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38A -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 Google Patents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38A
KR20090007138A KR1020070070810A KR20070070810A KR20090007138A KR 20090007138 A KR20090007138 A KR 20090007138A KR 1020070070810 A KR1020070070810 A KR 1020070070810A KR 20070070810 A KR20070070810 A KR 20070070810A KR 20090007138 A KR20090007138 A KR 2009000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win
bookbinding
suppl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510B1 (ko
Inventor
한치수
Original Assignee
한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치수 filed Critical 한치수
Priority to KR102007007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5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42B5/103Device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with the stack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3/00Bookbinding presses; Joint-creasing equipment for bookbinding; Drying or setting devices for 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렌더, 노트 등과 같이 트윈 스프링을 이용하여 책 형태로 제본할 수 있도록 된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자형태로 제본되는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표지)를 트윈 스프링으로 제본함에 있어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하는 단계, 속지 일면에 커버지 합지하는 단계, 트윈 스프링을 끼움하는 단계, 트윈 스프링을 압착결속하는 단계, 제본된 책형태의 제본물을 배출실린더로 밀어 이송 컨베어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본 공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관리의 편리성 및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70070810
제본기, 트윈스프링, 공급기, 가압기, 이송체인, 체인밸트, 체인기어

Description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AUTOMATED ONE SYSTEM BINDER}
본 발명은 카렌더, 노트 등과 같이 트윈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본할 수 있도록 된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자형태로 제본되는 속지와 커버지를 트윈 스프링으로 제본함에 있어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하는 단계, 속지 일면에 커버지를 합지하는 단계, 트윈 스프링을 끼우는 단계, 트윈 스프링을 압착결속 하는 단계, 제본된 대상물을 이송 컨베어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본 시스템을 자동화시켜 생산성 향상과 관리의 편리성과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 기록지나 노트 및 책이나 달력을 제본하기 위해서는 일측 단부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한 장씩 이루어져 있는 낱장을 서로 접합시켜 제본하거나,
실로서 박음질하여 책이나 각종 기록지를 제본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경우 제본에 많은 시간이 소용되고, 또한 제본 부위를 별도의 띠나 테이프로서 감싸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싱글 링이나 트윈 링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 스프링을 이용한 제본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노트, 카렌더 등을 책자형 태로 제본하기 위해 제본 부위에 다수개의 체결공을 뚫고 여기에 싱글 링이나 트윈 링의 스프링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노트의 낱장이 싱글 또는 트윈의 스프링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제본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노트를 스프링 노트라고
한다. 이때, 싱글 링은 각 체결공에 끼워지는 링이 모두 한 줄로 이어진 상태로 차례로 끼워지기 때문에 스프링 체결과정이 까다롭고, 스프링이 약간 비스듬히 체결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트윈 링은 각 체결공에 스프링이 두 줄씩 끼워지고, 각각
의 링이 개방된 상태로 체결공에 끼워져서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체결과정이 용이하고, 스프링이 반듯하게 체결되는 장점이 있어서 차츰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트윈 링 체결장치는 전동모터와 구동 실린더 등이 설치되는 하부구조와, 이 하부구조 위에 각각 분리 설치된 노트 지지테이블 및 스프링 공급테이블로 구성된다. 이때 노트 지지테이블 상에는 한 쌍의 클램프가 설치되어 있어서이 클램프가 상하운동을 하면서 노트를 잡아 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클램프는 노트 지지테이블과 함께 스프링 공급테이블을 향하여 왕복운동을 하면서 스프링 체결공에 트윈 링을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윈 링 체결장치의 경우, 사람이 일일이 노트 지지테이블 위에 노트를 올려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 트윈링이 체결된 다음에는 또 사람이 일일이 그 노트를 노트 지지테이블에서 빼내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노트 지지테이블의 양쪽에 클램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트윈 링이 설치된 노트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적인 문제 점이 있었다.
