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43U -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 Google Patents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43U
KR20090008743U KR2020080002549U KR20080002549U KR20090008743U KR 20090008743 U KR20090008743 U KR 20090008743U KR 2020080002549 U KR2020080002549 U KR 2020080002549U KR 20080002549 U KR20080002549 U KR 20080002549U KR 20090008743 U KR20090008743 U KR 20090008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lter
screen
film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905Y1 (ko
Inventor
최규탁
Original Assignee
최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탁 filed Critical 최규탁
Priority to KR2020080002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0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방충망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방충망에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미세먼지와 황사는 물론 창문을 열어놓고 있어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신선한 외부공기만이 실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의 형태로 테두리를 이루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내부를 차단하기 위해 결합되어지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통공(21)이 형성되어져 있는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A WINDOW FILTER}
본 고안은 창문형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방충망을 보완하여 베란다나 창문을 통해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문에는 바람은 유입되면서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충망은 단순히 모기장과 같은 망사나 철망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어서 상기한 해충의 침입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비산먼지나 특히 봄철에 자주 발생하는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은 막을 수가 없게 된다.
또한, 하절기나 그 중에서도 비가 자주 오는 장마철에는 실내공기가 후덥지근하여 창문을 열어놓을 수 밖에 없는데, 이때에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비가 바람에 의해 실내로 들이 닥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선출원된 실용 출원번호 제2004-19817호에서는 발포 우레탄 스펀지를 사이에 두고 양면에서 합성수지와 알루미늄 철망이 차례로 포개어지는 방충망 대용의 필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창문 필터는 전체적으로 5층의 적층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자체 중량으로 인해 필터 창문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며,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철망이 사용되어짐으로 인해 외부 충격력 발생시 쉽게 파손되어짐과 함께 빗물 유입으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바람은 유동은 가능한 가운데 미세먼지 및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형 필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필터층이 얇은 박막 구조를 이루어 중량을 최소화 하면서 필터막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의 형태로 테두리를 이루는 창틀의 내부를 차단하기 위해 스텐레스막 또는 부직포막이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필터층을 이루도록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창틀에는 스텐레스막 또는 부직포막을 일측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철망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망에는 나노은 코팅층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 방충망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방충망에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미세먼지와 황사는 물론 창문을 열어놓고 있어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신선한 외부공기만이 실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필터막의 재질을 부식성에 강하고 내구성을 갖는 스텐레스 재질 또는 연성의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나노은 코팅이 이루어진 철망을 구성시킴으로서 제품의 항균특성을 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창문형 필터의 필터막을 부분 절개한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나노은 코팅층이 형성된 철망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설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틀 20 : 스텐레스막
21 : 미세통공 30 : 부직포막
40 : 철망 41 : 나노은 코팅층
50 : 송풍팬 51 : 구동모터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필터의 특징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사각형태의 창틀(10)에는 본 고안의 필터막으로 사용되어지는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특히, 부식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텐렌스 재질로 제작되어진 본 고안 스텐레스막(20)의 경우에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통공(21)이 형성된 박막 구조로 설치되어짐으로서, 제품의 중량을 최소화 함이 바람직 하다.
또한, 필터막을 지지하기 위한 철망(40)이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성되어짐으로서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철망(40)에는 항균 및 방충 특성을 갖는 나노은을 코팅처리하여 도 3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외표면에 나노은 코팅층(41)을 박막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창문형 필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창문형 필터는 기존의 방충망과 같이 창문과 함께 창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름철 창문을 열었을 때 본 고안의 창문형 필터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실내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은 공기의 유동은 가능하나 먼지, 황사 등과 같은 이물질은 미세통공(21)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걸러지게 됨으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시원한 공기만이 실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빗물의 유입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 비가오는 날씨에 창문을 열어놓아도 빗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은 철망(40)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 어린아이가 기대거나 손으로 밀더라도 