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000A -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000A
KR20090008000A KR1020070071273A KR20070071273A KR20090008000A KR 20090008000 A KR20090008000 A KR 20090008000A KR 1020070071273 A KR1020070071273 A KR 1020070071273A KR 20070071273 A KR20070071273 A KR 20070071273A KR 20090008000 A KR20090008000 A KR 2009000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ound
output
driving signal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장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준 filed Critical 장영준
Priority to KR102007007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000A/ko
Publication of KR2009000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acoustic signals, e.g. using a micr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비디오 게임기,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 등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나오는 효과음에 따라 사용자가 앉아있는 요동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에 대한 현실감과 생동감을 불러일으키는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현재 실행되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사운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움직이는 요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뮬레이션, 요동 장치, 효과음, 구동 신호, 마우스, 키보드

Description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Virtual simulation game system for home usage}
본 발명은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비디오 게임기,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 등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나오는 효과음에 따라 사용자가 앉아있는 요동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에 대한 현실감과 생동감을 불러일으키는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션 게임은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가상적으로 컴퓨터로 모형화하여 조작자에게 간접적인 체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자동차 시뮬레이션 게임, 오토바이 시뮬레이션 게임, 및 스키/보드 시뮬레이션 게임 등이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게임에서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에 대한 실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 게임에는 ⅰ)오락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ⅱ)가정용 PC에 설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및 ⅲ)비디오 게임기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등이 알려져 있다. 오락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은 사용자가 회전/이동하는 기계적 요동 장치에 앉아서 게임을 진행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가정용 PC 또는 비디오 게임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게임은 모니터 또는 TV 화면을 통해 가정에서 게임을 즐기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상기 오락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해서는, 가상 시뮬레이션 오락 시스템에 관한 등록특허 10-0416058호, 및 가상 현실용 3차원 시뮬레이터에 관한 등록 실용신안 20-0173399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루는 의자 요동 장치에 관해서는, 오락기 용 의자의 다변형 장치에 관한 등록 실용신안 20-1998-0038619호, 및 시뮬레이션 의자 작동 장치에 관한 등록 실용신안 20-0226651호 등이 있다.
한편, 가정용 PC에 설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나 비디오 게임기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화면을 보면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및 컨트롤러 등을 조작하여 화면에 있는 객체를 움직이고 시각적/청각적 느낌만을 받기 때문에, 실제 오락 게임의 주인공이 움직이는 느낌을 사용자가 받을 수 없어 상기 오락실용 시뮬레이션 게임에 비해 다소 현실감이 떨어지고 가상 현실을 체험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 사용자가 가정에서 상기 오락실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얻는 느낌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가정에 직접 설치해야 하는데, 이를 가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공간상의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오락실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게임 프로그램을 바꾸기 위해서는 게임기 자체를 바꾸어야 하므로, 매번 새로운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락실용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실제 상황과 근접하게 느낄 수 있는 현실감과 생동감을 가정용 PC, 비디오 게임기, 및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 등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현재 실행되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사운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움직이는 요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마우스, 키보드 및 조이스틱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본체의 화상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화상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와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는, 그 내부에 구비된 기저장된 게임 효과음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저장된 게임 효과음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요동 장치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도중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움직이는 요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상기 게임 효과음의 출력 여부를 감시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 및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도중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실행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상기 게임 효과음의 출력 여부를 감시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 정보 분석기,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실행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를 분석하는 화상 정보 분석기,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도중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 상기 분석된 입력 정보, 및 상기 분석된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실행 장치는,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 또는 이동가능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가정에서 일반 PC 또는 비디오 게임기 등을 통해서도 오락실에 설치된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이 제공하는 생동감 및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서 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요동 장치만 추가로 구비하면 되므로, 비용 측면과 면적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100)은, 모니터(110), 본체(120), 키보드(130), 마우스(140), 스피커(150), 구동 장치(160), 및 요동 장치(170)를 포함한다. 특히, 구동 장치(160)는, 사운드 단자, 스피커(150), 및 요동 장치(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니터(110)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고, 본체(120)는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장치이고, 키보드(130) 및 마우스(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게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고, 스피커(150)는 게임 진행 도중 사운드가 출력되는 장치이다. 다만,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력 장치로 조이스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 장치(160)는 1개의 입력 단자와 2개의 출력 단자들을 갖는다. 상기 입력 단자는 본체(120)의 사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는 스피커(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 단자들 중 다른 하나는 요동 장치(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장치(160)는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요동 장치(170)로 출력한다.
