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735A - 방사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735A
KR20090009735A KR1020080069901A KR20080069901A KR20090009735A KR 20090009735 A KR20090009735 A KR 20090009735A KR 1020080069901 A KR1020080069901 A KR 1020080069901A KR 20080069901 A KR20080069901 A KR 20080069901A KR 20090009735 A KR20090009735 A KR 2009000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breast
unit
support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133B1 (ko
Inventor
오사무 쯔지이
신스께 하야시다
가즈히로 마쯔모또
가쯔시 가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6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3D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27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data acquisition trajectory, e.g. helical or spi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Las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의 유방의 방사선 촬영을 행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기 피검체가 놓여지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앙와 위치로 놓여진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서로 대향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개재하는 방사선 조사부와 방사선 검출부를 구비하는 방사선 촬영부와, 상기 피검체의 유방의 촬영에 적절한 위치로 상기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 유방, 테이블, 수용부, 방사선 조사부, 방사선 검출부, 이동부, 흉곽, 투과 데이터, 단층상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장치 {RADIATION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검체 유방의 방사선 화상을 촬영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선 및/또는 유방의 X선 투시 상을 촬영하는 X선 유방 촬영 장치의 다양한 변경예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6825호에는 진단 데이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하여 볼륨 데이터를 계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5729호에는 피검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않으면서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여 볼륨 데이터를 계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유방암의 발생 빈도는 겨드랑이에 부근에서 높다는 점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X선 유방 촬영에서의 촬영 방향으로 중외측 경사(MLO :medio-latera loblique) 방향이 채용되는 이유이다. 피검체 전신의 단층상을 촬영 가능한 전신 CT 스캐너를 이용함으로써 겨드랑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전신 CT 스캐너는 진단과 관련없는 부위가 피폭되고, 재구성 영역이 커져 분해능이 부족하다 는 결점을 갖는다. 즉, 가슴 CT 스캐너는 겨드랑이 부근에서 적절하게 스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 상기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미리 촬영된 CT 화상을 참조하면서 유방의 암부위의 적출 수술을 행하는 때, 피검체의 CT 화상은 수술 시의 자세[즉, 앙와 위치(supine position)]과 유사한 자세에서 촬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신 CT 스캐너를 제외하고는 앙와 위치에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X선 촬영 기술이 없었다.
본 발명은 겨드랑이에 인접한 부분을 적절히 스캔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태양에서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에서 열거한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양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수 있다.
명세서의 일부와 관련되고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하는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 특징 및 태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피검체에 따라 상이한 곡면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유방은 유연하게 취급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검사될 수 있고, 양팔이 중력 방향으로 놓여지는 양와 위치로 피검체가 테이블에 놓여지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유방 부근의 흉곽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쉽게 노출되어 유방 검사에 필요한 겨드랑이 부분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특징 및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피검체(1)는 테이블(2) 상에 앙와 위치로 놓여진다. 테이블(2)을 지지하는 테이블 지지부(3)는 활주 기구(도시 생략)를 갖는다. 테이블(2)을 활주시킴으로써, 피검체(1)는 겐트리(gantry, 4)에 형성된 관통 구멍부에 삽입된다. 겐트리(4)에는 원호 형상을 갖는 지지 프레임(5)이 배치된다.
도1에서, 지지 프레임(5)은 360°커버한다. 그러나, 지지 프레임(5)은 앙와 위치로 테이블(2) 상에 놓여진 피검체(1)의 어깨 넓이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예로써, 지지 프레임(5)은 상부 원형부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 프레임(5)에는 피검체(1)을 향하는 스캔 프레임(6)이 설치된다. 스캔 프레임(6)에서, 피검체(1)의 검사 대상(9)인 유방을 수용하는 공간부 또는 공동이 전단부에 형성된다.
