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657A - 맨홀 거푸집 - Google Patents

맨홀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657A
KR20090008657A KR1020070071772A KR20070071772A KR20090008657A KR 20090008657 A KR20090008657 A KR 20090008657A KR 1020070071772 A KR1020070071772 A KR 1020070071772A KR 20070071772 A KR20070071772 A KR 20070071772A KR 20090008657 A KR20090008657 A KR 2009000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manhole
outflow pipe
dispos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광
Original Assignee
김효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광 filed Critical 김효광
Priority to KR102007007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657A/ko
Publication of KR2009000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제2 모서리 부재, 제1, 제2 모서리 부재의 외측 측면에 장착되고 패널의 외측에 반원 몸체가 배치되는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 및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에 결속되는 차폐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은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의 높낮이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맨홀이 시공되는 현장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관부로 시공되는 제1 유출입관 부재 또는 제2 유출입관 부재의 최저 높이(H2)를 항상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맨홀과 인접하는 다른 맨홀에 배관하는 관체의 경사 정도를 쉽게 설정하고 시공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71772
거푸집, 맨홀, 유출입관, 유입관, 배출관,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맨홀 거푸집 {Manhole form}
본 발명은 맨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을 제작할 때에 유출입관을 배치하는 맨홀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몸체의 한쪽에는 유입관부가 배치되고 다른 한쪽은 배출관부가 배치되며 상측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맨홀은 도로 또는 하천에 매설되고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에는 배관되어 빗물 또는 생활하수가 유입된 후 유입수에 포함되는 찌꺼기나 오염원의 일부가 정화되거나 침전되도록 하며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맨홀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기초부를 콘크리트 타설하고, 그 기초부 위에 원통형상의 몸체를 콘크리트 타설하며, 그 몸체의 상측에 슬라브를 콘크리트 타설한다.
또한, 상술한 몸체의 측면에는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유입관부와 배출관부가 배치되고, 상술한 슬라브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가 배치된다.
맨홀을 제작할 때에는 여러 단계에 걸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 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마다 거푸집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몸체를 형성시킬 때에는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의 사이에 철근과 같은 골격부재를 배치하고,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몸체가 형성되며,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에 거푸집을 해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맨홀의 몸체에는 유입관부와 배출관부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유입관부 또는 배출관부를 배치하기 위한 구성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맨홀 거푸집은 유입관부 또는 배출관부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이 제공되지 않아 유입관부 또는 배출관부를 배치시키는 작업이 무척 어렵고 힘든 작업이었다.
또한, 맨홀과 다른 맨홀에는 관체가 배관되는데 이때 관체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위해서 반드시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야하지만, 종래의 맨홀 거푸집에서는 배출관부를 배치할 때에 주먹구구식으로 배치하고, 특히 배출관부를 맨홀의 기초부에 곧바로 얹힌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경향이 비일비재하며, 관체를 배관할 때에 배관된 관체가 전반적으로 곧게 경사지지 못하거나 오히려 하류 쪽 관체가 높게 배치되어 역류하거나 특정한 곳에 유체가 고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맨홀에 배치되는 유출입관부 를 더욱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측면에서 볼 때에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제2 모서리 부재;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의 외측 측면에 장착되고 패널의 외측에 반원 몸체가 배치되는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 및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에 결속되는 차폐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 또는 상기 차폐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에 결속되는 보강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패널은, 상하 높이가 3cm 내지 1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는, 단면 모양이 평탄한 것, 영문자 L자 형상인 것 또는 디귿자(ㄷ)자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은, 패널의 외측에 반원 몸체가 배치되 고, 반원 몸체의 단부에 폼 핀 결속 구멍이 형성된 결속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은, 상기 제1 유출입관 거푸집의 반원 몸체와 상기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의 반원 몸체가 조합되어 이루는 원통 몸체의 바깥쪽에 묶여지는 결속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패드의 양쪽에 끈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은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의 높낮이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맨홀이 시공되는 현장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관부로 시공되는 제1 유출입관 부재 또는 제2 유출입관 부재의 최저 높이(H2)를 항상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맨홀과 인접하는 다른 맨홀에 배관하는 관체의 경사 정도를 쉽게 설정하고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상태의 예시도면 및 조립상태의 예시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10)은 외측 거푸집(400)의 내측에 내측 거푸집(300)이 배치되고, 외측 거푸집(40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유출입관 거푸집(100)이 배치된다.
