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680A -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680A
KR20090009680A KR20070115614A KR20070115614A KR20090009680A KR 20090009680 A KR20090009680 A KR 20090009680A KR 20070115614 A KR20070115614 A KR 20070115614A KR 20070115614 A KR20070115614 A KR 20070115614A KR 20090009680 A KR20090009680 A KR 2009000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sludge separation
gas
sludge
sepa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1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716B1 (ko
Inventor
최홍복
Original Assignee
(주)에코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데이 filed Critical (주)에코데이
Priority to CN200880025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317218B/zh
Priority to PCT/KR2008/004196 priority patent/WO2009014346A2/en
Priority to US12/669,862 priority patent/US8372284B2/en
Priority to AU2008279963A priority patent/AU2008279963C1/en
Priority to EP08778853A priority patent/EP2176175A4/en
Priority to JP2010516927A priority patent/JP5194121B2/ja
Publication of KR2009000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1Aerobic and anaerobic treatment in the sam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포기 및 탈질과정이 진행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가 적층됨으로써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기체를 포집할 수 있는 체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포기과정에 의하여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수단과, 그리고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기체를 유입하는 산기수단을 포함한다.
PFR, 완전혼합조, 고농도 슬러지, 호기성, 혐기성, 산소, 기체

Description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 방법{PLANT FOR AEROBIC AND ANAEROBIC DIGESTION TREATMENT BY PF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적층함으로써 호기성 및 혐기성 소화를 실시하여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호기 또는 혐기성 소화는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완전혼합조에 의해서 처리되어 왔으나 플러그 흐름 반응기(Plug Flow Reactor;PFR)형태의 처리방법이 적절한 방법으로 추천되어 왔다.
그러나, 완전혼합형태의 반응기는 유입된 유기성 폐수가 반응기내에서 완전히 혼합되고 동시에 유입된 만큼 방류되므로 불가피하게 낮은 처리효율과 낮은 처리속도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호기 또는 혐기성 소화의 특징은 유체의 특징과 반응을 위해서 혼합을 해야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동반되므로 반응기에서 완전혼합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왔고, 혼합과 더불어 배출을 조절하는 회분식 반응기, 분리반응기, UASB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완전혼합 반응기와 유사한 효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하여 효율성에서 보다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PFR의 흐름을 갖는 반응기이나 PFR의 반응기는 이론적으로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반응기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지구온난화, 고농도 폐수의 다량발생, 총량규제 등으로 완전혼합 반응기에 의해서 유기성 고농도 폐수처리를 유도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대한 대응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기 내부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각단 사이에 기체층을 형성시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액체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기액간의 물질순환과 물질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반응속도 및 유체의 흐름을 동시에 PFR의 형태를 유지하므로써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PFR을 시도해온 반응기의 흐름에서 탈피하여 완전한 PFR 반응기 구성을 시도할 수 있는 호기성 또는 혐기성 소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결과로 인하여 유체의 이동형태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이론적 PFR 반응기의 효율과 반응속도를 확보할 수 있어 각단에서 차별성 있는 조건을 구성할 수 있다. 호기성처리의 경우, 최하단에서 용존산소량과 미생물 개체수, 높은 원수의 농도가 확보되고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배출되는 형태가 나타나 전형적인 PFR 형태의 반응기 흐름이 되고, 혐기성의 경우는 최하단에서 고농도 유기물과 미생물이 확보되고 점차적으로 유기물 농도가 낮아져 방출되므로 하부에서 낮은 pH 상부에서 높은 pH가 유지된다. 유입수의 특성에 따라서 하향류식으로 운전해도 역시 유기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완전 혼합조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호기성 수처리와 혐기성 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포기 및 탈질과정이 진행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가 적층되어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기체를 포집할 수 있는 체류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포기과정에 의하여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수단; 그리고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기체를 유입하는 산기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 및 방법은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반응기의 내부에 적층함으로써 설치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 및 방법은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적층함으로써 반응기나 침전조 내부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각단 사이에 기체층을 형성시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액체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기액간의 물질순환과 물질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반응속도 및 유체의 흐름을 동시에 PFR의 형태를 유지하므로써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완전혼합를 시도해온 반응기의 흐름에서 탈피하여 완전한 PFR 반응기 구성을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슬러지 분리단위체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설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 및 공기가 유입되어 포기 및 탈질과정이 진행되는 반응기(3)와, 상기 반응기(3)의 내부에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적층하여 유입된 오폐수 및 기포를 밀도순서로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오폐수 및 기포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산소 용존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오염물을 분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러지 분리수단(S1,S2,S3)과, 상기 반응기(3)의 내부로 기체를 유입하는 산기수단(7)으로 이루어지는 포기 및 탈질조(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포기 및 탈질조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3)는 통형상을 갖음으로써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오폐수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기(3)는 원통형상, 육면체, 혹은 팔면체 형상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3)에는 상기 슬러지 분리수단(S1,S2,S3)을 통과한 기포를 상기 반응기(3)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체 배출구(9)와, 상기 슬러지 분리수단(S1,S2,S3)을 통과하여 처리된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구(11)가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반응기(3)의 하부에는 오폐수 및 기체가 공급되는 오폐수 유입관(13)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기체는 공기 혹은 메탄가스를 포함하며,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호기성 처리가 진행될 수 있고, 메탄가스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혐기성 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폐수 유입관(13)을 통하여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반응기(3)의 내부를 하부에서 부터 채우게 된다.