스캔 프레임(6)에는 공간부(도2 참조)가 사이에 놓이는 서로 대향 배치된 2차원 X선 검출부(8)와 X선 발생부(7)가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X선 발생부(7)로부터 X선이 조사되는 동안 X선 발생부(7) 및 2차원 X선 검출부(8)가 검사 대 상(9)인 유방 주위에서 회전되도록 스캔 프레임(6)은 회전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검사 대상(9)의 X선 투과 데이터는 다방향(360°)으로부터 수집(스캔)된다.
컴퓨터(50)는 겐트리(4)에 접속되고, 조작 콘솔 및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한다. 투과 데이터는 역라돈 변환(inverse Radon transform)되어 검사 대상(9)의 단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화상은 모니터(51)에 표시된다.
도2 및 도3은 스캔 프레임(6)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2는 지지 프레임(5)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캔 프레임(6)을 도시한다. 스캔 프레임(6)은 회전 부분이 피검체(1)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10)로 덮어진다. X선 발생부(7)로부터 방사된 X선 플럭스(11)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도시 생략)에 의해 변형되어 2차원 X선 검출부(8)로만 입사된다.
도4a 및 도4b은 스캔 프레임(6)에 의해 형성된 재구성 영역(12)을 도시한다.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구성 영역(12)은 팬각(fan angle, 13)에 따라 결정된다. 스캔 프레임(6)은 지지 프레임(5)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캔 프레임 이동부(14)는 도2(화살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를 변경시킨다. 또한, 지지 프레임(5) 자체는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스캔 프레임(6)은 스캔 프레임(6)의 회전축으로써 그 위에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 또는 스핀 로드(spin rod, 17)를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5)은 스핀 로드(17)를 지지한다. 스캔 프레임 회전 구동부(15)가 샤프트(17)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때, 스캔 프레임(6)은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CT 스캔 회전(화살표 B)을 수행하도 록 구동된다.
샤프트(17)는 샤프트의 축을 따라 스캔 프레임(6)을 이동시키도록 종래의 이송량 조정 기구 또는 신축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샤프트(17)는 단부에 장착된 스캔 프레임 각도/거리 조정부(16)를 구비한다. 스캔 프레임 각도/거리 조정부(16)는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 지지 프레임(5)에 대한 스캔 프레임(6)의 설치 각도 및 샤프트(17)의 이송량(또는 후퇴량)을 조정한다. 이와 달리, 스캔 프레임(6)은 자체가 회전지는 않는 샤프트(17)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지지 프레임(5)에 대해 설치 각도가 경사진 스캔 프레임(6)을 도시한다. 스캔 프레임 각도/거리 조정부(16)는 스핀 로드(17)의 경사 각도 및 스핀 로드(17)의 (화살표 C방향으로의) 이송량을 조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캔 프레임(6)과 피검체(1) 사이의 거리는 조정 가능하다.
컴퓨터(50)는 2차원 X선 검출부(8)로부터 습득된 투과 데이터에 대한 재구성 처리를 수행하여 복수 단면 화상 즉, 3차원 화상(18)으로 상기 데이터를 변환한다. 재구성 처리는 역라돈 변환에 의해 수행된다.
역라돈 변환은 투과 데이터를 필터 처리한 후 X선 초점을 향해서 역투영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역투영의 각도 및 위치는 투과 데이터가 수집될 때의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 및 각도와, 샤프트(17)의 이송 길이와, 스캔 각도를 기초로 결정된다.
역라돈 변환의 예로서, 펠드캄(Feldkamp)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역라돈 알 고리즘에 대한 참고 문헌으로는 펠드캄 등에 의한 "실용 콘빔 알고리즘(Practical ConeBeam Algorithm)"(J. Opt. Soc. Am. A1, 612-619, 1984)이 있다. 도5에는 유방(30)의 재구성된 3차원 화상(18)의 예를 도시한다.