또한 선출원 등록된 특허 등록 제636254호의 제본기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동작되며 여러 장의 제본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수단,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제본지를 미리 설정된 분량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가 구비된 제1본체; 상기 분리된 제본지를 각각 펀칭하기 위한 펀칭장치,
상기 펀칭된 제본지와 표지를 합하기 위한 합지장치, 상기 합하여진 제본지에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해 스프링 결합장치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수단, 상기 제2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본지에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결합장치, 상기 스프링 결합장치 내에 스프링을 공급하기 위한 스프링 공급장치, 상기 제본지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 및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제2 본체로 구성된 것으로, 특허 등록 제636254호는 속지와 제본지 커버를 별도의 합지장치로 일열로 정리하기 위한 정리부와 정리부 상에 올려진 표지를 결합하기 위한 표지 결합부로 구성되나 이러한 구성은 속지와 표지가 동일한 크기일 경우에는 정리 결합하는 데 문제가 없으나 책상에 세워 보관하는 책자형 카렌더의 경우 속지와 표지(커버지)의 크기가 상이하여 제어부의 설정값에 의해 서로의 위치를 맞춘다 하더라고 크기차이에 의해 천공구멍이 일치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자동화 시스템에서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상기 합지장치의 경우 속지와 표지를 합지하기 위해 정리부, 결합부, 유도판, 역류 방지롤러, 실린더가 장착된 밀음판 등으로 정리와 이송하기 위해 작동되는 시간이 소요됨으로 작업을 연속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 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특허 등록 제636254호는 스프링결합장치와 스프링 절단장치가 하나의 벨트에 의해 구동됨으로서 장력조절 풀리가 있다 하더라도 사용시 장력에 의한 오차가 발생되어 스프링의 결합이 균일하게 압착결합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벌어지는 분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출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402190호의 트윈 링 자동 체결장치는『송모터에 의해 정위치로 이송하는 링공급테이블과, 하부구조체 위에 설치되어 한 쌍의 클램프가 상하운동하면서 스프링노트를 잡아 링 공급테이블 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원 위치되는 이동테이블을 갖는 노트지지테이블과, 링 공급테이블의 선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하이동되어 삽입된 트윈 링을 스프링노트의 체결공에 체결시키는 링 압착부재와, 트윈 링이 체결된 스프링노트를 전동모터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노트배출콘베이어로 구성된 것이나, 노트를 스프링으로 제본하기 위한 노트를 일일히 공급해야 함으로 제본을 하기 위한 공급수단과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수단 등이 별개로 이루어지고, 특히 노트에 스프링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노트를 하나하나 공급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자형태로 제본되는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표지)를 트윈 스프링으로 제본함에 있어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 단계, 속지 일면에 커버지 합지 단계, 트윈 스프링 끼움 단계, 트윈 스프링 압착결속 단계, 제본된 대상물을 이송 컨베어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본 공정을 자동화시켜 생산성 향상과 관리의 편리성과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렌더, 노트, 책등을 트윈 스프링으로 제본하기 위해 다수의 이송 체인이 설치된 몸체 일측에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속지 공급부 및 커버지 공급부와; 상기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가 합지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센서 및 커버지 공급센서와; 상기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대상물을 제2 위치센서의 위치감지에 의해 천공된 구멍에 트윈스프링이 끼워지도록 공급하는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와; 상기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로부터 공급된 트윈스프링이 제본 대상물의 천공된 통공에 끼워지도록 지지하는 인입가이드와; 제본 대상물의 통공에 끼워진 트윈스프링을 가압하여 제본될 수 있도록 비틀림으로 이루어진 트윈스프링 회전 가이드와; 다수의 이송체인에 의해 이동되는 제본대상물이 제3 위치센서의 감지에 의해 제본 위치에 정지한 후 트윈스프링을 가압하여 제본할 수 있도록 된 트윈스프링 가압부와; 트윈스프링 가압부에서 가압 제본된 제본 대상물이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밀어 이송하는 배출 실린더 및 이송 컨베어와; 상기 몸체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부로 제본기를 구성 함으로서,
제본시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에서부터 제본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원시스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본기를 자동화하여 작업의 편리성, 생산량의 증대성, 관리의 용이성, 제품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본 대상물을 트윈 스프링으로 제본 함에 있어서, 속지와 커버지의 공급에서부터 트윈 스프링으로 제본하여 이송 컨베어를 통하여 제본대상물을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원시스템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제본 생산력을 증대시키고, 제본작업의 관리를 간소화하며, 제품의 품질을 고급화하고, 작업시 제품의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윈 스프링으로 달력, 노트, 책 등을 제본할 수 있도록 된 제본기에 있어서,
