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578B1 -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578B1
KR101017578B1 KR1020080040165A KR20080040165A KR101017578B1 KR 101017578 B1 KR101017578 B1 KR 101017578B1 KR 1020080040165 A KR1020080040165 A KR 1020080040165A KR 20080040165 A KR20080040165 A KR 20080040165A KR 101017578 B1 KR101017578 B1 KR 10101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ame
input
driving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498A (ko
Inventor
김희상
리 조나단
Original Assignee
리 조나단
김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조나단, 김희상 filed Critical 리 조나단
Priority to KR102008004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5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용자가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사용하는 입력수단의 입력정보를 직접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동함으로써 게임이나 게임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에 상기 게임의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동작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기 본체; 상기 게임기 본체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상기 게임기 본체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동작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Virtual simulation game system and simulation game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용자가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사용하는 입력수단의 입력정보를 직접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동함으로써 게임이나 게임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션 게임은 게임을 실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상황을 가상적으로 컴퓨터로 모형화하여 조작자에게 간접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자동차 시뮬레이션 게임, 오토바이 시뮬레이션 게임, 및 스키/보드 시뮬레이션 게임 등이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게임에서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도중에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실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시뮬레이션 게임은 오락실로 불리우는 곳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료로 사용하게 되는데, 게임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단은 각 게임기와 함께 제조되며 게임기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수단을 통해 회전이나 좌우이동 등의 동작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수단은 게임기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범용적으로 사용되기는 힘들었다.
한편, 게임이랑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게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게임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에서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해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전송해야하는데 그러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개발하는 회사에서 프로그램을 변경해야하는 문제가 있어서 현실적으로 무용지물이 되기가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임기의 종류나 게임의 종류와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에 상기 게임의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동작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게임기의 영상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영상 출력 단자로부터 출 력되는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뇌파 측정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뇌파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 상기 뇌파 측정기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뇌파 측정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 및 영상 출력 단자 및 상기 뇌파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 상기 게임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 상기 게임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상기 뇌파 측정기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기 본체;
상기 게임기 본체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상기 게임기 본체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동작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게임기 본체의 음성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게임기 본체의 영상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영상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뇌파 측정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 및 영상 출력 단자 및 상기 뇌파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 상기 게임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 상기 게임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조합, 상기 뇌파 측정기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는 입력정보 분석기;
상기 게임기 본체의 음성 출력 단자의 음성 신호의 출력 여부를 감시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는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게임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는 화상 정보 분석기; 및
상기 분석된 입력 신호, 상기 게임기 본체를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도중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상기 분석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게임기나 게임의 종류와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뮬레이션 수단만 추가로 구비하면 게임의 종류와 상관없이 생생한 동작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게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게임기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신 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기의 입력수단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므로,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구동수단(10)과 시뮬레이션 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0)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게임기의 입력수단, 음성 출력단자 및 영상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수단의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게임기에 게임의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게임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게임기가 오락실에서 사용되는 게임전용 시스템인 경우 그 게임기에 사용되는 전용 입력수단, 예를 들어 자동차용 게임의 경우 핸들, , 가속 패달, 브레이크 패달, 변속장치 등이 될 수도 있다.
구동수단(10)은 3개의 입력 단자들과 3개의 출력 단자를 갖는다. 상기 입력 단자들 중 하나는 게임기(1)의 입력수단(2)에, 하나는 게임기(1)의 음성 출력 단자에, 나머지 하나는 게임기(1)의 영상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입력수단(2)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상기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충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 호를 시뮬레이션 수단(20)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입력수단(2)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구동수단(10)에 의해 변형하여 시뮬레이션 수단(20)에 출력신호를 제공하며, 음성신호나 영상신호를 보조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시뮬레이션 수단(20)은 구동수단(10)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구동 신호의 종류에 따라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그 변위가 변화되거나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수단(20)은 모터, 압축기, 및 유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상술한 등록 실용신안 20-1998-0038619호, 및 등록 실용신안 20-0226651호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 게임의 예를 들어 상술한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한 시뮬레이션 수단(2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게임의 입력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가속 패달, 브레이크 패달, 변속기 등으로 구성된다.
