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524U -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524U
KR20090007524U KR2020080000921U KR20080000921U KR20090007524U KR 20090007524 U KR20090007524 U KR 20090007524U KR 2020080000921 U KR2020080000921 U KR 2020080000921U KR 20080000921 U KR20080000921 U KR 20080000921U KR 20090007524 U KR20090007524 U KR 200900075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alt
removal device
water
salt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만
송향연
남창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0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524U/ko
Publication of KR20090007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5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29Suction chambers for aspirating the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하여 염분을 용해하고 흡입 및 더운 공기를 불어넣어 표면에 남은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켜 블록표면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박의 블록표면(10)에 붙여 있는 염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염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1)에 위치하여 선박 블록표면(10)의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부(11); 상기 스팀 발생부(11)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용해된 수용성 염분의 오염물을 흡입하는 오염물 흡입구(12); 상기 오염물 흡입구(12)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더운 공기를 발생하기 위한 열선부(13);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에 위치하여 스팀 발생부(11)의 스팀 생성을 위해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물탱크부(14);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 상부에 위치하여 스팀강도 조절 및 스팀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팀양 조절부(15);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 상부에 위치하여 오염흡입 강도 조절 및 흡입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흡입양 조절부(16);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와 몸체부(2) 사이를 관과 전선으로 연결하여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선(17a)(17b); 및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 끝단에 위치하여 주 전원 공급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를 제시한다.
블록표면, 오염물, 수용성 염분, 제거

Description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Soluble salts removing apparatus of ship block surface}
본 고안은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하여 염분을 용해하고 흡입 및 더운 공기를 불어넣어 표면에 남은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켜 블록표면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산업에서는 도장 및 방식(부식 방지)의 중요성도 빼놓을 수 없다. 선박의 수명을 좌우하는 것이 부식이고, 이를 방지하는 것이 도장이다.
2006년 유엔 산하의 국제해사기구(IMO)가 강력한 보호도장 기준(PSPC)을 제정하면서 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조선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이는 강재의 2차 표면처리 등급 및 도장 두께에서 강도 높은 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에 블록 건조기간만 최대 10~15%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선박의 블록표면에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식으 로 약품을 이용하거나 워싱 세척 도장된 부분만을 약품 또는 워싱 기술로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약품 사용시 도장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즉, 약품 잔존물이 또다시 오염원으로 작용되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약품 사용시 물과 섞어 사용함으로써 물이 잔존하여 2차 전처리 블록표면에 러스트(rust)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았으며, 약품 사용시 폐수 발생으로 폐수처리장의 설치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팀을 이용하여 염분을 용해하고 흡입 및 더운 공기를 불어넣어 표면에 남은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켜 블록 표면의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의 블록표면에 붙여 있는 염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염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에 위치하여 선박 블록표면의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부; 상기 스팀 발생부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용해된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흡입하는 오염물 흡입구; 상기 오염물 흡입구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더운 공기를 발생하기 위한 열선부;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에 위치하여 스팀 발생부의 스팀 생성을 위해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물탱크부;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 상부에 위치하여 스팀강도 조절 및 스팀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팀양 조절부;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 상부에 위치하여 오염흡입 강도 조절 및 흡입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흡입양 조절부;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와 몸체부 사이를 관과 전선으로 연결하여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선; 및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 끝단에 위치하여 주 전원 공급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를 제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팀을 이용하여 염분을 용해하고 흡입 및 더운 공기를 불어넣어 표면에 남은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켜 블록 표면의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IMO PSPC의 염분 기준을 만족하며, 약품 미사용 및 폐수의 미 발생으로 친환경적으로 염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염분 제거를 위해 추가적인 공정이 불필요하며, 현장 작업자의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분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은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1)에 위치하여 선박 블록 표면(10)의 수용성 염분을 용해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부(11); 상기 스팀 발생부(11)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용해된 수용성 염분의 오염물을 흡입하는 오염물 흡입구(12); 상기 오염물 흡입구(12)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더운 공기를 발생하기 위한 열선부(13);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에 위치하여 스팀 발생부(11)의 스팀 생성을 위해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물탱크부(14);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 상부 일 측에 위치하여 스팀강도 조절 및 스팀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팀양 조절부(15);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 상부 일 측에 위치하여 오염흡입 강도 조절 및 흡입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흡입양 조절부(16);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와 몸체부(2) 사이를 연결하여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선(17a)(17b); 및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 끝단에 위치하여 전원 공급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스팀 발생부(11)는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의 물탱크부(14)로부터 공급되 는 물을 분사하여 스팀을 발생하게 된다.
오염물 흡입구(12)는 선박 블록표면(10)의 용해된 수용성 염분 오염물, 즉기름찌거기, 먼지 등을 흡입하게 된다.
열선부(13)는 코발트, 크롬 등의 열선으로 구성되어 열을 발생하여 수용성 오염물의 용해시키게 된다.
물탱크부(14)는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에 일정 용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로서 그 크기는 설정된 작업시간에 따라 용기의 크기가 결정된다.
스팀양 조절부(15)는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는 다이얼의 형태로 제작되어 스팀 강도를 조절하고, 스팀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흡입양 조절부(16)는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는 다이얼의 형태로 제작되어 오염흡입 강도를 조절하고, 흡입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연결선(17a)(17b)는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와 몸체부(2) 간을 연결하기 위한 관 및 전선으로서 스팀 생성을 위한 물과; 스팀양 조절부(15) 및 흡입양 조절부(16)의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전원부(18)는 염분 제거장치의 주 전원 공급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염분 제거장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제거해야 할 대상의 선박 블록표면(10)에 염분 제거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염분 제거장치의 물탱크부(14) 상태를 확인한 후 물이 부족한 경우 물 을 보충한다.
그 상태에서 손잡이부(3)에 형성된 전원부(18)를 온(ON) 시킨 후 스팀양 조절부(15) 및 흡입양 조절부(16)의 스팀 강도 및 오염물 흡입량을 적당히 조절하여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1)에 형성된 열 및 스팀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용해시키며, 그 용해된 오염물은 오염물 흡입구(12)를 흡입되어 제거된다.
선박의 오염물 제거 작업을 완료한 후 전원부(18)의 전원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작업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염분 제거장치는 IMO PSPC (보호도장성능기준)에 의거 워터 발라스트 탱크의 2차 전처리 블록의 수용성 염분기준(50mg/m2)을 만족할 수 있으며, 사외제작(Outsoucing) 블록이 기준을 초과되는 경우에도 생산공정의 차질이 없으며, IMO PSPC(보호도장성능기준)에 적용 받는 모든 해양/조선 블록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폐수 미발생 염분 제거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분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스팀 발생부 12: 오염물 흡입구
13: 열선부 14: 물탱크부
15: 스팀양 조절부 16: 흡입양 조절부
17a,17b: 연결선 18: 전원부

