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649B1 - 비상 스위치 - Google Patents

비상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649B1
KR102256649B1 KR1020200025042A KR20200025042A KR102256649B1 KR 102256649 B1 KR102256649 B1 KR 102256649B1 KR 1020200025042 A KR1020200025042 A KR 1020200025042A KR 20200025042 A KR20200025042 A KR 20200025042A KR 102256649 B1 KR102256649 B1 KR 10225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vable
lowered
contact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봉
장형준
Original Assignee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01H3/10Means for securing to shaft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 장치와 같은 설비를 비상 정지시키거나, 비상 호출 신호 또는 비상 정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부품의 구조가 단순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버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상 신호 호출을 위해 버튼부를 당길 경우, 버튼부 및 전달체가 상승하면서,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에 의해 가동부 및 가동접점이 상승함에 따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됨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통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누를 경우, 전달부가 하강하면서, 하부 하우징 내에서 가동부 및 가동접점이 하강하게 되고, 전달부의 돌기턱이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홀에 걸리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하강된 가동접점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스위치{Emergency switch}
본 발명은 비상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 스위치 또는 비상 버튼은 이송 벨트, 엘리베이터, 크레인, 에스컬레이터 및 리프트 등과 같은 운반 장치나 승강 장치(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화재, 폭발, 홍수 등과 같은 사고, 또는 도난, 난동, 훼손 등과 같은 범죄에 대비하여 설비를 감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상 스위치는 이미 많이 있으며, 이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안전한 작동, 즉 비상 스위치가 일단 작동되면, 그 작동이 차단되거나 비활성화될 뿐 아니라, 비상 누름 버튼은 명백한 비활성화 작동에 의해서만 뜻대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는 안전성이다. 또한, 상기 비상 스위치는 그 부품의 고장, 또는 경용접부 등과 같은 접점에 대한 손상이 일어난 경우에도 비상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반드시 작동시켜야 한다.
국제 안전 규정을 충족시키는 모든 비상 스위치에는 버섯 형상을 가진 큰 노브(knob) 또는 푸쉬버튼이 마련되는데, 이 노브는 가능한 가장 신속하게 그리고 가장 안전하게 차단을 행할 수 있게 하도록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비상 스위치는 산업기기의 운행 중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전원을 긴급하게 차단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면 푸시버튼을 눌러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종래의 비상 스위치는 푸시버튼을 누른 다음 회전시켜 비상 또는 정지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긴급한 상황을 알려거나, 운반 장치 등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비상 스위치는 운반 장치와 같은 설비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해 푸시버튼을 누르거나, 비상 정지시킨 후에 재가동시킬 때 푸시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 방식이 불편함은 물론, 부품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2388호(공고일자 2011.07.2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장치와 같은 설비를 비상 정지시키거나, 비상 호출 신호 또는 비상 정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부품의 구조가 단순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버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는, 사용자가 당길 경우 상승하며, 가압하여 누를 경우 하강하도록 구성된 버튼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와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버튼부와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달체;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전달체가 하강된 경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달체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부가 상기 전달체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체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전기선과 연결된 고정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버튼부가 하강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접점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를 당겨 상승시킬 경우 상기 가동부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의 저면에 접촉되는 가동접점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의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동부와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전달체가 하강된 경우,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전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달부에는 상기 버튼부가 하강 상태일 경우, 하강된 전달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턱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 하단에는 상기 버튼부를 상승시킬 경우, 상승된 전달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강된 가동부의 위치를 복귀시켜 상기 가동부를 상승시키는 제1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가동부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분; 및 상기 삽입부분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가 상승할 경우 상기 고정접점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점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의 삽입홀에는 상기 삽입부분의 저면에 배치되어 하강된 가동부의 위치를 복귀시켜 상기 가동부를 상승시키는 제2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상 신호 호출을 위해 버튼부를 당길 경우, 버튼부 및 전달체가 상승하면서,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에 의해 가동부 및 가동접점이 상승함에 따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됨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통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누를 경우, 전달부가 하강하면서, 하부 하우징 내에서 가동부 및 가동접점이 하강하게 되고, 전달부의 돌기턱이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홀에 걸리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하강된 가동접점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버튼부를 당길 경우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하부 하우징에 내부에 위치한 가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버튼부를 당길 경우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하부 하우징에 내부에 위치한 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전달체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버튼부를 당길 경우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하부 하우징에 내부에 위치한 가동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버튼부를 당길 경우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하부 하우징에 내부에 위치한 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의 전달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는, 사용자가 당길 경우 상승하며, 가압하여 누를 경우 하강하도록 구성된 버튼부(10); 중심부에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10)와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20);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버튼부(10)와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10)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달체(30);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결합되며, 상기 전달체(30)가 하강된 경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달체(3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40); 및 상부가 상기 전달체(3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체(30)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동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전기선과 연결된 고정접점(42)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50)에는 상기 버튼부(10)가 하강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접점(4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10)를 당겨 상승시킬 경우 상기 가동부(5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42)의 저면에 접촉되는 가동접점(52)이 구비된다.