도16a 및 도16b는 도1에 도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지지 프레임(5)은 C 아암(19)으로 구성되고, C 아암(19)은 스캔 프레임(6)을 지지한다. 스캔 프레임(6)은 위치가 변하도록 C 아암(19) 상에서 활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캔 프레임(6)은 C 아암(19)에 고정될 수 있고, 스캔 프레임(6)의 위치는 C 아암의 이송량이 변할 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스캔 프레임(6) 및 C 아암(19)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대신, C 아암 상/하 회전부(162)가 스캔 프레임(6)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부(161)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기초로 하여 C 아암(19)을 경사지도록 자체 구동될 수 있다.
도1 또는 도16a 및 도16b에 도시된 구성으로, 피검체에 따라 상이한 곡면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유방은 유연하게 취급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검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은 양팔이 중력 방향으로 놓여지는 앙와 위치로 피검체가 테이블에 놓여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유방 부근의 흉곽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쉽게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이것은 유방 검사에 필요한 겨드랑이 부분의 검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피검체를 앙와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서 유방 검사를 허용하고, 유방 화상은 외과 수술 중의 자세와 유사한 상태에서 수집될 수 있다.
도1의 (a)는 피검체(1)의 유방과 그 부근을 나타내는 방사선 촬영 장치(100) 의 정면도이다. 유방(30)은 가슴 근육(20)에 붙어 있고, 가슴 근육(20)은 늑골(21)을 덮는다. 본 실시예의 방사선 촬영 장치(100)는 검사 대상(9)으로 가슴 근육(20)을 포함한 유방 부분과 그 부근을 덮는다. 늑골(21)을 포함하여 유방의 스캔이 이루어질 때, 피검체(1)는 과도하게 피폭될 뿐만 아니라, 습득된 투과 데이터 신호값이 낮아져 재구성된 화상의 신호 대 노이즈 비(S/N 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2차원 X선 검출부(8)로부터의 투과 데이터는 스캔 프레임(6)의 각도 및 샤프트(17)의 이송량을 조정하도록 해석된다.
도6a는 스캔 프레임(6)이 유방(30)에 너무 접근하여 위치되어 늑골(21)을 포함하여 스캔이 이루어졌을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b는 상기의 투과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6c는 상기 투과 데이터의 2진수 데이터를 도시한다. X선이 크게 감쇠하는 늑골(21)을 X선이 투과하면 투과 데이터 값은 현저하게 작아진다. 따라서, 투과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사용하여 2진수 처리될 때, 늑골(21)을 포함해서 스캔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늑골(21)의 면적을 얻을 수 있다.
도7은 도6의 2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스캔 프레임(6)의 각도 및 샤프트(17)의 이송량을 조정한 결과의 예를 도시한다. 투과 데이터의 해석과, 스캔 프레임(6)의 각도 및 샤프트(17)의 이송량의 조정은 스캔 프레임(6)의 회전 스캔 중에 실시간으로 수행된다. 스캔 프레임(6)의 회전 스캔과 이송량의 조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X선 촬영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6a 내지 도6c 및 도7에서, 스캔 프레임(6)은 늑골(21)이 투과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피검체(1)가 두꺼운 가슴 근육(20)을 갖을 경우가 있다. 가슴 근육(20)는 X선을 크게 감쇠시킨다. 이러한 경우, 스캔 프레임(6)은 가슴 근육(20)를 얇게 스캔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진수 처리를 위해 미리 정해진 임계값(22)은 히스토그램(histogram) 해석을 기초로 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값(23)으로 변경될 수 있다.
유방의 CT 스캔 화상을 단면으로 촬영하도록, 스캔 프레임(6)은 최대한 흉벽에 접근하여 위치되어야 한다. 스캔 프레임(6)을 최대한 흉벽에 접근시켜 위치시키도록, 접촉 검지 장치 등이 사용되는 경우 피검체(1)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스캔 프레임(6)의 각도 및 스핀 로드(17)의 이송량이 상기 설명한 투과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조정되는 경우, 접촉 검지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유리하다.
