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027A -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027A
KR20090009027A KR1020070072445A KR20070072445A KR20090009027A KR 20090009027 A KR20090009027 A KR 20090009027A KR 1020070072445 A KR1020070072445 A KR 1020070072445A KR 20070072445 A KR20070072445 A KR 20070072445A KR 20090009027 A KR20090009027 A KR 2009000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sole
ground reaction
center point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282B1 (ko
Inventor
박훈
박해수
Original Assignee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스에이치씨앤 filed Critical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to KR102007007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행자의 하지 골격정렬 이상과 잘못된 보행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발의 피로감 및 관절의 무리를 줄이기 위해 신발 밑창을 적어도 3개 부분으로 분할하여 일반보행자의 다리형태에 따라서 각 부분의 경도를 달리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발 밑창을 적어도 3부분으로 분할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달리하여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며;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조절함으로써 하지관절 및 허리에 발생하는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오랫동안 걸어도 인체근골격계의 피로가 적게 쌓이게 된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발의 피로를 적게함으로써 족부궤양과 같은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보행동작이 바르지 않아 골격정렬이 흐트러져 골격정렬이상과 성장장애를 갖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 관절이 약한 노인이나 류마티스, 디스크 같은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정상적인 보행동작과 골격정렬을 회복할 수 있다.
경도, 신발, 밑창, 지면반력(압력)중심점, 압력중심점, 분할

Description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Shoes having the sole for reduction of joint pain and correction of walking dynamics and lower extremity alignment through controlling the trajectory of ground reaction force center by appropriate medio-lateral arrangement of sole hardness}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행자의 하지 골격정렬 이상과 잘못된 보행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발의 피로감 및 관절의 무리를 줄이기 위해 신발 밑창을 적어도 3개 부분으로 분할하여 일반보행자의 다리형태에 따라서 각 부분의 경도를 달리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오(O)자형 무릎(genu varum)이나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의 골격정렬에서는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측 균형이 무너져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부위의 관절연골이 손상되어 관절염이 발병한다.
도 1은 정면에서 바라본 인체 하지정렬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하지정렬에서 경골의 해부학적 축(1)과 대퇴부의 해부학적 축(3)사이의 외측 각도 θ(5)가 180°이상이면 오(O)자형 무릎(genu varum)으로, 165°이하이면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으로 판정된다. 이렇게 선천적으로 오(O)자형 무릎(genu varum)이나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의 골격정렬을 갖고 있더라도 발바닥에 작용하는 하중을 내외측으로 균형되게 조절해 주면 무릎관절에 작용하는 하중이 내외측으로 균형이 잡혀 퇴행성 관절염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예방할 수 있다. 성장기의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에는 골단의 성장판을 균형있게 자극하게 되어 근골격계의 성장장애를 해소하며 정상적인 근골격계로의 성장을 유도하여 종국에는 유전적으로 타고난 잠재 성장치를 최대한 달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정상보행 시 진행방향에 대해 발이 바깥쪽으로 7°회전된 상태인 토우 아웃(toe out) 현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세에서 정상적인 경우에는 발바닥(50)상에서 발중심선(150)이 진행방향(155)에 대해 외측으로 7°정도 회전된 토우 아웃(toe out)자세로 보행한다. 정상적인 보행으로 여겨지는 토우 아웃의 범위는 발중심선(150)이 진행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0°~ 10°정도 회전된 경우인데, 이보다 큰 각도로 발이 회전된 경우를 8자 걸음이라고 한다. 즉, 이런 자세로 보행하게 되면 거골하관절의 회내운동이 증가하고 불균형된 하중이 무릎에 작용하게 되어 무릎관절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안이나 밖으로 휘지 않은 다리를 가진 사람의 보행이 가장 이상적이다. 자연스런 보행 시 발을 위쪽에서 보았을 때 발의 앞부분이 몸바깥쪽으로 7°정도 회전된 상태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구름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발바닥면(50)이 처음 지면에 닿는 부분은 발뒤꿈치의 외측부분이다. 이후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이 발바닥면(50)의 내측으로 이동한 후 발중심선(150)을 따라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이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발바닥 상에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면(50)이 처음 지면에 닿는 부분은 발뒤꿈치부터 발길이의 23~30% 범위에 존재하는 토우 아웃 회전중심점(140)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중앙돌출점(pternion)과 둘째발가락 중심을 연결한 선분인 발중심선(150)을 내측으로 7°회전했을 때 뒤꿈치 경계와 교차하는 부분이다. 발뒤꿈치에서 발생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은 발바닥이 점차 지면과 닿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발가락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정상적인 하지골격정렬과 보행동작을 지닌 사람들은 보행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방향에 대해 발중심선(150)이 외측으로 7°회전한 선분을 중심으로 ± 3°사이에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나타난다.
