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33A -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133A
KR20090009133A KR1020080069635A KR20080069635A KR20090009133A KR 20090009133 A KR20090009133 A KR 20090009133A KR 1020080069635 A KR1020080069635 A KR 1020080069635A KR 20080069635 A KR20080069635 A KR 20080069635A KR 20090009133 A KR20090009133 A KR 20090009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ring
heating block
spring elemen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032B1 (ko
Inventor
프란츠 볼렌더
미카엘 니더러
미카엘 제옌
라이너 웬스텔
데틀레프 스테판
Original Assignee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0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35Structures comprising heat spreading elements in the form of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41Interfaces between the electrodes of a resistive heating element and the power supply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41Interfaces between the electrodes of a resistive heating element and the power supply means
    • F24H3/0447Forms of the electrode terminals, e.g. tongue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64Two-piece frames, e.g. two-shell frames, also including frames as a central body with two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76Means for putting the electric heaters in the frame under strain, e.g. with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후 위치에서 가열 블록과 대략 같은 레벨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96)의 프리텐셔닝력에 의해 가열 블록(8)이 유지되고 그 사이에 가열 블록(8)이 노출되는 대향하는 하우징 개구(16, 18)를 정의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가열 블록(8)은 하우징 부(4)로 도입되고 가열 블록(8)은 또 다른 하우징 부(6)에 의해 둘러싸이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지의 방법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엘리먼트(96)는 하우징(2)이 가열 블록(8)을 둘러싸도록 닫힐 때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지고 프리텐셔닝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방법에 채용될 수 있고 인젝션 몰딩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전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가열 장치는 조립 후 위치에서, 방열 엘리먼트(12) 및 발열 엘리먼트(10)를 구비한 가열 블록과 대략 같은 레벨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96)의 프리텐셔닝력에 의해 가열 블록(8)이 유지되고 그 사이에 가열 블록(8)이 노출되는 대향하는 하우징 개구(16, 18)를 정의하는 서로에 연결된 하우징 부(4, 6)를 포함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스프링 엘리먼트(96)는 하우징 부(4)의 하나의 엘리먼트(108, 110)를 위한 경사진 슬라이딩 면(102)을 정의하고, 하우징 부(4, 6)를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이 폐쇄될 때 하우징 부(4, 6)의 하나의 지지면(106)에 의해 프리텐셔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림(100)을 포함하고 지지면(106)은 하우징 부(4, 6)의 결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되는 된다.
가열 블록, 전기 가열 장치, 하우징 개구, 스프링 엘리먼트, 하우징 부

Description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HEATING DEVICE AND ELECTRIC HEATING DEVICES}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내 보조 히터로서 채용되는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가열 장치는 조립 후 위치에서 가열 블록과 대략 동일한 레벨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의 프리텐셔닝력에 의해 가열 블록이 유지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또한 가열 블록이 그 사이에서 노출되는 대향하는 하우징 개구를 형성한다.
차량의 승객칸의 공기조화를 위한 이러한 보조 히터가 예컨대 EP 1 564 503에 알려져 있다. 종래의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가열 블록을 형성하는 엘리먼트들이 하우징부내로 도입되어있다. 더욱이 스프링 엘리먼트는 하우징부 내로 도입된다. 이후 하우징은 제 1 하우징부에 다른 하우징부를 위치시킴으로써 폐쇄된다. EP 1 564 503가 개시하는 바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는 하우징이 폐쇄되기 전에 프리텐셔닝되지 않는데 이러한 프리텐셔닝은 다른 하나의 하우징 부에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엘리먼트를 프리텐셔닝하는 변위 엘리먼트에 의하여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변위 엘리먼트는 스프링 엘리먼트가 상부 노출 림에 의해 지나서 슬라이딩되고 제 1 하우징부내의 베어링에 대하여 가열 블록방향으로 피봇되는 과정에 있고 최종적으로는 장력을 일으키기 위해 프리텐셔닝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전기 가열 장치의 가열 블록은 대개 방열 엘리먼트 및 발열 엘리먼트의 평행한 다수의 층을 포함한다. 가열 블록의 발열 엘리먼트는 하나의 평면에 겹쳐서 제공되고 보통은 시트 금속 밴드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회로 도체사이에 배치된 수개의 PTC가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회로 도체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류를 전달한다. PTC엘리먼트는 이러한 인쇄회로 도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 도체는 PTC가열 엘리먼트를 장력에 의해 접촉시킬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PTC가열 엘리먼트에 의해 발생된 열을 추출하고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인쇄회로 도체와 PTC가열 엘리먼트사이에 양호한 접촉이 존재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열 블록의 일부로 하나 이상의 발열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발열 엘리먼트에 의해 발생된 열은 방열 엘리먼트를 통해 가열될 매체, 즉 공기로 방열된다. 공기는 납작한 가열 블록을 수용하는 두 개의 프레임 개구를 통해 하우징을 통과하여 흐른다. 여기서 프레임 개구는 납작하며 프레임형으로된 하우징의 대향하여 위치되는 측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전기 가열 장치의 가장 경제적인 제조 관점에서, 방열 엘리먼트는 보통 주름진 리브를 형성하는 곡류형 굽은 시트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진 리브는 하나 이상의 측에서 방열 엘리먼트와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가열 블록은 수 개의 층의 방열 엘리먼트 및 가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방열을 위하여 방열 엘리먼트는 발열 엘리먼트에 양호하게 접촉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방열 엘리먼트는 발열 엘리먼트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를 통하여 장력에 의해 접촉시킬 수 있다.
곡류형 시트 금속 밴드대신, 방열 엘리먼트 및 발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층 구조의 층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리지를 형성하는 돌출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의해 방열 엘리먼트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쇄회로 도체, 즉, PTC가열 엘리먼트를 위한 보통 납작한 위치면이 이러한 특성의 돌출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외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두 가지 대안으로, 주름진 리브 엘리먼트 또는 돌출 프로파일, PTC가열 엘리먼트를 위한 위치면은 전기적 도체로 형성되고 서로 절연되도록 장착되는 컨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첫 번째 경우에 보통 시트 금속 밴드의 노출단에 컨택트가 형성된다.
평행한 방열 엘리먼트 및 발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층진 가열 블록은, 대안으로 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U자형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스프링 엘리먼트로써 하우징내에 장착된다. 층 구조가 스프링 압력에 놓이면 프레임은 스프링력이 증가된 온도에서도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치수조정 되어야한다. 여기서 현재 절연 프레임은 부분적으로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인젝션 몰딩된 부로서 제조됨을 유의 하여야 한다. 현재 보통의 하우징은 하우징 하부와 하우징 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 하부는 가열 블록, 및 필요하다면 스 프링 엘리먼트의 개별 엘리먼트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가열 블록의 개별 엘리먼트는 이러한 하우징 하부내에 배치된다. 이후 가열 블록은 하우징 상부와 하우징 하부를 결함함으로써 하우징내에 들어간다. 이를 위해 프레임 개구를 둘러싸는 에지는 가열 블록이 프레임 개구들 사이에 들어가고 하우징내에 장착되도록 가열 블록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후 두 개의 하우징 부는 예컨대 래칭 연결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에서는 가열 블록의 개별층들이 하우징내의 소정의 지점에 배치되어야한다는 문제가 있다. 모든 발열 엘리먼트가 그 자신의 컨택트를 할당받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가열 블록내의 전기적 조건을 조립시에 고려해야한다. 그러나 제조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표준화된 가열 블록 부품을 형성하고자하는 바램도 있고 따라서 서로 다른 층의 가열 블록을 위하여 동일한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 자체는 전기 가열 장치의 경제적인 제조 관점에서 가능한 한 단순하게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하우징 부품을 결합할 때 가열 블록이 프레임내에서 이미 예비스트레스(pre-stressing)에 놓이고 따라서 이러한 결합이 이러한 예비스트레스에 대하여 일어나야만 할 때 하우징내의 하나 이상의 스프링 엘리먼트의 실제적 설치를 위한 특별한 요구조건을 따라야 한다.
상기한 문제와 관련하여 EP 1 564 503에서는 일반적 타입의 전기 가열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있고 여기서 스프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가열 블록의 층들은 먼저 장력이 없는 하우징 하부내에 장착된다. 이에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 상부는 가열 블록의 외측에 관하여 하우징 하부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스프링 엘리먼트의 단부위로 연장되는 경사진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하우징 상부와 하우징 하부를 결합할 때, 스프링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의 방향으로 압축되고 예비스트레스되도록 접촉한다.
이러한 종래 제안된 것들은 조립시 소정의 간소화를 이끌어낼 수 있지만 스프링 엘리먼트와 같은 가열 블록의 엘리먼트가 하우징 하부내에 정확한 위치로 옮겨질 것을 요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가열 장치로써 구현된 하우징은 하우징 부를 결합할 때 스프링 엘리먼트를 스트레싱하고 둘러싸기위해 필요한 다양한 경사면을 구비한다. 더욱이 스프링 엘리먼트의 구현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교적 복잡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장치의 엘리먼트의 조립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전기 가열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과제에 기초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간단하고 따라서 저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방법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방법은 스프링 엘리먼트가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지고 하우징이 가열 블록을 둘러싸도록 폐쇄될 때 프리텐셔닝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종래기술과 다르다. 따라서 스프링 엘리먼트는 초기에 조립 후 위치에 있지 않다. 스프링 엘리먼트는 하우징이 폐쇄될 때, 즉 서로에 대하여 두 개의 하우징부의 상대 이동 동안, 실려서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진다. 이러한 도입 이동시 스프링 엘리먼트는 필요한 프리텐셔닝력을 발생시키도록 텐셔닝된다. 따라서 스프링 엘리먼트는 처음에 가열 블록 및/또는 하나의 하우징 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예비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스프링 엘리먼트는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지고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 부와 협동할 때 만 프리텐셔닝되어 가열 블록을 둘러싼다. 스프링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의 평면에 밀릴 때 텐셔닝된다.