또한, 상기 산기수단(7)는 상기 오폐수 유입관(13)의 상부에 장착되며, 외부의 기체를 반응기(3)의 내부로 주입하게 된다.
이러한 산기수단(7)는 반응기(3)의 내측으로 연결된 유입배관(15)과, 상기 유입배관(15)상에 돌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19)과, 상기 유입배관(15)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체를 송출하는 송풍기(Blower;P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P1)에 의하여 상기 유입배관(15)으로 주입된 기체는 상기 다수개의 노즐(19)을 통하여 오폐수 중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러지 분리수단(S1,S2,S3)은 적어도 하나의 슬러지 분리부, 바람직하게는 제1 슬러지 분리부(S1), 제2 슬러지 분리부(S2), 제3 슬러지 분리부(S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슬러지 분리부는 다수개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슬러지 분리수단(S1,S2,S3)에 있어서, 각각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는 동일한 형상을 갖음으로, 이하 하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슬러지 분리 단위체(5)는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하 프레임(23,21)과, 상,하 프레임(23,21)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5)과, 상부 프레임(23)의 내측에 구비되어 반응기(3)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플레이트(27)와, 상기 플레이트(27)에 구비되어 유체의 상하이동 통로가 되 는 유체 이동관(29)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7)는 상부 프레임(23)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체의 상하이동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7)는 중심방향에 위치하여 상하이동 통로가 되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관(29)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짐으로써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7)의 상면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경우, 경사면(28)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슬러지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7)의 저면에는 보강대(35)가 배치됨으로써 플레이트(27)를 지지한다. 상기 보강대(35)는 플레이트(27)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턱형상이며, 유체 이동관(29)을 중심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대(35)는 수처리 중 상기 플레이트(27)가 오폐수 및 기체에 의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이 부착,성장할 수 있는 굴곡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이동관(29)은 플레이트(27)의 중간부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된다. 이러한 유체 이동관(29)은 관체형상으로써 그 내부를 통하여 유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다수개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가 반응기(3)의 내측에 적층되는 경우, 각각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가 서로 맞닿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27)가 측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오폐수가 이 플레이트(2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 이동관(29)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이동관(29)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체이동관은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면적이 하부의 면적보다 넓은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유체 이동관(29)은 깔때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깔때기,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고 동일한 플레이트에 모양, 크기, 길이, 갯수가 다양한 형태의 이동관이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깔때기 형상의 유체 이동관(29)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종류 및 기체량에 따라서 기체가 이동하는 조건과,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는 고밀도 물질의 이동량과, 이동속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러한 요인은 수처리 효율과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부채꼴 형상의 이동관의 경우, 상향 이동하는 유체가 분산됨으로 주위의 슬러지가 침전되어 상기 유체 이동관(29)의 근처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이동관(29)은 플레이트(27)의 하부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7)의 저면에는 체류공간(Va,Vb,Vc)이 형성된다.
따라서, 반응기(3)의 하부로부터 상승한 기체는 이 체류공간(Va,Vb,Vc)에 포집되고,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되면 압력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어 상기 유체 이동관(29)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체 이동관(29)은 이웃한 슬러지 분리 단위체(5)의 유체 이동관(29)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동관(29)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50,52)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유체 이동관(56)의 길이(D2)가 타측에 구비된 유체 이동관(54)의 길이(D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의 유체 이동관(56)의 길이(D2)를 길게 형성됨으로써 반응기(3)의 내부에 수위 변화와 슬러지 이동 변화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기체가 점차로 상승하여 플레이트(27)의 저면에 체류공간(Va,Vb,Vc)을 형성하는 경우, 제1 수면(L1)이 형성된다.
그리고, 추가로 기체가 상승하는 경우, 일부의 기체가 길이가 짧은 유체 이동관(54)을 통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길이가 짧은 유체 이동관(54)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한 일부의 기체가 점차 포집됨으로써 제1 수면(L1)을 하부로 눌러서 제2 수면(L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수면(L2)에 형성된 체류공간(Va,Vb,Vc)의 기체가 길이가 짧은 유체이동관(54)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수면(L1)과 제2 수면(L2)의 이동으로 인하여 수면의 변화가 생겨 유체의 유동성이 증가한다.