이제, 전신 CT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 및 설치 각도와, 샤프트(17)의 이송량의 조정을 계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신의 CT 데이터는 유방을 포함하는 피검체의 흉곽 전체의 단층상이다.
도9는 유방(30)을 포함하는 흉곽 전체의 단층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상기 단층상은 피검체의 유방을 포함하는 흉곽 전체의 단층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신 MRI 장치 또는 전신 CT 스캔 장치로 촬영된다. 전신 CT로부터 습득된 단층상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사용하여 2진수 처리함으로써, 유방 부분의 3차원 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의 스캔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영역 도 3차원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유방(30)이 큰 경우, 스캔은 각각의 유방(30)에 대하여 복수회 수행되도록 계획된다. 조작자는 스캔 프레임(6)의 위치 계획을 다음의 방식으로 수행한다. 즉, 2진수 처리된 화상(검사 대상, 9)은 컴퓨터(50)의 모니터(51)에 표시되고, 재구성 영역(12)이 그 위에 중첩된다.
컴퓨터(50)는 상기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50)가 자동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50)는 좌우 유방(30)의 체적을 구한다. 이후, 컴퓨터(50)는 각각의 유방(30)의 체적, 높이 및 평면적이 1회의 스캔에 의해 재구성 영역에서 커버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각각의 유방(30)의 체적, 높이 및 평면적이 1회의 스캔에 의해 커버될 수 없는 경우, 컴퓨터(50)는 유방 체적이 1회의 스캔에 의한 재구성 영역(12)의 몇 배에 상당할지를 계산한다. 따라서, 스캔 회수가 결정되면, 유방 체적을 스캔 회수로 분할하고, 스캔은 스캔 중심을 분할된 영역의 무게 중심에 일치시키도록 계획된다.(도13 참조)
스캐닝 조작자는 스캔 프레임(6)을 미리 결정된 최초 스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방사선 촬영 장치(100)로 CT 촬영을 행하는 스캔 프레임(6)과 전신 CT 데이터를 기초로 이루어진 스캔 계획에 대한 기준점 조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신 CT 데이터로는 흉곽의 형상만이 스캔 계획에 요구된다. 따라서, 스캔은 저선량(low levels of radiation)으로 수행된다.
도10은 전신 CT 스캐너 장치(200)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전신 CT 스캐너 장치(200)에는 테이블(2)에 눕힌 피검체(1)가 삽입 되는 공동부(41)을 갖는 겐트리(40)가 구비된다.
겐트리(40)에는 X선 발생부(70)와, 공동부(41)에 의해 개재된 X선 발생부(70)에 대향하는 위치의 X선 검출부(80)가 설치된다. X선 발생부(70) 및 X선 검출부(80)는 전신을 스캔하도록 공동부(4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방사선 촬영 장치(100)에 의해 구해진 CT 데이터와 전신 CT 스캐너 장치(200)에 의해 구해진 전신 CT 데이터 사이의 위치 관계가 명확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신 CT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스캔 계획과 방사선 촬영 장치(100)에 의한 CT 스캔용 스캔 프레임(6) 사이의 기준점 조정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제, 2차원 X선 검출부(8)을 이용하는 프리스캐닝(prescanning)에 의해 얻어진 2차원 또는 3차원의 투시 화상를 기초로 하여,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 및 설치 각도와, 샤프트(17)의 이송량의 조정을 계획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11a 및 도11b는 프리스캐닝 방법을 도시한다. 피검체(1)는 도11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테이블(2)에 앙와 위치로 눕혀진다. 조작자는 스위치 등(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피검체(1)의 유방의 곡면을 따라 복수의 기준 위치(24)를 등록한다.
컴퓨터(50)는 등록된 기준 위치(24)를 통과하는 곡선을 계산하고, 저선량의 X선을 방사하면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스캔 프레임(6)을 제어한다. 스캔 프레임(6)을 이동시키면서, 컴퓨터(50)는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위치 및 각도와, 샤프트(17)의 이송량을 조정한다.