바람직한 단계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는 먼저 하우징으로 도입되어 스프링 엘리먼트의 길이방향부가 가열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된 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 위치에서, 스프링 엘리먼트의 부분적인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가열 블록과 같은 레벨로 위치되고 따라서 개별적인 평행한 방열 엘리먼트 및 발열 엘리먼트로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위치된다.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부가 제 1 하우징부에 위치되기 전에 하우징내의 스프링 엘리먼트의 위치는 두 개의 하우징부의 결합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내에서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개선점에 있어서 가열 블록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방향부는 외부 도구에 의하여가 아닌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 부에 의하여 조립 후 위치로 가압되고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 부는 공정에서 대응하는 길이방향부에 대하여 기능하고 결합이동시 스프링 엘리먼트를 조립 후 위치로 민다.
가열 블록의 평면내에 위치될 때 하우징 부의 결합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스프링 에리먼트를 보다 잘 안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 부가 하우징이 폐쇄될 때 서로에 안내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위하여 제공된 두 개의 하우징 부의 안내 엘리먼트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조립 후 위치로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기 전에 맞물린다. 이러한 힘에 의하여 대개는 스프링의 장력 또한 발생하고 스프링이 가열 블록의 평면내에 옮겨질 때 유효하게 된다. 스프링의 증가하는 텐셔닝으로 스프링 엘리먼트의 중복과 따라서 두 개의 하우징부의 결합 이동의 확고한 안내가 증가한다. 더욱이, 본 방법은 소정의 방식으로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부에서 길이방향 부의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스프링 엘리먼트의 하우징으로의 정의된 도입을 촉진시킨다.
가열 블록의 평면으로 옮겨질 때 스프링 엘리먼트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개선 시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의 납작한 세그먼트와 적어도 선형적으로 협동하는 하우징 엘리먼트에 의하여 하우징 부의 하나에서 하우징으로의 도입 동안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 엘리먼트가 가열 블록을 프리텐셔닝하고 대응하는 힘을 일으키기 전에 스프링 엘리먼트가 안내된다. 이러한 납작한 평면 세그먼트는 보통 도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부의 대응하는 안내면은 도입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스프링 엘리먼트의 세그먼트에 대하여 위치한다. 그러나 스프링 엘리먼트와 스프링 엘리먼트가 하우징 부로 도입될 때의 스프링 엘리먼트의 이동 경로는, 발생하는 스프링력의 경우에 있어서, 스프링 엘리먼트가 가열 블록을 향해 가압되고, 상호작용이 회피되어야 하는 세그먼트와 그 세그먼트를 처음에 안내하는 하우징 엘리먼트간에 임의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적어도 스프링 엘리먼트가 장애없이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충분히 멀리 하우징 엘리먼트로부터 떨어져서 가압되도록 형성된다. 보통 스프링 엘리먼트는 전진하는 도입 이동에 의하여 스프링 엘리먼트가 작용하는 가열 블록의 외측에 의해 최종적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선점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림은 스프링 엘리먼트가 하우징으로 도입될 때 하우징 부 중의 하나에 의해 프리텐셔닝된다. 그러나 전진하는 도입 이동에 의하여 하우징 부의 또 다른 하나에 의해 프리텐셔닝된다. 이것은 먼저 작용하는 하우징 부에 의해 스프링 엘리먼트를 먼저 약간 프리텐셔닝하는 가능성 및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 부에 의해 가열 블록상에 함께 압력을 가하기 위한 최종적인 스프링 력을 발생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결합 공정 동안 하우징 부 및 하우징 부로의 도입 동안 스프링 엘리먼트의 이동경로 및 하우징 부의 치수조정이 따라서 적절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초기에 작용하는 하우징 부는 비교적 얇은 벽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 부만이 약간의 스프링 력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하므로 그렇게 단단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가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진 후 형태가 닫힌 방식으로 서로에 연결된다. 이것은 하우징 부를 선형적으로만 결합하고 그 공정에서 결합 이동의 마지막에 하우징 부의 연결을 동시에 야기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개선점은 전기 가열 장치의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독립적인 태양에서 제안된 전기 가열 장치가 청구항 8에서 주어진다. 본 가열 장치는 스프링 엘리먼트가 하우징 부의 하나의 엘리먼트를 위한 경사진 슬라이딩면을 정의하고 하우징 부를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이 폐쇄될 때 하우징 부 중 하나의 지지면에 의해 프리텐셔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하우징 부의 결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는 점에서 EP 1 564 503의 일반적인 종래 기술과 다르다. 이러한 실시 예는 인젝션 몰딩에 의해 하우징 부의 간단한 제조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할 수 있고 여기서 스프링 엘리먼트를 위한 지원면을 형성하는 기능면을 포함하는 기능, 윤곽, 및 제한면은 인젝션 몰딩 다이의 몰드 결합에 직각으로 또는 평행하게 배타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인젝션 몰딩 다이, 즉 인젝션 몰딩 다이의 몰드 캐비티를 형성하는 면은 밀링 매칭에 의하여, 예컨대 페이스 커터에 의하여 몰드 캐 비티를 형성하는 스파크 부식된면을 갖는 복잡한 인젝션 몰딩 다이를 포기하는 동안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저렴하고도 특별한 생산 노하우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의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특히 보통 서로 잘 연결되는 이러한 층의 가열 블록이 서로에 대하여 위치하여 전류와 열을 전도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가열 블록의 개별층을 가압하는 스프링 엘리먼트가 의도된다. 후자의 범주는 일반적인 타입의 전기 가열 장치가 보통 12V의 동작 전압에서 차량내에서 동작하고 따라서 수백의, 심지어 수천W의 원하는 전력으로써 상당한 양의 전류가 개별층의 상 계면에서 흐르고 확고하지 않게 연결된 부의 상 계면에서 전이 저항의 증가를 갖지 않는다면 마모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는 이러한 문제를 유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특히 두 개의 시트 금속 스트립과 그사이에 배치된 PTC가열 엘리먼트 사이의 상 계면에서 전류의 신뢰성있는 전송이 중요하다. 경험에 따르면, 예컨대 200mm이상의 길이의 스프링은 500N 내지 1000N의 스프링력을 인가하여야 한다. 보다 높은 스프링력이 가능하지만 원하는 열출력 및 전류 입력관점에서 보통 필요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측에 매칭하는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을 갖는 개별 고정 엘리먼트의 형성으로써 개별 발열 엘리먼트의 특별한 배치를 통해 가열 블록내의 특정한 위치에 개별 발열 엘리먼트의 할당을 정하는 전기 가열 장치가 제공된다. 가열 블록의 개별 발열 엘리먼트는 하우징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없다. 대응하는 고정 엘리먼트를 갖는 특정한 발열 엘리먼트의 위치는 하우징내에 정해지지만, 발열 엘리먼트는 예컨대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굽고 층진 구조의 층에 평행하게 동일한 연장부를 갖는 시트 금속 스트립과 같이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고정 엘리먼트는 하우징내의 이러한 엘리먼트의 포지셔닝 및/또는 마운팅이외의 어떠한 기능도 갖지 않는 발열 엘리먼트의 일부로서 취해진다. 달리 기능을 갖지 않은 이러한 특성의 고정 엘리먼트는 예컨대 위치 엘리먼트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위치 엘리먼트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PTC가열 엘리먼트를 위한 인접하여 제공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절연재로 제작된 위치 프레임에 의해 PTC가열 엘리먼트를 발열 엘리먼트내의 소정 위치에서 유지한다. 여기서 고정 엘리먼트는 특히 대응하는 위치 프레임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위치 프레임의 일 단 또는 양 단은 이를 위한 특별히 형성된 헤드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헤드는 하우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리셉터클로 도입될 수 있다. 위치 프레임은 각각의 측면 단부에 동일한 고정 엘리먼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로는 각각의 발열 엘리먼트가 모든 다른 발열 엘리먼트의 고정 엘리먼트와 다른 고정 엘리먼트를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은 이를 위해 하우징내에 소정의 발열 엘리먼트가 하우징내에서 소정 위치에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상에 형성된다. 위치 프레임에의해 형성되고 하우징내의 발열 엘리먼트의 홀딩 및 포지셔닝이외의 다른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고정 엘리먼트와 함께, 인쇄회로 도체를 형성하는 개별 시트 금속 밴드가 고정 엘리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가열 엘리먼트는 PTC가열 엘리먼트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가열 블록의 측면상에 벤딩에 의해 연계된 발열 엘리먼트의 평면으로부터 옮겨지고 하우징의 측면에 잘려진 슬롯을 통과하는 시트 금속 밴드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발열 엘리먼트의 굽은 시트 금속 밴드와 연계된 슬롯은 발열 엘리먼트가 하우징내의 임의의 장소에 삽입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위치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상에 가열 블록에 위치되고 각각의 위치 프레임내에 배치된 PTC가열 엘리먼트와 접촉하는 선택된 시트 금속 밴드의 단부는 가열 블록의 측면상에 일 측 또는 양 측에 굽어지고 따라서 시트 금속 밴드가 대응하는 발열 엘리먼트에 의해 가열 블록내에서 차지하는 면을 남긴다. 가열 블록의 단부에서는 따라서 시트 금속 밴드가 가열 블록의 층에 보통 직각으로 연장되지만 특정 길이 이후에는, 즉 이러한 수평 방향으로의 오프셋이후에는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굽고 하우징의 측면에서 잘린 슬롯을 통과, 즉 층구조의 층에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오프셋의 길이를 통해, 즉 슬롯과 연계된 발열 엘리먼트간의 거리를 통하여 하우징내의 소정의 위치로 소정의 방열 엘리먼트의 할당이 수행되어 특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명백한 위치에서 외에는 발열 엘리먼트가 하우징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삽입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리고 상기한 개선점에서 하우징 부를 결합하기 전에 하우징 내에 층 구조의 개별층을 배치할 때 조립 결함이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에서 가열 블록의 개별 엘리먼트만이 소정의 위치에서 설치될 수 있다. 고정 엘리먼트 및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의 배치와 할당 때문에 설계에 허용될 수 없는 위치에서 발열 엘리먼트의 설치가 완전히 배제된다. 