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480U - 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480U
KR20090010480U KR2020090012580U KR20090012580U KR20090010480U KR 20090010480 U KR20090010480 U KR 20090010480U KR 2020090012580 U KR2020090012580 U KR 2020090012580U KR 20090012580 U KR20090012580 U KR 20090012580U KR 20090010480 U KR20090010480 U KR 200900104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pport
frame body
emitting diode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안 첸
Original Assignee
라이트하우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하우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라이트하우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090012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480U/ko
Publication of KR20090010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8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는 지지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측면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되며, 발광소자는 하나의 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발광소자가 방출하는 광선은 서로 다른 반사측벽을 경유하여 서로 다른 진행 방향으로 나가도록 형성되며, 대부분의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에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켜 준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손실을 감소시켜주고 휘도를 제고시켜주는 발광다이오드이다.
도1은 종래의 SMD 발광다이오드 구조 개략도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는 하나의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케이스(11)에는 제1, 2 측면(111, 112)을 주위에 구비한 오목부 프레임공간(113)이 설치되며, 발광소자(12)는 상기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하부에 설치되고, 양쪽으로 분리된 지지대(13, 14)가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12)는 하나의 지지대(13)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소자(12)는 리드선(15)을 통해 양쪽의 지지대(13, 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마지막으로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중에 밀봉수지(16)가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1) 구조가 완성된다.
상기 발광소자(12)가 방출하는 광선이 밀봉수지(16)와 공기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광선은 공기에서 반사되어 밀봉수지(16)로 되돌아가 공기 중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제1, 2 측면(111, 112) 상으로 반사되며, 또한 경우에 따라 광선은 전반사(全反射)가 되어 제1, 2 측면(111, 112)으로 투사되기도 한다. 상기 제1, 2 측면(111, 112)의 경사각도는 크며,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하부와 이루는 각이 크게 형성되어서, 이때 제1, 2 측면(111, 112)에서 광선이 투사되어 광선을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하부로 용이하게 반사시킴으로써, 오목부 프레임공간(113)으로부터 유효하게 벗어나게 할 방법이 없으며, 따라서 광선의 손실이 나타나고 광선의 효율적 사용이 저하되어, 발광다이오드의 휘도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종류의 발광다이오드 구조는, 제1, 2 측면의 경사각도가 작고, 오목부 프레임공간 하부와 이루는 각이 작게 형성되어 어느 정도의 경사 상태가 만들어져서, 제1, 2 측면은 밀봉수지에서 반사되는 광선을 오목부 프레임공간 윗 방향 쪽으로 투사시키지만, 경사가 있는 제1, 2 측면이 오목부 프레임공간에 설치될 때, 오목부 프레임공간 하부 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오목부 프레임공간 개구부 면적은 크게 형성되어, 발광소자와 리드선의 위치가 어렵게 배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의 손실을 감소시켜주고 휘도를 제고시켜주는 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는 지지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측면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되며, 발광소자는 하나의 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발광소자가 방출하는 광선은 서로 다른 반사측벽을 경유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며, 대부분의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에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켜 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광원의 손실을 감소시켜주고 휘도를 제고시켜주는 발광다이오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조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 반사측벽의 구조 확대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다른 구조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각 반사측벽의 다른 구조 확대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다른 구조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2 측면 및 각 반사측벽의 구조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2 측면 및 각 반사측벽의 다른 구조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다이오드 2 : 발광다이오드
11 : 케이스 12 : 발광소자
13, 14 : 지지대 15 : 리드선
16 : 밀봉수지 21 : 케이스
23 : 발광소자 24 : 리드선
25 : 밀봉수지 26 : 천공
31 : 제1 반사측벽 32 : 제2 반사측벽
33 : 제3 반사측벽 111 : 제1 측면
112 : 제2 측면 113 : 오목부 프레임공간
211 : 오목부 프레임체 221, 222 : 지지대
2111 : 제1 측면 2112 : 제2 측면
(실시예)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21)를 포함하고, 케이스(21)에는 지지대(221, 222)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211)가 형성되며, 오목부 프레임체(211)는 지지대(221, 2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 측면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에는 양쪽으로 대응되는 제1, 2 측면(2111, 2112)이 구비되고, 제1측면(2111)의 길이는 제2측면(2112)보다 작으며, 상기 제1측면(2111)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측면(2111)에는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는 하부에서 위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점점 증가하는 반사측벽이 설치되고, 따라서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과 수평면의 경사각도는 각각 A1, A2, A3가 되며, A1<A2<A3이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은 제2측면(211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2개의 지지대(221, 222) 중의 하나의 지지대(221) 상에는 발광소자(23)가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3)는, 하나의 지지대(221) 상에 설치되고, 리드선(24)을 통해 각 지지대(221, 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밀봉수지(25)는 오목부 프레임체(211) 중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소자(23)가 방출하는 광선이 밀봉수지(25)와 공기가 서로 접하는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광선은 공기로부터 반사되어 밀봉수지(25)로 되돌아가 공기 중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에까지 반사되거나, 일부 광선은 전반사 되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 상으로 투사되지만, 제1, 2 반사측벽(31, 32)의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투사되는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211) 윗 방향으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킨다. 그 중에서,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은 도 3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측면(2111) 상에 설치되거나, 도 8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측면(2112) 상에 설치된다. 또한, 도 9의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2 측면(2111, 2112) 상 모두에 설치되어, 동일한 양상으로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켜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2 측면(2111, 2112)에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이 설치되어 서로 대응하는 경사각도가 형성되고, 또한 제1 측면 제1 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과 제2 측면 제1 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측면(2111, 2112)의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은 서로 다른 경사각도가 되고, 제1측면 제1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과 제2 측면 제1 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과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 측면에는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는 하부에서 위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점점 작아지는 반사측벽이 설치되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과 수평면의 경사각도는 각각 A1, A2, A3로, A1>A2>A3이다(도 6).
발광소자(23)가 방출하는 광선이 밀봉수지(25)와 공기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광선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에까지 반사되거나, 전반사가 형성되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 상으로 투사되고, 제2, 3 반사측벽(32, 33)의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투사되는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211) 윗 방향으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대(221, 222)는 천공(26)이 된 상태로 케이스(21)에 노출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26)의 설치는 지지대(221, 222)의 굴절 응력을 감소시켜 준다.
본 고안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서로 다른 각도의 반사측벽을 이용하여, 밀봉수지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이 상기 반사측벽에 투사될 때, 광선의 진행방향이 제어되고, 광선을 오목부 프레임체 윗 방향으로 출사시켜, 광선이 오목부 프레임체 하부를 향하여 투사되는 것을 감소시켜 광선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휘도를 제고시켜준다.
2. 서로 다른 각도의 반사측벽의 설치는, 오목부 프레임체 하부 공간에 바람직한 발광소자 및 리드선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발광다이오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법에 의거하여 실용신안을 신청한다. 이상의 실시예 설명 및 도식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조와 장치 및 특징과 유사하거나 대안적인 것들은 본 고안의 목적 및 청구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5)