프리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2개의 방법이 있다. 즉, 스캔 프레임(6)을 회 전시키면서 이루어지는 프리스캐닝과 스캔 프레임(6)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이루어지는 프리스캐닝이 있다.
스캔 프레임(6)이 회전되지 않는 경우,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활주 위치는 고정되고, 투과 데이터는 지지 프레임(5)에서의 복수의 활주 위치[예를 들어, 각각의 기준 위치(24)의 위치]에서 습득된다. 이러한 스캔 프레임(6)의 이동은 "스텝 이동"으로써 불린다. 상기 스텝 이동으로 수행된 프리스캐닝에 의해, 2차원 투시 화상은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한편, 스캔 프레임(6)이 회전되는 경우, 프리스캐닝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스캔 프레임(6)이 회전하는 동안, 이 회전과 동기해서 스캔 프레임(6)이 지지 프레임(5)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투과 데이터를 습득한다. 이러한 경우, X선 발생부(7) 및 2차원 X선 검출부(8)들 각각은 스파이럴(spiral)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은 "스파이럴 이동"으로 불리고, 습득되는 투과 데이터는 "스파이럴 데이터"로 불린다.
도12a는 스텝 이동과 스파이럴 이동에서의 프리스캐닝을 도시한다. 파선(25)은 스파이럴 이동의 궤적예를 나타내고, 파선(26)은 스텝 이동의 궤적예를 나타낸다. 임의의 이동 방법으로, 스캔 프레임(6)이 회전될 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벽 상의 유방(30)의 3차원 화상(18)이 습득된다. 프리스캐닝의 목적은 메인 스캔의 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과, 검사 대상(9)의 윤곽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리스캐닝은 메인 스캔에서보다 저선량의 스캔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캔 프레임(6)이 회전되지 않는 경우, 피검체(1)의 몸축 방향[테이블(2)의 이동 방향]으로 유방 영역의 촬영이 수행되도록 X선 발생부(7) 및 2차원 X선 검출부(8)의 방향이 설정된다. 도12b는 스캔 프레임(6)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스텝 이동의 프리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2차원 투시 화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한 프리스캐닝으로 얻어진 투과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위치 및 각도와 샤프트(17)의 이송량 조정이 계획될 수 있다. 상기 조정 계획은 조작자에 의해 걸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50)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파이럴 이동 방식으로 취해진 투과 데이터의 화상 재구성 처리도 역라돈 변환으로 수행된다. 역라돈 변환에서의 역투영 각도 및 위치는, 투과 데이터가 얻어질 때 샤프트(17)의 이송량 및 스캔 각도와, 지지 프레임(5)에서의 스캔 프레임(6)의 위치 및 각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스캔이 스텝 이동에 의한 제1 메인 스캔으로 수행될 지 스파이럴 이동에 의한 제2 메인 스캔으로 수행될 지가 메인 스캔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스파이럴 이동에 의한 제2 메인 스캔은 스캔 프레임(6)의 상하 운동이 없다는 이점을 가지므로, 스캔 시간이 스텝 이동에 의한 제1 메인 스캔에서보다 짧다.
스텝 이동에 의한 제1 메인 스캔을 행할지 스파이럴 이동에 의한 제2 메인 스캔을 행할 지의 선택은 화상 처리에 의해 유방(30) 사이즈를 기초로 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 수 있거나 또는 조작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회의 스캔에 의한 재구성 영역(12)이 유방(30)의 체적, 높이 및 평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스파이럴 이동이 수행되는 경우, 유 방(30)이 스캔 프레임(6)의 커버(10)에 접해서 변형될 수 있다는 점이 유방(30)의 체적, 높이 및 평면적을 기초로 판단되었을 때, 스텝 이동에 의한 제1 메인 스캔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유방 높이가 재구성 영역(12)의 높이를 초과할 때 또는 유방 평면적이 스캔 프레임(6)의 스캔 직경을 초과할 때, 스텝 이동에 의한 제1 메인 스캔이 선택된다.