상술한 복수 개의 유출입관 거푸집(100)에는 각각 사전에 제작된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210)(220)가 장착되고,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210)(220)의 내측 단부는 상술한 내측 거푸집(300)에 밀접하게 닿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외측 거푸집(400)은 복수 개의 내주면 패널에 의해 원호(圓弧)를 이루고,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내주면 패널의 외측에 각각 모서리 부재가 장착되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평판 패널이 장착된다.
상술한 유출입관 거푸집(100)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상태의 예시도면 및 조립상태의 예시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에서 보강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상술한 복수 개의 내주면 패널은 원호(圓弧)형태로 조합을 이룰 수 있고, 또는 낱개의 내주면 패널이 직접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낱개의 내주면 패널이 조합되어 그룹의 내주면 패널을 이룰 때에 가장 바깥쪽 양쪽측면은 반드시 존재하고, 또한 낱개의 내주면 패널 역시 양쪽 측면이 반드시 존재한다.
어떠한 경우이든, 내주면 패널의 가장 바깥쪽 측면에는 한 벌의 제1, 제2 모서리 부재(110a)(110b) 또는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가 결속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모서리 부재(110a)와 제2 모서리부재(110b)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술한 제3 모서리 부재(120a)와 제4 모서리부재(120b)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소정의 간격은 맨홀에 배치될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210)(220)의 바깥지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210)(220)의 바깥지름이 크면 소정의 간격은 더 크게 배치되며,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210)(220)의 바깥지름이 작으면 소정의 간격은 작게 배치된다.
상술한 한 벌의 제1, 제2 모서리 부재(110a)(110b) 또는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맨홀 거푸집에서 유출입관 거푸집(100)이 배치되는 것이다.
상술한 한 벌의 제1, 제2 모서리 부재(110a)(110b) 또는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에 배치되는 유출입관 거푸집(100)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서 쉽게 기술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한쪽의 유출입관 거푸집(100)을 설명한다.
이격 배치된 제1 모서리 부재(110a)와 제2 모서리부재(110b)에는 차폐 패널(130)과 한 벌의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이 결속된다.
특히 거푸집의 구성요소와 다른 거푸집 구성요소를 결속할 때에는 폼 핀(20)이 이용되고, 각각의 거푸집에는 폼 핀 결속 구멍(30)이 형성된다.
상술한 폼 핀(20)은 첨부도면 도 2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편(21)의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결속 구멍(22)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핀 헤드(2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한 벌의 폼 핀(20)으로 사용된다.
특히 상술한 폼 핀 결속 구멍(3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내주면 패널은 서로의 폼 핀 결속 구멍(30)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폼 핀(20)은 다른 폼 핀(20)의 결속 구멍(22)에 끼울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폼 핀(20)은 거푸집과 다른 거푸집을 결속할 때에는 폼 핀(20)이 외에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속시킬 수 있고, 철사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폼 핀(20)을 이용하여 거푸집과 다른 거푸집을 결속시키는 예로서 설명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차폐 패널(130) 또는 한 벌의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의 외측에는 제1 보강대(151) 또는 제2 보강대(15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차폐 패널(130)은 첨부도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폭과 높이를 가지는 것이고 이때 가로 폭은 상술한 제1 모서리 부재(110a)와 제2 모서리 부재(110b)가 이격된 거리와 대응한다.
또한, 차폐 패널(130)의 세로방향의 높이는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작게는 3cm부터 크게는 1M까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제1 모서리 부재(110a)와 제2 모서리 부재(110b)의 외측에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을 결속한 후에 남겨진 부분(트인 부분)을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로 방향의 높이가 다소 작은 차폐 패널(130a)은 복수 개를 연달아 배치할 수도 있고, 또한 복수 개로 배치될 때에 상측에 배치되는 차폐패널(130)의 하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차폐패널(130)의 상측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특히 차폐 패널(130)의 세로방향 높이는 3cm 이상이어야 보강대로서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고, 차폐 패널(130)의 세로방향 높이는 1M 이하이어야 취급이 편리하다.