이때, 길이가 긴 이동관(56)의 경우, 제2 수면(L2)과 이동관(56)과의 간격이 짧아 기체의 저항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아 하향 또는 상향 이동하는 슬러지의 대부분은 큰 이동관(56)을 통해서 하향 이동한다.
또한, 길이가 긴 이동관(56)의 상단은 기체 이동이 없거나 또는 가끔씩의 기 체 이동이 있어 대체로 높은 농도의 슬러지가 모여 있고 고농도 슬러지를 선택적으로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길이가 긴 이동관(56)의 하단에 고농도 슬러지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반송량을 줄이고 처리속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
다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23)에는 결합돌기(3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31)는 상부 프레임(23)의 각 모서리 상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 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21)의 각 모서리 저면에는 결합홈(33)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에 배치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5)의 결합돌기(31)가 상부에 배치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5)의 결합홈(33)에 삽입됨으로써 다수개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결합홈(33)의 내측에는 마찰부재, 바람직하게는 고무, 합성수지 등을 부착시킴으로써 결합돌기(31)가 삽입되었을 경우,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슬러지 분리 단위체(5)가 부력에 의하여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3,21)에는 이동관(29)의 하단과 유사한 위치에 유통홀(h)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러지 분리 단위체(5)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기포와 물은 유체 이동관(29)의 하한선에서 나누어진다.
이때, 물은 일부 기포와 더불어 하향 이동하고, 일부 기체는 구멍(h)을 통하여 인근 슬러지 분리 단위체(5)의 기체압력, 기체량, 기체분배 형태에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하 유동홀(h)을 연결하는 담체를 설치하여 미생물 성장 및 부 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액체는 하부로 이동 및 혼합하게 되어 혼합효과를 극대화시키고 기체는 인근 슬러지 분리 단위체(5)로 균일하게 이동하게 되어 체류하는 기체가 남거나 부족되지 않는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유도한다.
따라서, 각각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로 기체부력에 의해서 발생된 힘이 유체의 혼합에 알자힘으로 작용하게 하여 본 장치의 목적인 혼합혼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불규칙한 파동이나 진동에 의해서 장치를 안정에 저해하는 요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적층하여 수처리를 하는 방식은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성형공법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러지 분리 단위체(5)는 작업의 편리성을 위하여 각 단위별로 분리 성형,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바(80)가 최상단에 구비됨으로써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고정바(80)의 일단은 반응기(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84)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반응기(3)의 내부 타측에 구비된 잠금 브래킷(8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는 고정 브래킷(84)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 브래킷(82)에 고정핀(86)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가압하여 부력에 의하여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3)의 중간부분에는 청소 등을 위하여 멘홀(도시안됨)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기(3)의 일측에는 반응기(3) 내부의 기체 및 오폐수를 상하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수단(60)이 장착된다.
상기 순환수단(60)은 배관(62)과, 상기 배관(62)에 구비되는 펌프(P2)와, 상기 배관(62)으로부터 돌출 되어 반응기(3)의 상부공간에 연결되는 상부배관(64)과, 반응기(3)의 중간 공간에 연결되는 중간배관(65)과, 반응기(3)의 하부 공간에 연결되는 하부배관(6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P2)를 구동시킴으로써 반응기(3) 각 부분의 오폐수 및 기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배관(64),중간배관(65),하부배관(66)에 밸브가 부착되어 있어 상하 각단사이를 선택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순환작업은 기체주입을 중단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일정한 주기로 실시함으로써 각 슬러지 분리부에 침전된 슬러지 중에서 질소를 제거(탈질)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반응기(3)의 타측에는 기체 배출수단(70)이 제공됨으로써 각 슬러지 분리부에 포집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기체 배출수단(70)은 기체가 이동 가능한 주배관(72)과, 상기 주배관(72)으로부터 돌출되어 반응기(3)의 내부로 진입하여 각 슬러지 분리부(S1,S2,S3)의 체류공간(Va,Vb,Vc)에 연통되는 보조배관(74a,74b,74c)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체 배출수단에 있어서, 각각의 보조배관(74a,74b,74c)은 각 슬러지 분리부(S1,S2,S3)의 체류공간(Va,Vb,Vc)에 연통됨으로써, 포집된 기체가 상기 보조배관(74a,74b,74c)으로 이동하고, 주배관(7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체 배출수단(70)은 반응기(3)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탈질과정 등 무산소화 반응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포기 및 탈질조에 의하여 처리된 오폐수는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도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분리단위체(40,42)를 배치하는 경우, 이웃한 슬러지 분리 단위체(42)와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측 슬러지 분리수단(40)의 상부에 돌출된 결합돌기(44)는 일측에 경사면(48)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 슬러지 분리수단(42,S2,S3)의 상부에 돌출된 결합돌기(31)는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4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49)와 경사면(48)의 경사각은 동일하다.
