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997B1 - 방충 장치 - Google Patents
방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5997B1 KR102095997B1 KR1020180147395A KR20180147395A KR102095997B1 KR 102095997 B1 KR102095997 B1 KR 102095997B1 KR 1020180147395 A KR1020180147395 A KR 1020180147395A KR 20180147395 A KR20180147395 A KR 20180147395A KR 102095997 B1 KR102095997 B1 KR 102095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branch
- air flow
- flow
- mesh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부 내측에 구비되고 망 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와, 상기 망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메쉬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 유동부와, 상기 에어 유동부와 연결된 상기 망 구조의 축을 따라 형성되는 에어커튼공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에어 유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는 상기 망 구조의 축을 따라 에어커튼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방충 장치에는 상기 망 구조 뿐만아니라 에어커튼에 의한 이중적인 차폐 구조가 형성되어, 그 방충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커튼 형성을 통해 방충 기능을 수행하는 방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창문틀과 같은 건물의 개구 구간에 설치되는 망(Mesh) 구조체로써, 모기 등과 같은 해충 또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방충망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7-0009157에는, 도어 문틀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쌍의 수직방충망틀과 수평방충망틀로 이루어지는 방충망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방충망틀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시선 차단판 삽입홈을 구비하는 시선차단판 결합구와, 상기 시선차단판 삽입홈에 양측단이 삽입가능토록 플랙시블하고 처지지 않도록 단면이 호(弧)형상을 갖는 시선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이 개시된다. 이 밖에도 방충망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충망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7-0009157에는, 도어 문틀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쌍의 수직방충망틀과 수평방충망틀로 이루어지는 방충망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방충망틀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시선 차단판 삽입홈을 구비하는 시선차단판 결합구와, 상기 시선차단판 삽입홈에 양측단이 삽입가능토록 플랙시블하고 처지지 않도록 단면이 호(弧)형상을 갖는 시선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이 개시된다. 이 밖에도 방충망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때, 방충망을 상술한 망 구조로만 형성한다면, 환기 도중 망 구조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은 크기를 지닌 각종 해충들이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없게 되어, 이로 인해 실내 거주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방충망 구조체에 망 구조 뿐만아니라 에어커튼 형성에 의한 이중적인 차폐 구조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이물질 차폐 기능을 갖춘 방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는, 내측에 메쉬 수용구간이 소정의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구조로 형성되며 내측에 기체 유동이 주입되는 에어 유동부 및 상기 에어 유동부와 연통되며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분기축과, 상기 에어 분기축 내부의 중공구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에어 분기축을 따라 소정의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커튼공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 수용구간의 내측에 격자 내지 망 구조로 구비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충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면에 구비되고 태양광 패널 구조로 형성되는 패널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에 집열된 열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부재와,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재를 포함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발전부가 공급하는 전력을 통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튼공은, 말단이 실외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 또는 곡률을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부는, 상기 에어 유동부와 연통되는 상기 에어 분기축의 일단 중 상기 에어 유동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지점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동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분기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부는, 상기 에어 유동부로부터의 공기 유동이 분기됨으로써 상기 에어 분기축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상기 에어커튼공의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에어커튼공의 단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고 경사 구조로 형성되는 분기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부는, 상기 분기구간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기구간과 나란한 경사를 가진채 상기 에어 분기축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는 제 2 분기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는, 프레임부 내측에 구비되고 망 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와, 상기 망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메쉬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 유동부와, 상기 에어 유동부와 연결된 상기 망 구조의 축을 따라 형성되는 에어커튼공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에어 유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는 상기 망 구조의 축을 따라 에어커튼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방충 장치에는 상기 망 구조 뿐만아니라 에어커튼에 의한 이중적인 차폐 구조가 형성되어, 그 방충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부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 유동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쉬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부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 유동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쉬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부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 유동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쉬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1000)는 프레임부(100), 에어 유동부(200), 메쉬부(300), 송풍부(400) 및 발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내측에 메쉬 수용구간(101)이 소정의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일종의 창틀 구조체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유동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 길이축을 따라 구비되는 중공관 구조체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400)는 상기 에어 유동부(20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으로, 팬, 노즐 등과 같이 공기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송풍부(400)의 공기 공급 기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유동부(20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유동(W1)이 형성된다.
