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780A - 비상 누름 버튼 - Google Patents

비상 누름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780A
KR20090006780A KR1020080067262A KR20080067262A KR20090006780A KR 20090006780 A KR20090006780 A KR 20090006780A KR 1020080067262 A KR1020080067262 A KR 1020080067262A KR 20080067262 A KR20080067262 A KR 20080067262A KR 20090006780 A KR20090006780 A KR 2009000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push button
housing
actuator
emergency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388B1 (ko
Inventor
무다이아 스와미
주안 마누엘 아르카스
스리쿠마 크리스나라얌 바수드반필라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0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2003/0246Resetting of bistable emergency operating part by rotating itself or an accessory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비상 누름 버튼(1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을 구비하는 하우징(12)과 하우징(12)에 의해 지지되는 액추에이터(18)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8)는 작동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거의 직선형인 축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8)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108)이 배치되어 있다. 비상 누름 버튼(10)은 액추에이터(18) 헤드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액추에이터와 함께 움직이도록 편향되어 있는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기(72)는 표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표시 면에는 비상 누름 버튼의 상태를 제공하며 액추에이터(18) 헤드의 표시 창(108)을 통해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식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기(72)는 표시기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80)을 포함하고, 이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과 맞물릴 수 있다. 액추에이터(18) 헤드가 작동 위치로 왕복 운동하면, 적어도 하나의 아암(80)은 하우징(12)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에 의해 소정 위치로 강제 이동되고, 이에 의해 표시기(72)와 더 나아가 표식이 이동되어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태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108)을 통해 볼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누름 버튼{STATUS INDICATION FOR EMERGENCY STOP PUSH BUTTON}
본 발명은 비상 상황에서 가능한 가장 신속하게 문제를 없애거나 차단하기 위해 전기, 전자 기계 혹은 전자 장치나 설비에 안전 차단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종류의 비상 누름 버튼으로서, 안전한 작동이 트리핑을 통해 확보되는 비상 누름 버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비상 누름 버튼은 예컨대 이송 벨트, 엘리베이터, 크레인, 에스컬레이터 및 리프트 등과 같은 운반 혹은 승강 장치(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널리 사용되거나, 화재, 폭발, 홍수 등과 같은 사고, 또는 도난, 난동, 훼손 등과 같은 범죄에 대비하여 설비를 감시하고 경보를 발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비상 누름 버튼은 이미 많이 있으며, 이러한 비상 누름 버튼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안전한 작동, 즉 비상 누름 버튼이 일단 작동되면, 비상 누름 버튼은 그 작동이 차단되거나 비활성화될 뿐 아니라, 비상 누름 버튼은 명백한 비활성화 작동에 의해서만 뜻대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는 안전성이다. 또한, 상기 비상 누름 버튼은 그 부품의 고장, 또는 경용접부 등과 같은 접점에 대한 손상이 일어난 경우에도 비상 누름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반드시 작동시켜야 한 다.
