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591A -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591A
KR20220021591A KR1020200102307A KR20200102307A KR20220021591A KR 20220021591 A KR20220021591 A KR 20220021591A KR 1020200102307 A KR1020200102307 A KR 1020200102307A KR 20200102307 A KR20200102307 A KR 20200102307A KR 20220021591 A KR20220021591 A KR 2022002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s
suction
edge
ga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957B1 (ko
Inventor
강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텀
Priority to KR102020010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는, 건축물 벽면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에 있어서, 메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며,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통로제공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통로제공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물질 출입을 방지하는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Insect screen having air curtain}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면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창문틀과 같은 건물의 개구 구간에 설치되는 망(Mesh) 구조체로써, 모기 등과 같은 해충 또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방충망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7-0009157에는, 도어 문틀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쌍의 수직방충망틀과 수평방충망틀로 이루어지는 방충망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방충망틀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시선 차단판 삽입홈을 구비하는 시선차단판 결합구와, 상기 시선차단판 삽입홈에 양측단이 삽입가능토록 플랙시블하고 처지지 않도록 단면이 호(弧)형상을 갖는 시선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이 개시된다.
이 밖에도 방충망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때, 방충망을 상술한 망 구조로만 형성한다면, 환기 도중 망 구조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은 크기를 지닌 각종 해충들이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없게 되어, 이로 인해 실내 거주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91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벽면의 개구에 설치되어 창틀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1차로 메쉬망을 이용하고, 2차로 에어커튼 형태의 차폐 구조를 형성하여 실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는, 건축물 벽면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에 있어서, 메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며,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통로제공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통로제공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물질 출입을 방지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개구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연직 방향과 제1 예각을 형성한 채,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구획편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을 매개한 채, 상기 연직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구획편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과 상기 복수의 제2 구획편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기체주입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위치한 채,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며, 상기 통로제공부는, 상기 제1 구획편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하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이동되는 기체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통로제공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구획편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된 연통구를 통해 상기 기체주입부로부터 이동된 기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기체주입부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1 예각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연직 방향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기체주입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주입편, 상기 제1 주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주입편 및 상기 제1 주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주입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연통구를 규정하는 상기 제1 구획편과 상기 제2 구획편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통로제공부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위치한 채,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통로제공부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흡입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흡입편, 상기 제1 흡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흡입편 및 상기 제1 흡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3 흡입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벽면의 개구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부,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 세기를 결정하는 구동결정부 및 상기 구동결정부에 의해 결정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체주입부 및 상기 흡입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과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기체주입부는 구동되고, 상기 흡입부는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의 흡입 세기를 증가시키며,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작아질수록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의 흡입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상기 연통구는, 상기 건축물 벽면을 기준으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주입부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실외측으로 편향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쉬망이 설치된 공간으로의 기체 이동 방향 변화를 줄여, 기체 유동 중에 유속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벽면의 개구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의 유속에 따라, 기체주입부에 의한 유속 세기를 변화시켜 에어커튼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외부의 환경요소(온도, 습도, 등)에 따라 기체주입부에 의한 유속 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되도록 호환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연통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기체주입부 및 흡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통로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연통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는, 건축물 벽면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 또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개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는, 본체부(10), 기체주입부(20) 및 메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메쉬부(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11) 및 상기 프레임부(11)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며,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통로제공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는,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테두리부(111) 및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개구를 구획하는 구획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13)는, 연직 방향과 제1 예각(A1)을 형성한 채,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구획편(113a)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113a)을 매개한 채, 상기 연직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구획편(11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113a) 및 상기 복수의 제2 구획편(113b)에 의한 구획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직 방향과 제1 예각(A1)을 형성하는 제1 구획편(113a)과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구획편(113b) 사이의 평행사변형 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제공부(13)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113a)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113a)을 따라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구획편(113b)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2 구획편(113b)은,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113a)의 형성 위치 또는 형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30)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113a)과 상기 복수의 제2 구획편(113b)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30)는, 상기 수용공간을 메워,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장착되며, 상기 통로제공부(13)에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0)는 상기 통로제공부(13)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으로, 팬, 노즐 등과 같이 공기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0)는,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위치한 채,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통로제공부(13)는, 상기 제1 구획편(113a)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하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이동되는 기체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획편(113a)은 연직 방향으로부터 제1 예각(A1)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체주입부(20)는 상기 제1 구획편(113a)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연통구(H)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 구획편(113a)을 따라 이동되는 기체는 평각과 상기 제1 예각(A1)의 차이인 제1 둔각(B1) 방향으로 바뀌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체주입부(20)로부터 이동되는 기체의 이동 방향 변화를 줄여, 유속 저하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기체의 유속은 이동 방향의 각이 클수록 유속 저하가 커지며, 또는 기체의 유속 이동 방향 변화가 많을수록 유속 저하가 커진다.