가장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60)은 발뒤꿈치의 외측부터 바닥에 닿아 발바닥(50) 중간부에서는 직선으로 이동한 후 둘째발가락 부분으로 지면반력(압력)중심이 곡선을 그리며 이동한다. 그러나 이렇게 정상적인 지면반력 (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보행을 수행하는 사람은 드물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다리 형태는 안이나 밖으로 휘어있고 토우 아웃 각도도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60)과는 다른 형태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오(O)자형 무릎(genu varum) 형태의 다리를 갖는 사람에게는 보행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정상범위에서 외측으로 평행이동되어 오(O)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70)이 나타난다. 또한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 형태의 다리를 갖는 사람에게는 보행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정상범위에서 내측으로 평행이동되어 엑스(X)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80)이 나타난다.
도 4는 맨발 보행 시 압력분포측정기에 의해 측정되는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과 압력분포의 예시도이다. 도 4의 압력분포도의 오른쪽에는 압력에 따른 색상별 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분포측정기를 사용하여 맨발 보행시에 나타나는 발바닥면의 압력분포와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측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압력분포측정기가 구비된 샵(shop)이나 병원에서 개인의 보행특성을 측정한 후 각 개인의 골격정렬과 보행자세에 맞는 제품을 추천받거나 맞춤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 실현하기가 어렵다.
도 5는 종래의 신발 밑창 평면도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 밑창(10)은 개인별 골격정렬과 보행자세에 따라 정상에서 벗어난 동작을 조절해주는 기능없이 개개인의 보행동작 에 의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도록 설계제작되었다. 몇몇 런닝화와 워킹화에서 발이 안쪽으로 구르는 회내운동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뒤꿈치부 내측에 경도가 높은 소재를 배치하여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이 있지만 이것은 회내운동의 양을 줄여주거나 속도를 늦춰주는 기능이지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조절해주는 것은 아니다. 발의 최초 지면착지 동작과 착지 후 정상적인 내외측 하중 배분과 발의 지면이지 동작 등 발이 지면과 착지하고 있는 동안의 동작 전체를 조절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신발은 아직까지 없었다.
일반 보행자들의 다리형태는 안이나 밖으로 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보행시 발뒤꿈치의 최적위치가 처음 지면에 닿는 것이 아니라 발의 안쪽에서 바깥쪽에 걸쳐 다양한 부위에서 먼저 닿게 된다. 발의 중간부와 앞쪽부분에서도 각 개인별로 골격정렬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그려진다. 상기와 같이 비정상적인 보행동작이 계속되면 성장기의 어린이와 청소년은 골격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해 골격정렬이 틀어지고 정상적인 성장치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관절이 약한 노인이나 관절염, 디스크 등의 질환을 가진 보행자는 관절 및 허리에 무리가 가서 거동이 힘들게 되고, 쉽게 발과 다리에 피로가 쌓여서 보행이 힘들게 되며 병이 악화되어 보행능력이 퇴화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리의 형태를 교정하거나 개인별로 맞춤신발을 제작하여 착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잘못된 골격정렬을 교정하 는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개인별 맞춤신발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대중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보행시 잘못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보행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잘못된 골격정렬과 보행동작으로부터 비롯되는 보행피로와 근골격계통증, 성장장애를 해결하는 것이 더욱 빠르고 간편하다.