국제 안전 규정을 충족시키는 모든 비상 누름 버튼에는 버섯 형상을 가진 큰 노브(knob) 또는 슬라이더가 마련되는데, 이 노브는 가능한 가장 신속하게 그리고 가장 안전하게 차단을 행할 수 있게 하도록 손바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한 가지 예시적인 비상 누름 버튼이 미국 특허 제5,055,643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비상 누름 버튼은 하우징과, 가동형 작동 노브에 강고히 연결되어 이 작동 노브와 함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지지체는 해제 기구에 작용하는데, 이 해제 기구는 가동형 슬라이더(노브)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노브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용 톱니가 마련된 축 방향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 축 방향 가동 부재는 가동형 노브를 내렸을 때 이 노브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지용 톱니로 하여금 하우징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해제시키도록 강제하고, 상기 축 방향 가동 부재가 트리핑 작동을 통해 클리어되었을 때, 상기 축 방향 가동 부재가 또한 트리핑 방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지용 톱니는 상기 돌기 아래의 위치로 옮겨지고, 그 결과 상기 축 방향 가동 부재는 그 상승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유지용 톱니의 해제는 유지 동작에 대한 역방향으로 상기 노브를 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통해서만 얻어질 수 있다. 노브 내에는 원통형 잠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제, 보는 사람에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상태 표시기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안전한 작동이 트리핑을 통해 확보되는 비상 누름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누름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작동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거의 직선형인 축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이 배치되어 있다. 비상 누름 버튼은 액추에이터 헤드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액추에이터와 함께 움직이도록 편향되어 있는 표시기를 더 포함한다. 표시기는 표시 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표시 면에는 비상 누름 버튼의 상태를 제공하고 액추에이터 헤드의 표시 창을 통해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식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기는 표시기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더 구비하고, 이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과 맞물릴 수 있다. 액추에이터 헤드가 작동 위치로 왕복 운동하면,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에 의해 소정 위치로 강제 이동되고, 이에 의해 표시기와 더 나아가 표식이 이동되어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을 통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는 사람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상태 표시기를 구비한 비상 누름 버튼이 제공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상 누름 버튼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 누름 버튼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이 배치되어 있다. 비상 누름 버튼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식이 마련된 표시 면을 포함하는 표시기가 마련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 헤드가 작동 위치로 왕복 운동하면, 액추에이터 헤드의 표시 창을 통해 선택된 시간에 볼 수 있는 표식이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바뀔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누름 버튼이 대략 도면 부호 10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상 누름 버튼(10)은 하우징(12), 플런저(14), 로터(16), 액추에이터(18) 및 표시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요소 각각과 본원에 기술된 그 밖의 구성 요소는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폴리아미드, 내충격성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강성, 절연성 및 성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2)은 거의 원통형의 외부 형상을 갖는 컵 부분(도면 부호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컵 부분은 하우징 공동(24)을 형성하는 하우징 벽(22)을 포함한다. 스템 부분(26)은 하우징 벽(22)으로부터 연장되고, 도면 부호 28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도시 생략)에 대한 조립을 위해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템 부분(2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4)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32)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설정된 스템 공동(3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2)은 거의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대직경의 멈춤부(34)와 플러그부(36)를 포함한다. 이제 도 2도 참조해 보면, 플러그부(36)는 플러그 공동(38)을 포함할 수 있고, 스템 공동(30) 내에 끼워지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플런저(14)는 베이스 부분(40)과 스템(42)을 포함하고, 스템은 화살표 46으로 나타내어진 거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가이드(45) 내에서 이동 가능한 핀(44)을 포함한다. 로터(16)는 핀(44)과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로터가 이동하는 동안에, 핀은 플런저(14)의 축 방향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일으킨다. 비상 누름 버튼 내에서 축 방향 왕복 운동을 제공하는 유사한 장치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5,055,643호에서 더 상세히 알 수 있는데, 이 특허는 전술되어 있고 그 내용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만들고 실시하는데 필요한 정도까지 본원에 인용되어 있다.
로터(16)는 플런저(14) 및 하우징(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스프링(48 및 50)에 의해 플런저 및 하우징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편향되어 있다. 로터(16)는 대직경의 외측 부분(52)과 소직경의 내측 부분(54)을 포함할 수 있고, 핀(44)은 로터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스프링(48)은 플런저(14)의 숄더부(56)와 로터(16)의 단부면(58)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50)은 하우징(12)의 오목부와 로터(16)의 숄더부(62) 사이에 배치된다. 핀(64)이 로터(16)와 액추에이터(18)를 연결한다.
침수 방지를 위해 가스켓 링(66)이 로터(16)의 홈(68) 내에 배치되고, 또한 침수 방지를 위해 가스켓 링(7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표시기(72)는 로터(16)와 액추에이터(18) 사이에 배치된다. 표시기(72)는 스프링(74)에 의해 스크린(76)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보면, 표시기(72)는 허브(78)와 아암(80)을 포함한다. 허브(78)는 표시 면(82)을 포함하고, 표시 면은 문자(84) 등과 같은 표식을 포함한다. 문자(84) 대신에 또는 문자에 추가하여, 작동 위치 또는 해제 위치를 신호하도록 이동 가능한 적색 및 녹색 등의 배색부 또는 구조적인 플래그 신호 요소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기(72)는 개구(86)와, 스프링(74)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계단형 부분(88)을 포함한다. 숄더부(90)는 각 아암(80)과 연결되어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해 보면, 하우징(12)은 한 쌍의 소직경 부분(92)과 가이드 면(94)을 포함하지만, 도 1에는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이 하우징(12)에서 정반대편에 대향 배치되기 때문이다. 가이드 면(94)은 경사부(96)와 거의 평평한 부분(98)을 포함한다. 경사부는 직선형 축 또는 중앙 축(X)에 대해 약 45°내지 약 75°의 범위 내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한 가지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는 약 60°이다. 하우징(12)은 하우징 벽의 단부면(100)에서 경계가 형성되는데, 이 단부면은 숄더부(90)의 두께(t)와 거의 동일한 깊이(d)로 구성되어 있는 한 쌍의 디봇(divot) 부분(102)을 포함한다.