고정 엘리먼트와 이에 연계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은 약간의 조작으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내의 고정 엘리먼트의 포지티브 로킹 피트에 불구하고 층구조의 층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일반적으로 가열 블록의 층에 관하여 제한된 이동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공차가 그렇게 크지 않고 따라서 임의의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만이 임의의 고정 엘리먼트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라 하우징은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은 물론 리셉터클을 둘러싸는 프레임과 가열 블록을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부, 및 가열 블록을 둘러싸기 위해 하우징 하부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은 고정 엘리먼트가 가열 블록이 연장되는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열 장치의 조립 동안 가열 블록의 각각의 층은 리셉터클의 바닥에 이를 때까지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 개구 방향으로 일 측에서 개방되는 하우징 하부로 삽입된다. 삽입 방향으로 개방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은 여기서 가열 블록내의 대응하는 발열 엘리먼트의 쉽게 인식가능한 위치를 특정 짓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명백한 할당에 관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발열 엘리먼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및/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발열 엘리먼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개별 발열 엘리먼트의 고정 엘리먼트는 햄머 헤드와 유사하게 확대될 수 있지만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기타 고정 엘리먼트는 리지 모양으로 길고 좁게 형성 될 수 있다. 일 측상에는 발열 엘리먼트위로 돌출하는 길고 넓은 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대응하는 프로파일 모양이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에 할당되는 매우 다른 프로파일 모양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엘리먼트는 평면도로볼 때 여전히 개방된 하우징 하부에서 둥근형, 타원형, H자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가능한 단면 모양은 보통 위치 프레임상에 단 편으로 몰딩될 수 있고 대개는 고정 엘리먼트를 가열 블록에 연결하는 얇은 리지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립 결함의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 상부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가이드 핀은 가열 블록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부의 커버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커버로써 단편으로 형성되며 하우징 하부내의 잘려진 핀 가이드와 대응하여 맞물린다. 여기서 가이드 핀과 핀 가이드는 두 개의 하우징 부만이 특정 정렬로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하우징 부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가열 블록이나 스프링 장치의 일부의 정확한 배치와 관련하여 커버가 비특정적인 커버의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을지라도 하우징 상부를 특정적으로 형성하고 하우징 상부를 가열 블록을 둘러싸기 위한 소정의 배치내에 제공하며 가열 블록의 엘리먼트의 구조에 커버가 맞도록 형성하고 하우징 상부를 하우징 하부에 확실하게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이러한 개선점에서 고려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의 용이한 제조와 관련하여, 특히 인젝션 몰딩 기술을 사용하여 하우징의 제조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라, 외부 윤곽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부의 윤곽면은 물론 리셉터클과 핀 가이드를 형성하는 기능 영역 및 커버의 범위를 정하는 하우징 하부의 범위지정면과 가이드 핀을 형성하는 기능면은 프레임 개구를 둘러싸는 면에 평행하거나 수직하도록 배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열가소성수지의 인젝션 몰딩시에 하우징 하부와 하우징 상부의 제조를 위한 인젝션 몰딩 도구가 아래에 잘려진 부분이 없고 하우징 부를 형성하는 도구 면, 즉 인젝션 몰딩 도구 전체의 기능적, 윤곽을 이루는 범위지정 면의 수직 정렬 때문에, 면 밀링 커터를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몰드 캐비티를 형성하는 스파크 부식면을 갖는 복잡한 인젝션 몰딩 도구로부터 분리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의 하우징의 제조를 위한 인젝션 몰딩 도구는 특별한 지식없이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또 다른 개선점을 위해, 기능면이 가열 블록을 위한 리셉터클의 범위를 정하고 하우징 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 부의 필요한 상대적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우징부의 이러한 면이 되도록 취해진다. 이러한 또 다른 개선점을 위해, 윤곽 및 범위를 정하는 면은 하우징 부와 하우징 전체의 외부 윤곽을 정하는 하우징 부의 이러한 표면이 되도록 취해진다. 두 개의 평면이 직각으로 만나는 비교적 좁은 측면 또는 에지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적당한 기능, 윤곽 및 범위를 정하는 면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 및 에지면은 둥글게 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은 보통 가열 블록을 위한 필수적으로 간단하게 직사각형 리셉터클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컴포넌트로서 형성되고 둘 다에서 그 외측은 각각의 경우에 필수적으로 간단히 리셉터클 하우징 개구를 정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이 그 외측에 위치되는 평면 컨택트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굽은 주름진 리브의 형태로 방열 엘리먼트의 실시 예의 경우에 스프링 엘리먼트는 주름진 리브의 굽은 단부를 위한 접촉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엘리먼트는 따라서 가열 블록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인접한 주름진 리브 엘리먼트를 위한 평면 접촉면을 배타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시트 금속 밴드를 대체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개선점에서, 전기 가열 장치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컴포넌트의 수는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개선점은 또한 후자의 엘리먼트가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질 때 가열 블록과 스프링 엘리먼트사이에 방해받지 않은 슬라이딩 이동을 오프셋할 수 있는 가열 블록을 위한 슬라이딩면을 평면 접촉면이 형성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의 전체 길이를 실질적으로 넘어 연장되는 시트 금속 밴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하여 스프링 엘리먼트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트 금속 스트립에 시트 금속 밴드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림이 제공된다. 시트 금속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스프링 림이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시트 금속 스트립 및 프리텐셔닝 스프링력을 일으키는 개별 스프링 림이 따라서 단일 컴포넌트로서 정의된다.
조립 후 위치로 스프링 엘리먼트를 옮기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대향하는 단부에서 결합하는 방향으로 차례로 림이 제공되는 스프링 엘리먼트의 부분으로서 두개의 스프링 림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이러한 두개의 스프링 엘리먼트는 결합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작용된다. 더욱이 결합된 상태로 가열 블록에 가해지는 스프링 력은 본 실시 예에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러한 스프링 림은 경사진 슬라이딩면을 정의한다.
스프링 림은 하우징이 하우징부를 결함함으로써 폐쇄될 때 단 하나의 하우징 엘리먼트에 할당되는 지지면에 의해 프리텐셔닝될 수 있다. 대안으로, 차례로 배치된 스프링 림 또한 서로 다른 하우징 부의 엘리먼트에 의하여 협동할 수 있다. 후자의 대안은 덜 단단한 경사진 슬라이딩면과 협동하는 특정의 하우징 부의 엘리먼트를 지정하고 따라서 다소 가벼운 하우징 부를 함께 지정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결합 방향으로 차례로 제공된 두개의 림을 갖는 또 다른 바람직한 개선점에서, 하우징이 하우징부를 결합함으로써 폐쇄될 때 결합 공정동안 상대적인 이동에 평행하게 지지면이 연장되는 하우징 엘리먼트의 하나의 지지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것들이 프리텐셔닝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러한 스프링력은 또한 하우징이 아직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때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그러한 스프링 력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력은 하우징 부의 안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엘리먼트에 의해 다시 지지될 수있다. 따라서 가열 블록의 위치에 평행하게 엄격히 작용하지는 않는 스프링력의 작용력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가열블록 또는 가열블록의 일부를 가압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 엘리먼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수개의 스프링 림이 제공된다. 따라서 가열 블록은 층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개의 스프링 림에 의해 프리텐셔닝되고 따라서 함께 작용하는 스프링력은 균일하게 분포된다. 더욱이, 스프링 엘리먼트 또는 스프링 림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PTC가열 엘리먼트가 가열 블록내에 제공되어 PTC가열 엘리먼트에 전류를 공급하는 시트 금속 밴드와 PTC가열 엘리먼트사이에 높은 가압력을 특히 이러한 위치에서 일으킨다. 이러한 스프링 림은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림을 정의하는 시트 금속 스트립의 실질적으로 납작한 세그먼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한 스프링 림과 납작한 세그먼트는 단일 컴포넌트를 형성한다. 그러나 납작한 세그먼트는 인접한 스프링 림을 연결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지는 않는다. 세그먼트는 하우징내로 도입될 때 스프링 엘리먼트의 선택적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부의 적어도 하나는 이를 위하여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납작한 세그먼트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이것은 스페이서에 의해 먼저 안내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에서 스페이서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시트 금속 밴드의 일측에만 제공된 스프링 림 및 반대측에 제공된 가열 블록의 인접 엘리먼트를 위한 접촉면을 가진 스프링의 실시 예는 스프링 엘리먼트가 가열 블록에 관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될수만 있도록한다. 즉 평평한 접촉면이 가열 블록에 인접하여 위치하면 설치될 수있다. 본 발명만을 위하여 필수적일 수 있고 가열 블록으로의 스프링의 도입 방향 또는 도입 방향에 관하여 지지면의 방향에 무관하게 본 실시 예에서, 전기 가열 장치의 조립시의 에러가 회피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가 납작한 세그먼트를 위한 안내면을 정의하는지 여부는 관련이 없다. 스페이서에의해 가열 블록을 제한하는 하우징의 내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윤곽형성이 실현되는 것은 중요하고 이러한 윤곽형성은 스프링 엘리먼트의 구현에 적합하다. 내부로 돌출하는 윤곽형성의 스페이서는 스프링 엘리먼트의 납작한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한다.
