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95Y1 - 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195Y1
KR200461195Y1 KR2020070009775U KR20070009775U KR200461195Y1 KR 200461195 Y1 KR200461195 Y1 KR 200461195Y1 KR 2020070009775 U KR2020070009775 U KR 2020070009775U KR 20070009775 U KR20070009775 U KR 20070009775U KR 200461195 Y1 KR200461195 Y1 KR 200461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ide walls
reflective
support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155U (ko
Inventor
웨이-안 첸
Original Assignee
렉스타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타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렉스타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70009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9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95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는 지지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측면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되며, 발광소자는 하나의 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발광소자가 방출하는 광선은 서로 다른 반사측벽을 경유하여 서로 다른 진행 방향으로 나가도록 형성되며, 대부분의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에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켜 준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도 1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조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 반사측벽의 구조 확대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다른 구조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각 반사측벽의 다른 구조 확대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다른 구조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구조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2 측면 및 각 반사측벽의 구조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2 측면 및 각 반사측벽의 다른 구조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다이오드 2 : 발광다이오드
11 : 케이스 12 : 발광소자
13, 14 : 지지대 15 : 리드선
16 : 밀봉수지 21 : 케이스
23 : 발광소자 24 : 리드선
25 : 밀봉수지 26 : 천공
31 : 제1 반사측벽 32 : 제2 반사측벽
33 : 제3 반사측벽 111 : 제1 측면
112 : 제2 측면 113 : 오목부 프레임공간
211 : 오목부 프레임체 221, 222 : 지지대
2111 : 제1 측면 2112 : 제2 측면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손실을 감소시켜주고 휘도를 제고시켜주는 발광다이오드이다.
도1은 종래의 SMD 발광다이오드 구조 개략도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는 하나의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케이스(11)에는 제1, 2 측면(111, 112)을 주위에 구비한 오목부 프레임공간(113)이 설치되며, 발광소자(12)는 상기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하부에 설치되고, 양쪽으로 분리된 지지대(13, 14)가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12)는 하나의 지지대(13)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소자(12)는 리드선(15)을 통해 양쪽의 지지대(13, 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마지막으로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중에 밀봉수지(16)가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1) 구조가 완성된다.
상기 발광소자(12)가 방출하는 광선이 밀봉수지(16)와 공기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광선은 공기에서 반사되어 밀봉수지(16)로 되돌아가 공기 중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제1, 2 측면(111, 112) 상으로 반사되며, 또한 경우에 따라 광선은 전반사(全反射)가 되어 제1, 2 측면(111, 112)으로 투사되기도 한다. 상기 제1, 2 측면(111, 112)의 경사각도는 크며,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하부와 이루는 각이 크게 형성되어서, 이때 제1, 2 측면(111, 112)에서 광선이 투사되어 광선을 오목부 프레임공간(113) 하부로 용이하게 반사시킴으로써, 오목부 프레임공간(113)으로부터 유효하게 벗어나게 할 방법이 없으며, 따라서 광선의 손실이 나타나고 광선의 효율적 사용이 저하되어, 발광다이오드의 휘도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종류의 발광다이오드 구조는, 제1, 2 측면의 경사각도가 작고, 오목부 프레임공간 하부와 이루는 각이 작게 형성되어 어느 정도의 경사 상태가 만들어져서, 제1, 2 측면은 밀봉수지에서 반사되는 광선을 오목부 프레임공간 윗 방향 쪽으로 투사시키지만, 경사가 있는 제1, 2 측면이 오목부 프레임공간에 설치될 때, 오목부 프레임공간 하부 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오목부 프레임공간 개구부 면적은 크게 형성되어, 발광소자와 리드선의 위치가 어렵게 배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의 손실을 감소시켜주고 휘도를 제고시켜주는 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는 지지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가 형성되며, 오목부 프레임체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측면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되며, 발광소자는 하나의 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발광소자가 방출하는 광선은 서로 다른 반사측벽을 경유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며, 대부분의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에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켜 준다.