스크린(76)은 코네티컷주 페어필드 소재의 제너럴 일렉트릭 컴파니에서 등록 상표 "LEXAN"으로 시판하고 있는 것과 같은 저마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액 추에이터(18)에 대한 표시기(72)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7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식(84)이 보이게 하는 개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8)는 작동 면(106)을 포함하고, 작동 면에는 포트 또는 창(108)이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는 창(108)을 통해 표식(84)을 볼 수 있다.
작동 시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누름 버튼(10)이 작동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누름 버튼은 조작자의 손바닥을 작동 면(106)에 접촉시키는 것을 통해 그리고 벽(도시 생략) 등과 같은 지지체에 의해 공급되는 대항력(F)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110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8)가 이동하면, 로터(16)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뒤이어 아암(80)이 화살표 112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면(94)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화살표 110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함에 따라, 표시기(72)가 회전한다. 표시기(72)가 회전하면, 표시 면(82)의 표식(8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k"로부터 "Warning"으로 회전하게 된다.
비상 누름 버튼(10)을 도 5에 도시된 해제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액추에이터(18)를 화살표 114 방향으로 시계 방향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식에서, 가이드 면(94)은 이제 표시기(72)의 회전을 야기하여 표식(84)을 "Warning"으로부터 "Ok"로 변경한다.
본 발명은 현재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고려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례 및 등가의 구성을 모두 망라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비상 누름 버튼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누름 버튼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누름 버튼의 표시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기의 평면도.
도 5는 해제 위치에 있는 도 1의 비상 누름 버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작동 위치에 있는 도 1의 비상 누름 버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상 누름 버튼 12 : 하우징
14 : 플런저 16 : 로터
18 : 액추에이터 24 : 하우징 공동
32 : 피스톤 72 : 표시기
80 : 아암 94 : 가이드 면
106 : 작동 면 108 : 표시 창

Claims (10)

  1. 비상 누름 버튼(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을 구비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에 의해 지지되고, 작동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대체로 직선형인 축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108)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액추에이터(18)와,
    상기 액추에이터(18) 헤드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액추에이터와 함께 움직이도록 편향되어 있는 표시기(2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20)는 표시 면을 구비하며, 이 표시 면은 비상 누름 버튼의 상태를 제공하고 액추에이터(18) 헤드의 표시 창(108)을 통해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식을 가지며, 상기 표시기(20)는 이 표시기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80)을 구비하고, 이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과 맞물릴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18) 헤드가 작동 위치로 왕복 운동하면, 적어도 하나의 아암(80)은 하우징(12)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에 의해 소정 위치로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표시기(20)와 더 나아가 표식이 이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108)을 통해 볼 수 있는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는
    비상 누름 버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20)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표시 창(108)을 통해 상기 표식을 볼 수 있는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표식은 색, 문자 및 구조적인 플래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 누름 버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8)는 작동 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창(108)은 작동 면 상에 배치되는
    비상 누름 버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하우징 공동(24)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 누름 버튼은, 상기 하우징 공동(24) 내에서 편향되어 있고, 액추에이터(18)의 직선형 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로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로터와,
    핀(44)과,
    상기 하우징 공동(24) 내에 배치되어 있고, 핀(44)을 통해 로터와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런저(14)로서, 상기 하우징 공동(24)은 핀(44)용의 나선형 경로를 제공하도록 치수 및 형상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플런저(14)와,
    상기 플런저(14)와 맞물려서 플런저(14)를 지지하는 피스톤(32)을 더 포함하 는
    비상 누름 버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8)와 표시기(20) 사이에 배치된 표시기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스크린은 대체로 얇은 디스크를 포함하며, 이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또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마찰 재료를 포함하는