한편, 현재 일반 보행자들은 개인별 다리 형태에 맞는 신발 대신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신발을 착용하고, 또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 동일한 형태의 신발 밑창(1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잘못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조절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신발 밑창을 적어도 3개 부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한다. 성장을 완료한 일반인의 경우는 비정상적인 골격정렬과 잘못된 걸음걸이 습관으로 인한 보행피로와 근골격계의 통증을 줄이고, 성장기의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에는 근골격계의 성장장애를 해소하며 정상적인 근골격계로의 성장과 잠재 성장치를 최대한 달성하도록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발 밑창을 적어도 3부분으로 분할하되, 신발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중심부와; 중심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발 밑창의 내측부에 형성된 안쪽지지부와; 중심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신발 밑창의 외측부에 형성된 바깥쪽지지부를 포함하고,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정상적인 하지골격정렬과 보행동작을 가진 사람은 신발 밑창의 경도를 안쪽지지부의 경도 = 바깥쪽지지부의 경도 〉중심부의 경도 순으로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오(O)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는 사람은 신발밑창의 경도를 바깥쪽지지부의 경도 〉안쪽지지부의 경도 〉중심부의 경도 순으로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엑스(X)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는 사람은 신발밑창의 경도를 안쪽지지부의 경도 〉바깥쪽지지부의 경도 〉중심부의 경도 순으로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안쪽지지부, 중심부 및 바깥쪽지지부는 이종 소재를 사용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안쪽지지부, 중심부 및 바깥쪽지지부는 성형시 성형 압축율을 다르게 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안쪽지지부, 중심부 및 바깥쪽지지부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신발 밑창은 뒤꿈치굽을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3부분으로 분할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신발 밑창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밑창의 뒤꿈치부분은 3부분으로 분할된 충격흡수부가 결합되고, 충격흡수부의 안쪽지지부와 중심부와 바깥쪽지지부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신발 밑창은 외측부 위에서 내측부 아래로 향하는 사선으로 전족부와 중족부 및 후족부의 3부분으로 분할하고, 중족부는 중심부와; 중심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형성된 안쪽지지부와; 중심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성된 바깥쪽지지부를 포함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것 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잘못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정상적인 형태로 조절하여 잘못된 보행동작으로 인하여 관절 및 허리에 가는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체근골격계를 보호하고 관절의 통증을 최소화하고, 오랫동안 걸어도 발과 다리의 피로가 적게 쌓이게 된다. 또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발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발의 피로를 적게 함으로써 족부궤양과 같은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관절이 약한 노인이나 류마티스, 디스크 등의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 인체근골격계의 통증을 해소하고 인체근골격계를 보호하며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다. 또한 보행동작이 바르지 않아 골격정렬이 흐트러져 골격정렬이상과 성장장애를 갖고있는 어린이와 청소년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정상적인 보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정상적인 골격정렬을 회복하고 정상적인 근골격계로의 성장과 잠재 성장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신발뿐만이 아니라 발의 유연성이 결여된 경우 신발이 발의 보행동작을 도와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은 신발 밑창을 라운드(round)로 형성하여 보행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신발로써, 기존 밑창 대신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 밑창을 결합하면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조절하게 되므로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 용 신발을 착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신발 밑창(100)은 신발 밑창의 외측부(30)에서 내측부(20)를 가로지르는 가로길이를 적어도 3부분으로 분할하여 중심부(120)와 안쪽지지부(110)와 바깥쪽지지부(130)로 구성된다.
중심부(120)는 신발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신발 밑창 중앙에 형성한다.
안쪽지지부(110)는 중심부(120)의 일측에 결합하여 신발 밑창(100)의 내측부(20)에 형성한다.