몇 개의 납작한 세그먼트, 즉 스프링 림이 그 사이에 배치되고 일 측에서 납작한 세그먼트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보통의 시트 금속 스트립의 세그먼트를 갖는 스프링 엘리먼트의 구현은 또한 스프링 림이 스탬핑되고 굽고 이런식으로 공급 또는 저장한 후 시트 재료를 코일에 감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의 바람직한 스프링 엘리먼트는 단부없는 제품으로서 스트립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원하는 스프링력 또는 길이로 스프링을 맞추는 길이로 잘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내용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주어질 것이다.
도 1은 하우징(2)을 구비한 전기 가열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하우징(2)은 하우징 하부(4) 및 하우징 상부(6)를 포함한다. 하우징 하부(4) 및 하우징 상부(6)는 서로 결합되어 포지티브 로킹되고 가열 블록이 수용된다. 가열 블록은 서로 평행한 층으로 배열된 다수의 발열 엘리먼트(10)와 방열 엘리먼트(12)를 포함한다. 방열 엘리먼트(12)는 주름진 리브 엘리먼트로서 구불구불한 형태로 굽은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가로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 다섯개의 러그(14)는 하우징(2)의 측면에서 돌출한다. 컨택트 러그(14)는 절개 슬롯(15)에서 하우징(2)을 통과하는데, 여기서 절개 슬롯(15)의 각각은 하나의 컨택트 러그(14)를 수용하고 주로 하우징 하부(4)에 형성되지만, 하우징 상부(6)의 측면에서 보완된다.
하우징(2)은 두 개의 대향하여 위치된 프레임 개구를 구비하는데 도 1에서는 하우징 상부(6)에 형성된 프레임 개구(16)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하부(4)에 형성된 프레임 개구는 도 4에서 참조번호(18)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 개구(16, 18)는 각각 가열 블록(8)의 층에 직각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하부(4)와 하우징 상부(6)상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길이방향 스파를 결합시키는 스트러트(20)가 산재되어 있다.
도 2는 가열 블록(8)과 특히 하우징 하부(4)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상세히 도시하고 하우징 상부가 제거된 하우징 하부(4)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방열 엘리먼트(12) 만이 하우징 하부(4)의 각각의 측면의 단부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은 하우징 하부(4)에 형성된 프레임 개구(18)의 모습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네개의 발열 엘리먼트(10)가 제공되 는데, 각각은 측면에서 절연되고 하우징 하부(4)내의 층 구조(가열 블록(8))의 층에 평행하게 소정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하우징 하부(4)는 이를 위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은 필수적으로 하우징 하부(4)에 형성되고 가열 블록(8)을 수용하는 리셉터클(24)로 개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하부(4)의 각각의 측면에 두 개의 서로다른 타입의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a, 22b)이 제공된다(도 3과 비교).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의 구조에 대응하여, 발열 엘리먼트(10)는 그 측면 단부에 고정 엘리먼트(26a, 26b)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적당한 대응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a 또는 22b)에만 맞춰진다. 여기서 대응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은 발열 엘리먼트(10)가 하우징(2)내의 가열 블록(8)의 층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평행한 수 십 밀리미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하여 제공된 고정 엘리먼트(26)에 매칭된다. 외부 고정 엘리먼트(26a)는 햄머 헤드로 형성되고 적당히 형성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a)과 맞물린다. 발열 엘리먼트(1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것은 실질적으로 두번째의 중앙으로 제공된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b)보다 더 짧다. 이러한 길이방향의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b)에 할당된 고정 엘리먼트(26b)는 막대 형상이고 햄머 헤드 형 고정 엘리먼트(26a)보다 폭이 좁다. 이러한 특별한 실시 예 때문에 중앙 발열 엘리먼트(10)는 가열 블록에 발열 엘리먼트(10)를 위한 외부 위치에 들어맞지 않는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외부 헤드 발열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의 중앙에 배열될 수 없다. 즉, 하우징(2)내에 삽입될 수 없다.
발열 엘리먼트(10)가 하우징(2)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삽입될 수 없는 반면 주름진 방열 리브 엘리먼트(12)는 비특정적으로 그리고 곡류형으로 굽은 시트 금속 스트립의 길이방향 부로서 제조되어 순환재료로부터 길이로 커팅된다. 각각의 개별 방열 엘리먼트(12)는 가열 블록(8)내에서 방열 엘리먼트를 위한 임의의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엘리먼트(26)는 도 6 및 7에서 볼 수 있고 도 6 및 7을 참조로 상세히 이하에 설명될 위치 프레임(28)상에 하나의 단편으로 형성된다. 위치 프레임(28)은 절연재를 포함하고 PTC가열 엘리먼트(30)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각각의 개별 PTC가열 엘리먼트(30)에 대하여 리셉터클(32)은 이러한 PTC가열 엘리먼트를 둘레에 유지하고 구성하는 위치 프레임(28)내에서 커팅된다. 일 평면상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PTC가열 엘리먼트(30)의 각각의 양 측면에, PTC가열 엘리먼트(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인쇄회로 도체를 형성하는 시트 금속 밴드(34, 36)가 접촉하는데, PTC가열 엘리먼트에 의해 발생된 열은 시트 금속 밴드(34, 36)를 거쳐 열전도에 의해 방열 엘리먼트(12)로 통과한다. 이는 시트 금속 밴드(34, 36)상에 바로 위치된다.
위치 프레임(28)의 측면 단부는 시트 금속 밴드(34, 36)의 위치를 넘어 고정 엘리먼트 리지(38)에 의해 연장된다. 고정 엘리먼트 리지(38)의 외측 단부에는 위치 프레임(28)의 각각의 고정 엘리먼트(26)가 있다. 도 6(도 7과 비교)에 나타난 라인 VII-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위치 프레임(28)의 범위의 대부분은 각각의 시트 금속 밴드(34, 36)에 의해 고정된다. 단면도에서 시트 금속 밴드(34, 36) 옆의 측면에서 위치 프레임은 유지 리지(40)를 갖 는데, 이러한 유지 리지(40)는 시트 금속 밴드(34, 36)의 측면 에지에 바로 인접하여 제공되고 상측에서 대응 시트 금속 밴드(34, 36)위로 돌출하고 외측에서 겹쳐서,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 도체(34, 36)와 접촉하거나 접촉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지 리지(40)는 인젝션 몰딩중에 단일 부품으로, 초기에는 위치 프레임(28)의 주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대향하여 위치된 돌출부의 간극은 시트 금속 밴드(34 또는 36)가 이러한 돌출부사이에 맞도록 선택된다.
이후 인젝션 몰딩에 의해 이런식으로 제조된 단일 부품의 컴포넌트는 발열 엘리먼트(10)의 주 부품과 맞추어진다. 즉 PTC가열 엘리먼트(30)는 대응하는 리셉터클(32)내에 삽입되고 시트 금속 밴드(34, 36)에 의해 양측에 둘러싸인다. 이후 오목부가 내부로 가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널리 인쇄회로 도체(34, 36)를 형성한다. 여기서 보통은 핫 포밍이 적용되는데 여기서 유지 리지(40)를 형성하는 재료는 시트 금속 밴드(34, 36)의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가열되고 따라서 연화된다. 각각의 경우에 채용된 수단은 예컨대 뜨거운 공기나 열전도에 의하여 위치 프레임(28)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열전도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경우에 가열을 일으키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리지(40)의 모양형성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구에 의해 형성된다.
유지 리지(40)는 발열 엘리먼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부(40.1 내지 40.5)에 제공된다. 이러한 부(40.1 내지 40.5)는 그 사이에서 통로(41)를 자유롭게 하는데 이러한 통로(41)는 각각의 경우에 스트러트(22) 가 폭방향으로 부(40.1; 40.2; 40.3; 40.4 또는 40.5)사이에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통로(41)에 의해 형성된 부는 유지 리지(40)의 외면에 대하여 스트러트(22)의 적어도 두께의 반이 유지 리지(40)사이에 적합하고 거기에 수용되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내부로 돌출한다.