버튼부(10)는 상부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하부가 상부 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달체(3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버튼부(10)를 사용자가 가압하여 누를 경우, 버튼부(10)가 상부 하우징(20)의 내측으로 하강함에 따라 전달체(30)가 하강하며, 사용자가 다시 버튼부(10)를 당길 경우 버튼부(10)가 외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전달체(30)가 상승하는 것이다. 즉, 버튼부(10)를 당길 경우, 고정접점(42)과 가동접점이(52)이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비상 호출 신호 또는 비상 정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다시 버튼부(10)를 가압하여 누를 경우, 고정접점(42)과 가동접점이(52)이 이격됨에 따라 통전이 해제되는 것이다.
상부 하우징(20)은 중심부에 관통홀(22)이 형성되어 관통홀(22)의 상부를 통해 버튼부(1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10)가 하강할 경우, 이와 결합된 전달체(30)가 하강하면서 전달체(30)의 하부가 관통홀(22)의 하부를 통해 돌출됨에 따라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20)에는 상부와 버튼부(1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측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보호캡(24) 및 보호캡(24)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측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오링(26)이 구성될 수 있다.
전달체(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버튼부(10)와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10)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구성으로, 가동부(50)에 상승 및 하강 운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30)의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동부(50)와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전달체(30)가 하강된 경우, 상기 하부 하우징(4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전달부(3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달부(32)에는 상기 버튼부(10)가 하강 상태일 경우, 하강된 전달부(3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턱(34)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달부(32)는 전달체(30)가 하강할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하부 하우징(4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동부(50)가 함께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전달부(32)에 돌기턱(34)이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리도록 마련됨으로써 버튼부(10)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된 전달체(30)의 위치를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1 및 도6을 참조하면, 돌기턱(34)은 한 쌍의 전달부(32)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2)의 하측 내경(A)보다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2)의 하측 내경(A)은 11mm로 마련되고,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는 11.9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기턱(34) 하나의 폭은 4.5mm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버튼부(10)를 당기거나 누르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가 11.9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가 11.9mm 보다 짧은 11.8mm일 경우, 관통홀(22)의 하부 양측벽에 해당하는 상부 하우징(10)의 저면에 돌기턱(34)이 쉽게 걸리지 않아 고정력이 떨어지고, 관통홀(22)의 하부 양측벽에 해당하는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돌기턱(34)이 쉽게 해제됨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가 11.9보다 긴 12mm일 경우, 사용자가 버튼부(10)에 너무 큰 힘으로 가압해야만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돌기턱(34)이 걸리거나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지고, 부품이 파손될 위험성도 높기 때문에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는 11.9mm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10)를 당길 경우,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려있던 돌기턱(34)이 해제됨에 따라 전달부(32)가 버튼부(1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부(10)를 누를 경우, 전달부(32)가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으로 하강할 때에, 돌기턱(34)이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려 하강된 전달부(32)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40)은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결합되며, 상기 전달체(30)가 하강된 경우, 상기 관통홀(22)의 하부를 통해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달체(3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전기선과 연결된 고정접점(4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40)의 외측을 