바깥쪽지지부(130)는 중심부(120)의 타측에 결합하여 신발 밑창(100)의 외측 부(30)에 형성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서 신발 밑창에서 뒤꿈치에서 0% ~ 30% 범위를 후족부, 31% ~ 60% 범위를 중족부라 하고, 61% ~ 100%를 전족부라 한다. 또한 인체 하지정렬에서 경골의 해부학적 축과 대퇴부의 해부학적 축사이의 외측 각도가 180°이상이면 오(O)자형 무릎(genu varum)으로, 165°이하이면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밑창(100)은 중앙에 형성된 중심부(120)와 중심부의 일측에 안쪽지지부(110)와 중심부의 타측에 바깥쪽지지부(130)를 결합하여 제작한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밑창(100)은 안쪽지지부(110), 바깥쪽지지부(130), 중심부(120)를 서로 다른 경도의 재질로 제작하여 금형내에서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접착제로 상호 결합한다. 각 부분을 서로 다른 경도의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오(O)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70)과 엑스(X)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80)을 보이는 보행자들에게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60)이 나타나도록 조절한다. 이때 각 부분의 재질은 스폰지, 고무,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하는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지 않은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3은 발바닥 상에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이 이동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골격정렬과 보행동작을 지닌 사람들은 보행시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60)을 갖는데, 발중심선(150)이 몸 진행방향에 대해 몸 바깥쪽으로 7°정도 회전된 토우 아웃(toe out) 상태로 보행을 하기 때문에 최초 지면착지점은 뒤꿈치 중심부가 아니라 발중심선이 발뒤꿈치부터 발길이의 23~30% 범위에 존재하는 토우 아웃 회전중심점(140)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7°회전했을 때 뒤꿈치 경계와 교차하는 부분이다. 이렇게 최초 지면착지한 후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은 발뒤꿈치부 중심점에 도달하기 전에 발중심선(150)으로 접근하여 발중심선을 따라 발길이 60% 지점까지 거의 직선으로 이동한 후 둘째발가락 중심으로 완만하게 꺽여 이동하여 빠져나간다. 즉, 발뒤꿈치의 외측부터 바닥에 닿아 발바닥(50) 가운데를 지나 둘째발가락 부분으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이 이동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의 다리 형태는 안이나 밖으로 휘어있고 올바른 보행동작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60)과는 다른 형태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오(O)자형 무릎(genu varum) 형태의 다리를 갖는 사람에게는 보행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정상범위에서 외측으로 평행이동되어 오(O)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70)이 나타난다. 또한 엑스(X)자형 무릎(genu valgum) 형태의 다리를 갖는 사람에게는 보행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정상범위에서 내측으로 평행이동되어 엑스(X)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 력)중심점의 이동궤적(180)이 나타난다. 8자 걸음이라고 하는 자세는 토우아웃 각도가 정상범위보다 큰 경우이며, 이런 자세로 보행하게 되면 지면착지 시 정상보다 더 먼 발뒤꿈치의 외측 바깥쪽 부분이 먼저 땅에 닿게 되어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이 발중심선쪽으로 휘어져 들어오게 된다. 이것은 무릎관절염을 유발하는 초기 회내운동이 급격히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다리골격정렬형태를 갖는 사람이 정상적인 보행을 할 때 나타나는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을 재현하도록 밑창의 경도를 안쪽지지부(110) = 바깥쪽지지부(130) 〉중심부(120) 순으로 제작하여 착용한다. 하지골격정렬이 오(O)자형 무릎이나 엑스(X)자형 무릎 혹은 하지골격정렬과 관계없이 8자걸음 같은 보행동작이 잘못된 경우라도 발뒤꿈치부가 지면에 착지되면서 경도가 낮은 쪽으로 자연스럽게 중심이 이동하게 되고 경도가 높은 안쪽부(110)와 바깥쪽부(130) 사이에 있는 경도가 낮은 부분으로 안내되어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160)을 나타내게 되어 발과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의 내외 균형이 조절된다.