그러나 스트러트(22)와 위치 프레임(28)사이의 포지티브 로킹 맞물림은 가열 블록(8)의 층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상실되고 따라서 가열 블록(8)의 층에 평행한 이동이 하우징 부(4, 6)의 스트러트(22)사이에 제공되는데 이는 또한 두 번째 스트러트(43)로서 지정될 수 있는 유지 리지(40)와 첫 번째 스트러트로서 지정될 수 있는 하우징 부(4, 6)의 스트러트(22)사이에 제공된다.
발열 엘리먼트(10)는 예비조립된 컴포넌트로서 형성되고 따라서 조립 시 인쇄회로 도체(34, 36) 또는 위치 프레임(28)내에 삽입된 PTC가열 엘리먼트(30)가 상실되는 위험 없이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유지 리지 만이 위치 프레임내에 시트 금속 밴드(34, 36)를 고정하지만 동작중에 PTC가열 엘리먼트(30)에 신뢰성있게 전원을 공급하는데 충분한 PTC가열 소자(30)에 대한 접촉 압력으로 접촉시키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이것은 임의의 경우에 도 8 내지 10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스프링 엘리먼트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먼저 가열 블록(8)의 일부가 하우징(2)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설치될 수 없도록 하는 몇몇 특징이 다루어질 것이다.
특히 도 3 및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금속 밴드, 즉 도 6에 도시된 시트 금속 밴드(34)는 발열 엘리먼트(10)의 평면으로부터 굽는다. 결과적으로 시 트 금속 밴드(34)가 PTC가열 엘리먼트(30)와 접촉하는 평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에는 다시 굽기 때문에 시트 금속 밴드(34)의 최초 언급한 주 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자유단(44)사이에서 오프셋(42)이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자유단(44)은 크림핑 엘리먼트(46)에 의해 할당된 컨택트 러그(14)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조번호(10.3, 10.4)로 지시된 도 3의 상부 방열 엘리먼트는 상부 시트 금속 밴드(34)로부터 돌출하는 오프셋(42.3, 42.4)를 갖는다. 하부 발열 엘리먼트(10.1)는 아래로 돌출하는 오프셋(42.1)을 갖는다. 참조번호(10.2)로 지시된 발열 엘리먼트(10)의 시트 금속 밴드(34, 36)는 양 측에서 굽어 오프셋(42.20 또는 42.21)을 형성하고 각각에는 컨택트 러그(14)가 제공된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하우징(2)내에 발열 엘리먼트(10.3, 10.2)의 위치를 교대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때문에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중앙 발열 엘리먼트(10.2, 10.3)의 교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두 개의 외부 발열 엘리먼트(10.1, 10.4)를 위한 적당한 교대가능성이 제공된다.
도 1을 참조로 상기한 슬롯(15)은 하우징(2)외측에서 연장되고 슬롯(15)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에 확대된 러그 리셉터클(48)로 뻗어있다. 이러한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뒤에는 제한된 슬롯(50)이 다시 형성되는데, 여기서 슬롯(50)은 할당된 시트 금속 밴드(34)의 자유단(44)은 물론 컨택트 러그(14)를 형성하기 위해 펀칭에 의해 형성된 시트 금속 피스를 수용한다.
하우징 하부(4)는 경제적으로 제조된 인젝션 몰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하우징(4)을 위한 중요한 모든 표면이 하우징 하부(4)의 프레임 개구(18)에 평행하거나 직각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우징 하부(4)는 먼저 필수적으로 서로에 직각으로 연장되고 가열 블록(8)을 둘레에 둘러싸며 프레임 개구(18)를 둘러싸는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면(52a-d)을 갖는다. 측면에서는, 여기에 컨택트 러그(14)가 하우징 하부(4)로부터 옮겨지고, 대응하는 프레임면(52b)이 네 개의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54)위로 외부로 개방되는데 여기서 그 주요벽 또한 프레임 개구(1)를 포함하는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하우징 하부(4)의 기능면은 슬롯(15 또는 50)은 물론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을 형성하고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의 범위를 정하고 도 3에 도시된 벽 및 거기로 이끌며 적당한 범위를 갖는다. 상기한 리셉터클(15, 22, 50, 54)은 바닥에 의해 하우징 하부(4)의 측면상에 범위가 정해지는데 하우징 하부(4)의 프레임 개구(18)를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바닥은 도 4의 부재번호(56)로 식별된다. 이러한 바닥(56)은 또한 스트러트(22)의 내면을 형성하고 한편으로는 설명할 스프링 엘리먼트를 위한 에지에서 제한 정지부(58, 60)을 다른 한편으로는 대향하여 위치된 길이방향측에 위치된 외부 방열 엘리먼트(12)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한 정지부(58 또는 60)는 프레임 개구(18)를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다.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이나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을 형성하는 벽의 측면 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하부(4)의 내면은 이러한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길이방향측에 이러한 상부 에지는 스페이서(62)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 한 스페이서(62)는 프레임면(52c)위에서 리셉터클(24)로 돌출하고 그 기능이 스프링 엘리먼트의 이하의 설명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하우징 하부(4)의 내면의 상부평면아래에는 하우징 하부(4)의 두 개의 길이방향 스파(64, 66)의 내면(63)이 있지만, 가열 블록(8)이 하우징 하부(4)내의 높이 정도의 70%이상으로 거의 완전하게 둘레로 유지되는 에지에서 제한 정지부(58, 60)를 넘어 돌출한다. 길이방향 스파(64, 66)는 프레임 개구(18)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핀 가이드(68, 70, 72)에 의해 산재된다. 핀 가이드(68, 70, 72)는 길이방향 스파(44, 66)의 전체 길이 범위에 부내에 산재된다.
각각의 길이방향 스파(64, 66)의 중앙에서는, 하우징 하부(4)의 외부에 위치된 윈도우(74)로 개방되고 비교적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핀 가이드(70)가 있다. 중앙의 핀 가이드(70)에 인접하여 핀 가이드(68)가 제공되고 이는 길이방향 스파(64, 66)의 길이의 대략 1/3위로 각각의 경우에 연장된다. 이러한 핀 가이드(68)의 외부 단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할당된 윈도우(74)를 갖는 핀 가이드(70)가 있다. 길이방향 스파(64, 66)의 측면 단부에는 비교적 작은 핀 가이드(72)가 형성되는데 이는 길이방향 스파(64, 66)의 내면으로부터 프레임 개구(18)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부의 외면까지 연장된다.
핀 가이드(68, 70, 72)를 형성하거나 범위를 정하는 기능면은 모두 프레임 개구(18)를 포함하는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대응하는 개구(68 내지 72)의 측면 에지만이 다소 경사지거나 둥글게되어 하우징 상부(6)의 대응하는 가이드 핀(76 내지 80)의 도입을 용이하게 한다. 하우징 하부(4)와 하우징 상부(6)의 보다 용이 한 결합을 위해 스페이서(62)의 상단을 형성하고 단부에서 리셉터클(22b, 15, 50, 48) 및 스페이서(62)의 범위를 정하는 벽의 자유단 또한 경사지거나 둥글게 된다.
도 5에 각각 도시된 하우징 상부(6)는 또한 대응하는 하우징 개구(16)에 수직이거나 평행하게 정렬된 기능면 또는 범위지정면을 배타적으로 갖는다. 기능면 특히 상기한 가이드 핀(76, 78, 80)의 가이드 영역이 제공되고 이는 대응하는 핀 가이드(68, 70, 72)에 도입될 수 있다. 가이드 핀(78)은 노치핀으로서 몰딩되고 래칭 리지(82)를 형성하는데, 그 위로 상측에서 노치핀(78)의 두껍게된 헤드가 돌출하고 프레임 개구(16)를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래칭면(86)을 형성한다. 래칭 리지(82)는 커버(88)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이는 필수적으로 납작한 컴포넌트로서 형성되고 프레임 개구(16)를 생성하고 더욱이 스트러트(22)의 외면을 포함한다. 커버(88)는 하우징 하부(4)를 위한 커버로서 프레임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핀(76 내지 80)은 직각으로 커버(88)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오목부(90)는 래칭 리지(82)를 위해 제공된다. 오목부(90)의 영역에서 커버(88)의 에지면은 안으로 인출되어 래칭 리지(82)의 납작한, 심지어 측면이 가이드 핀(76 또는 80)의 가이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이러한 가이드 핀(76, 80)의 각각의 외부 가이드면의 내부로 위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열 블록(8)에 대향하는 대응하는 가이드 핀(78 내지 80)의 내면은 하나의 평면에 위치된다.