다수의 이송 체인(3)이 설치된 몸체(2) 일측에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속지 공급부(4) 및 커버지 공급부(5)와;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가 합지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센서(11) 및 정지센서(10)와;
이송체인(3)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대상물(60)을 제2 위치센서(12)의 위치감지에 의해 천공된 구멍에 트윈스프링(15)이 끼워지도록 공급하는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와;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로부터 공급된 트윈스프링(15)이 제본 대상물의 천공된 통공에 끼워지도록 지지하는 인입가이드(28)와;
제본 대상물의 통공에 끼워진 트윈스프링을 가압하여 제본될 수 있도록 비틀림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회전 가이드(29)와;
다수의 이송체인(3)에 의해 이동되는 제본대상물(60)이 제3 위치센서(13)의 감지에 의해 제본 위치에 정지한 후 트윈스프링을 가압하여 제본할 수 있도록 된 스프링 가압부(30)와;
스프링 가압부(30)에서 가압 제본된 제본물(60')이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밀어 이송하는 배출 실린더(36) 및 이송 컨베어(37)와;
몸체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부(38)로 제본기(1)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지 공급부는 구동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커버지 공급체인(7)으로 이루어지며 커버지 공급체인(7) 중간 지점에 2개의 커버지 배출 안내편(9)이 순환되도록 설치하고 일측에 커버지 배출구(8)가 형성되며, 커버지 공급부 배면에는 배출 안내편(9)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정지센서(10)와, 속지가 커버지와 합지될 수 있도록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위치센서(11)가 설치된다.
상기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는 일측에 스프링 가이드봉(17)이 설치되고 그 일면에 제1 및 제2 체인기어(18)(19)가 설치되어 트윈스프링(15)을 이송하는 체인밸트(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제1 체인기어(18) 저면에는 체인 장력 스프링(21)이 설치되고, 제2 체인기어(19) 저부에는 간격조절볼트(23)와 유격안내 봉(24)이 구비된 유격조절부(22)가 형성되고 유격조절부(22) 일측에는 접근센서(25)가 설치된 트윈 스프링 공급가이드(26)가 구성된다.
상기 트윈 스프링 가압부는 가압모터(31)에 편심캠(32)과 커넥팅 로드(33)를 설치하고 커넥팅 로드(33) 일단에 가압바(34)를 연결시켜 제본 대상물의 통공에 끼워진 트윈 스프링(15)을 가압시켜 제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본기(1)의 몸체(2)는 전면에 속지 공급부(4)와 인입 가이드(28), 스프링 가압부( 30와 대응되도록 상부에 유격조절편(39')(40')(41')을 갖는 제1, 제2, 제3 높이조절대(39)(40)(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는 스프링 가이드 봉(17) 저면에 트윈 스프링(15) 절단장치(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본기 몸체 전면 일측에는 전기 접속구(42)가 설치되어 일측에 설치된 트윈 스프링 공급장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본기(1)를 이루는 몸체(2)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전면의 모서리부를 면치기 한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의 경사면에 제본에 필요한 구성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의 모서리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각각의 구성부를 설치한 것은 작업자가 자장 편안한 제세로 작업에 임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각적 관찰에 있어서도 편안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본기(1)는 속지와 커버지로 이루어진 제본대상물(60)이 좌측에서 우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 2줄로 이송체인(3)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체인(3)은 제본기(1) 몸체(2) 내에 설치된 체인기어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며, 상기 이송체인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은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기술적구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송체인(3)의 구동에 따른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제본기(1)는 좌측으로부터 받침대(4')를 갖는 속지 공급부(4), 커버지를 속지 상부에 합지 시킬 수 있도록 공급하는 커버지 공급부(5), 속지와 커버지로된 제본 대상물(60)을 트윈 스프링(15)으로 제본할 수 있도록 트윈스프링(15)을 공급하는 트윈스프링 공급 구동부(16), 트윈 스프링(15)이 제본 대상물의 천공부인 통공에 끼워지도록 지지하는 인입 가이드(28), 인입 가 이드(28)에서 끼워진 트윈스프링(15)을 가압시킬 수 있도록 위치를 회전시키는 스프링 회전가이드(29), 스프링 회전가이드에서 이송체인(3)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대상물의 트윈 스프링(15)을 가압하여 제본하는 스프링 가압부(30)와, 스프링 가압부(30)에서 제본된 제본물을 이송 컨베어(37)로 위치 변경시키는 배출 실린더(36)와, 상기 배출실린더(36)로 부터 배출된 제본물(60')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어(37)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본 대상물이 이송 체인(3)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 체인(3)에 "┘"형 밀편(3')이 다수 설치되어 속지 및 속지와 커버지가 포개어져 합지된 제본 대상물(60)을 이송하게 된다.