검사 대상(9)이 재구성 영역(12)보다 작을 때 또는 스캔이 복수회 수행되고 분할된 검사 대상(9)이 재구성 영역(12)보다 작을 때, 환자는 과도하게 피폭된다. 이러한 과도한 피폭은 최대한 감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14a 및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플럭스 변경부(27)는 X선 발생부(7)로부터의 X선의 조사 범위를 변경하도록 X선 발생부(7)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X선 플럭스는 변형되고 재구성 영역(12)이 감소된 재구성 영역(29)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계획 중, 상기의 과도한 피폭 영역이 발생된다고 판단될 때, X선 발생부(7)로부터의 X선의 조사 범위를 감소시키도록 X선 플럭스 변경부(27)에 지시할 수 있다. 도15는 표준 재구성 영역(12)이 작은 재구성 영역(29)으로 분할되어 스캔이 3회 수행되는 스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모든 변경예,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프레임에 의해 형성하는 재구성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재구성된 유방 부분의 3차원 화상을 도시한 도면.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프레임에 의해 수집되는 투과 데이터 처리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과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스캔 프레임 위치 조정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그램 해석을 이용하는 스캔 프레임 위치 조정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CT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스캔 계획 설명도.
도10은 전신 CT 스캐너 장치를 더 갖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계획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화상 및 마일스톤(milestone) 설정의 예의 설명도.
도12a 및 도12b는 스텝 이동 및 스파이럴 이동으로 수행되는 프리스캐닝 설 명도.
도13은 검사 대상을 분할해서 여러번 스캔하는 예의 설명도.
도14a 및 도14b는 재구성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한 X선 플럭스 변경부가 설치된 예의 설명도.
도15는 표준의 재구성 영역을 작은 재구성 영역으로 분할해서 스캐닝을 3회 반복하는 스캔의 설명도.
도16a 및 도16b는 본 발명의 변경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피검체의 유방의 방사선 촬영을 행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이며,
    상기 피검체를 앙와 위치로 지지하는 테이블부과,
    상기 앙와 위치에서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와,
    서로 대면하여 배치되어, 상기 유방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사이에 개재하는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를 구비하는 방사선 촬영부와,
    상기 수용부를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용부가 회전 가능한 축을 갖고, 피검체의 유방에 대한 상기 수용부의 상대 위치를 상기 축을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샤프트와,
    상기 앙와 위치에서 상기 피검체의 몸축에 사실상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를 통해 상기 수용부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의 수용부의 활주 위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에 대한 수용부의 설치 각도와, 상기 샤프트의 축을 따라 피검체에 대한 수용부의 상대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방사선 촬영부로부터의 투과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수용부를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검출부에 입사하는 방사선이 상기 피검체의 고감쇠 영역을 통과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수용부를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포함하는 흉곽 전체의 단층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전신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전신 촬영 장치에 의해 제공된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포함하는 흉곽 전체의 단층상를 기초로 하여 상기 수용부를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방사선 촬영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축에서 상기 수용부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의 수용부를 변위시키는 동안 복수의 활주 위치에서 프리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화상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의 상기 수용부의 활주 위치와, 상기 지 지 프레임에서 상기 수용부의 설치 각도와, 상기 샤프의 축을 따라 상기 피검체에 대한 수용부의 상대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얻어진 화상을 기초로 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된 방사선 촬영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수용부를 변위시키고 샤프트의 축에서 상기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동안 복수의 활주 위치에서 프리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화상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의 상기 수용부의 활주 위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의 상기 수용부의 설치 각도와, 상기 샤프트의 축을 따라 상기 피검체에 대한 수용부의 상대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얻어진 