이때, 도 2에는 상기 송풍부(400)가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상기 송풍부(400)는 프레임부(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송풍부(400)로부터 공기를 주입받는 에어 유동부(200)의 개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부(300)는 상기 메쉬 수용구간(101)의 내측에 구비되는 격자 내지 망 구조체이며, 에어 분기축(310)과, 에어커튼공(320)과, 제 1 분기돌부(330)와, 분기구간(340)과, 제 2 분기돌부(3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 분기축(310)은 상기 격자 구조 중 상기 에어 유동부(200)와 연통되는 중공구조체이며, 이러한 연통 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유동(W1) 중 일정 분량은 상기 에어 분기축(310)의 내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에어 분기축(310)의 내측에 제 2 유동(W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튼공(320)은 에어 분기축(310)을 따라 소정의 절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유동(W2) 중 일정 분량이 상기 에어커튼공(32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메쉬부(300)의 표면에는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는 에어커튼 유동(A)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기돌부(330)의 경우, 에어 유동부(200)와 연통되는 에어 분기축(310)의 일단 중 에어 유동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지점에 연장형성되며, 에어 유동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분기돌부(330)의 기울기 또는 각도는 상기 제 1 유동(W1)의 유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에어 유동부(200) 내에서는 상기 제 1 분기돌부(33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만큼의 공기 분량이 상기 제 1 분기돌부(330)와 충돌하게 된다.
이후, 제 1 분기돌부(330)와 충돌한 공기는 상기 제 1 분기돌부(330)의 기울기 또는 경사를 따라 에어 분기축(310)의 내측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제 2 유동(W2)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분기돌부(330)는 에어 유동부(200) 내의 공기 중 일정 분량을 에어 분기축(310)으로 강제 분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에어 분기축(310)으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히 진행되어 상기 에어 분기축(310)으로부터 분출되는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의 양과 세기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구간(340)의 경우, 분기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에어커튼공(3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에어커튼공(320)의 단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는 경사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공(320)과 상기 제 2 유동(W2)과의 대향 구간에는 상기 제 2 유동(W2)을 에어커튼공(320)으로 가이드하는 경사 구간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유동(W2)은 상술한 경사 구조에 의해 에어 분기축(310)의 외부로 더욱 원활이 유출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에어커튼공(320)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커튼 유동(A)의 양과 세기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분기돌부(350)는 상기 분기구간(340)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기구간(340)과 나란한 경사를 가진채 상기 에어 분기축(3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제 2 분기돌부(350)는 상술한 제 1 분기돌부(330)와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상기 제 2 분기돌부(35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유동(W2)의 일정 분량은 상기 제 2 분기돌부(350)와 충돌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2 분기돌부(350)와 충돌한 상기 제 2 유동(W)은 상기 제 2 분기돌부(350)와 연결된 상기 분기구간(340)으로 가이드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분기돌부(350)는 에어 분기축(310) 내의 공기 중 일정 분량을 에어커튼공(220)으로 강제 분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에어 분기축(310)으로부터 분출되는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의 양과 세기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송풍부(400)에 의해 형성된 공기는 에어 유동부(200)에 주입되고, 이러한 공기는 에어 유동부(200)를 따라 제 1 유동(W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동(W1)은 에어 유동부(200)와 메쉬부(300)간 분기되는 지점인 각각의 에어 분기축(310)으로 소정분량 만큼 분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분기축(310)에는 제 2 유동(W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동(W2) 중 일부는 각각의 에어커튼공(320)으로 소정분량 만큼 분기되어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에어커튼 유동(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3에는 상기 격자 구조의 수평축이 에어 분기축(31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에어커튼공(320)은 말단이 중력방향을 향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분기축(310) 및 에어커튼공(320)의 구조를 통해,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은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유출되므로, 이를 통해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의 유속 및 밀도가 중력에 대응되는 만큼 증가하게 되어, 에어커튼 형성에 의한 방충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커튼공(320)은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고 말단이 실외 방향을 향하도록 편중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의 경우, 상술한 에어커튼공(320)의 편중 구조로 인해, 이와 마주하는 특정 에어 분기축(310)의 상부면과 정면 충돌하는 것이 아닌, 실외 방향을 향해 측방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측방 충돌을 통해,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은 실외 방향으로 유출되며, 이는 환기의 대상이자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체 유동인 실내 유동(N)과 같은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유동 방향의 동일성으로 인해, 상기 실내 유동(N)은 에어커튼 유동(A)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실외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동(A)을 이루는 분자들 간의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실외 방향으로 인력(引力) 내지 흡착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인력 내지 흡착력이 상기 실내 유동(N)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인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대로,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체 유동인 실외 유동(S)을 기준으로 하면, 이는 상기 에어커튼 유동(A)과 대향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결국 양 유동간에는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의 충격파로 인해 상기 실외 유동(S)은 실외 방향으로 반사된다.