오(O)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는 사람은 신발밑창의 경도를 바깥쪽지지부(130) 〉안쪽지지부(110) 〉중심부(120)로 맞춤제작하고, 엑스(X)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는 사람은 신발밑창의 경도를 안쪽지지부(110) 〉바깥쪽지지부(130) 〉중심부(120)로 맞춤제작하여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구두형태의 신발의 뒤꿈치굽을 분할한 신발 밑창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의 뒤꿈치굽(200B)을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3개 부분으로 분할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단 앞쪽바닥면(200A)의 경도는 뒤꿈치굽(200B)의 경도와 무관하다. 이때 뒤꿈치굽 경계선(250)는 신발 밑창(200)의 어디에 위치해도 무방하나, 뒤쪽에서 신발의 전체길이의 30~40% 부분에 뒤꿈치굽(200B)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뒤꿈치굽(200B)만을 분할하는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행자의 다리 형태에 따라서 안쪽지지부(210)와 중심부(220)와 바깥쪽지지부(230)의 경도를 적용한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신발 밑창을 부착한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밑창이 라운드(round)형태로 이루어지고 발의 유연성이 결여된 경우 신발이 발의 보행동작을 도와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350)은 신발밑창(300)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행자의 다리 형태에 따라서 안쪽지지부(310)와 중심부(320)와 바깥쪽지지부(330)의 경도를 적용하여 보행동작을 교정하는 기능을 더욱 배가시킨다.
(제 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뒤굼치부분에 충격흡수부가 결합된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12와 도 13은 도 11 에 도시된 C-C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450)의 신발밑창(480)의 뒤꿈치부분에 발포체 소재나 에어백으로 만든 충격흡수부(400)를 장착하여, 충격흡수부(400)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안쪽지지부(410)와 중심부(420)와 바깥쪽지지부(430)의 경도를 적용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형태의 충격흡수부(500)를 제작할 경우에는 에어백 중심부(520)의 압축강성을 안쪽지지부(510)와 바깥쪽지지부(530)보다 약하게 제작하여 발포체 소재로 만든 충격흡수부(400)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압축강성을 조절하는 방법은 에어백 제작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통상적인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5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분할된 신발 밑창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밑창(600)을 전족부(600A)에서는 안쪽지지부(610)와 중심부(620)의 경도를 동일하게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후족부(600C)에서는 바깥쪽지지부(630)와 중심부(620)의 경도를 동일하게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중족부(600B)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안쪽지지부(610)와 중심부(620)와 바깥쪽지지부(630)의 경도를 다르게 적용한다.
(제 6 실시예)
또한 신발 밑창(700)을 다수로 분할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다수로 분할한 신발 밑창 평면도이 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 부분으로 분할하는 경우 중심부(720)를 신발 밑창의 중앙에 형성하고 안쪽지지부(710)는 제 1안쪽지지부(710A)와 제2안쪽지지부(710B)로 분할하고, 바깥쪽지지부(730)는 제 1바깥쪽지지부(730A)와 제 2바깥쪽지지부(730B) 분할하여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경도를 적용한다. 일반체형의 사람은 제 1바깥쪽지지부(730A) = 제 1안쪽지지부(710A) 〉제 2바깥쪽지지부(730B) = 제 2안쪽지지부(710B) 〉중심부(720) 순으로 신발 밑창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한 신발을 착용한다. 오(O)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는 제 1바깥쪽지지부(730A) 〉제 2바깥쪽지지부(730B) 〉제 1안쪽지지부(710A) 〉제 2안쪽지지부(710B) 〉중심부(720) 순으로 맞춤제작하여 효과를 배가시킨다. 엑스(X)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는 제 1안쪽지지부(710A) 〉제 2안쪽지지부(710B) 〉제 1바깥쪽지지부(730A) 〉제 2바깥쪽지지부(730B) 〉중심부(720) 순으로 맞춤제작하여 효과를 배가시킨다.