  1. 지지대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측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발광소자를 위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중에 설치되는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2. 지지대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제2 측면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측면에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발광소자를 위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중에 설치되는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3. 지지대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제2 측면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에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발광소자를 위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중에 설치되는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반사측벽은 상호 대응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는 하부에서 위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점점 증가하거나 또는 점점 감소하는 반사측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KR2020090012580U 2007-02-02 2009-09-24 발광다이오드 KR200900104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80U KR20090010480U (ko) 2007-02-02 2009-09-24 발광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202031 2007-02-02
KR2020090012580U KR20090010480U (ko) 2007-02-02 2009-09-24 발광다이오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775U Division KR200461195Y1 (ko) 2007-02-02 2007-06-14 발광다이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80U true KR20090010480U (ko) 2009-10-14

Family

ID=4155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80U KR20090010480U (ko) 2007-02-02 2009-09-24 발광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4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079B1 (ko) 차량용 등기구
JP5210061B2 (ja) 灯具
CN208397971U (zh) 车辆用灯具
CN106764783B (zh) 一种车辆用前照灯
TWI534391B (zh) 光源導引結構及發光裝置
JP3134119U (ja) 発光ダイオード
WO2012060313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4124239A (zh) 发光二极管模组
JP5588808B2 (ja) 発光装置、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4143074B2 (ja) 発光ダイオード
KR200461195Y1 (ko) 발광다이오드
US8956015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US7347601B2 (en) Vehicle lamp unit
WO2017002723A1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90010480U (ko) 발광다이오드
KR200459947Y1 (ko) 발광다이오드
JP3112851U (ja) 発光ダイオードのランプカバー
KR20110084830A (ko) 발광 장치 패키지 프레임
US20200292150A1 (en) Reflector for an led lamp
CN108431490A (zh) 具有准确光学元件定位的照明布置
JP2000261038A (ja) 発光ダイオード
JP4801906B2 (ja) Led電球におけるledの配置構造
JP3121109U (ja) Ledランプのコリメートレンズ
JP2014137896A (ja) 車両用灯具
JP2012009274A (ja) Tバー取付用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