또한, 상기 기체주입부(20)에 의해 주입되는 기체의 이동 방향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유속이 상승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기체주입부(20)에 의해 주입되는 기체가 제1 예각(A1) 방향이 아닌 연직 방향인 경우, 초기 유속과 중력의 상승 작용으로 분기된 연통구(H)로의 유입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체의 유속 저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체주입부(20)로부터 이동되는 기체의 방향 변화를 줄임으로써, 기체주입부(20)로부터 이동되는 기체가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까지 가는 동안 유속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구(H)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의 유속을 확보하여, 에어커튼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는 흡입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위치한 채,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본체부(10)에 장착되며,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통로제공부(13)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으로, 팬, 노즐 등과 같이 공기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체주입부(20)로부터 주입된 기체는,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 갈수록 유속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데, 상기 흡입부(40)는 유속이 줄어들 수 있는 기체를 흡입함으로써, 유속이 재차 빨라지도록 하여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유속이 일정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유속은 곧, 상기 연통구(H)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유속(방향변화에 따른 유속 감소 있음)이 되므로,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유속 확보는, 곧 수용공간으로의 에어커튼 성능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로제공부(13)는, 상기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구획편(113a)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된 연통구(H)를 통해 상기 기체주입부(20)로부터 이동된 기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통구(H)는, 상기 기체주입부(20)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1 예각(A1)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연직 방향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통구(H)의 형성방향과 관련된 내용은, 상기 통로제공부(13)의 형성 방향과 함께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 연통구(H)를 규정하는 상기 제1 구획편(113a)과 상기 제2 구획편(113b)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통로제공부(13)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체주입부(20)로부터 이동되는 기체의 이동 방향 변화를 줄여, 유속 저하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제1 구획편(113a)과 상기 제2 구획편(113b)의 경계 영역이 각지게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는 상기 연통구(H)로 유입되기 위하여 각진 모서리를 크게 돌아 유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향 변화는 유속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속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상기 연통구(H)로의 유입 경로가 라운드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통구(H)는, 상기 건축물 벽면을 기준으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주입부(20)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실외측으로 편향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기의 대상이자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형성되는 기체 유동이, 상기 연통구(H)를 통해 편향된 기체 유동과 부합되도록 하여, 미세먼지 등과 같은 유해성 물질이 섞여 있는 외부 기체 유입이 최소화된 채, 환기가 수행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는 유속측정부, 구동결정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속측정부는,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벽면의 개구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40)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에어커튼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클수록 에어커튼을 뚫고 이물질이 유입될 확률이 높으며,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작을수록 에어커튼을 뚫고 이물질이 유입될 확률이 낮은 것이다.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체주입부 및 상기 흡입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기체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에어커튼의 외부바람에 의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과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기체주입부는 구동되고, 상기 흡입부(40)는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결정부에 의해 결정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는 동시에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작아질수록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는 동시에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구동결정부의,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40)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 세기를 결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모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4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1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40)가 구동 또는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는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40)의 구동 세기를 결정하는 제2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또는 상기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결정부는, 건축물 외부의 환경요소(온도, 습도, 등)에 따라 기체주입부(20)의 송풍 세기 또는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유속측정부 뿐만 아니라 온도측정부, 습도측정부 등을 더 구비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기체주입부(20)의 송풍 세기 또는 흡입부(40)의 흡입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온도측정부와 상기 습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을 기초로 상대습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상대습도 값을 통해 상기 기체주입부(20) 또는 흡입부(40)의 구동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공기질이 무거워지므로 상기 기체주입부(20) 또는 흡입부(40)의 구동 세기를 높이며,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공기질이 가벼워지므로 상기 기체주입부(20) 또는 흡입부(40)의 구동 세기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가 설치되는 다양한 설치 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의 기체주입부 및 흡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1)의 상기 기체주입부는, 제1 주입편(21), 제2 주입편(22) 및 제3 주입편(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입편(21)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입편(22)은, 상기 제1 주입편(21)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주입편(23)은, 상기 제1 주입편(21)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0)는, 제1 흡입편(41), 제2 흡입편(42) 및 제3 흡입편(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편(41)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편(42)은, 상기 제1 흡입편(41)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상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흡입편(43)은, 상기 제1 흡입편(41)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입편(21)은 상기 제1 예각(A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흡입편(41)과 대향하며, 상기 제2 주입편(22)은 상기 제1 예각(A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흡입편(42)과 대향하고, 상기 제3 주입편(23)은 상기 제1 예각(A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흡입편(43)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입편(21), 제2 주입편(22) 및 제3 주입편(23)에 의해, 상기 기체주입부(20)가 형성된 상기 테두리부(111)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이웃한 양변으로부터, 대향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이웃한 양변을 향해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한 기체의 주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흡입편(41), 제2 흡입편(42) 및 제3 흡입편(43)에 의해, 상기 흡입부(40)가 형성된 상기 테두리부(111)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이웃한 양변으로부터, 대향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이웃한 양변을 향해 기체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통로제공부(13)를 통한 기체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2)의 통로제공부(213)는, 테두리부(211)의 상측으로부터 테두리부(211)의 하측을 향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220)는 상기 테두리부(211)의 내측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부(240)는 상기 테두리부(211)의 내측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획부(233)는,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구획편(233a) 및 연직 방향과 제1 예각(A1)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구획편(23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20)로부터 주입된 기체는 통로제공부(213)를 통해 이동 중에, 연통구를 통해 수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10: 본체부