찢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철망(40)에 나노은 코팅층(41)이 코팅 형성되어진 상태에서는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나노은 성분에 의한 항균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방충 효율을 극대화 함은 물론, 실내 공기 오염으로 인한 어린 아이들의 아토피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창문형 필터를 사용함으로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킴과 함께, 항상 창문을 열어놓아도 실내 오염의 걱정없이 마음놓고 생활할 수 있는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내에서 화초를 키우는 가정의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로 인하여 화초에 미치는 악영향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어 실내에서도 화초가 더욱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필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송풍팬(50)을 일측에 구동모터(51)와 함께 구성시킨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경우 기존의 방충망에 비해 바람의 실내 유입량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구동모터(51)에 의해 동작되어지는 송풍팬(50)을 구성시킴으로서, 외부 공기의 강제 유입을 통해 외부 공기의 실내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막을 통과하여 강제 유입되는 공기는 나노은 코팅이 이루어진 철망(40)에 의해 1차적인 살균처리가 이루어진 후, 스텐레스막(20)의 미세통공(21) 또는 부직포막(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적인 미세먼지의 포집이 이루어짐으로서 최종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창문형 필터장착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와 달리 스텐레스막(20)의 실내측 또는 실외측면에 학이나 까치 등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으로서 미관상 아름답게 모양을 강조하여 실내에서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사각의 형태로 테두리를 이루는 창틀(10);
    상기 창틀(10)의 내부를 차단하기 위해 결합되어지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통공(21)이 형성되어져 있는 스텐레스막(20);
    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2. 사각의 형태로 테두리를 이루는 창틀(10);
    상기 창틀(10)의 내부를 차단하기 위해 결합되어지는 부직포막(30);
    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에는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을 일측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철망(4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철망(40)에는 나노은 코팅층(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에는 스텐레스막(20) 또는 부직포막(30)을 통해 공기의 강제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송풍팬(50)이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KR2020080002549U 2008-02-26 2008-02-26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KR200448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49U KR200448905Y1 (ko) 2008-02-26 2008-02-26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49U KR200448905Y1 (ko) 2008-02-26 2008-02-26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3U true KR20090008743U (ko) 2009-08-31
KR200448905Y1 KR200448905Y1 (ko) 2010-06-07

Family

ID=4130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549U KR200448905Y1 (ko) 2008-02-26 2008-02-26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9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1345A (zh) * 2017-02-23 2017-05-31 诺曼利尔(青岛)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防霾纱窗及防霾纱窗中纳米光净化涂层的制备方法
PL423927A1 (pl) * 2017-12-18 2019-07-01 Ekonex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Panel wentylacyjny z kieszenią filtrującą powietrze
KR102040891B1 (ko) 2018-11-06 2019-11-27 조미리 레인블라인드 조립체
KR102095997B1 (ko) * 2018-11-26 2020-04-01 강윤재 방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96Y1 (ko) * 2004-04-23 2004-07-19 성낙오 방충망 원단
KR200365163Y1 (ko) * 2004-07-08 2004-10-19 신현섭 벨크로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부직포필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1345A (zh) * 2017-02-23 2017-05-31 诺曼利尔(青岛)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防霾纱窗及防霾纱窗中纳米光净化涂层的制备方法
CN106761345B (zh) * 2017-02-23 2018-12-21 诺曼利尔(青岛)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防霾纱窗及防霾纱窗中纳米光净化涂层的制备方法
PL423927A1 (pl) * 2017-12-18 2019-07-01 Ekonex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Panel wentylacyjny z kieszenią filtrującą powietrze
KR102040891B1 (ko) 2018-11-06 2019-11-27 조미리 레인블라인드 조립체
KR102095997B1 (ko) * 2018-11-26 2020-04-01 강윤재 방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905Y1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1480B2 (ja) 空気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
KR200448905Y1 (ko)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CN110678619B (zh) 智能窗户及其驱动方法
EP3024558A1 (en) Filtering panel for the passive filtering of air and gases
CN104653049A (zh) 通风门
CN207988245U (zh) 一种带有遮阳百叶的穹顶玻璃幕墙
KR102237649B1 (ko)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003529U (ko) 보수용 방충망 시트
CN212002972U (zh) 一种多功能纱网门窗
CN2737917Y (zh) 多功能吸声百叶窗帘
JP2005264450A (ja) 防花粉兼用網戸
CN207453849U (zh) 一种平面式空气过滤塑料纱窗
KR20100032078A (ko) 방충망 착설 구조체
CN206468256U (zh) 船用防霾消声百叶窗
KR200382688Y1 (ko) 차량용 방충망
JP2013047599A (ja) 換気フィルター及び換気建具
KR100779132B1 (ko) 롤 환경방충망
CN215271954U (zh) 一种遮光隔音的驱蚊安神窗帘
CN214740850U (zh) 一种嵌入通风系统的防蚊防霾净化窗
JP3099709U (ja) 濾過機能に優れた網戸
CN220450076U (zh) 一种聚碳酸酯幕墙板透气胶带
JP3113600U (ja) 網戸用花粉遮断装置
CN205189723U (zh) 纳米纱窗
KR20180113647A (ko) 방충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창호 및 그의 구동방법
CN203547458U (zh) 防虫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