상기 밀편(3')은 2 줄로 평행하게 설치된 이송 체인(3) 수직선상에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이송체인(3) 일측 몸체(2)에는 제1 위치 센서(11)와 제2 위치센서(12), 제3 위치 센서(13)가 설치되어 밀편(3')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제본 대상물의 이동 위치를 단속하도록 된 것으로 제1 위치센서(11)는 속지 공급부(4)와 커버지 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속지와 커버지가 포개져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 체인의 밀편 위치를 단속하고, 제2 위치센서(12)는 이송체인(3)에 의해 이동되는 제본 대상물이 트윈 스프링(15)과 결합되는 인입가이드(28) 위치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며, 제3 위치 센서(13)는 스프링 가압부(30)에서 제본대상물이 제본될 수 있도록 위치를 단속한다.
또한 이송체인이 설치된 상부에는 제1, 제2, 제2 높이조절대(39),(40),(41) 를 설치하되 제1 높이조절대(39)는 속지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 높이조절대(40)는 제본 대상물에 트윈 스프링(15)이 체결시 상하부로 유동되지 않고 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제3 높이조절대(13)는 제본 대상물에 결합된 트윈스프링을 가압시 제본 대상물이 상부로 올라가는 것으로 방지하고 일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윈 스프링(15)은 제본 대상물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
Figure 112007051310528-PAT00001
"형으로 위치하여 높이보다 가로가 길은 형상이나 스프링 가압부(30)의 가압바(34)로 눌러 제본하면 "
Figure 112007051310528-PAT00002
"형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높이가 커지므로 제본물은 트윈 스프링이 가압되는 동시에 상부로 상승되므로 이를 제3 높이조절대(41)가 유동되지 않도록 일측으로 안내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제1, 제2, 제3 높이 조절대(39)(40)(41)는 상단 중앙부에 유격조절편(39')(40')(41')이 형성되어 상하 유격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유격 조절편(39')(40')(41')은 장공이 형성되어 제1, 제2, 제3 높이 조절대(39)(40)(41)가 상하로 유격되는 거리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의 제본기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입출력 신호와 각각의 센서 신호값은 회로에 셋팅 값이 설정되어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의 제어 신호는 몸체(2) 상단 중앙에 설치된 컨트롤부(38)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속지공급부와 커버지 공급부를 나타낸 발췌
구성도로서, 일측에 속지 공급부(4)가 구성되고 속지 공급부(4)와 인접된 일측에는 별도의 패널로 형성된 커버지 공급(5)를 형성하되 커버지 공급부는 몸체의 이송체인(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며, 구동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커버지 공급체인(7)이 설치되고 커버지 공급체인(7) 중간 지점에 2개의 커버지 배출 안내편(9)이 순환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커버지 배출구(8)가 형성되어 배출 안내편(9)에 의해 하나의 커버지만 밀려 하부의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속지 상면에 합지(포개지는것)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버지 공급부 배면에는 커버지 배출 안내편(9)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정지센서(10)가 설치되어 속지와 커버지가 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속지가 커버지와 합지되는 위치까지의 이동하는 것은 제1 위치센서(11)가 단속하게 된다. 즉, 제1 위치센서(11)와 커버지 공급부(5)의 정지센서(10)는 서로 상호 협조되도록 셋팅값이 미리 설정된다.
상기 커버지 공급부는 하단 양측에 샤프트가 설치되어 일측에 3개씩 체인기어가 구성되고 각각의 체인기어는 커버지 공급체인(7)이 설치되며 이의 체인기어 구동은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6)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지 공급부에는 다수의 커버지가 적층된 상태이고 일측의 속지 공급부에는 한권으로 이루어지는 속지가 나열 위치한 상태로서 이송체인에 의해 이동되어 제1 위치센서(11)에 도달하면 제1 위치센서(11)의 감지에 의해 구동모터(6)가 구동되어 커버지 공급체인(7)을 회전시키며, 커버지 공급체인에 설치된 배출 안내편(9)이 저부에 위치한 커버지 1개를 밀어 커버지 배출구(8)를 통하여 저 부에서 이동되는 속지 상부에 올려진다.
