen for illumination at night and for writting
GB2212449A (en) Writing instrument with illumination
CN2721410Y (zh) 具照明及激光指标功能的书写装置
CN103722949A (zh) 配有led灯的笔
CN201249598Y (zh) 带照明的圆珠笔
JP2006297647A (ja) 発光式ペン
US20040136180A1 (en) Ultraviolet illuminated fluorescent writing instrument
CN208896700U (zh) 转动透光圆珠笔及其灯组件
US7022973B2 (en) Advertising light emitting pen having a movable light emitting device
CN202541083U (zh) 发光圆珠笔
JP2002067580A (ja) 照明付き筆記具及び筆記具用照明具
CN210792582U (zh) 一种多功能画笔
CN201471943U (zh) 新型照明笔
JP3080930U (ja) スケルトンボールペン
CN201231620Y (zh) 电筒笔
CN2295605Y (zh) 电光书写笔
KR200352021Y1 (ko) 전계 발광 소자를 이용한 볼펜대와 이를 응용한 필기구
CN2292027Y (zh) 夜光笔
JP3087378U (ja) ノック・スイッチ式光りファイバーペン及びledリチウム電池一体型単独加圧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