요동 장치(170)는 구동 장치(16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구동 신호의 종류에 따라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그 변위가 변화되거나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요동 장치(170)는 모터, 압축기, 및 유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상술한 등록 실용신안 20-1998-0038619호, 및 등록 실용신안 20-0226651호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20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210), 제1 데이터베이스(220), 비교기(230), 제어신호 발생기(240), 제2 데이터베이스(250), 및 구동신호 발생기(260)를 포함한다. 다만, 구동 신호 발생기(260)가 제어신호 발생기(240)와 제2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장치(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다른 출력 라인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스피커(150)로 그대로 출력된다.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210)은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모 니터링한다. 특히, 게임의 실행 도중 게임 효과음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게임 효과음은 사용자가 조종하는 특정 물체(예를 들어, 자동차)가 다른 물체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일종의 경고성 사운드이다.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210)은 게임 효과음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게임 효과음을 비교기(230)로 출력한다. 또한, 효과음 발생 신호를 제1 데이터베이스(220)로 출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220)는 복수 개의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되는 효과음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게임 효과음들을 비교기(230)로 출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있는 게임 효과음은,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들에 저장되어 있는 효과음을 분석하여 미리 저장해둔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뮬레이션 게임은 10개 미만의 게임 효과음을 가지므로, 제1 데이터베이스(220)의 메모리 공간이 크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기(23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제1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을 입력받고,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220)에는 복수 개의 게임 효과음들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일치 여부 판단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비교기(230)는 판단 일치 신호를 제어신호 발생기(240)로 출력한다.
제어신호 발생기(24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210)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비교기(230)로부터 출력되는 판단 일치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신호 발생기(260)로 하여금 상기 게임 효과음에 상응하 는 구동 신호가 제2 데이터베이스(25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색 요구 신호이다. 제어신호 발생기(240)는 상기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어신호를 구동신호 발생기(260)로 출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50)는 복수 개의 구동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구동신호 발생기(260)로부터 출력되는 검색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구동 신호들을 구동신호 발생기(260)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 신호들은 제1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게임 효과음들에 대응되는 신호들이다. 또한, 상기 구동 신호들은 도 1에 도시된 요동 장치(170)로 하여금 각각 전/후, 좌/우, 회전 등과 같은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들이다.
구동신호 발생기(260)는 제어신호 발생기(2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신호가 제2 데이터베이스(250)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상응하는 구동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구동신호를 요동 장치로 출력하여 요동 장치를 구동시킨다. 이로 인해, 요동 장치는 게임 효과음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효과음이 "쿵"과 같은 충돌 효과음이 발생하는 경우, 요동 장치는 앞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300)은, 모니터(310), 본체(320), 키보드(330), 마우스(340), 스피커(350), 구동 장치(360), 및 요동 장치(370)를 포함한다. 특히, 구동 장치(360)는, 키보드 단자, 마우스 단자, 화상출력 단자, 사운드 단자, 키보드(330), 마우스(340), 스피커(350), 및 요동 장치(3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 구동 장치(360)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동 장치(360)는 4개의 입력 단자들과 4개의 출력 단자들을 갖는다. 2개의 입력 단자들은 키보드(130)와 마우스(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2개의 입력 단자들은 본체(320)의 화상 출력 단자와 사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출력 단자들은 요동 장치(370)와 스피커(3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2개의 출력 단자들은 본체(320)의 키보드 단자와 마우스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장치(360)는 키보드(330), 마우스(340), 화상 출력 단자, 및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 입력 정보, 및 화상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요동 장치(370)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 정보는 키보드(330) 및/또는 마우스(340)를 통해 입력되는 방향 정보이며, 상기 화상 정보는 본체(320)의 그래픽 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색상 정보이다. 요동 장치(370)는 구동 장치(36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40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 제1 데이터베이스(420), 비교기(430), 제어신호 발생기(440), 제2 데이터베이스(450), 구동신호 발생기(460), 입력정보 분석기(470), 및 화상정보 분석 기(480)를 포함한다. 다만, 구동 신호 발생기(460)가 제어신호 발생기(440)와 제2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장치(400)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스피커(350)로 그대로 출력된다. 이하, 제어신호 발생기(450),구동신호 발생기(460), 입력 정보 분석기(470), 및 화상 정보 분석기(48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입력정보 분석기(470)는 도 3에 도시된 키보드(330) 및/또는 마우스(340)로부터 움직임 방향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키보드(330)의 스크롤 키 또는 마우스(340)의 광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좌/우 움직임 방향 신호를 분석한다. 사용자가 조정하는 객체(예를 들어, 자동차)가 좌측방향에서 충돌한 경우와 우측 방향에서 충돌한 경우가 다르므로, 이러한 움직임 방향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된 움직임 방향 정보는 제어신호 발생기(440)로 입력된다.