게다가, 실내에서 실외로 유출되는 유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커튼 유동(A) 뿐만아니라 이에 상기 실내 유동(N)이 합쳐진 것이다.
이에 따라, 실외로 빠져나가는 기체 유동의 유속과 밀도는 상기 실내 유동(N)이 합쳐진 것에 대응되는 만큼 증가하게 된 것이어서, 이를 통해 상기 실외 유동(S)을 실외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결국, 환기의 대상인 상기 실내 유동(N)은 에어커튼 유동(A)과 함께 외부로 원활히 빠져나가되, 차폐하여야 할 대상인 실외 유동(S)은 상기 실내 유동(N)과 상기 에어커튼 유동(A)에 가로막혀 실내로 진입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미세먼지 등과 같은 유해성 물질이 섞여 있는 외부 유동의 유입이 최소화된 채 환기가 수행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부(500)는 프레임부(100)의 일단면에 구비되고 태양광 패널 구조로 형성되는 패널부재(510)와, 상기 패널부재(510)에 집열된 열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부재(520)와,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재(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재(5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송풍부(400)에 공급됨으로써, 전술한 에어커튼 기능은 태양열 자가발전을 통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도 2에는 상기 변환부재(520) 및 상기 배터리부재(530)가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상술한 양 구성은 상기 방충 장치(1000)의 외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방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방충 장치
100 : 프레임부
101 : 메쉬 수용구간
200 : 에어 유동부
300 : 메쉬부
310 : 에어 분기축
320 : 에어커튼공
330 : 제 1 분기돌부
340 : 분기구간
350 : 제 2 분기돌부
400 : 송풍부
500 : 발전부
510 : 패널부재
520 : 변환부재
530 : 배터리부재
W1 : 제 1 유동
W2 : 제 2 유동
A : 에어커튼 유동
N : 실내 유동
S : 실외 유동
100 : 프레임부
101 : 메쉬 수용구간
200 : 에어 유동부
300 : 메쉬부
310 : 에어 분기축
320 : 에어커튼공
330 : 제 1 분기돌부
340 : 분기구간
350 : 제 2 분기돌부
400 : 송풍부
500 : 발전부
510 : 패널부재
520 : 변환부재
530 : 배터리부재
W1 : 제 1 유동
W2 : 제 2 유동
A : 에어커튼 유동
N : 실내 유동
S : 실외 유동
Claims (6)
- 내측에 메쉬 수용구간이 소정의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구조로 형성되며 내측에 기체 유동이 주입되는 에어 유동부; 및
상기 에어 유동부와 연통되며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분기축과, 상기 에어 분기축 내부의 중공구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에어 분기축을 따라 소정의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커튼공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 수용구간의 내측에 격자 내지 망 구조로 구비되는 메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공은,
말단이 실외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 또는 곡률을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면에 구비되고 태양광 패널 구조로 형성되는 패널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에 집열된 열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부재와,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재를 포함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가 공급하는 전력을 통해 구동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에어 유동부와 연통되는 상기 에어 분기축의 일단 중 상기 에어 유동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지점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동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분기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에어 유동부로부터의 공기 유동이 분기됨으로써 상기 에어 분기축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유동과 대향하는 상기 에어커튼공의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에어커튼공의 단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소정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갖고 경사 구조로 형성되는 