하우징 상부(6)의 일 측면에서, 커버(88)의 내벽에서, 다섯개의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에 대응하여 다섯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데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은 슬롯(15)을 형성하고 또한 폐쇄된 하우징내에 가열 블록의 조립후에 컨택트 러 그(14)의 상부 여백 영역을 포함한다. 대향하여 위치된 측면에는 가이드 핀(92)이 더 제공되는데 이는 하우징 하부(4)에서 잘려진 대응하는 다른 가이드 리셉터클과 협동하지만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22)이나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48)에 맞추어지지 않고 따라서 하우징 상부(6)가 하우징 하부(4)에 위치되고 소정의 명백한 방식으로 거기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또 다른 핀 가이드(94)를 둘러싸고 가이드 핀(92)를 형성하는 벽은 프레임 개구(16 또는 18)에 위치된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도 8은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에지에서 가열 블록(8)과 접촉하고 가열 블록(8)의 레벨로 설치 위치에서 그 내부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전방측은 납작한 위치면(98)을 형성하는데 위치면(98)에 인접한, 도 3에서 최상측에 방열 엘리먼트가 그 베인과 접촉한다. 보다 정확히는, 주름진 리브 밴드(12)의 보다 굽은 베인의 측면 굽은 단부는 위치면(98)과 접촉한다. 위치면(98)은 처음에 납작한 시트 금속 밴드에 의해 형성되는데, 그 위에서 횡단하여 돌출하는 스프링 림(100)은 양 측에 펀칭하여 형성되었고 처음에 위치면(98)의 평면내에 위치하고 펀칭후 벤딩에 의해 도 8, 10, 11, 및 12에 인식가능한 모양으로 되었다. 두 개의 스프링 림(100o, 100u)은 폭 방향으로 겹쳐서, 즉 납작한 위치면(98)의 길이방향 범위에 평행하게 따라서 조립시에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삽입 방향으로 위치된다. 각각의 개별 스프링 림(100o, 100u)은 슬로핑 슬라이딩 면(102a, 102b, 102c)을 형성하고 이는 각각의 경우에 납작한 위치면과의 사이에 35 내지 55도, 바람직하게는 45도의 각을 포함한 다. 스프링 엘리먼트(96)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제공된 스프링 림(100)의 쌍 사이에는 스프링 엘리먼트(96)가 직사각형의 납작한 시트 금속 밴드로서 형성되는 납작한 세그먼트(104)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스프링 엘리먼트(96)는 길이방향 스파(64)(도 4와 비교)에 개별 스페이서(62)사이에 삽입되는 공간의 수에 대응하는 스프링 림(100o, 100u)의 쌍을 갖는다. 각쌍의 스프링 림(100o, 100u)은 스페이서(62)사이에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설치 위치내에서 위치된다. 납작한 세그먼트(104)는 스페이서(62)의 폭을 스패닝하고 인접한 쌍의 스프링 림(100o, 100u)을 함께 결합한다. 따라서 대응하여 제조된 스프링은 하우징(2)내로, 특히 하우징 하부(4)로 일부의 컴포넌트로서 도입될 수 있고 이것이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를 단순화시킨다. 인접한 스페이서(62)사이에 제공되는 프레임 표면(42c)의 벽부는 스프링 림(100)의 각각의 쌍을 위한 지지면(106)을 형성한다. 특히 겹치는 스프링 림(100)의 쌍 사이의 납작한 세그먼트(104)의 실시 예의 스프링 엘리먼트(100)의 매칭때문에 부정확한 정렬로 하우징 하부(4)로 스프링 엘리먼트(96)를 도입할 수 없다. 이후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설치 위치에서 밀릴 수만 있고 여기서 스프링 엘리먼트는 납작한 위치면(98)이 가열 블록에 정열될때 하우징(2)내에 가열 블록(8)의 레벨로 수용된다. 더욱이 가열 블록은 지지면(106)으로의 거리에 스페이서(62)에 의해 유지되고 따라서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이러한 면에 임의의 시간에 하우징 하부(4)로의 도입시 그리고 가열 블록(8)에 의한 방해 없이 접촉할 수 있다.
가열 블록(8)의 방향으로 스프링 엘리먼트(96)의 계속적인 삽입 이동으로, 즉 가열 블록으로의 삽입으로, 이후 스프링 엘리먼트(96)는 하부 스프링 림(100u)으로 부터 스프링력 때문에 가열 블록(8)의 방향으로 힘을 받고 따라서 가열 블록의 층(10, 12)은 압축된다. 인접한 방열 엘리먼트(12)를 갖는 납작한 위치면(98)은 이미 커버링을 갖고 따라서 연속적인 삽입 이동으로 스프링 엘리먼트(96)는 가열 블록(8)과 하우징 하부(4)사이의 삽입 방향으로 충분히 안내된다. 최종적으로 연속적인 삽입으로 하부 스프링 림(100u)은 탄력있게 압축된다. 하우징측에 반대힘이 상부 에지(108)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부 에지(108)는 두 개의 면의 만나는 점에 의해 지지면(106)과 길이방향 스파(64)의 내면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에지(108)는 처음에 스프링 엘리먼트(96)의 도입시 하부 스프링 림(100u)을 내부로 힘을 가한다. 계속적인 도입 이동으로 상부 스프링 림(100o)은 최종적으로 내부로 경사지고 굽은 대응하는 스프링 림(100o)의 자유단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부로 힘을 받는다.
도 10,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스프링 엘리먼트(96)와 상호작용하는 또 다른 하우징 엘리먼트를 갖는다. 이러한 또 다른 하우징 엘리먼트는 커버(88)의 내면과 하우징 상부(6)의 바닥(112)사이에 형성되고 실제로는 커버(88)의 내면과 하우징 상부의 바닥(112)의 범위를 정하는 외부 에지(113)의 결합 에지에 의하여 하우징 상부(6)의 에지(110)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112)과 커버(88)의 내면간의 높이 오프셋은 가열 블록(8)이 길이방향 스파(64, 66)에 의하여 실제로는 스페이서(62)가 길이방향 스파(64, 66)의 내면(63)위로 돌출하는 것과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된 면(63)위로 돌출하는 것을 고려한다. 에지(110)는 상부 스프링 림(100o)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슬로핑 슬라이딩 면(102a)과 접촉한다. 도 10 및 12a에 나타난것 처럼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상단은 필수적으로 하우징 상부(6)의 바닥(112)에 간극을 갖고 접촉 아력이 없는 상태로 있다.
도 12a 내지 12e을 참조하여 조립을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 하부(4)내로 개별층(10, 12)이 도입된다. 이후 스프링 엘리먼트(96)는 가열 블록(8)의 층이 서로에 대하여 위치하고 스프링 엘리먼트(96)가 가열 블록(8)과 프레임 면(52c)사이에 충분히 깊이 위치될 때까지 하우징 하부로 수동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초기 도입 이동은 이를 통해 스프링 엘리먼트(96)가 필수적으로 어떠한 스프링 압력도 가열 블록(8)으로 도입하지 않고 스프링 엘리먼트(96)의 납작한 세그먼트(104)와 상호작용하는 가열 블록(8)과 마주하는 스페이서(62)의 측면위로 스프링 엘리먼트(96)를 안내한다. 스프링 엘리먼트(96)와 스페이서(62)의 접촉때문에 스프링 엘리먼트(96)는 가열 블록의 층(4, 6)에 평행하게 납작한 위치면(98)과 정렬된다. 이러한 최초 조립 단계이후 스프링 엘리먼트(96)는 도 12a에서 L로 나타나있는 길이방향 부에 의해 가열 블록(8)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위로 돌출한다. 이후 하우징 상부(6)는하우징 하부(4)에 위치된다. 여기서 가이드 핀(76, 78, 80, 92)은 대응하는 핀 가이드(68, 70, 72, 94)내에 맞물린다. 이렇게 함으로서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초기에 필수적으로 스트레스없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핀과 대응하는 오목부사이에 충분한 커버리지가 이미 달성되어 양 하우징 부(4, 6)는 서로에 대하여 선형 방향으로 이동만을 할 수 있다. 이후 스프 링력의 인가로써 하우징 부(4, 6)의 결합을 따른다.
먼저, 스프링 림(100o, 100u)은 하우징 상부(6)의 바닥(112)이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상단과 만날때까지 약간 압축된다(도 12b와 비교). 두 개의 에지(108 및 100)는 여기서 슬로핑 슬라이딩 면(102a 및 102b)를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이미 슬라이딩되었다. 상부 스프링 림(100o)은 이런식으로 이미 탄력있게 멀리 내부로 굽고 따라서 증가하는 삽입 이동으로써 또 다른 슬로핑 슬라이딩 면(102c)을 형성하는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중앙에서 내부로 굽은 림(100o)의 자유단은 신뢰성있게 에지(108)를 통과할 수 있다. 이후, 두 개의 하우징 부(4, 6)의 사이의 계속적인 결합 이동 또한 스프링 엘리먼트(96)가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처음에 에지(108)는 하부 스프링 림(100u)의 또 다른 탄력있는 스트레싱을 일으킨다. 이러한 하부 스프링 림(100u)은 최종적으로 지지면(106)과 가열 블록(8)(도 12c)사이에 수용된다. 하우징 하부(4)로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증가하는 삽입으로 상부 스프링 림(100o)은 최종적으로 가열 블록(8)의 방향으로 상부 스프링 림(100o)과 에지(108)의 상호작용에 의해 탄력있게 변형되고 따라서 스프링력을 일으킨다. 이러한 탄력있는 스프링력은 주로 에지(108)가 도다른 슬로핑 슬라이딩 면(102c)아래로 미끄러져내려오고 가열 블록(8)의 방향으로 상부 스프링 림(100o)에 힘을 가한다는 점에서 일어난다(도 12c와 도 12d사이의 중간 단계). 스프링 엘리먼트(96)는 두 개의 하우징 부(4, 6)가 그 각각의 면이 서로 정렬된채 서로 접촉할대 최종 위치에 도달했다.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스트레싱되고 가열 블록(8)과 프레임 면(52c)사이의 스프링력때문에 설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스프링 엘리먼트(96)가 우연한 힘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리면 각각의 경우에 하우징 상부(6)의 바닥(112) 또는 제한 정지부(58)는 스프링 엘리먼트(96)가 하우징(2)밖으로 힘을받는 것을 방지한다.