화상을 기초로 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된 방사선 촬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수용부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수용부를 변위시키는 동안 복수의 활주 위치에서의 제1 메인 스캔, 또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수용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수용부를 변위시키는 동안 복수의 활주 위치에서의 제2 메인 스캔 중 어느 것을 수행할 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프리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기초로 또 는 상기 피검체의 유방을 포함하는 흉곽 전체의 단층상을 기초로 상기 선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방사선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방사선 조사부로부터의 방사선의 조사 범위를 변경하는 방사선 플럭스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KR1020080069901A 2007-07-20 2008-07-18 방사선 촬영 장치 KR101103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9992A JP5288737B2 (ja) 2007-07-20 2007-07-20 X線画像撮影装置
JPJP-P-2007-00189992 200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35A true KR20090009735A (ko) 2009-01-23
KR101103133B1 KR101103133B1 (ko) 2012-01-04

Family

ID=3973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01A KR101103133B1 (ko) 2007-07-20 2008-07-18 방사선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6021B2 (ko)
EP (1) EP2016903B1 (ko)
JP (1) JP5288737B2 (ko)
KR (1) KR101103133B1 (ko)
CN (1) CN101347337B (ko)
AT (1) ATE481927T1 (ko)
DE (1) DE602008002649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527B1 (ko) * 2009-08-12 2011-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선을 이용한 유방조직 변형률 영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8252A1 (en) * 2011-02-17 2016-02-11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Tissue Resection
WO2014138500A1 (en) * 2013-03-08 2014-09-1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Apparatus and method for x-ray-based breast imaging
JP6319963B2 (ja) * 2013-07-30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乳房x線撮影装置、乳房x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81253B2 (ja) * 2014-03-31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断層撮影装置
KR20160000204A (ko) 2014-06-24 2016-01-04 엄년식 광학형 유방 진단기
JP6611428B2 (ja) * 2014-12-09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ンモ断層撮像システム
JP2016123666A (ja) * 2014-12-27 2016-07-11 フジデノロ株式会社 保持装置
CN104721005B (zh) * 2015-03-25 2016-08-17 戴伟 胸外科影像检查手术台
CN104783759A (zh) * 2015-04-08 2015-07-22 杨本勤 胸外科疾病检查装置
CN105877768A (zh) * 2016-04-01 2016-08-24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乳腺筛查辅助纠正系统和方法
CN108195306B (zh) * 2017-12-25 2020-01-31 珠海市万瑙特健康科技有限公司 获取人体安全包络线的方法
CN108670305B (zh) * 2018-06-25 2024-01-16 深圳瀚维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乳房自动扫查装置
FR3088530B1 (fr) * 2018-11-15 2020-12-04 Thales Sa Systeme d'imagerie 2d et 3d d'un desordre pigmentaire cutane
US20230060834A1 (en) * 2020-02-03 2023-03-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ine breast ct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2083A (en) * 1976-09-16 1981-07-01 Gen Electric Computerized tomographic system
IT1234033B (it) * 1989-03-17 1992-04-24 I M S Internazionale Medico Sc Apparecchiatura per eseguire mammografie
CA2014918A1 (en) * 1989-09-06 1991-03-06 James A. Mcfaul Scanning mammography system with improved skin line viewing
JP3420793B2 (ja) * 1993-04-23 2003-06-30 株式会社東芝 車載用ct装置
JPH07303633A (ja) * 1994-05-11 1995-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X線乳房撮影装置
US5572565A (en) * 1994-12-30 1996-11-0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Automatic segmentation, skinline and nipple detection in digital mammograms
JPH10328176A (ja) * 1997-06-03 1998-12-15 Ge Yokogawa Medical Syst Ltd Ct装置の乳房撮影方法及び乳房撮影用アクセサリ
JP2000254114A (ja) * 1999-03-05 2000-09-19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US6480565B1 (en) * 1999-11-18 2002-11-12 University Of Roches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e beam volume computed tomography breast imaging