화상정보 분석기(480)는 도 3에 도시된 본체(320)의 내부에 구비된 그래픽 보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카드를 통해 화면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색도 신호의 변화를 분석한다. 사용자가 조정하는 객체(예를 들어, 자동차)가 물체에 충돌하여 전복된 경우, 화면이 어두워지면서 색도 신호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화상 정보의 변화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된 화상 정보는 제어신호 발생기(440)로 입력된다.
제어신호 발생기(44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으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효과음, 비교기(430)로부터 입력되는 판단 일치 신호, 입력 정보 분석기(47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 및 화상 정보 분석기(48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응 답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신호 발생기(460)로 하여금 상기 효과음, 입력 정보, 및 화상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가 제2 데이터베이스(45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색 요구 신호이다.
구동신호 발생기(450)는 제어신호 발생기(4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효과음, 입력 정보, 및 화상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신호가 제2 데이터베이스(450)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상응하는 구동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구동신호를 요동 장치로 출력하여 요동 장치를 구동시킨다. 이로 인해, 요동 장치는 효과음, 입력 정보, 및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신호 발생기(440)가 입력 정보와 화면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는, 동일한 효과음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구동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효과음이 "끽"과 같은 급커브 운전 효과음이고, 입력 정보가 왼쪽 방향인 경우, 요동 장치는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효과음이 "쿵"과 같은 충돌 효과음이고, 화상 정보가 색도 신호의 큰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요동 장치는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500)은, TV(510), 비디오 게임기(520), 컨트롤러(530), 스피커(540), 구동 장치(550), 및 요동 장치(560)를 포함한다. 특히, 구동 장치(550)는, 입력 단자, 사운드 단자, 컨트롤 러(530), 스피커(550), 및 요동 장치(5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5가 도 1 및 3과 다른 점은, 시뮬레이션 게임이 컴퓨터가 아닌 비디오 게임기(520)를 통해 실행된다는 점이다.
TV(510)는 비디오 게임기(520)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고, 비디오 게임기(520)는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팩 디스크를 실행하는 장치이고, 컨트롤러(5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게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고, 스피커(550)는 게임 진행 도중 사운드가 출력되는 장치이다. 요동 장치(560)는 구동 장치(55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구동 장치(550)는 2개의 입력 단자들과 3개의 출력 단자들을 갖는다. 2개의 입력 단자들은 각각 컨트롤러(530) 및 비디오 게임기(520)의 사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3개의 출력 단자들은 각각 비디오 게임기(520)의 입력 단자, 스피커(540) 및 요동 장치(5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장치(550)는 비디오 게임기(520)의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효과음과 컨트롤러(53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정보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요동 장치(560)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600)은,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610), 이어폰(620), 구동 장치(630), 및 요동 장치(640)를 포함한다. 특히, 구동 장치(630)는, 사운드 단자, 이어폰(620), 및 요동 장치(6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6이 도 1, 3, 및 5와 다른 점은, 시뮬레이션 게임이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기가 아닌 이동 가능한 비디오 게임기(610)를 통해 실행된다는 점이다.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610)는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며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게임 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이동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610)는 이동가능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또는 게임 기능을 갖는 핸드폰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어폰(620)은 게임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는 장치이며, 헤드 셋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동 장치(630)는 1개의 입력 단자와 2개의 출력 단자들을 갖는다. 상기 입력 단자는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610)의 사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는 이어폰(6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단자들 중 다른 하나는 요동 장치(6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장치(630)는 이동 가능한 비디오 게임기(610)의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효과음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요동 장치(560)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700)은, 모니터(710), 본체(720), 키보드(330), 마우스(340), 스피커(350), 구동 장치(760), 및 요동 장치(770)를 포함한다. 특히, 구동 장치(760)는, 사운드 단자 및 스피커(350)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요동 장치(77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구동 장치(760)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동 장치(760)는 1개의 입력 단자와 1개의 출력 단자를 갖는다. 상기 입력 단자는 본체(720)의 사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출력 단자는 스피커(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구동 장치(760)는 요동 장치(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구동 장치(76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는 일정한 통신 방식을 통해 요동 장치(77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700)의 설치상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20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810), 제1 데이터베이스(820), 비교기(830), 제어신호 발생기(840), 제2 데이터베이스(850), 구동신호 발생기(860), 및 통신 인터페이스(870)를 포함한다. 한편, 구동 장치(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다른 출력 라인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스피커(750)로 그대로 출력된다. 도 8이 도 1과 다른 점은, 제1 데이터베이스(820)에 게임 종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통신 인터페이스(870)를 더 구비한다는 점이다.