(실시예)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21)를 포함하고, 케이스(21)에는 지지대(221, 222)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211)가 형성되며, 오목부 프레임체(211)는 지지대(221, 2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 측면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에는 양쪽으로 대응되는 제1, 2 측면(2111, 2112)이 구비되고, 제1측면(2111)의 길이는 제2측면(2112)보다 작으며, 상기 제1측면(2111)에는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이 설치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측면(2111)에는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는 하부에서 위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점점 증가하는 반사측벽이 설치되고, 따라서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과 수평면의 경사각도는 각각 A1, A2, A3가 되며, A1<A2<A3이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은 제2측면(211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2개의 지지대(221, 222) 중의 하나의 지지대(221) 상에는 발광소자(23)가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3)는, 하나의 지지대(221) 상에 설치되고, 리드선(24)을 통해 각 지지대(221, 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밀봉수지(25)는 오목부 프레임체(211) 중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소자(23)가 방출하는 광선이 밀봉수지(25)와 공기가 서로 접하는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광선은 공기로부터 반사되어 밀봉수지(25)로 되돌아가 공기 중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에까지 반사되거나, 일부 광선은 전반사 되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 상으로 투사되지만, 제1, 2 반사측벽(31, 32)의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투사되는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211) 윗 방향으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킨다. 그 중에서,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은 도 3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측면(2111) 상에 설치되거나, 도 8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측면(2112) 상에 설치된다. 또한, 도 9의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2 측면(2111, 2112) 상 모두에 설치되어, 동일한 양상으로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켜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2 측면(2111, 2112)에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이 설치되어 서로 대응하는 경사각도가 형성되고, 또한 제1 측면 제1 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과 제2 측면 제1 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측면(2111, 2112)의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은 서로 다른 경사각도가 되고, 제1측면 제1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과 제2 측면 제1 반사측벽(31)의 경사각도 a1과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 측면에는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211)는 하부에서 위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점점 작아지는 반사측벽이 설치되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과 수평면의 경사각도는 각각 A1, A2, A3로, A1>A2>A3이다(도 6).
발광소자(23)가 방출하는 광선이 밀봉수지(25)와 공기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광선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에까지 반사되거나, 전반사가 형성되어 제1, 2, 3 반사측벽(31, 32, 33) 상으로 투사되고, 제2, 3 반사측벽(32, 33)의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투사되는 광선은 오목부 프레임체(211) 윗 방향으로 출사되어, 나아가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제고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대(221, 222)는 천공(26)이 된 상태로 케이스(21)에 노출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26)의 설치는 지지대(221, 222)의 굴절 응력을 감소시켜 준다.
본 고안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서로 다른 각도의 반사측벽을 이용하여, 밀봉수지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이 상기 반사측벽에 투사될 때, 광선의 진행방향이 제어되고, 광선을 오목부 프레임체 윗 방향으로 출사시켜, 광선이 오목부 프레임체 하부를 향하여 투사되는 것을 감소시켜 광선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휘도를 제고시켜준다.