US6987831B2 (en) * 1999-11-18 2006-01-17 University Of Roches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e beam volume computed tomography breast imaging
US6463122B1 (en) * 2000-08-21 2002-10-08 Bio-Imaging Resource, Inc. Mammography of computer tomography for imaging and therapy
FR2816822B1 (fr) * 2000-11-23 2003-05-09 Ge Med Sys Global Tech Co Llc Procede et dispositif de galactographie en radiologie mammographique par soustraction
US7085406B2 (en) * 2001-07-27 2006-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unsupervised transfer function generation for images of rendered volumes
US6748044B2 (en) * 2002-09-13 2004-06-08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Computer assisted analysis of tomographic mammography data
JP3658389B2 (ja) * 2002-11-18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JP2005204859A (ja) * 2004-01-22 2005-08-04 Canon Inc 放射線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処理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801922B2 (ja) * 2005-03-31 2011-10-26 株式会社東芝 乳房撮影治療装置
US20100177866A1 (en) * 2005-04-01 2010-07-15 Keizi Shibuya Mammography Equipment
US7492858B2 (en) * 2005-05-20 2009-02-17 Varian Medic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nd treatment of tumorous tissue in breasts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radiotherapy
JP2007050159A (ja) * 2005-08-19 2007-03-01 Japan Fine Ceramics Center 乳房のx線ct検査装置及び乳房のx線ct検査用乳房整形用具
JP2007097671A (ja) * 2005-09-30 2007-04-19 Toshiba Corp 画像診断支援装置、及び画像診断支援プログラム
JP4837507B2 (ja) 2005-10-06 2011-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乳房画像撮影装置
US7302031B2 (en) * 2005-10-27 2007-11-27 Sectra Mamea Ab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X-ray imaging
US20070133747A1 (en) * 2005-12-08 2007-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using distributed X-ray sources
SE530549C2 (sv) * 2006-10-31 2008-07-08 Xcounter Ab System för avbildning av ett bröst genom datortomograf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527B1 (ko) * 2009-08-12 2011-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선을 이용한 유방조직 변형률 영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81927T1 (de) 2010-10-15
DE602008002649D1 (de) 2010-11-04
JP5288737B2 (ja) 2013-09-11
EP2016903B1 (en) 2010-09-22
JP2009022601A (ja) 2009-02-05
CN101347337A (zh) 2009-01-21
EP2016903A1 (en) 2009-01-21
US7676021B2 (en) 2010-03-09
KR101103133B1 (ko) 2012-01-04
CN101347337B (zh) 2011-03-02
US20090022269A1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33B1 (ko) 방사선 촬영 장치
US64805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e beam volume computed tomography breast imaging
US7336758B2 (en) Radiography system
US76976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breast imaging
CN103476340B (zh) 计算机断层摄影和断层合成系统
US20060291612A1 (en) X-ray CT method and X-ray CT apparatus
JP4464311B2 (ja) X線ct装置
JP2013511318A (ja) 視野を拡大した断層合成マンモグラフィー
KR20080030745A (ko) 이중 조사방식의 유방촬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유방촬영방법
JP2002125963A (ja)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の作動方法
JP2008528985A (ja) 可変の結像ジオメトリーを有する断層撮影機
WO2017073996A1 (ko) 엑스선 ct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JP4559312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3725277B2 (ja) X線診断システムおよびx線ctスキャナ
JP5634539B2 (ja) X線画像撮影装置
JP7039372B2 (ja) X線ct装置
US11298091B2 (en) Device for positioning a patient during acquisition of volumetric CBCT radiographs
CN117297636A (zh) 使用一个或多个静态准直器的感兴趣区域计算机断层摄影成像
KR20240013158A (ko) 이미징 디바이스 및 이미징 방법
WO2020060947A1 (en) Medical imaging system with contoured detector
JP2010046355A (ja) 乳房断層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13

Effective date: 201109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