상기 커버지 공급체인에 설치된 배출 안내편(9)은 커버지를 밀어 낸 후 계속 회전되어 커버지 공급센서(14) 위치에 정지하고 커버지 공급 센서에 위치하여던 다른 배출 안내편(9)은 동시에 이동되어 적층된 저부의 커버지를 밀어낼 수 있도록 대기 상태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를 나타낸 발췌구성도로서,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는 일측의 트윈 스프링 공급장치(50)에서 공급되는 트윈스프링(15)이 스프링 가이드봉(17)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스프링 가이드봉(17) 일측에는 제1 및 제2 체인기어(18)(19)가 설치되어 트윈스프링을 공급하는 체인밸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밸트(20)는 제1 체인기어(18)와 제2 체인기어(19)의 회전에 의해 순환되도록 회전하며 회전시 스프링 가이드봉(17)에 끼워진 트윈 스프링(15)을 밀어 인입가이드(28)으로 이송한다.
또한, 제1 체인기어(18) 저면 일측에는 체인장력 스프링(21)이 설치되어 이송체인이 작동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시 체인밸트(20)을 제1 체인기어(18)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체인기어(19) 저부에는 간격조절볼트(23)와 유격 안내봉(24)이 구비된 유격조절부(22)가 형성되어 스프링 가이드봉(17)에 끼워지는 트윈 스프링의 직경 크기에 대응되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본되는 제본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서 트윈 스프링의 직경 크기가 달라지므로 스프링 가이드봉(17)과 체인밸트(20)의 유격거리를 유격조절부(22)의 간격조절볼트(23)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격조절부(22)의 간격조절볼트(23) 외주면에는 다수의 유격안내봉(24)이 설치되어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가 흔들리지 않고 스프링 가이드 봉과 일정한 간격으로 유격이 조절된다.
이때 스프링 가이드 봉(17)의 말단부와 인접 설치된 인입 가이드(28) 역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본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입 가이드(28)의 유격 조절은 인입 가이드를 고정한 볼트 구멍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제본 대상물이 인입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의 스프링 가이드 봉(17) 저부 일측에 절단장치(27)를 설치하여 스프링 가이드봉(17)에 끼워진 트윈스프링(15)을 제본 대상물의 제본 길이에 대응도록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단장치는 에어가 공급되어 트윈 스프링을 순간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의 제2 체인기어 일측에는 스프링공급 가이드(26)가 설치되어 트윈스프링 공급장치(50)로부터 인입되는 트윈스프링(15)을 스프링 가이드봉(17)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트윈스프링 가이드(26)에는 접근센서(25)가 설치되어 트윈스프링이 공급센서로부터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여 트윈스프링 공급장치가 구동되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고 공급이 원활 경우에는 트윈스프링이 접근센서에 접 촉된 상태이므로 신호를 보내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트윈스프링 공급 구동부에 대한 평면 구성도로서,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는 양측에 제1 체인기어와 제2 체인기어가 설치되어 체인 밸트로 연결한 것으로 제2 체인기어(19) 저부의 유격조절부(22)일측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제1, 제2 체인기어(18)(19)를 구동시켜 체인밸트(2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 제2 체인기어(18)(19)에 연결된 체인밸트(20)는 일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 가이드봉(17)에 끼워진 트윈스프링(15)을 인입가이드(28) 측으로 밀어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체인밸트(20)의 재질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가이드봉 발췌구성도로서 스프링 가이드봉(17)에 트윈스프링(15)을 끼워 인입가이드(28)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스프링 가이드봉(17)에 끼워지는 트윈스프링은 일측에 위치한 트윈스프링 공급장치에서 공급된다.