게임 사용자가 가속 패달을 밟으면 게임 상에서 차가 출발하게 되며, 실제로 차가 출발할 때 운전자는 관성에 의해 몸이 뒤로 쏠리는 느낌을 받게 되므로, 시뮬레이션 수단(20)은 그러한 효과를 발생하기 위한 동작을 구현한다. 이때 엔진음이 게임기(1)의 음성 출력단자로 출력되는데, 이러한 음성정보 역시 구동수단(10)의 입력신호로서 시뮬레이션 수단(20)을 구동하기 위한 출력신호의 구현에 사용된다.사용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경우에도 출발할 때와 마찬가지로 관성에 의해 몸이 앞으로 쏠리는 동작을 구현하게 되며,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끽"하는 음성 정 보도 출발 시의 엔진음과 마찬가지로 구동수단(10)의 입력신호로서 사용되며 시뮬레이션 수단(20)을 구동하기 위한 출력신호의 형성에 사용된다. 사용자가 방향 전환을 위해 핸들을 돌리는 경우 그러한 입력 신호를 입력신호로 삼아 구동수단(10)은 핸들이 돌아가는 방향에 따라 시뮬레이션 수단(20)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차량이 가드레일이나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입력신호와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구동수단(10)이 충돌 등과 관련한 "쿵" 등의 음성신호와 게임기 내의 차량의 충돌 영상 신호를 입력신호로 삼아 충돌과 관련된 동작을 시뮬레이션 수단(20)이 실현할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게임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게임과 비교할 때, 구동수단이 게임 사용자의 뇌파 신호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기와 연결된 점만이 차이가 있으므로 그러한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게임 등에 사용자의 뇌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기 위한 뇌파측정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0-696275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경주 게임을 하는 경우 자동차가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과 충돌할 우려가 있는 경우 그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의 뇌는 그에 뇌파 신 호를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뇌파 신호는 뇌파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어 이를 고려한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방향 전환을 하거나 가속 혹은 감속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동작에 상응하는 뇌파가 발생하므로 그러한 뇌파 역시 고려하여 구동장치에서는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반응에 따른 뇌파 신호를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뇌파 측정기에서 특정 뇌파가 측정된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뇌파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를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뇌파 신호까지 고려한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100)은, 모니터(110), 게임기 본체(120), 입력수단, 스피커(150), 구동수단(160), 및 시뮬레이션 수단(170)을 포함한다. 특히, 구동수단(160)은, 상기 본체(120)의 음성 출력 단자, 스피커(150), 및 시뮬레이션 수단(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기 본체(120)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로서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장치이고, 상기 입력수단은 퍼스널 컴퓨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키보드(130)와 마우스(140)이다.
상기 모니터(110)는 상기 게임기 본체(120)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고, 스피커(150)는 게임 진행 도중 음성이 출력되는 장치 이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력 수단으로 조이스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170)은 상기 구동수단(160)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구동 신호의 종류에 따라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그 변위가 변화되거나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170)은 모터, 압축기, 및 유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상술한 등록 실용신안 20-1998-0038619호, 및 등록 실용신안 20-0226651호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수단(1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160)은,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 제1 데이터베이스(420), 비교기(430), 제어신호 발생기(440), 제2 데이터베이스(450), 구동신호 발생기(460), 입력정보 분석기(470), 및 화상정보 분석기(480)를 포함한다. 다만, 구동 신호 발생기(460)가 제어신호 발생기(440)와 제2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수단(400)으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스피커(150)로 그대로 출력된다.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은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특히, 게임의 실행 도중 게임 효과음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은 게임 효과음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 게임 효과음을 비교기(430)로 출력한다. 또한, 효과음 발생 신호를 제1데이터베이스(420)로 출력한다.
제1데이터베이스(420)는 복수 개의 게임 효과음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으로부터 출력되는 효과음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게임 효과음들을 비교기(430)로 출력한다. 제1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게임 효과음은,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들에 저장되어 있는 효과음을 분석하여 미리 저장해둔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뮬레이션 게임은 10개 미만의 게임 효과음을 가지므로, 제1데이터베이스(420)의 메모리 공간이 크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기(43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제1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을 입력받고,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1데이터베이스(420)에는 복수 개의 게임 효과음들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일치 여부 판단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비교기(430)는 판단 일치 신호를 제어신호 발생기(440)로 출력한다.