분기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분기구간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기구간과 나란한 경사를 가진채 상기 에어 분기축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는 제 2 분기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395A KR102095997B1 (ko) | 2018-11-26 | 2018-11-26 | 방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395A KR102095997B1 (ko) | 2018-11-26 | 2018-11-26 | 방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5997B1 true KR102095997B1 (ko) | 2020-04-01 |
Family
ID=7027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7395A KR102095997B1 (ko) | 2018-11-26 | 2018-11-26 | 방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59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1591A (ko) * | 2020-08-14 | 2022-02-22 | 주식회사 인텀 |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8743U (ko) * | 2008-02-26 | 2009-08-31 | 최규탁 |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
KR20140047259A (ko) * | 2012-10-12 | 2014-04-22 | 이진호 | 공기 방출 기능 방충망 |
KR20150098001A (ko) * | 2014-02-19 | 2015-08-2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음파를 이용한 방충장치 |
JP2015221004A (ja) * | 2014-05-22 | 2015-12-10 | 秋山錠剤株式会社 | 昆虫類侵入防止装置 |
-
2018
- 2018-11-26 KR KR1020180147395A patent/KR102095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8743U (ko) * | 2008-02-26 | 2009-08-31 | 최규탁 |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
KR20140047259A (ko) * | 2012-10-12 | 2014-04-22 | 이진호 | 공기 방출 기능 방충망 |
KR20150098001A (ko) * | 2014-02-19 | 2015-08-2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음파를 이용한 방충장치 |
JP2015221004A (ja) * | 2014-05-22 | 2015-12-10 | 秋山錠剤株式会社 | 昆虫類侵入防止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1591A (ko) * | 2020-08-14 | 2022-02-22 | 주식회사 인텀 |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
KR102385957B1 (ko) * | 2020-08-14 | 2022-04-12 | 주식회사 인텀 |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3877A (en) | Air-screen. | |
KR102095997B1 (ko) | 방충 장치 | |
KR101255739B1 (ko) | 트랙형 토출구의 투 임펠러 유인팬 | |
JP2007278577A (ja) | 防虫防塵エアシャッタ | |
CN102493960A (zh) | 风扇组件 | |
CN101858355A (zh) | 风扇组件 | |
KR20080109534A (ko) | 미스트 스크린 장치 | |
NL2014380B1 (nl) | Enthalpiewisselaar. | |
CN101611270B (zh) | 抽油烟机 | |
KR101957879B1 (ko) | 와류식 배출 후드 | |
JP2010242993A (ja) | 防虫、防塵用のエアシャワー装置 | |
CN103216905A (zh) | 增强风幕阻隔功能的方法及风幕机 | |
KR200478998Y1 (ko) | 커튼월의 냉각시스템 | |
KR101433429B1 (ko) | 배기덕트를 구비한 이중외피 커튼월 | |
KR102385957B1 (ko) |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 |
JP3326306B2 (ja) | ドラフトチャンバー | |
KR102158589B1 (ko) | 양방향성 흡입통로를 갖는 에어커튼용 원심송풍기 | |
CN210685521U (zh) | 一种降噪通风发电机房 | |
JP4588387B2 (ja) | 防虫又は防塵用エアシャッタ | |
CN2202177Y (zh) | 百叶门窗 | |
KR101641125B1 (ko) |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 |
KR100831423B1 (ko) | 방풍용 창호 | |
KR102690822B1 (ko) | 에어돔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CN217630928U (zh) | 一种外部遮阳建筑结构装置 | |
RU172824U1 (ru) | Воздух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генератор комфорт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