상기 스프링 가이드봉은 공급 가이드(26)측이 인입 가이드(28) 측보다 높게설치되어 스프링 가이드 봉(17)을 인입가이드(28)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트윈스프링(15)이 미끄러지면서 인입가이드(28)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어 제본대상물(60)의 통공에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본대상물에 끼워진 트윈스프링(15)은 인입가이드(28) 일측에 설치된 회전가이드(29)를 지나면서 비틀림이 발 생되어 "C"형으로 끼워진 후 회전되어 "
Figure 112007051310528-PAT00003
"형으로 위치가 변경된 다음 스프링 가압부(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원형스프링으로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트윈스프링 가압부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트윈 스프링 가압부(30)는 가압모터(31)로 연결되는 축상에 편심 캠(32)을 설치하고 편신캠은 다시 커넥팅 로드(33)와 연결되며, 커넥팅 로드(33)는 압착바(34)를 고정한 틀과 연결된다. 따라서, 일측의 스프링 가압부(30)에서 제본된 제본물(60')이 이송체인(3)에 의해 이동되어 제3 위치센서(13)에 도달하면 제3 위치센서의 신호에 의해 가압모터(31)가 구동되고 커넥팅로드(33)는 편심 캠(3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스프링 가압부(30)의 가압바(34)가 트윈스프링(15)을 가압하여 제본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트윈 스프링 가압부의 정면도로서, 스프링 가압부의 상부 제본기(1) 몸체(2)에 제3 높이조절대(41)가 설치되고 스프링 가압부(30)와 제3 높이조절대(41) 사이에는 제3 위치센서(13)가 설치되 구성이다.
상기 스프링 가압부(30)의 가압바(34)는 가압바를 지지하는 틀과 연결된 볼트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본 대상물에 끼워진 트윈스프링(15)을 가압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본 장치는 카렌더, 노트, 책 등을 트윈스프링으로 제본시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에서부터 제본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원 시스템(단일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제본기를 자동화하여 작업의 편리성, 생산량의 증대성,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속지공급부와 커버지 공급부를 나타낸 발췌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를 나타낸 발췌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트윈스프링 공급 구동부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가이드봉 발췌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트윈스프링 가압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트윈 스프링 가압부의 전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제본기 2:몸체
3:이송체인 4:속지공급부
5:커버지 공급부 6:구동모터
7:공급체인 8:커버지 배출구
9:배출안내편 10:정지센서
11:제1 위치센서 12:제2 위치센서
13:제3 위치센서
16:트윈스프링 공급 구동부 17:스프링 가이드 봉
18:제1 체인기어 19:제2체인기어
20:체인밸트 21:장력스프링
22:유격조절부 23:간격조볼트
24:유격안내봉 25:접근센서
26:트윈스프링공급가이드 27:절단장치
28:인입가이드 29:스프링회전가이드
30:스프링가압부 31:가압모터
32:편심캠 33:커넥팅 로드
34:가압바 36:배출실린더
37:이송컨베어 38:컨트롤부

Claims (7)

  1. 트윈 스프링으로 달력, 노트, 책 등을 제본할 수 있도록 된 제본기에 있어서,
    다수의 이송 체인(3)이 설치된 몸체(2) 일측에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속지 공급부(4) 및 커버지 공급부(5)와;
    제본 대상물의 속지와 커버지가 합지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센서(11) 및 정지센서(10)와;
    이송체인(3)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대상물을 제2 위치센서(12)의 위치감지에 의해 천공된 구멍에 트윈스프링(15)이 끼워지도록 공급하는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와;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16)로부터 공급된 트윈스프링(15)이 제본 대상물의 천공된 통공에 끼워지도록 지지하는 인입가이드(28)와;
    제본 대상물의 통공에 끼워진 트윈스프링을 가압하여 제본될 수 있도록 비틀림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회전 가이드(29)와;
    다수의 이송체인(3)에 의해 이동되는 제본대상물이 제3 위치센서(13)의 감지에 의해 제본 위치에 정지한 후 트윈스프링을 가압하여 제본할 수 있도록 된 스프링 가압부(30)와;
    스프링 가압부(30)에서 가압 제본된 제본 대상물이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밀어 이송하는 배출 실린더(36) 및 이송 컨베어(37)와;
    몸체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부(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지 공급부는 구동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커버지 공급체인(7)으로 이루어지며 커버지 공급체인(7) 중간 지점에 2개의 커버지 배출 안내편(9)이 순환되도록 설치하고 일측에 커버지 배출구(8)가 형성되며, 커버지 공급부 배면에는 배출 안내편(9)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정지센서(10)와, 속지가 커버지와 합지될 수 있도록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위치센서(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3. 제1항에 있어서,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는 일측에 스프링 가이드봉(17)이 설치되고 그 일면에 제1 및 제2 체인기어(18)(19)가 설치되어 트윈스프링(15)을 이송하는 체인밸트(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제1 체인기어(18) 저면에는 체인 장력 스프링(21)이 설치되고, 제2 체인기어(19) 저부에는 간격조절볼트(23)와 유격안내 봉(24)이 구비된 유격조절부(22)가 형성되며 유격조절부(22) 일측에는 접근센서(25)가 설치된 트윈 스프링 공급가이드(2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4. 제1항에 있어서,