신발 밑창(100)의 경도의 차이는 성형시 성형 압축율을 다르게 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을 제작하기 전의 합성수지재질의 두께를 안쪽지지부(110)를 4cm, 중심부(120)를 5cm, 바깥쪽지지부(130)를 6cm로 하고, 밑창 완성품의 두께를 3cm로 유지하여 각부분을 압축한다면 각 부분의 압축율이 달라지게 되므로 완성품의 경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압축율을 달리하여 제작할 때에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경도를 적용한다.
신발 밑창(100)의 경도는 재질에 포함되는 발포제의 양으로도 조절할 수 있 다. 신발 밑창을 제작할 때 발포제의 양을 많게 하면 발포제 사이에 포함된 공기가 많아지게 되므로 경도가 낮아지고, 발포제의 양을 적게 하면 반대로 경도가 높아진다.
(제 7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분할된 신발 밑창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밑창(600)을 외측부(30) 위에서 내측부(20) 아래로 향하는 사선으로 전족부(810), 중족부(820), 후족부(830) 3부분으로 분할하고, 중족부(820)를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안쪽지지부(821)와 중심부(822)와 바깥쪽지지부(823)의 경도를 적용하여 분할한다. 후족부(830)와 전족부(610)는 중족부(820)의 중심부(822)의 경도와 같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정면에서 바라본 인체 하지정렬 정면도.
도 2는 정상보행 시 진행방향에 대해 발이 바깥쪽으로 7° 회전된 상태인 토우 아웃(toe out) 현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발바닥 상에서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맨발 보행 시 압력분포측정기에 의해 측정되는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과 압력분포의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신발 밑창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뒤꿈치굽을 분할한 신발 밑창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신발 밑창을 부착한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B-B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뒤꿈치부분에 충격흡수부를 장착한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발포체 소재로 제작된 충격흡수부 C-C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에어백 형태로 제작된 충격흡수부 C-C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다수로 분할한 신발 밑창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다수로 분할한 신발 밑창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다수로 분할한 신발 밑창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내측부
30 : 외측부
100, 200, 300, 600, 700, 800 : 신발 밑창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21 : 안쪽지지부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2 : 중심부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23 : 바깥쪽지지부
140 : 토우 아웃 회전중심점
150 : 발중심선
160 : 이상적인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
170 : 오(O)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
180 : 엑스(X)자형 무릎의 지면반력(압력)중심점의 이동궤적
250 : 뒤꿈치굽 경계선
200A : 앞쪽바닥면
200B : 뒤꿈치굽
350, 450 : 헨켈(Henkel)형 굴림워킹(마사이워킹)용 신발
400, 500 : 충격흡수부
600A, 810: 전족부
600B, 820 : 중족부
600C, 830 : 후족부
710A, 710B : 제 1, 2안쪽지지부
730A, 730B : 제 1, 2바깥쪽지지부

Claims (10)

  1. 신발 밑창(100)을 적어도 3부분으로 분할하되,
    신발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중심부(120)와;
    상기 중심부(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발 밑창(100)의 내측부(20)에 형성된 안쪽지지부(110)와;
    상기 중심부(1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발 밑창(100)의 외측부(30)에 형성된 바깥쪽지지부(130)를 포함하고,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하지골격정렬과 보행동작을 가진 사람은 상기 신발 밑창(100)의 경도를 안쪽지지부(110)의 경도 = 바깥쪽지지부(130)의 경도 〉중심부(120)의 경도 순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오(O)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는 사람은 상기 신발 밑창(100)의 경도 를 바깥쪽지지부(130)의 경도 〉안쪽지지부(110)의 경도 〉중심부(120)의 경도 순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엑스(X)자형 무릎의 하지골격정렬을 갖는 사람은 상기 신발밑창의 경도를 안쪽지지부(110)의 경도 〉바깥쪽지지부(130)의 경도 〉중심부(120)의 경도 순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지지부(110), 상기 중심부(120) 및 상기 바깥쪽지지부(130)는 이종 소재를 사용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지지부(110), 상기 중심부(120) 및 상기 바깥쪽지지부(130)는 성형 시 성형 압축율을 다르게 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지지부(110), 상기 중심부(120) 및 상기 바깥쪽지지부(130)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8. 신발 밑창(200)은 뒤꿈치굽(200B)을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3부분으로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9. 신발 밑창(480)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480)의 뒤꿈치부분은 3부분으로 분할된 충격흡수부(400)가 결합되고,