두 개의 하우징 부(4, 6)가 서로 접촉하기 바로 직전, 핀 가이드(70)내에 래칭 리지(82)의 약간의 탄력있는 벤딩하에서 가이드 채널내에 안내되는 헤드(84)는 외부로 힘을 받아 따라서 래칭 면(86)는 래칭 카운터 면(114)와 접촉하거나 약간의 동작만으로 그 위로 돌출하고 따라서 양 하우징 부(4, 6)는 포획되어 함께 고정된다.
상기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 예에 다른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시에, 하우징 하부와 하우징 상부를 결합함으로서 하우징을 폐쇄시킬 때, 스프링 엘리먼트는 설치 위치로 옮겨지고 설치 위치에서 스프링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의 레벨로 위치된다. 즉 가열 블록에 의해 일어나는 평면내에 배치된다. 더욱이, 스프링 엘리먼트는 도입시에 스프링 압력하에만 놓이고 이후에는 하우징 부(4, 6)가 대응하는 핀 가이드(68, 70, 72)내에서 가이드 핀(76 내지 80)의 포지티브 로킹 맞물림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안내될때만 스프링 압력하에 놓인다. 따라서 구성적인 개선에 따라 장력인가없이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24)로 가열 블록의 컴포넌트를 도입하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스프링 스트레싱이 이어지고 실제로는 이러한 것이 적절히 서로에 대하여 제한된 하우징 부(4, 6)내에서 그리고 접촉시에 일어나는 것은 그이후만이다. 이후에 발생된 스프링 압력때문에, 하우징 부(4, 6)을 결합할때, 가열 블록(8)의 엘리먼트의 변위나 리셉터클(24)로부터 가열 블록(8)의 엘리먼 트로부터 힘발생이 일어나면 이러한 부품은 하우징(2)내에서 가열 블록을 둘러싸는 하우징 부(4, 6)의 부분에 의해 유지되고 하우징 부(4, 6)를 결합할때 원하는 위치로 힘을 받는다.
구성적인 개선점에 관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설치 위치에서 초기에 스트레스없는 스프링 림을 갖는 스프링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엘리먼트는 리셉터클(24)로의 가열 블록과의 스트레스없이 도입된다. 스프링 엘리먼트는 스프링 림을 갖고 스프링 림은 제한 정지부(58)위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외부로 그리고 아래로 경사지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실제로는 스프링 엘리먼트와 상호작용하고 스프링 압력하에서 하우징 상부와 하우징 하부의 결합하는 동안 대응하는 스프링 림을 설정하고 따라서 스프링 엘리먼트가 전체적으로 스프링 압력에 의해 가열 블록(8)과 접촉하도록하는 핀을 위한 그러한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스프링 엘리먼트는 초기에 하우징 하부내에서 가열블록과 함께 스트레스없이 수용되지만 스프링 압력의 발생시에 결합 방향에 대하여 정지하여 유지된다. 스프링 엘리먼트는 가열 블록의 평면에 다소 밀리고 가열 블록과 접촉한다. 더욱이 스프링 림은 탄력성있는 스트레스를 일으키도록 피벗된다. 발열 엘리먼트(10)의 특별한 개선점은 보다 간단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제 1 및 제 2 스트러트(20, 43)에의해 형성된 그리드 배열이 하우징의 완전한 부분이 아니지만 위치 프레임(28)을 갖는 제 2 스트러트가 형성되고 따라서 PTC가열 엘리먼트(30)가 가열 블록(8)내에 있는곳에 신뢰성있게 위치되기 때문이다. 그리드 배열이 하우징 부에 의해 단독으로 형성되는 종래와 비교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되는 하우징 부가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보다높은 공차가 허용될 수 있는데 이는 가열 블록(8)의 층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발열 엘리먼트(10)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제공되어야하는 하우징에 결합된 일부의 스트러트조차 없기 때문이다. 스트러트(20)와 통로(41)의 치수조정을 통해 그리고 특히 유지 리지(40)의 두 개의 부 사이에 스트러트(20)의 삽입을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포지티브 로킹으로써 제 1 및 제 2 스트러트(20, 43)를 지지하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고 따라서 하우징을 전체적으로 단단하게 하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방열 엘리먼트(12)가 예비조립된 유닛으로서 준비되고 더욱이 고정 엘리먼트(26)와 연계된 리셉터클(22)에 의하여 발열 엘리먼트(10)가 하우징(2)내의 특정 위치에서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야하기 때문에, 전기 가열 장치의 생산, 특히 개별 부품의 조립은 또한 덜 숙련된 인력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의 한정적인 배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의 명백한 할당을 제공한다. 이러한 명백한 할당이 유지되지 않으면, 전기 가열 장치의 컴포넌트를 조립할 수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전기 가열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설치된 가열 블록을 구비한 하우징 하부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 상세도;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 예의 측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하우징 상부의 측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의 발열 엘리먼트의 전개 사시도;
도 7은 조립된 발열 엘리먼트의 도 6의 라인 VII-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실시 예의 가열 블록을 프리스트레싱하기 위한 스프링 엘리먼트의 측면 사시도;
도 9는 하우징 부를 결합하기 전에 도 1에 따른 예의 단부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라인 X-X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의 확대 상세도; 및
도 12a 내지 12e는 하우징 부를 결합하는 동안 다양한 상태로 도 11에 따른 도면과 유사한 확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 하우징 4 하우징 하부
6 하우징 상부 8 가열 블록
10 발열 엘리먼트 12 방열 엘리먼트
14 컨택트 러그 15 슬롯
16 프레임 개구, 하우징 상부 18 프레임 개구, 하우징 하부
20 스트러트/제 1 스트러트 22 고정 엘리먼트 리셉터클
24 가열 블록용 리셉터클 26 고정 엘리먼트
28 위치 프레임 30 PTC가열 엘리먼트
32 PTC가열 엘리먼트용 리셉터클 34 시트 금속 밴드
36 시트 금속 밴드 38 고정 엘리먼트 리지
40 유지 리지 40.1 내지 40.5 유지 리지의 부
41 통로 42 오프셋
43 제 2 스트러트 44 시트 금속 밴드(34)의 자유단
46 클림핑 엘리먼트 48 컨택트 러그 리셉터클
50 슬롯 52 프레임 면
54 고정 엘리먼트 (리지) 리셉터클 56 바닥
58 스프링 엘리먼트의 에지 제한 정지부
60 방열 엘리먼트의 에지 제한 정지부
62 스페이서63 길이방향 스파의 내면
64 길이방향 스파 66 길이방향 스파
68 핀 가이드 70 핀 가이드
72 핀 가이드 74 윈도우
76 가이드 핀 78 가이드 핀
80 가이드 핀 82 래칭 리지
84 헤드 86 래칭면
88 커버 90 오목부
92 또 다른 가이드 핀 94 또 다른 핀 가이드
96 스프링 엘리먼트 98 납작한 위치면
100 스프링 림 102 슬라이딩 면
104 납작한 세그먼트 106 지지면
108 에지 110 에지
112 하우징 상부의 바닥 113 바닥(112)의 외부 에지
114 래칭 카운터 면 L 길이방향 부

Claims (17)

  1. 조립 후 위치에서 가열 블록과 대략 같은 레벨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96)의 프리텐셔닝력에 의해 상기 가열 블록(8)이 유지되고 그 사이에 가열 블록(8)이 노출되는 대향하는 하우징 개구(16, 18)를 정의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블록(8)은 하우징 부(4)로 도입되고 상기 가열 블록(8)은 또 다른 하우징 부(6)에 의해 둘러싸이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상기 하우징(2)이 상기 가열 블록(8)을 둘러싸도록 닫힐 때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지고 프리텐셔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제 1 길이방향 부(L)가 상기 가열 블록(8)에 의해 취해지는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가 상기 하우징(2)내의 상기 가열 블록(8)의 둘러쌈을 완성하는 상기 또 다른 하우징 부(6)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부(L)위로 조립 후 위치로 가압되도록 상기 하우징 부(4)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4, 6)는 상기 하우징(2)이 닫힐 때 서로에 안내되고 이를 위해 제공된 가이드 엘리먼트(68, 70, 72; 76, 78, 80)는 조립 후 위치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를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기 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력을 유지하는 상기 하우징 부(4, 6)의 하나의 지지면(10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이 닫힐 때 상기 하우징 부(4, 6)가 서로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상기 하우징으로이 도입시 및 상기 가열 블록을 프리텐셔닝하는 힘이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에의해 발생되기 전에 먼저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의 납작한 세그먼트와 상호작용하는 하우징 엘리먼트(62)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4)의 하나에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으로의 전진 도입에 의해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가열 블록을 향해 그리고 상기 하우징 엘리먼트(62)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의 스프링 림(100o)은 먼저 상기 하우징 부(에지면)(6, 110)의 하나에 의해 상기 하우징(2)내로 도입될 때 그리고 상기 하우징 부(에지면)(4, 108)의 나머지 하나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4)으로의 전진 도입에 따라 프리텐셔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4, 6)는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가 조립 후 위치로 옮겨진 후 형태 폐쇄식으로 서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제조 방법.