11: 프레임부
A1: 제1 예각
13: 통로제공부
H: 연통구
20: 기체주입부
30: 메쉬부
40: 흡입부

Claims (5)

  1. 건축물 벽면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방충장치에 있어서,
    메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며,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통로제공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통로제공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물질 출입을 방지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개구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연직 방향과 제1 예각을 형성한 채,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구획편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을 매개한 채, 상기 연직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구획편을 구비하며,
    상기 메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구획편과 상기 복수의 제2 구획편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위치한 채,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통로제공부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상기 기체주입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위치한 채,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며,
    상기 통로제공부는,
    상기 제1 구획편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하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이동되는 기체의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통로제공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구획편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된 연통구를 통해 상기 기체주입부로부터 이동된 기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기체주입부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1 예각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연직 방향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기체주입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주입편, 상기 제1 주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주입편 및 상기 제1 주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주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구를 규정하는 상기 제1 구획편과 상기 제2 구획편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통로제공부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흡입편, 상기 제1 흡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 타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흡입편 및 상기 제1 흡입편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타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3 흡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벽면의 개구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부;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 세기를 결정하는 구동결정부; 및
    상기 구동결정부에 의해 결정 값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부 또는 상기 흡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체주입부 및 상기 흡입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과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기체주입부는 구동되고, 상기 흡입부는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결정부는,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커질수록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의 흡입 세기를 증가시키며,
    상기 유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이 작아질수록 상기 기체주입부의 송풍 세기 및 상기 흡입부의 흡입 세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건축물 벽면을 기준으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주입부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실외측으로 편향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KR1020200102307A 2020-08-14 2020-08-14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KR10238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07A KR102385957B1 (ko) 2020-08-14 2020-08-14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07A KR102385957B1 (ko) 2020-08-14 2020-08-14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591A true KR20220021591A (ko) 2022-02-22
KR102385957B1 KR102385957B1 (ko) 2022-04-12

Family

ID=8049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307A KR102385957B1 (ko) 2020-08-14 2020-08-14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9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002A (ko) * 2008-12-05 2010-06-15 송병은 내부 공기 유동식 커튼
KR20140047259A (ko) * 2012-10-12 2014-04-22 이진호 공기 방출 기능 방충망
KR20170009157A (ko) 2015-07-15 2017-01-25 강민성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KR20170051090A (ko) * 2015-11-02 2017-05-11 이규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KR20180067465A (ko) * 2018-02-19 2018-06-20 주식회사 쎄번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1956143B1 (ko) * 2018-07-04 2019-03-12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에어샤워 게이트
KR102095997B1 (ko) * 2018-11-26 2020-04-01 강윤재 방충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002A (ko) * 2008-12-05 2010-06-15 송병은 내부 공기 유동식 커튼
KR20140047259A (ko) * 2012-10-12 2014-04-22 이진호 공기 방출 기능 방충망
KR20170009157A (ko) 2015-07-15 2017-01-25 강민성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KR20170051090A (ko) * 2015-11-02 2017-05-11 이규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KR20180067465A (ko) * 2018-02-19 2018-06-20 주식회사 쎄번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1956143B1 (ko) * 2018-07-04 2019-03-12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에어샤워 게이트
KR102095997B1 (ko) * 2018-11-26 2020-04-01 강윤재 방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957B1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4293C1 (ru) Модуль для конструкции потолка в помещениях стерильной чистоты
KR100592208B1 (ko) 클린 벤치
AU2017315205B2 (en) Attachment profile member allowing the passage of air and ceil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 profile member
CN101765453B (zh) 空气净化机
WO2007117017A1 (en) Air shu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11971512B (zh) 主动气流抑制设备
JP6731552B2 (ja) ペアガラス断熱システム
EP3848646A1 (en) Booth and spouting device
KR101292970B1 (ko) 동시 급배형 환기 팬 및 공조 장치
KR102385957B1 (ko)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충장치
JP2001033072A (ja) 換気システム
RU2349843C1 (ru) Способ ограничения передачи тепла сквозь проем в стене зда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создания воздушной завесы перед указанным проемом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102095997B1 (ko) 방충 장치
KR102190513B1 (ko) 환기 효율이 향상된 시스템 방범 창호
JP3623643B2 (ja) ウェザーカバー
KR101994184B1 (ko) 이중창 단열 시스템
JP2020024048A (ja) エアカーテン装置
JP6941885B2 (ja) エアカーテンユニット
JP4615918B2 (ja) 建造物の出入り口と隣接する室内空間における空気調整方法及び装置
EP4290151A1 (en) Wall passage
KR100493792B1 (ko) 에어컨의 측면 토출 구조
JP2019190702A (ja) エアーカーテン装置
FI101499B (fi) Ilmanvaihtokatto
KR20120009247A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