    상기 충격흡수부(400)의 안쪽지지부(410)와 중심부(420)와 바깥쪽지지부(430)의 경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10. 신발 밑창(800)은 외측부(30) 위에서 내측부(20) 아래로 향하는 사선으로 전족부(810)와 중족부(820) 및 후족부(830)의 3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족부(820)는 중심부(822)와;
    상기 중심부(822)의 내측에 결합되어 형성된 안쪽지지부(821)와;
    상기 중심부(822)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성된 바깥쪽지지부(823)를 포함하여 각 부분의 경도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관절통증 완화, 보행동작 및 골격정렬 교정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신발.
KR1020070072445A 2007-07-19 2007-07-19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기능성 신발 KR100912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445A KR100912282B1 (ko) 2007-07-19 2007-07-19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445A KR100912282B1 (ko) 2007-07-19 2007-07-19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27A true KR20090009027A (ko) 2009-01-22
KR100912282B1 KR100912282B1 (ko) 2009-08-17

Family

ID=4048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445A KR100912282B1 (ko) 2007-07-19 2007-07-19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820A1 (en) * 2022-11-02 2024-05-10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Early knee osteoarthritis intervention footw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9B1 (ko) * 2008-12-29 2011-07-20 박해수 퇴행성 무릎 관절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1595520B1 (ko) 2015-10-01 2016-02-18 주식회사 고려티티알 발뒤꿈치보호수단과 다중경도를 가지는 트래킹화
KR102258355B1 (ko) 2020-11-26 2021-05-31 박만봉 발 뒤꿈치 외측 보강용 지지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005A (ja) * 1992-05-30 1993-12-14 Achilles Corp 多重硬度靴底
JPH0923904A (ja) * 1995-07-13 1997-01-28 Nippon Solid Co Ltd 履 物
JP2002355103A (ja) 2001-06-04 2002-12-10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KR200403176Y1 (ko) * 2005-09-09 2005-12-08 정운교 헬스 다이어트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820A1 (en) * 2022-11-02 2024-05-10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Early knee osteoarthritis intervention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282B1 (ko)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822B1 (ko)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 장치
JP3942027B2 (ja) 履物ソール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EP3130246B1 (en) Joint load reducing footwear
CN105228565B (zh) 具有曲线形鞋底的矫形行走支具
EP2132999A1 (en) Shoe sole element
US9781971B2 (en) Integrated medical shoe device
KR100998239B1 (ko)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US9402438B2 (en) Joint load reducing footwear
KR100912282B1 (ko) 내외측 경도의 차이 배열을 이용한 지면반력중심점 이동궤적 조절용 밑창을 장착한 기능성 신발
JP4896221B2 (ja)
KR100599501B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KR101920227B1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CN107006931B (zh) 一种能提供足弓动态支撑的鞋结构
CN206576381U (zh) 一种鞋及鞋垫
US20130067764A1 (en) Integrated medical shoe device
JPH02261447A (ja) 足裏支持体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2006263397A5 (ko)
WO2008102189A1 (en) Footwear with unstable sole structure
JP2006263397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KR100960051B1 (ko) 족저 압력이 경감되는 구두굽 및 이를 구비한 당뇨화
KR102595608B1 (ko) 신발용 깔창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200419430Y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