    트윈 스프링 가압부는 가압모터(31)에 편심캠(32)과 커넥팅 로드(33)를 설치하고 커넥팅 로드(33) 일단에 가압바(34)를 연결시켜 제본 대상물의 통공에 끼워진 트윈 스프링(15)을 가압시켜 제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5. 제1항에 있어서,
    제본기(1)의 몸체(2)는 전면에 속지 공급부(4)와 인입 가이드(28), 스프링 가압부(30)와 대응되도록 상부에 유격조절편(39')(40')(41')을 갖는 제1, 제2, 제3 높이조절대(39)(40)(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6. 제1항에 있어서,
    트윈 스프링 공급 구동부는 스프링 가이드 봉(17) 저면 일측에 트윈 스프링(15) 절단장치(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본기 몸체 전면 일측에는 전기 접속구(42)가 설치되어 일측에 설치된 트윈 스프링 공급장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KR1020070070810A 2007-07-13 2007-07-13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KR10091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10A KR100918510B1 (ko) 2007-07-13 2007-07-13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10A KR100918510B1 (ko) 2007-07-13 2007-07-13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38A true KR20090007138A (ko) 2009-01-16
KR100918510B1 KR100918510B1 (ko) 2009-09-24

Family

ID=4048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810A KR100918510B1 (ko) 2007-07-13 2007-07-13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94B1 (ko) * 2019-05-17 2020-08-05 홍용기 정합기용 추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23Y1 (ko) * 2008-10-23 2010-10-01 김남호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KR101165820B1 (ko) 2010-09-08 2012-07-16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자동화 시스템 제본기의 스프링 공급 장치
KR101086051B1 (ko) * 2011-02-18 2011-11-22 엄홍섭 부스터 프레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9505A (en) 1997-02-06 2000-05-09 Wang; Sheng-Tan Device for forming a loose-leaf holder and the loose-leaf holder formed thereby
US6000897A (en) 1998-05-13 1999-12-14 Desjarlais; Matthew G. Bookbinding coil insertion machine
KR200268684Y1 (ko) 2001-12-17 2002-03-16 송홍전 트윈스프링 제본기
KR100835075B1 (ko) * 2007-03-02 2008-06-03 김남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94B1 (ko) * 2019-05-17 2020-08-05 홍용기 정합기용 추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510B1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0094B (zh) 用于加工书芯的粘接器以及粘接方法
KR100918510B1 (ko)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CN208469368U (zh) 一种本册的打孔装订一体设备
CN205929800U (zh) 一种病理报告自动整订系统
KR200471557Y1 (ko) 스프링 제본물 이송장치
CN100577540C (zh) 装订设备和印刷品装订方法
KR20120026567A (ko) 커버 또는 플라이리프 및 책등의 자동적인 적용을 위한 다용도 기계
CN110181967B (zh) 一种圆片笔记本的自动装配装置
CN210161796U (zh) 一种本册打孔装订一体机
CN108556504B (zh) 一种封面机用纸板上料输送机构
KR20080040546A (ko) 편평하게 놓인 백지를 커버로 피복하는 장치
CN214491988U (zh) 医用包装盒表面覆膜装置
JP5295838B2 (ja) 製本装置及び製本方法
KR101165820B1 (ko) 자동화 시스템 제본기의 스프링 공급 장치
CN210064212U (zh) 一种间歇式运输轨道机构
KR20210035491A (ko)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제본기 스프링 공급 장치
KR20120071204A (ko) 제본장치
KR200395746Y1 (ko) 제본기
KR100645919B1 (ko) 바인더 제조장치
JP2010076446A (ja) 印刷製品を製造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CN206812087U (zh) 一种印制品边料双头清废设备
KR100835075B1 (ko)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CN108312486A (zh) 一种电子产品生产用外壳压花装置
JP4371500B2 (ja) 製本装置
KR102127221B1 (ko) 탄자크형 달력 제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