따라서, 일측 슬러지 분리수단(40)과 타측 슬러지 분리수단(42)을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46)의 돌기(49)가 경사면(48)에 접촉함으로써 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및 타측 슬러지 분리 단위체(40,42)가 확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슬러지 분리 단위체(40,42)의 사이 틈새로 오폐수 및 기체가 상승 혹은 하강 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결합구조는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도 가능하다. 즉, 일측에 구비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41)의 연결 프레임(51)에는 삽입홈(53)이 형성되고, 타측에 구비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43)의 연결 프레임(45)에는 삽입돌기(47)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타측 슬러지 분리 단위체(43)의 삽입돌기(47)가 일측 슬러지 분리 단위체(41)의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양 슬러지 분리 단위체(41,4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반응기(3)의 내부에 메탄가스를 주입하여 혐기성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기체 유출구에 통상적인 구조의 기체 포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처리 방법은 유입수중의 협잡물을 제거하고,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전처리 단계(S100)와, 호기과정을 통하여 기체를 주입하여 유기물과 질소를 산화시키고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포기 및 탈질단계(S120)와, 호기처리 된 후에 고액분리를 하여 침전시키고, 고액분리된 일부의 슬러지는 다시 호기 및 탈질조에 반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순서로 진행되는 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S100)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오폐수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폐수를 파쇄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오폐수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파쇄함으로써 미세화 시킨다. .
이와 같이, 전전처리 단계(S100)가 완료되면, 포기 및 탈질단계(S120)가 진행된다.
이러한 포기 및 탈질단계(S120)를 설명하면, 도1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대상 오폐수가 오폐수 유입관(13)을 통하여 반응기(3)의 내부로 유입되고, 또한 외부기체도 산기수단(7)를 통하여 반응기(3)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산기수단(7)에 주입된 기체는 다수개의 노즐(19)을 통하여 균일하게 분사됨으로 포기과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응기(3)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 및 기체는 상승함으로써 제1 슬러지 분리부(S1)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반응기(3) 내부에 배치되는 다단의 슬러지 분리부(S1,S2,S3)는 다수개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서로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단에 슬러지 분리부(5)를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 슬러지 분리부의 결합홈(33)이 하부의 슬러지 분리부(5)의 결합돌기(31)가 삽입되도록 하여 적층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다수개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를 적층함으로써 다단의 슬러지 분리부(S1,S2,S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단의 슬러지 분리부(S1,S2,S3)중 제1 슬러지 분리부(S1)에 도달한 오폐수는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5)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유체 이동관(29)을 통하여 상부공간으로 상승하게 되고, 기체는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플레이트(27)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류공간(Va)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체류공간(Va)이 하부로 확장됨으로써 유체 이동관(29)의 하한선에 수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면의 상부 공간에 기체가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유체 이동관(29)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기체가 점차로 상승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유체 이동관(29)의 하한선에 제1 수면(L1)이 형성된다.
그리고, 추가로 기체가 상승하는 경우, 일부의 기체가 길이가 짧은 유체 이동관(54)을 통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길이가 짧은 유체 이동관(54)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한 일부의 기체가 점차 포집됨으로써 제1 수면(L1)을 하부로 눌러서 제2 수면(L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수면(L2)에 형성된 체류공간(Va)의 기체가 길이가 긴 유체이동관(56)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수면(L1)과 제2 수면(L2)의 이동으로 인하여 수면의 변화가 생겨 유체의 유동성이 증가한다.
이때, 길이가 긴 이동관(56)의 경우, 제2 수면(L2)과 이동관과의 간격이 짧아 기체의 저항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아 하향 또는 상향 이동하는 슬러지의 대부분은 큰 유체 이동관(56)을 통해서 하향 이동한다.
또한, 길이가 긴 유체 이동관(56)의 상단은 기체의 이동이 없거나 가끔씩의 기체 이동이 있어 대체로 높은 농도의 슬러지가 모여 있고 고농도 슬러지를 선택적으로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길이가 긴 유체 이동관(56)의 하단에 고농도 슬러지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반송량을 줄이고 처리속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
또한, 유체 이동관(29)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반응기(3)에서 발생된 거품은 대부분 오폐수 수위의 상단에 머물게 되며, 오폐수 수면의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서 비교적 저농도의 물질들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각 단에서 저농도의 물질들이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반응기(3)의 상단으로 갈수록 물질 농도가 낮아지는 물질분리가 일어난다.