Claims (2)

  1. 선박의 블록표면(10)에 붙여 있는 염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염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머리부(1)에 위치하여 선박 블록표면(10)의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부(11);
    상기 스팀 발생부(11)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용해된 수용성 염분 오염물을 흡입하는 오염물 흡입구(12);
    상기 오염물 흡입구(12) 상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더운 공기를 발생하기 위한 열선부(13);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에 위치하여 스팀 발생부(11)의 스팀 생성을 위해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물탱크부(14);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 상부에 위치하여 스팀강도 조절 및 스팀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팀양 조절부(15);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몸체부(2) 상부에 위치하여 오염흡입 강도 조절 및 흡입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흡입양 조절부(16);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와 몸체부(2) 사이를 관과 전선으로 연결하여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선(17a)(17b); 및
    상기 염분 제거장치의 손잡이부(3) 끝단에 위치하여 주 전원 공급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양 조절부(15) 및 흡입양 조절부(16)는 다이얼 형태로 제작되어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KR2020080000921U 2008-01-22 2008-01-22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KR200900075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21U KR20090007524U (ko) 2008-01-22 2008-01-22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21U KR20090007524U (ko) 2008-01-22 2008-01-22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524U true KR20090007524U (ko) 2009-07-27

Family

ID=4129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921U KR20090007524U (ko) 2008-01-22 2008-01-22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52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071A (zh) * 2020-04-08 2020-08-07 邱日 一种船用螺旋桨防生物污损的装置及方法
KR102539656B1 (ko) * 2022-12-08 2023-06-05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블럭 조인트 해상 작업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071A (zh) * 2020-04-08 2020-08-07 邱日 一种船用螺旋桨防生物污损的装置及方法
KR102539656B1 (ko) * 2022-12-08 2023-06-05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블럭 조인트 해상 작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974B1 (ko) 금속부품 세척방법
US20230002912A1 (en) Workpiece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KR20090007524U (ko) 선박 블록표면의 염분 제거장치
CN110736384A (zh) 一种新型板式换热器清洗装置
JP4895903B2 (ja) 冷却システム、及びこの冷却システムを備える発電所
JP2016507376A (ja) 生物膜生成抑制のための循環型配管が設置された船舶バラスト水のインライン処理処置
CN104261410A (zh) 一种清洗硅料的方法
US200201579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lytic cleaning
JP2009168357A (ja) 空気予熱器の付着物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100056043A (ko) 선박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트 제거장치
KR101538865B1 (ko) 누출가스 중화장치
KR20130090519A (ko) 소형 최적화 전해소독 시스템
JP5007387B2 (ja) ニッケル合金の水溶液中におけるエンドミル切削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JP2017013038A (ja) 空撃およびナノバブルによる洗浄装置
CN212883842U (zh) 多污染层一体化的工件清洗装置
JP5070484B2 (ja) 電気防錆法を利用したチタン合金の水中におけるエンドミル切削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JP2009079279A (ja) 防食管継手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5070486B2 (ja) 電解水を利用したニッケル合金の電解水中におけるエンドミル切削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CN207276721U (zh) 一种出水文物脱盐用气密充气装置
JP2008221396A (ja) 電気防錆法を利用したニッケル合金の水中におけるエンドミル切削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JP2019155332A (ja) 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3134076U (ja) 廃液・排ガス処理装置
KR102584151B1 (ko) 선박의 암모니아처리시스템
KR20090003324U (ko) 발라스트수 처리전용 바지선
JP2007211037A (ja) 酸性付着物除去剤及び酸性付着物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