2. 서로 다른 각도의 반사측벽의 설치는, 오목부 프레임체 하부 공간에 바람직한 발광소자 및 리드선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발광다이오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법에 의거하여 실용신안을 신청한다. 이상의 실시예 설명 및 도식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조와 장치 및 특징과 유사하거나 대안적인 것들은 본 고안의 목적 및 청구 범위 내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광원의 손실을 감소시켜주고 휘도를 제고시켜주는 발광다이오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노출 시키는 오목 구멍 형태의 오목부 프레임체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면들,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면들 및 4개의 연결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보다 작으며,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에는 서로 경사 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들이 제공되는 케이스;
    발광소자를 위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 중에 설치되는 밀봉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는 상기 밀봉수지로 완전히 채워지고, 상기 다수의 반사측벽들 모두는 상기 밀봉수지와 주변 공기의 계면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반사측벽들의 경사 각도는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의 하부에서 위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며,
    상기 각 연결 측면은 서로 경사 각도가 다른 다수의 반사측벽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 측면의 반사측벽들은 상기 제1 측면의 반사측벽들을 상기 제2 측면의 반사측벽들과 연결시키며,
    상기 각 연결 측면의 반사측벽들은,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의 저면 방향으로 아래로 향하는 꼭지점을 갖는 삼각형 측벽; 및
    상기 삼각형 측벽과 연결되는 제1 모서리 및 상기 제1 모서리 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모서리와 대향하는 제2 모서리를 갖는 제1 사변형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프레임체의 제1 및 제2 측면들에 설치된 다수의 반사측벽들은 상호 대응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 측면의 반사측벽들은 제2 사변형 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변형 측벽은 제1 모서리 및 제2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2 사변형 측벽의 제1 모서리는 상기 제1 사변형 측벽의 제2 모서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사변형 측벽의 제2 모서리는 상기 제2 사변형 측벽의 제1 모서리 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모서리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 측면의 반사측벽들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의 반사측벽들 중 어느 것과도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5. 삭제
KR2020070009775U 2007-02-02 2007-06-14 발광다이오드 KR200461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775U KR200461195Y1 (ko) 2007-02-02 2007-06-14 발광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202031 2007-02-02
KR2020070009775U KR200461195Y1 (ko) 2007-02-02 2007-06-14 발광다이오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80U Division KR20090010480U (ko) 2007-02-02 2009-09-24 발광다이오드
KR2020110001789U Division KR200459947Y1 (ko) 2007-02-02 2011-03-03 발광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55U KR20080003155U (ko) 2008-08-06
KR200461195Y1 true KR200461195Y1 (ko) 2012-06-28

Family

ID=4132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775U KR200461195Y1 (ko) 2007-02-02 2007-06-14 발광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715B1 (ko) * 2010-01-18 2013-03-25 에스디아이 코퍼레이션 발광 장치 패키지 프레임
KR101667791B1 (ko) * 2010-07-14 2016-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86359B1 (ko) * 2013-08-23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모듈
KR102332218B1 (ko) * 2015-03-18 2021-11-29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503A (ja) 2003-04-21 2004-11-18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4327870A (ja) 2003-04-25 2004-11-18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JP2006134948A (ja) 2004-11-02 2006-05-25 Omron Corp 発光光源
KR20060116964A (ko) * 2005-05-12 2006-11-16 (주) 아모센스 전자부품 패키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503A (ja) 2003-04-21 2004-11-18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4327870A (ja) 2003-04-25 2004-11-18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JP2006134948A (ja) 2004-11-02 2006-05-25 Omron Corp 発光光源
KR20060116964A (ko) * 2005-05-12 2006-11-16 (주) 아모센스 전자부품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55U (ko)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969B1 (ko) 배광 방법, 배광컵 및 이를 사용하는 가로등
US8017966B2 (en) Light-emitting module of vehicular lamp
US7943946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7866863B2 (en) Vehicle lamp
CN208397971U (zh) 车辆用灯具
KR200461195Y1 (ko) 발광다이오드
JP3134119U (ja) 発光ダイオード
KR20100007801A (ko) 램프
KR100757826B1 (ko)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JP2003037294A (ja) 発光ダイオード
CN106764783B (zh) 一种车辆用前照灯
JP3767420B2 (ja) 発光素子
US11359792B2 (en) Lighting device
JP4143074B2 (ja) 発光ダイオード
JP4400786B2 (ja) 発光ダイオード
CN102402002A (zh) 透镜及透镜的制造方法
JP2007142290A (ja) 発光装置
KR200459947Y1 (ko) 발광다이오드
KR101245715B1 (ko) 발광 장치 패키지 프레임
JP3621175B2 (ja) 面発光照明装置
KR20180034929A (ko) 광학 렌즈,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090010480U (ko) 발광다이오드
JP3143539U (ja) 発光ダイオード素子
JP2005197423A (ja) Led光源
JP2000261038A (ja) 発光ダイオ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S602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utility model]: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885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4

Effective date: 2010060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88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4

Effective date: 201006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0856;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