그리고, 하부에서 유입되는 기체량 및 압력은 일정량 이상 되도록 하여 각각의 유체 이동관(29)을 통해서 균등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슬러지 분리부(S1)를 통과한 오폐수 및 기체는 제2 슬러지 분리부(S2)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슬러지 분리부(S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슬러지 분리부(S1)와 동일한 과정을 통함으로써 물질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반응기(3)의 최상부 공간에 도달한 오폐수 및 기체는 각각 기체 유출구(9) 및 오폐수 유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포기 및 탈질과정에 있어서, 무산소조 운영이 필요한 경우, 상기 기체 배출수단(70)에 의하여 기체를 배기함으로써 탈질을 시도할 수 있다.
즉, 포기 완료 후 탈질을 위해서는 먼저 반응기(3)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기체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배출수단(70)의 주배관(72)의 밸브(76)를 개방함으로써 각 슬러지 분리부(S1,S2,S3)의 체류공간(Va,Vb,Vc)에 포집된 잔류기체 및 일부 거품을 보조배관(74a,74b,74c)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되는 기체가 부력의 힘으로 상단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관(74a,74b,74c)은 상단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밸브(76)가 개방되면 각 단에 있는 기체와 일부의 거품은 보조배관(74a,74b,74c) 및 주배관(72)을 통해서 외부로 최초 원수로 유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체배출 과정을 통하여 탈질을 실시한 후 무산소조를 운영할 수 있다.
한편, 반응기(3)를 일정 시간 구동하게 되면 각 슬러지 분리부에는 침전물이 농축되므로 침전단계(S130)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침전단계(S130)에서는 순환수단(60)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최하단으로 이동시켜 하단부의 농축효율을 증가시키고 탈질율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즉, 순환수단(60)의 펌프(P2)를 작동시키면, 압력에 의하여 배관(62)의 상부 ,중간, 하부배관(64,65,66)을 통하여 각 단의 농축된 침전물이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침전물은 배관(62)을 통하여 별도장치 또는 산기수단(7)의 유입배관(15)으로 유입되어 반응기(3)의 내부 임의 위치로 공급되어 다시 반응기(3)의 내부로 순환된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과정을 통하여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할 때에는 기체를 주입할 때와 달리, 오폐수 자체의 이동에 의해서 하단으로 슬러지 집중화가 발생하여 하단의 농축효율의 증가와 동시에 상하단의 슬러지 농도차이를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과 더불어 탈질이 발생하게 되며, 순환은 최상단에서 최하단 또는 중간에서 최상단 등 다양하게 순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처리 단계(S100) 후 혐기처리단계(S140)를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응기(3)의 내부에 기체를 대신하여 메탄가스를 주입하고, 이 메탄가스와 오폐수가 슬러지 분리 단위체(5)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혐기성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의한 수처리 효율은 아래의 실험 데이터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즉, 음식물 폐수 유기물 유입 부하량과 제거효율을 살펴보면, 호기성 처리의 경우 제거효율이 97%이고, 혐기성 처리의 경우 70%를 나타냄으로써 상당히 월등한 수처리 효율을 나타낸다.
유입부하량(BOD kg/
Figure 112007081377210-PAT00001
d)
제거효율(%)
호기성처리 30 97
혐기성처리 60 70
한편, 상기한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8 내지 도11 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 단위체(112)는 플레이트(113)와, 플레이트(113)의 하부에 돌출되어 다른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연결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플레이트(113)에 구비되어 유체의 상하이동 통로가 되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관(126,128,114,11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3)는 일정 면적을 가짐으로써 유체의 상하이동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3)는 4개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합치된 형상을 갖는다. 즉, 하나의 플레이트(113)에 유체이동관(126,128,114,116)이 4개가 구비됨으로써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4개의 플레이트(113)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으며, 다만, 유체 이동관(126,128,114,116)의 위치만이 차이가 있다.
따라서, 4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플레이트(113)는 중심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3)의 상면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경우, 경사면(118)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슬러지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3)의 저면에는 보강대(117)가 배치됨으로써 플레이트(113)를 지지한다. 상기 보강대(117)는 플레이트(113)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턱형상이며, 유체 이동관(126)을 중심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유체 이동관(126)은 관체형상으로써 그 내부를 통하여 유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112,122,124)가 반응기(102)의 내측에 적층되는 경우, 각각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112,122,124)가 서로 맞닿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113)가 측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오폐수가 이 플레이 트(113)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 이동관(118)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유체 이동관(126,128,114,116)은 서로 다른 간격을 유지하여 위치한다. 즉, 제1 유체 이동관(126)과 제2 유체 이동관(128)의 간격(D1)과, 제3 유체 이동관(114)과 제4 유체 이동관(116) 사이의 간격(D2)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유체 이동관(126,128,114,116)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112,122,124)들을 적층하는 경우, 슬러지 분리 단위체(112,122,124)들의 방향을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로 조립한다.
즉, 가로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2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22)를 1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12)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적층하고, 3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24)를 2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22)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적층한다.