    비상 누름 버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고, 하우징 공동을 형성하는 하우징 벽(22)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벽(22)은 외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벽의 외면에서 가이드 면(94)이 연장되며;
    상기 액추에이터(18)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고, 하우징 벽(22) 상에 끼워지도록 치수 및 형상이 설정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벽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은 경사부와 대체로 편평한 부분을 구비하는
    비상 누름 버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 아암(80)은 한 쌍의 표시기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면(94)은 한 쌍의 가이드 면(94)을 포함하며;
    각 표시기 아암(80)은 각 가이드 면(94)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상 누름 버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직선형 축에 대해 약 45°내지 약 75°의 범위 내의 각도로 배치되는
    비상 누름 버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벽(22)의 외면은 대체로 원통형이고, 가이드 면(94)은 각각 하우징 벽(22)의 외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하우징 벽(22)의 직경 감소부에서 종단되는
    비상 누름 버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벽(22)의 외면은 한 쌍의 디봇 부분(divot portion; 102)을 구비하는 하우징 벽(22) 단부면에서 종단되고;
    상기 표시기(20)는 대체로 단차식 디스크 형상부와, 표시기 개구와, 제 1 직 경부와, 제 2 직경부를 구비하며, 각 아암(80)은 제 1 직경부와 연결된 숄더부(90)로부터 연장되고, 각 숄더부는 하우징(12) 벽(22)의 디봇 부분(102)과 각각 정합하도록 치수 및 형상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 아암(80)은 하우징 벽(22)의 각 직경 감소부에 인접하게 끼워지도록 치수 및 형상이 설정되어 있는
    비상 누름 버튼.
KR1020080067262A 2007-07-12 2008-07-10 비상 누름 버튼 KR101052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76,840 2007-07-12
US11/776,840 US7790996B2 (en) 2007-07-12 2007-07-12 Status indication for emergency stop push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80A true KR20090006780A (ko) 2009-01-15
KR101052388B1 KR101052388B1 (ko) 2011-07-28

Family

ID=3987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62A KR101052388B1 (ko) 2007-07-12 2008-07-10 비상 누름 버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90996B2 (ko)
EP (1) EP2015326B1 (ko)
JP (1) JP4632211B2 (ko)
KR (1) KR101052388B1 (ko)
CN (1) CN101345146B (ko)
AU (1) AU2008202771B2 (ko)
CA (1) CA2636165C (ko)
MX (1) MX20080083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579A (ko) * 2013-04-05 2015-12-11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동차용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5835B1 (fr) * 2008-09-10 2010-10-22 Fabien Broly Interrupteur coup de poing
DE102009040768B3 (de) * 2009-09-09 2011-03-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tätiger mit Signalanzeige
FR2953061A1 (fr) 2009-11-25 2011-05-27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signalisation mecanique de l'etat d'un bouton d'arret d'urgence
EP2413341B1 (de) * 2010-07-27 2015-04-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taster mit mechanischer Signalanzeige
FR2964241B1 (fr) * 2010-08-25 2012-08-17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signalement du changement d'etat d'un bouton-poussoir
FR2974232A1 (fr) 2011-04-18 2012-10-19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arret d'urgence
FR2979747B1 (fr) * 2011-09-07 2014-05-23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arret d'urgence adaptable sur un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EP2713380B1 (de) * 2012-09-26 2016-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taster-Kompaktbauteil
US9589748B2 (en) * 2013-03-15 2017-03-07 Whirlpool Corporation Cycle selector knob to rotary encoder user interface
CA2916124C (en) * 2013-06-20 2018-02-06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Pressure-actuated safety sw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USD741271S1 (en) * 2014-03-07 2015-10-20 Eao Holding Ag Push button
USD739361S1 (en) * 2014-03-28 2015-09-22 eMoMo Technology Co. Controller for smart furniture (UF)
EP3825974A1 (en) * 2019-11-22 2021-05-26 Carrier Corporation Alarm activation system
KR102256649B1 (ko) 2020-02-28 2021-05-26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비상 스위치
CN112071685B (zh) * 2020-07-21 2023-06-16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紧急按钮装置及具有其的设备
CN114360952B (zh) * 2022-02-18 2024-05-24 重庆市长寿区臻波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防误触按键结构的便携式通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1860A (en) * 1977-06-17 1980-07-23 Cutler Hammer World Trade Inc Push button device
JPS5521685A (en) * 1978-08-03 1980-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lidstate pick up unit
IT1228704B (it) 1989-03-09 1991-07-03 Cge Spa Pulsante di emergenza a sgancio.