상술한 취급이라 함은, 차폐 패널(130)을 생산하고, 포장 또는 이동하거나 거푸집을 시공할 때의 수고와 노력 등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보강대(151)(152)는 첨부도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모양이 영문자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보강대(151)(152)는 첨부도면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모양이 디귿자(ㄷ)자 형상의 제3 보강대(153)일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제2, 제3 보강대(151)(152)(153)는 맨홀 거푸집(10)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외측거푸집(400)에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한 벌의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은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41)의 전방에 반원 몸체(142)가 배치된다.
특히 반원 몸체(142)의 내주면은 상술한 패널(141)을 통과하여 연속된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패널(141)의 외주연에는 폼 핀(20)을 결속하기 위한 폼핀 결속 구멍(30)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유출입관 거푸집(140a)과 제2 유출입곤 거푸집(140b)은 반원 몸체(142)가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조합되는 것이고, 반원몸체(142)의 제1, 제2단부(143a)(143b)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의 반원 몸체(142)가 조합되어 하나의 원통 몸체를 이룰 수도 있고, 이때 제1 단부(143a)와 제2 단부(143b)는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양쪽의 반원 몸체(142)가 서로 조합되었을 때에 반원 몸체(142)의 바깥쪽이 벌어지지 않도록 결속부재(160) 더 결속시켜줄 수도 있다.
상술한 결속부재(160)는 철사, 노끈, 가죽 끈 등이 될 수 있고, 또한 패드(162)의 양쪽에 끈(16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패드(162)는 반원몸체(142)를 묶어줄 때에 반원몸체(142)가 뒤틀리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묶어 줄 수 있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10)에서 유출입관 거푸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은 패널(141)의 전방에 반원 몸체(142)가 배치되고, 반원 몸체(142)의 제1, 제2 단부(143a)(143b)에 결속 프레임(145)을 더 배치되며, 결속 프레임(145)에는 폼 핀 결속 구멍(30)이 형성된 것이다.
즉 도 6에 나타낸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은 양쪽의 반원 몸체(142)를 조합한 후에 폼 핀의 결합에 의하여 반원 몸체(142)가 벌려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첨부도면 도 7은 기초부(500)의 위에 내측 거푸집(300)과 외측 거푸집(400)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면이다.
한 벌의 제1, 제2 모서리 부재(110a)(110b)의 측면에는 제2 유입출관 부재(220)를 배치하고, 다른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의 측면에는 제1 유입출관 부재(210)를 배치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제1 유입출관 부재(210)는 맨홀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부가 되고, 제2 유입출관 부재(220)는 맨홀의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되는 것이다.
특히 제1 유입출관 부재(210)와 제2 유입출관 부재(220)의 높이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제1 유입출관 부재(210)의 최저 높이(H1)는 제2 유입출관 부재(220)의 최저 높이(H2)보다 현저하게 높게 배치된다.
즉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유입출관 부재(210)는 제1, 제2 유입출관 거푸집(140a)(140b)에 둘러싸인 후, 제1, 제2 유입출관 거푸집(140a)(140b)은 외측 거푸집(400)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에 소정의 높이(H1)의 위치에 결속된다.
이후 기초부(500)와 제1, 제2 유입출관 거푸집(140a)(140b)사이에 발생되는 틈은 차폐 패널(130) 또는 차폐 패널(130a)을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에 결속시킨다.
또한, 제1, 제2 유입출관 거푸집(140a)(140b)의 상측과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사이에 발생되는 공간부는 또 다른 차폐 패널(130)을 한 벌 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에 결속시킨다.
제1, 제2 유입출관 거푸집(140a)(140b)의 상측에 배치되는 차폐 패널(130)은 상측의 높이가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제2 유입출관 거푸집(140a)(140b)의 패널(141) 외측 표면 또는 차폐 패널(130)(130a)의 외측 표면에는 제1, 제2, 제3 보강대(151)(152)(153)을 더 배치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보강대(151)(152)(153)을 더 배치함으로써 맨홀 거푸집(10)의 내구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의 반원 몸체(142)에는 바깥 쪽에 결속 부재(160)를 더 묶어 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배출관부가 될 제2 유출입관 부재(220)는 상술한 제1 유출입관 부재(210)의 배치과정과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술한 제2 유출입관 부재(220)는 기초부(500)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을 기초부(500)의 상측에 곧바로 배치하고, 그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에 제2 유출입관 부재(220)를 장착하는 것이다.