결과적으로, 1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12)의 유체이동관(126,128)들이 2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22)의 유체이동관(132,134)과 어긋나고, 3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24)의 유체이동관(136,138)이 2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22)의 유체이동관(132,134)들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각 단의 슬러지 단위조립체(112,122,124)의 유체 이동관(126,128,114,116,132,134,136,138)들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를 통 과하는 유체들의 교반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슬러지 분리조립체를 반응조의 내부에 설치하고 오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0 및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대상 오폐수가 오폐수 유입관(104)을 통하여 반응기(102)의 내부로 유입되고, 또한 외부기체도 산기수단(107)를 통하여 반응기(102)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산기수단(107)에 주입된 기체는 공급관(105)과 다수개의 노즐(103)을 통하여 균일하게 분사됨으로 포기과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응기(102)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 및 기체는 상승함으로써 제1 슬러지 분리 조립체(112)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슬러지 분리조립체(112)에 도달한 오폐수는 다수의 유체 이동관(126,128,114,116)을 통하여 상부공간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슬러지 분리조립체(112)를 통과한 오폐수 및 기체는 제2 슬러지 분리조립체(122)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슬러지 분리조립체(1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슬러지 분리조립체(112)와 동일한 과정을 통함으로써 물질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반응기(102)의 최상부 공간에 도달한 오폐수 및 기체는 각각 기체 유출구(106) 및 오폐수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12 및 도13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단위체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단위체(150)는 플레 이트(158)의 측면에 테두리부(162)를 형성한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158)에 테두리부(162)를 형성한 이유는 유체가 테두리부(162)의 내측에서 상하 유동을 하게 되므로 기체의 부력 에너지에 의하여 유체의 상하유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유체의 좌우 유동힘의 합성으로 수평유동 현상을 방지함에 있다. 유체의 수평 유동은 반응조에서 기포의 재순환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파동 합성현상에 의해서 반응조의 안정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특히, 대형처리시설의 경우 전체 파동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이러한 테두리부(162)가 설치된 슬러지 분리조립체를 적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조립체(152)는 플레이트(158)와, 플레이트(158)의 하부에 돌출되어 다른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연결되는 지지대(151)와, 상기 플레이트(158)에 구비되어 유체의 상하이동 통로가 되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관(160,164)과, 상기 플레이트(158)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부(1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58), 경사면(160), 유체이동관(160,164), 지지대(151)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조립체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테두리부(162)는 플레이트(158)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므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62)는 플레이트(158)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158)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간에 오폐수 및 공기가 저장됨으로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테두리부(162)에는 홀(168)이 형성된다. 이 홀(168)은 네 테두리부(162)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58) 하부 공간에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압이 테두리부(162)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러지 분리조립체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실시한 결과 도15 및 도16 에 도시된 결과를 얻었다.
즉, 도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분리 조립체를 이용하여 호기성 처리를 실시한 결과 기존 소화공정에 비하여 화살표 만큼 대폭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혐기성 처리의 경우도 기존 소화공정에 비하여 화살표 만큼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도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분리 조립체를 이용하여 음식물 폐수, 축산폐수, 하수 슬러지에 대한 처리를 실시한 결과,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존성 물질의 농도가 저하되는 등 처리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 은 도2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4 는 도2 의 평면도이다.
도5 는 도1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6 은 도1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다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7 은 도1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유체 이동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9 는 도8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10 은 도8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단위체가 반응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1 은 도10 의 측면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단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3 은 도12 에 도시된 슬러지 분리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호기성/혐기성 조건에서 처리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폐수를 처리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22)

  1. 오폐수가 유입되어 포기 및 탈질과정이 진행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가 적층되어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기체를 포집할 수 있는 체류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포기과정에 의하여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수단; 그리고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기체를 유입하는 산기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슬러지 분리수단을 통과한 기포를 상기 반응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체 배출구와, 상기 반응기에 장착되어 상기 슬러지 분리수단을 통과하여 처리된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구와, 그리고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 제공되어 오폐수 및 기체를 공급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 단위체는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반응기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기체 체류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유체의 상하이동 통로가 되는 유체 이동관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분리 단위체로 유입된 기체 및 오폐수가 상승하여 상기 플레이 트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체류공간에 기체중의 저밀도 물질이 포집되고, 하부에는 오폐수중의 고밀도 물질이 머물게 하여 수면 근처에 있는 저밀도 물질부터 우선적으로 상향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 단위체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되어 다른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유체의 상하이동 통로가 되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관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하이동 통로가 되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수처리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에는 결합홈이 형성됨으로써,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적층하는 경우, 하단의 결합돌기가 상단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수처리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홈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8.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보강대가 배치되는 수처리 장치.
  9.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에 각각 구비되는 유체 이동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처리 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중 일측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타측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는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중 일측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연결프레임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의 연결 프레임에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수처리 장치.