FR2716293B1 (fr) 1994-02-14 1996-05-15 Baco Const Elect Bouton de commande à accrochage du type pousser-tourner, notamment pour action sur un composant électrique.
JP3439251B2 (ja) * 1994-02-14 2003-08-25 神保電器株式会社 押圧動作スイッチ
FR2726938B1 (fr) 1994-11-16 1997-01-24 Baco Const Elect Bouton de commande a accrochage du type pousser-tirer, notamment pour action sur un composant electrique
FR2735607B1 (fr) * 1995-06-13 1997-08-22 Baco Const Elect Bouton de commande a accrochage, notamment pour action sur un composant electrique
DE19607562C2 (de) 1996-02-29 1999-07-22 Schneider Electric Gmbh Schalteinrichtung
DE10011626C1 (de) * 2000-03-10 2001-10-11 Moeller Gmbh Notaus-Tastensystem
DE10011624C1 (de) * 2000-03-10 2001-07-26 Moeller Gmbh Notaus-Taste
DE60101746T2 (de) 2001-09-21 2004-11-25 Menber's S.P.A., Legnago Schalter, insbesondere Notausschalter für eine Kraftwagenbatterie
JP4148495B2 (ja) * 2001-12-10 2008-09-10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579A (ko) * 2013-04-05 2015-12-11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동차용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6165A1 (en) 2009-01-12
EP2015326A1 (en) 2009-01-14
CN101345146B (zh) 2013-03-13
AU2008202771B2 (en) 2012-02-23
AU2008202771A1 (en) 2009-02-05
CN101345146A (zh) 2009-01-14
KR101052388B1 (ko) 2011-07-28
CA2636165C (en) 2011-06-14
JP4632211B2 (ja) 2011-02-16
US7790996B2 (en) 2010-09-07
US20090014306A1 (en) 2009-01-15
JP2009021244A (ja) 2009-01-29
EP2015326B1 (en) 2013-02-13
MX2008008378A (es)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388B1 (ko) 비상 누름 버튼
US9147532B2 (en) Emergency stopping device
MXPA03009536A (es) Indicador lineal para valvula.
CN212209276U (zh) 电动工具
US9461461B2 (en) Defect indicator for an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surge arrester
JPH09507333A (ja) 安全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WO2009100681A1 (en) Circuit breaker ready-to-close indicator component
CA2411644A1 (en) Internal fault indicator for power electrical devices
JP4870592B2 (ja) 表示装置を備えた押ボタンスイッチ
WO2012063019A1 (en) Inflation device with pressurised container and means for visual inspection of the presence of the container
EP2026367A3 (en) Safety switch
JP2021009530A (ja) 発信機の点検方法及び点検治具
EP1296343A1 (en) Switch, in particular battery cutout swi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GB2255232A (en) Alarm call points
GB2404494A (en) Call point for an alarm system
EP2085994B1 (en) Safety switch
JP2019090528A (ja) 安全スイッチ
CN100570782C (zh) 尤其用于可电子调节的病床和看护床的电子手控装置
US8800474B2 (en) Measuring gauge with additional indicator for overloads
EP2793033B1 (en) Improved detecting or measuring apparatus
CN113593945B (zh) 电动工具
WO2013165409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ctivating circuit breaker accessories
US4502030A (en) High reliability solenoid switch
CN214378141U (zh) 内置双弹簧微动触发机构
CN108400031B (zh) 限位开关复位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