즉, 제2 유출입관 부재(220)는 최저 높이(H2)가 항상 기초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특히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의 패널(141)과 반원 몸체(142)의 높이와 제2 유출입관 부재(220)의 두께로 인하여 최저 높이(H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최저 높이(H2)는 3cm 이상이어야 하류 쪽 관체의 출구 쪽을 충분히 낮게 배치할 수 있고, 최저 높이(H2)는 20cm 이하이어야 관체를 원활하게 배치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최저 높이(H2)가 터무니없이 높으면 관체의 배치형태가 급격한 경사를 이룰 수 있고, 이렇게 급격한 경사를 이룰 때에는 오히려 관체의 배관 작업이 쉽지 못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은 배치되는 높낮이를 다소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발생되는 틈은 차폐 패널(130)(130a)을 결속시켜 차폐할 수 있으며, 결국 유입관부 또는 배출관부의 높낮이를 다소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차폐 패널(130)(130a)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제2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과 인접하지 않는 곳에 배치되는 차폐 패널(130)(130a)은 제1, 제2 모서리 부재(110a)(110b) 또는 한 벌의 제3, 제4 모서리 부재(120a)(120b)에 용접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맨홀을 제작하는 과정을 더욱 상 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10)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맨홀의 제작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부(500)의 상측에 내측 거푸집(300)과 외측 거푸집(400)이 배치되고, 내측 거푸집(300)과 외측 거푸집(400)의 사이에는 철근과 같은 골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내측 거푸집(300)과 외측 거푸집(400)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된 다음에 내측 거푸집(300)과 외측 거푸집(400)을 해체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의 원통 몸체부(510)가 콘크리트 타설되고 제1 유출입관 부재(210) 및 제2 유출입관 부재(220)가 원통 몸체부(510)에 배치된다.
이후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몸체부(510)의 내주면 상측에 슬라브 거푸집(600)을 설치하고, 이때 원통 몸체부(51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슬라브 거푸집 받침 부재(620)를 설치하여 그 슬라브 거푸집 받침 부재(620) 위에 슬라브 거푸집(600)을 얹히는 것이다.
상술한 슬라브 거푸집(600)은 출입구 통로(610)가 형성될 수 있고, 출입구 통로(610)는 슬라브 거푸집(600)을 평면에서 볼 때에 어느 한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후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 통로(610)의 외주연에 출입구 내측 거푸집(710)을 결속하고, 원통 몸체부(510)의 상측 외주연에는 슬라브 외측 거푸집(700)을 설치하여 슬라브 외측 거푸집(700)과 출입구 내측 거푸집(710)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슬라브(520)를 형성한다.
또한, 출입구 내측 거푸집(710)의 외측에 출입구 외측 거푸집(720)을 더 배치할 수 있고, 출입구 내측 거푸집(710)과 출입구 외측 거푸집(720)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출입구 관체(530)를 형성한다.
상술한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맨홀 제작 과정에 의하여 제작된 맨홀은 첨부도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기초부(500)의 위에 원통 몸체부(510)가 배치되고, 원통 몸체부(510)의 측면에는 맨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1 유출입관 부재(210)와 제2 유출입관 부재(220)가 배치되며, 상측에는 출입구 통로가 확보되는 상태로 슬라브(520)가 배치되고, 슬라브(520)의 상측에는 출입구 관체(530)가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맨홀을 제작함에 있어서 각각의 형상모양에 대응하도록 가각 거푸집을 시공하고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10)은 제1, 제2 유출입관 부재(210)(220)가 배치되는 높낮이의 위치를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140a)(140b)의 조합에 의해 쉽게 배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로써 맨홀이 시공되는 현장의 특성에 맞추어 더욱 능동적으로 맨홀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출관부로 시공되는 제1 유출입관 부재(210) 또는 제2 유출입관 부 재(220)의 최저 높이(H2)를 항상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맨홀과 다른 맨홀 사이에 배관되는 관체를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즉 상술한 관체는 완만한 기울기를 갖고 배관되어 배관작업도 다소 수월할 수 있고, 또한, 차후에 유체가 흐를 때에 유체가 역류하거나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상태의 예시도면 및 조립상태의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에서 보강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에서 유출입관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유출입관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정면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에서 유출입관 거푸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예시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거푸집에 의해 제작되는 맨홀의 제작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맨홀 거푸집 20: 폼 핀