  12.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동관은 상부면적이 하부면적보다 넓은 깔때기 형상 혹은 역깔때기 형상을 갖는 수처리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공기 혹은 메탄가스를 포함함으로써 호기성 혹은 혐기성 처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처리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부는 반응기의 내측으로 연결된 유입배관과, 상기 유입배관상에 돌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Nozzle)과, 상기 유입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체를 송출하는 송풍기(Blower)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일측에는 순환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순환수단은 배관과, 상기 배관상에 장착되는 순환펌프와, 상기 배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 각 단에 연결되는 상부배관, 중간배관, 하부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펌프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반응기 내부의 각단의 침전물이 순환 또는 하부 누적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타측에는 기체 배출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기체 배출수단은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 상에 장착되는 밸브와,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반응기 내부의 각단에 형성된 체류공간에 연통되는 보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체류공간에 포집된 기체 및 거품이 상기 보조배관 및 주배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 장치.
  1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유체 이동관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동관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적층시 상기 유체 이동관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0. 유입수중의 협잡물을 제거하고,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전처리 단계;
    전처리 된 오폐수를 탈질공정을 통해서 질소를 제거하는 전탈질단계;
    전 탈질된 오폐수를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 반응기의 내부에 공급하여 호기과정을 통하여 기체를 주입하여 유기물과 질소를 산화시키고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포기 및 탈질단계; 그리고
    호기처리 된 후에 침전조에 의해서 고액분리를 하고, 고액분리된 일부의 슬러지는 다시 탈질조와 호기 및 탈질조에 반송하는 침전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이후에 혐기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혐기처리 단계에서는 메탄가스를 반응기에 주입하고, 이 메탄가스와 오폐수가 슬러지 분리 단위체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혐기성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수처리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포기, 탈질, 혐기처리, 침전단계에서는 반응기의 내부에 다수의 슬러지 분리 단위체를 배치하여 다단으로 구획하고, 각단 사이에 기체층을 형성시켜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액체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기액간의 물질순환과 물질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수처리 방법.
KR20070115614A 2007-07-20 2007-11-13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방법 KR10094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800255003A CN102317218B (zh) 2007-07-20 2008-07-17 通过pfr用于好氧分解和厌氧分解处理的设备
PCT/KR2008/004196 WO2009014346A2 (en) 2007-07-20 2008-07-17 Plant for aerobic and anaerobic digestion treatment by pfr
US12/669,862 US8372284B2 (en) 2007-07-20 2008-07-17 Plant for aerobic and anaerobic digestion treatment by PFR
AU2008279963A AU2008279963C1 (en) 2007-07-20 2008-07-17 Plant for aerobic and anaerobic digestion treatment by PFR
EP08778853A EP2176175A4 (en) 2007-07-20 2008-07-17 ANNEX TO AEROBIC OR ANAEROBIC FAULTRY TREATMENT BY PFR
JP2010516927A JP5194121B2 (ja) 2007-07-20 2008-07-17 プラグ流反応器による好気性と嫌気性消化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928 2007-07-20
KR20070072928 200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80A true KR20090009680A (ko) 2009-01-23
KR100942716B1 KR100942716B1 (ko) 2010-02-16

Family

ID=4048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5614A KR100942716B1 (ko) 2007-07-20 2007-11-13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72284B2 (ko)
EP (1) EP2176175A4 (ko)
JP (1) JP5194121B2 (ko)
KR (1) KR100942716B1 (ko)
CN (1) CN102317218B (ko)
AU (1) AU2008279963C1 (ko)
WO (1) WO200901434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16B1 (ko) * 2012-07-31 2015-03-18 장희현 소화조
CN109292981A (zh) * 2018-12-06 2019-02-01 华东理工大学 微纳米气泡供氧全过程脱氮反应器及其方法
CN112679044A (zh) * 2020-12-25 2021-04-20 大连理工江苏研究院有限公司 一种草甘膦生产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9955B (zh) * 2011-04-12 2012-08-29 山东建筑大学 一种厌氧污泥多级循环反应器
MX366434B (es) * 2012-03-02 2019-06-26 Xavier Valdes Simancas Francisco Bioreactor combinado para el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mediante procesos anaerobios, aerobios y anoxicos de degradación de materia orgánica con sistema separador de zonas y captación de biogás, natas y lodos.
US9005442B2 (en) * 2012-06-12 2015-04-14 John H. Reid Anaerobic lagoon or tank design for eflluent carbon to nitrogen ratio control
CN103183409A (zh) * 2012-10-16 2013-07-03 怡卡迪姿有限公司 可层压于水处理反应器内部中的单元模块
FR3004176B1 (fr) * 2013-04-08 2019-08-16 Degremont Procede pour le traitement d'effluents contenant de l'azote sous forme d'ammonium,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CN106281980A (zh) * 2015-05-29 2017-01-04 高资明 厌氧处理装置
CN110194503B (zh) * 2019-05-31 2021-12-03 武汉德同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相分离半开放水平流直管装置及应用
CN115196748B (zh) * 2022-07-08 2023-06-23 贵州楚天两江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升流式污水处理工艺及污水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972A (en) * 1979-11-08 1981-02-03 Univers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 Stacked modules for anaerobic digestion
JPH03114594A (ja) * 1989-09-27 1991-05-15 Meidensha Corp 排水処理装置
NL9200201A (nl) * 1992-02-04 1993-09-01 Pacques Bv Reactor voor de biologische behandeling van afvalwater.