  8. 조립 후 위치에서, 방열 엘리먼트(12) 및 발열 엘리먼트(10)를 구비한 가열 블록과 대략 같은 레벨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96)의 프리텐셔닝력에 의해 상기 가열 블록(8)이 유지되고 그 사이에 가열 블록(8)이 노출되는 대향하는 하우징 개구(16, 18)를 정의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 장치로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상기 하우징 부(4)의 하나의 엘리먼트(108, 110)를 위한 경사진 슬라이딩 면(102)을 정의하고, 상기 하우징 부(4, 6)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폐쇄될 때 상기 하우징 부(4, 6)의 하나의 지지면(106)에 의해 프리텐셔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림(1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106)은 상기 하우징 부(4, 6)의 결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상기 가열 블록(8)이 그 외측에 위치되는 평면 접촉면(98)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굽은 주름진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 엘리먼트(12)가 직접적으로 위치되는 평면 시트 금속 밴드(34, 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상기 가열 블록(8)의 전체 길이위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시트 금속 밴드 및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고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사기 시트 금속 밴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스프링 림(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대향하는 단부에 결합 방향으로 그리고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이 상기 하우징 부(4)의 하나의 동일한 엘리먼트(108)를 위한 경사진 슬라이딩 면(102b, 102c)을 정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림(100o, 100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는 대향하는 단부에 결합 방향으로 그리고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하우징 부(4, 6)의 엘리먼트(108, 110)를 위한 경사진 슬라이딩 면(102a, 102b)을 정 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림(100o, 100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림(100o, 100u)은 상기 하우징(2)이 상기 하우징 부(4, 6)를 결합함에 의하여 닫힐때 상기 하우징 엘리먼트 중 하나의 지지면(106)에 의해 프리텐셔닝되고 상기 지지면(106)은 결합 과정동안 상대적 이동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림(100o, 100u)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고 결합 방향으로 차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의 스프링 림(100)이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제공되고 이러한 스프링 림(100)을 서로 연결하는 시트 금속 밴드의 실질적으로 납작한 세그먼트(10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부(4, 6) 중의 하나는 인접하는 지지면(106)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가열 블록(8)을 향해 상기 지지면(106)위로 돌출하는 상기 납작한 세그먼트(104)를 위한 스페이서(62)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62)는 적어도 상기 스프링이 상기 가열 블록(8)에 처음에 도입될 때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96)를 위한 안내면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KR1020080069635A 2007-07-18 2008-07-17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70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4116.3A EP2017546B1 (de) 2007-07-18 2007-07-18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Heizvorrichtung sowie elektrischer Heizvorrichtungen
EP07014116.3 2007-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33A true KR20090009133A (ko) 2009-01-22
KR100970032B1 KR100970032B1 (ko) 2010-07-16

Family

ID=3865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635A KR100970032B1 (ko) 2007-07-18 2008-07-17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19158B2 (ko)
EP (1) EP2017546B1 (ko)
JP (1) JP4880648B2 (ko)
KR (1) KR100970032B1 (ko)
CN (1) CN101374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191B1 (ko) * 2008-12-05 201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피티씨 히터
KR101114583B1 (ko) * 2008-12-05 2012-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티씨 로드 조립체
CA2787877C (en) * 2009-02-24 2015-01-13 Sharp Kabushiki Kaisha An air conditioner with a removable heater unit and a heat exchanger
ATE533650T1 (de) * 2009-09-22 2011-12-15 Eberspae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1017376A1 (de) * 2011-04-16 2012-10-18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Elektrische Heizeinrichtung
US8927910B2 (en) * 2011-04-29 2015-01-06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Reno High power-density plane-surface heating element
DE102012013770A1 (de) * 2012-07-11 2014-01-16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Wärme erzeugendes Element
DE102012109801B4 (de) * 2012-10-15 2015-02-0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S20140124494A1 (en) * 2012-11-05 2014-05-08 Betacera Inc. Car interior compartment heater
DE102013111987B4 (de) * 2013-10-30 2016-02-04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Heizvorrichtung und Heizvorrichtung
JP6425525B2 (ja) * 2014-12-08 2018-11-21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の電気式ヒータ
JP6568738B2 (ja) * 2015-07-22 2019-08-28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電気式ヒータ
CN105228275B (zh) * 2015-09-29 2019-03-26 安徽省宁国市天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加热管生产加工控制系统
JP6936575B2 (ja) 2016-12-13 2021-09-15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の電気式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982390B2 (ja) * 2016-12-13 2021-12-17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の電気式ヒータの製造方法
DE102017121064A1 (de) * 2017-05-24 2018-11-29 Webasto SE Wasserheizgerät
DE102017221490A1 (de) * 2017-11-30 2019-06-06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020201571A1 (de) * 2020-02-10 2021-08-12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16135438B (zh) * 2023-04-18 2023-06-16 福建坤华智能装备有限公司 新能源汽车ptc加热体自动装配设备及智能装配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5965C2 (de) * 1978-10-21 1983-01-20 Fritz Eichenauer GmbH & Co KG, 6744 Kandel Elektrisches Widerstandsheizelement
DE3869773C5 (de) * 1988-07-15 2010-06-24 Dbk David + Baader Gmbh Radiator.
DE3902206A1 (de) * 1989-01-26 1990-08-02 Eichenauer Gmbh & Co Kg F Vorrichtung zum erhitzen von gasen
DE3902205A1 (de) * 1989-01-26 1990-08-02 Eichenauer Gmbh & Co Kg F Halteteil fuer ptc-elemente
US5256857A (en) * 1990-08-22 1993-10-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inned PTC air heater assembly for heating an automotive passenger compartment
US5471034A (en) * 1993-03-17 1995-1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ter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a fluid stream with PTC heating elements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US5377298A (en) * 1993-04-21 1994-12-27 Yang; Chiung-Hsiang Cassette PTC semiconductor heating apparatus
JPH07201454A (ja) *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正特性サーミスタ発熱体
DE4434613A1 (de) * 1994-09-28 1996-04-04 Behr Gmbh & Co Elektrische Heiz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455822B1 (en) * 2000-10-11 2002-09-24 Mega Dynamics Ltd. Heat sink for a PTC heating element and a PTC heating member made thereof
FR2838599B1 (fr) * 2002-04-11 2004-08-06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lectrique, notamment pour appareil de chauffage et ou climatisation de vehicule
DE10216157A1 (de) * 2002-04-12 2003-10-23 Behr Gmbh & Co Zu Heizzwecken dienender Wärmeübertrager mit elektrischer Heizeinrichtung
ES2263730T3 (es) 2002-12-19 2006-12-16 CATEM GMBH &amp; CO.KG Dispositivo calefactor electrico con cuerpo envolvente.
ATE385470T1 (de) * 2003-03-13 2008-02-15 Behr Gmbh & Co Kg Elektrische heiz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828529B1 (en) * 2003-06-18 2004-12-07 Chia-Hsiung Wu Integrated form of cooling fin in heating body
EP1515587B1 (de) * 2003-09-11 2006-12-13 Catem GmbH &amp;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mit versiegeltem Heizelement
KR100445723B1 (ko) * 2003-11-18 2004-08-26 우리산업 주식회사 Ptc 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EP1564503B1 (de) 2004-02-10 2007-12-26 Catem GmbH &amp;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für niedrige Bauhöhen
PT1580495E (pt) * 2004-03-22 2011-12-15 Halla Climate Control Corp Aquecedor eléctrico
FR2868737B1 (fr) * 2004-04-13 2008-08-08 Valeo Climatisation Sa Ensemble de chauffage pour installation de chauffage, de ventilation et/ou d'air climatise d'un habitacle de vehicule
DE102004057530A1 (de) 2004-11-29 2006-06-01 Stego-Holding Gmbh Heizlüfter
EP1768458B1 (de) * 2005-09-23 2008-05-14 Catem GmbH &amp; Co.KG Wärmeerzeugendes Element einer Heizvorrichtung
EP1768459B1 (de) * 2005-09-23 2008-05-21 Catem GmbH &amp; Co. KG Wärmeerzeugendes Element einer Heizvorrichtung
EP1790916B1 (de) * 2005-11-23 2014-05-21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mit Toleranz-PTC-Heizelement
EP2053902A1 (en) * 2007-10-26 2009-04-29 Calsonic Kansei Corporation Electrical heat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generator unit and pressing jig for use in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40401A (ja) 2009-02-26
US20090026191A1 (en) 2009-01-29
US8319158B2 (en) 2012-11-27
EP2017546B1 (de) 2016-04-13
KR100970032B1 (ko) 2010-07-16
CN101374376B (zh) 2012-05-30
CN101374376A (zh) 2009-02-25
JP4880648B2 (ja) 2012-02-22
EP2017546A1 (de)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032B1 (ko) 전기 가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70043B1 (ko) 전기 가열 장치
KR100960748B1 (ko) 전기 히터
US7667165B2 (en) Electric he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KR100730416B1 (ko) 하우징을 갖는 전기 가열 장치
US7026584B2 (en) Electric heater with housing
US20110068097A1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10392455B (zh) 电加热装置
KR101158519B1 (ko) 전기 가열 장치 제조 방법 및 전기 가열 장치
US20220346195A1 (en) Electric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692072A (zh) 电加热装置
KR20190116217A (ko) 차량용 히터
KR20110054231A (ko) 차량용 프리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