21: 삽입 편 22: 결속 구멍
23: 핀 헤드 30: 폼 핀 결속 구멍
100: 유출입관 거푸집
110a, 110b: 제1, 제2 모서리 부재 120a, 120b: 제3, 제4 모서리 부재
130: 차폐 패널 140a, 140b: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
141: 패널 142: 반원 몸체
143a, 143b: 제1, 제2 단부 145: 결속 프레임
151, 152, 153: 제1, 제2, 제3 보강대
160: 결속 부재 161: 끈
210, 220:제1, 제2 유출입관 부재
300: 내측 거푸집 400: 외측 거푸집
500: 기초부 510: 원통 몸체부
520: 슬라브 530: 출입구 관체
600: 슬라브 거푸집 610: 출입구 통로
620: 슬라브 거푸집 받침 부재 700: 슬라브 외측 거푸집
710: 출입구내측 거푸집 720: 출입구 외측 거푸집

Claims (7)

  1.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제2 모서리 부재;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의 외측 측면에 장착되고 패널의 외측에 반원 몸체가 배치되는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 및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에 결속되는 차폐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 또는 상기 차폐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모서리 부재에 결속되는 보강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패널은, 상하 높이가 3cm 내지 1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단면 모양이 평탄한 것, 영문자 L자 형상인 것 또는 디귿자(ㄷ)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은, 패널의 외측에 반원 몸체가 배치되고, 반원 몸체의 단부에 폼 핀 결속 구멍이 형성된 결속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은, 상기 제1 유출입관 거푸집의 반원 몸체와 상기 제2 유출입관 거푸집의 반원 몸체가 조합되어 이루는 원통 몸체의 바깥쪽에 묶여지는 결속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패드의 양쪽에 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거푸집.
KR1020070071772A 2007-07-18 2007-07-18 맨홀 거푸집 KR20090008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772A KR20090008657A (ko) 2007-07-18 2007-07-18 맨홀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772A KR20090008657A (ko) 2007-07-18 2007-07-18 맨홀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57A true KR20090008657A (ko) 2009-01-22

Family

ID=4048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772A KR20090008657A (ko) 2007-07-18 2007-07-18 맨홀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6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31B1 (ko) * 2017-11-28 2018-09-06 오영재 맨홀용 조립형 외부 거푸집
JP2018150671A (ja) * 2009-01-28 2018-09-27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繊維媒体並びにその形成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0671A (ja) * 2009-01-28 2018-09-27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繊維媒体並びにその形成方法及び装置
KR101886031B1 (ko) * 2017-11-28 2018-09-06 오영재 맨홀용 조립형 외부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94B1 (ko)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AU2014279478A2 (en) Method of rehabilitating existing pipe and support member for rehabilitating pipe
KR101333780B1 (ko) 모듈러 코핑부용 조립식 거푸집
CN206625428U (zh) 一种管井后浇楼板封闭体系
KR20090008657A (ko) 맨홀 거푸집
CN108149711A (zh) 预制整体箱涵及连接方法
KR101054718B1 (ko)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01073B1 (ko) 긴장재를 이용한 부벽식 개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102022544B1 (ko) 맨홀 인버트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인버트 시공방법
JP2017179920A (ja) マンホール
DE20321869U1 (de) Breitkanal-Entwässerungssystem
KR101249603B1 (ko) 비개착 슬래브 구조물의 수직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강관 설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5703157B2 (ja) 下水流の切り替え部材と切り替え方法、およびマンホールの再構築方法。
KR100312849B1 (ko) 터널라이닝타설용거푸집시스템및이를이용한터널라이닝시공방법
CN104294965B (zh) 剪力墙及其施工方法
EP3066262B1 (en) Method for strengthening a structure of a tubular bridge or a culvert and the strengthened tubular bridge or culvert
JP4061282B2 (ja) マンホール内装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386446B2 (ja) マンホール
KR100747708B1 (ko) 맨홀제작용 조립식 거푸집 및 그 사용방법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JP2011202475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CN201962682U (zh) 后置横隔式建筑物基坑围护结构
KR101759264B1 (ko) 차집 관거용 차수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28930A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