DE4215952C2 (de) * 1992-05-14 1994-12-22 Langer Bsa Maschf Anaerobe Aufbereitungsanlage für Abwässer, Fäkalien und Gülle
US5514278A (en) * 1993-04-12 1996-05-07 Khudenko; Boris M. Counterflow microbiological processes
JP3335500B2 (ja) * 1994-08-03 2002-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100298855B1 (ko) * 1996-08-07 2001-11-14 다나카 쇼소 기-액분산장치및기-액접촉장치및폐수처리장치
US6387254B1 (en) * 1998-09-03 2002-05-14 Nkk Corporation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JP2002219486A (ja) 2001-01-25 2002-08-0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上向流嫌気性処理装置
JP2004528163A (ja) * 2001-02-23 2004-09-16 ヴイ.エイ.アイ. リミテッド 排水の生物学的処理方法と装置
US6984323B2 (en) * 2001-11-05 2006-01-10 Khudenko Boris M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KR100470925B1 (ko) * 2003-01-10 2005-03-10 (주)에코데이 유체유동에 의한 수처리 공정 및 장치
US7288190B2 (en) * 2003-08-22 2007-10-30 Presby David W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water
KR200364601Y1 (ko) 2004-06-08 2004-10-08 주식회사 무한기술 미생물 반응교반기
US7597801B2 (en) * 2004-06-15 2009-10-06 Ecodays Co., Ltd. Fluids fluxion method and plant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0628481B1 (ko) 2005-02-03 2006-09-26 (주)에코데이 수처리 처리장치 및 공정
KR100639296B1 (ko) * 2005-09-16 2006-10-27 (주)에코데이 생물학적 수처리 장치
US7695624B2 (en) * 2008-06-09 2010-04-13 Otv Sa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ter and utilizing a membrane filter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16B1 (ko) * 2012-07-31 2015-03-18 장희현 소화조
CN109292981A (zh) * 2018-12-06 2019-02-01 华东理工大学 微纳米气泡供氧全过程脱氮反应器及其方法
CN109292981B (zh) * 2018-12-06 2023-11-14 华东理工大学 微纳米气泡供氧全过程脱氮反应器及其方法
CN112679044A (zh) * 2020-12-25 2021-04-20 大连理工江苏研究院有限公司 一种草甘膦生产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6175A2 (en) 2010-04-21
JP2010533581A (ja) 2010-10-28
CN102317218A (zh) 2012-01-11
US20100187187A1 (en) 2010-07-29
EP2176175A4 (en) 2012-06-06
WO2009014346A2 (en) 2009-01-29
JP5194121B2 (ja) 2013-05-08
US8372284B2 (en) 2013-02-12
AU2008279963A1 (en) 2009-01-29
KR100942716B1 (ko) 2010-02-16
CN102317218B (zh) 2013-09-25
WO2009014346A3 (en) 2009-03-19
AU2008279963C1 (en) 2011-12-01
AU2008279963B2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16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방법
US77318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EP07281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olluted water
KR100674510B1 (ko) 수처리 공정 및 장치
JP4687600B2 (ja) メタン発酵装置
KR100862367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10088481A (ko)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KR100470925B1 (ko) 유체유동에 의한 수처리 공정 및 장치
KR100288083B1 (ko) 고효율 합병 정화조
KR101195006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메탄화가 용이한 혐기성 처리장치 및 방법
JP4374885B2 (ja) 膜分離装置
CN215288157U (zh) 一种一体化农村污水处理装置
KR20110120614A (ko) 호기성과 혐기성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30283A (ko) 폭기조 내장형 침전장치
KR100628481B1 (ko) 수처리 처리장치 및 공정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CN217148725U (zh) 一种使用活性污泥的序批式污水处理系统
KR100862184B1 (ko) 비중이 조절된 담체를 사용한 혐기/무산소 반응조,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CN213446429U (zh) 污水处理系统中的三相分离装置及水质净化设备
CN215756921U (zh) 气升环流反应装置
KR100809610B1 (ko) 수평형 수처리 장치
KR102337714B1 (ko) 다중 수평채널을 이용한 기체용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체용해 방법
CN218931842U (zh) 一种污泥减量污水处理系统
CN110002687B (zh) 一种循环式高效提标系统
KR20180107606A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