제어신호 발생기(44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으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효과음과 비교기(430)로부터 출력되는 판단 일치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신호 발생기(460)로 하여금 상기 게임 효과음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가 제2데이터베이스(45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색 요구 신호이다. 제어신호 발생기(440)는 상기 게임 효과음과 상기 제어신호를 구동신호 발생기(460)로 출력한다.
제2데이터베이스(450)는 복수 개의 구동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구동신호 발생기(460)로부터 출력되는 검색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구동 신호들을 구동 신호 발생기(460)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 신호들은 제1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게임 효과음들에 대응되는 신호들이다. 또한, 상기 구동 신호들은 도 2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수단(170)으로 하여금 각각 전/후, 좌/우, 회전 등과 같은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들이다.
입력정보 분석기(470)는 도 2에 도시된 키보드(130) 및/또는 마우스(140)로부터 입력 신호 즉, 게임 객체의 움직임 방향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키보드(130)의 스크롤 키 또는 마우스(140)의 광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좌/우 움직임 방향 신호를 분석한다. 사용자가 조정하는 객체(예를 들어, 자동차)가 좌측방향에서 충돌한 경우와 우측 방향에서 충돌한 경우가 다르므로, 이러한 움직임 방향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된 움직임 방향 정보는 제어신호 발생기(440)로 입력된다.
화상정보 분석기(480)는 도 2에 도시된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그래픽 보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한다. 상기 분석된 화상 정보는 제어신호 발생기(440)로 입력된다.
제어신호 발생기(440)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41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비교기(430)로부터 입력되는 판단 일치 신호, 입력 정보 분석기(47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및 화상 정보 분석기(48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신호 발생기(460)로 하여금 상기 음성 신호, 입력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가 제2데이터베이스(46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색요구 신호이다.
구동신호 발생기(450)는 제어신호 발생기(4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 신호, 입력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신호가 제2 데이터베이스(450)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상응하는 구동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구동신호를 시뮬레이션 수단(170)으로 출력하여 시뮬레이션 수단(170)을 구동시킨다. 이로 인해, 시뮬레이션 수단(170)은 음성 신호, 입력 신호, 및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신호 발생기(440)가 입력 정보와 화면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는, 동일한 효과음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구동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모니터(110), 게임기 본체(120), 입력수단, 스피커(150), 구동수단(160), 및 시뮬레이션 수단(17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구동수단(160) 이외의 구성요소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구동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나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 구동수단(160)은,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510), 제1데이터베이스(520), 비교기(530), 제어신호 발생기(540), 구동신호 발생기(550), 제2데이터베이스(560), 입력정보 분석기(570), 화상정보 분석기(580) 및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포함한다. 한편, 구동수단(160)으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다른 출력 라인을 통해 스피커(150)로 그대로 출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구동수단이 앞선 실시예인 도 3에 도시된 구동수단과 다른 점은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더 구비한다는 점이며, 통신 인터페이스(590) 이외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통신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명만 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590)는 구동신호 발생기(55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구동신호를 시뮬레이션 수단(170)으로 전송한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590)는 RF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수단(170)과 무선 통신을 한다. 실제로, 구동수단(500)과 시뮬레이션 수단(770)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짧기 때문에, 이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외부 교란을 받지 않고 충분히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다이아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의 구동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다이아그램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의 구동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다이아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Claims (11)

  1. 게임의 동작명령을 입력받아 게임 객체의 움직임 방향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게임을 실행하여 게임의 영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게임의 효과음들을 발생시키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게임기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 사용자가 조정하는 게임 객체에 대한 움직임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의 효과음들과 비교하고, 상기 게임기의 영상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게임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도중에 발생하는 상황을 실감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게임 사용자의 변위를 변화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게임의 실행 도중 게임 효과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생한 게임 효과음을 제공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효과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생한 게임 효과음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효과음과 일치하는 경우, 판단 일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 객체의 움직임 방향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정보 분석기;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는 화상정보 분석기;
    상기 음성 신호, 상기 판단 일치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 신호, 상기 판단 일치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발생기;