제1 데이터베이스(820)는 도 7에 도시된 본체(720)로부터 게임 종류에 관한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820)는 복수 개의 게임 효과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게임 효과음은 게임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종류에 관한 정보에 입력되면, 제1 데이터베이스(820)는 그 게임에 해당하는 효과음만 출력하면 된다. 이로 인해, 비교기(830)가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 판단을 할 때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든다.
통신 인터페이스(870)는 구동신호 발생기(86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구동신호를 도 7에 도시된 요동 장치(770)로 전송한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870)는 RF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요동 장치(770)와 무선 통신을 한다. 실제로, 도 7에 도시된 구동 장치(760)와 요동 장치(770)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짧기 때문에, 이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외부 교란을 받지 않고 충분히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10)

  1. 현재 실행되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사운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움직이는 요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마우스, 키보드 및 조이스틱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본체의 화상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의 실행 도중 상기 화상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화 상 정보와 상기 사운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그 내부에 구비된 기저장된 게임 효과음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저장된 게임 효과음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요동 장치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6.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도중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움직이는 요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게임 효과음의 출력 여부를 감시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 및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도중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실행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게임 효과음의 출력 여부를 감시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 정보 분석기;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실행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를 분석하는 화상 정보 분석기;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도중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 상기 분석된 입력 정보, 및 상기 분석된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게임 실행 장치는,
    이동가능한 비디오 게임기 또는 이동가능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1020070071273A 2007-07-16 2007-07-16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20090008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73A KR20090008000A (ko) 2007-07-16 2007-07-16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73A KR20090008000A (ko) 2007-07-16 2007-07-16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00A true KR20090008000A (ko) 2009-01-21

Family

ID=4048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273A KR20090008000A (ko) 2007-07-16 2007-07-16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0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13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hared Haptic Experience
US8858330B2 (en) Music video game with virtual drums
CN103357177B (zh) 使用便携式游戏装置来记录或修改在主游戏系统上实时运行的游戏或应用
US20080300061A1 (en) Online Interactive Game System And Methods
US20100304349A1 (en) Interactive multi-functional gps system
US9126114B2 (en) Storage medium, input termina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080305873A1 (en) Universal Toy Controller System And Methods
TW201337643A (zh) 具有輔助觸碰控制器的內容系統
JP6893561B2 (ja) 振動制御装置
US20080303787A1 (en)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s
KR20100021387A (ko) 가상 현실 시스템에서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482806B1 (en) Operation input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and game system
JP2000126457A (ja) ゲーム画面の表示制御方法、キャラクタの移動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機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5223394A (ja)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の制御方法、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525352B2 (en) Gam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09721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KR20150113230A (ko) 자전거 거치대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1250A (ko) 디바이스들의 세트의 동작
US9751019B2 (en) Input methods and devices for music-based video games
KR20090008000A (ko) 가정용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N101314078B (zh) 模拟操作装置与应用于其上的操作方法
CN113769373A (zh) 游戏操作的灵敏度调整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07060770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用画像処理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TW202042051A (zh) 多媒體系統
KR101017578B1 (ko)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