    게임의 입력 신호와 게임의 영상 신호와 게임의 음성 신호의 각 조합에 대응되는 각종 구동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구동신호 발생기로 하여금 상기 음성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색요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뇌파 측정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와 상기 게임기의 영상 출력 단자와 상기 뇌파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뇌파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뇌파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6. 게임의 동작명령을 입력받아 게임 객체의 움직임 방향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의 영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게임의 효과음들을 발생시키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게임기 본체;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 사용자가 조정하는 게임 객체에 대한 움직임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의 효과음들과 비교하고, 상기 게임기의 영상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게임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도중에 발생하는 상황을 실감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게임 사용자의 변위를 변화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시뮬레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게임의 실행 도중 게임 효과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생한 게임 효과음을 제공하는 사운드 모니터링 유닛;
    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효과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생한 게임 효과음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효과음과 일치하는 경우, 판단 일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 객체의 움직임 방향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정보 분석기;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는 화상정보 분석기;
    상기 음성 신호, 상기 판단 일치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 신호, 상기 판단 일치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발생기;
    게임의 입력 신호와 게임의 영상 신호와 게임의 음성 신호의 각 조합에 대응되는 각종 구동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구동신호 발생기로 하여금 상기 음성 신호,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색요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파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뇌파 측정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게임기의 음성 출력 단자와 상기 게임기의 영상 출력 단자와 상기 뇌파 측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뇌파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뇌파 신호의 조합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1020080040165A 2008-04-30 2008-04-30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10101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65A KR101017578B1 (ko) 2008-04-30 2008-04-30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65A KR101017578B1 (ko) 2008-04-30 2008-04-30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498A KR20090114498A (ko) 2009-11-04
KR101017578B1 true KR101017578B1 (ko) 2011-02-28

Family

ID=4155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165A KR101017578B1 (ko) 2008-04-30 2008-04-30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6341A (zh) * 2017-12-26 2018-06-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调整虚拟现实平台的座椅参数的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331A (ja) * 1993-11-04 1995-05-16 Canon Inc 脳波による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ゲーム装置と覚醒装置と照明装置
KR19980028623A (ko) * 1996-10-23 1998-07-15 배순훈 포스피드백 기능을 갖는 개선된 가상현실 입력장치
KR20000006630A (ko) * 1999-07-24 2000-02-07 박병운 뇌파를이용한게임장치및그방법
KR20060007845A (ko)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동작 효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331A (ja) * 1993-11-04 1995-05-16 Canon Inc 脳波による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ゲーム装置と覚醒装置と照明装置
KR19980028623A (ko) * 1996-10-23 1998-07-15 배순훈 포스피드백 기능을 갖는 개선된 가상현실 입력장치
KR20000006630A (ko) * 1999-07-24 2000-02-07 박병운 뇌파를이용한게임장치및그방법
KR20060007845A (ko)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동작 효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498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0992C (zh) 使用触觉反馈的声音数据输出和处理方法和设备
US11779836B2 (en)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6417856B1 (en) Image gen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000069954A (ko) 게임 장치
CN114307128A (zh) 一种基于车载娱乐系统的互动方法、车辆及介质
JP2000237451A (ja) 課題解決型乗り物ゲーム装置
US8656307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computer terminal, and change method
CN112221117A (zh) 一种驾驶模拟仿真平台及方法
JP2016167219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へ表示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17578B1 (ko) 게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N102236030B (zh) 一种惯性测量模拟分析方法、终端及系统
CN112569609B (zh) 车辆及其游戏的控制方法和装置
JP2004325828A (ja) シミュレ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1092343A (ja) 車両運転シミュレータ装置
WO2004080554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CN112386904A (zh) 基于车辆的游戏功能键位的数据处理方法和车辆
JP2010151939A (ja) 運転模擬試験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4434466A (zh) 一种汽车智能驾舱性能评测仿真机器人
CN112758014A (zh) 一种驾驶信号处理方法和车辆
CN112947757A (zh) 车载交互系统的控制方法、存储介质和车载电子设备
JP2010142300A (ja) 運転シミュレーション用端末装置、運転シミュレ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219098A (ja) ドライブ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これに備える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JP3243841U (ja) トレーニング専用シミュレータ及びトレーニング専用シミュレータキット
KR100732071B1 (ko) 게임 장치
CN106652644A (zh) 基于可视化编程的vr驾驶考核项目制作与体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