관통하여 고정접점(42)에 결합되는 나사(N)를 통해 고정접점(42)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동부(5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부가 상기 전달체(3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체(30)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구성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50)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강된 가동부(50)의 위치를 복귀시켜 상기 가동부(50)를 상승시키는 제1스프링(5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버튼부(10)를 눌러서 하강시킬 경우, 함께 하강하는 한 쌍의 전달부(32)에 의해 가동부(50)가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버튼부(10)를 당겨서 상승시킬 경우, 한 쌍의 전달부(32)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제1스프링(54)의 복원력에 가동부(50)가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가동부(50)에는 상기 버튼부(10)가 하강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접점(4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10)를 당겨 상승시킬 경우 상기 가동부(5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42)의 저면에 접촉되는 가동접점(5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가동부(50)가 하강 상태일 경우 가동접점(52)은 고정접점(42)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버튼부(10)를 당길 경우, 버튼부(10), 전달체(30)가 상승하면서 제1스프링(54)에 의해 가동부(50)도 함께 상승함에 따라 가동접점(52)이 상승하게 되어 고정접점(42)과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10)를 누를 경우, 전달부(32)가 하강하면서, 하부 하우징(40) 내에서 가동부(50) 및 가동접점(52)이 하강하게 되고, 전달부(32)의 돌기턱(34)이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2)에 걸리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하강된 가동접점(52)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접점(42)과 가동접점(52)이 하부 하우징(40) 내에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통전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5를 참조하면, 버튼부(10)를 누를 경우, 전달부(32)가 하강하면서, 하부 하우징(40) 내에서 가동부(50) 및 가동접점(52)이 하강하게 되고, 전달부(32)의 돌기턱(34)이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2)에 걸리면서, 하강된 가동접점(52)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고정접점(42)과 가동접이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통전이 차단되는 것이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52)은 상기 가동부(5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56)에 삽입되는 삽입부분(52a); 및 상기 삽입부분(52a)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50)가 상승할 경우 상기 고정접점(42)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점부분(52b);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50)의 삽입홀(56)에는 상기 삽입부분(52a)의 저면에 배치되어 하강된 가동부(50)의 위치를 복귀시키기 위한 제2스프링(5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버튼부(10)를 당길 경우, 버튼부(10), 전달체(30)가 상승하면서 제1스프링(54) 및 제2스프링(58)에 의해 가동부(50)도 함께 상승함에 따라 가동접점(52)이 상승하게 되어 고정접점(42)과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비상 호출 신호 또는 비상 정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32) 하단에는 상기 버튼부(10)를 상승시킬 경우, 상승된 전달부(3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36)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달부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은 버튼부를 당길 경우, 관통홀(22)의 양측벽에 해당하는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린 돌기턱(34)이 해제되면서 전달부(32)가 상승함에 따라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상승된 전달부(32)의 걸림턱(36)이 걸려 버튼부(1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동부(5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56)의 양측 내벽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강돌기(56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강돌기(56a)는 가동부(50)가 하강할 때에, 가동접점(52)을 눌러 하강시킴으로써 고정접점(42)으로부터 가동접점(52)을 이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 신호 호출을 위해 버튼부(10)를 당길 경우, 버튼부(10) 및 전달체(30)가 상승하면서, 제1스프링(54) 및 제2스프링(58)에 의해 가동부(50) 및 가동접점(52)이 상승함에 따라 가동접점(52)이 고정접점(42)에 접촉됨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통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버튼부
20 : 상부 하우징
22 : 관통홀
24 : 보호캡
26 : 오링
30 : 전달체
32 : 전달부
34 : 돌기턱
36 : 걸림턱
40 : 하부 하우징
42 : 고정접점
50 : 가동부
52 : 가동접점
52a : 삽입부분
52b : 접점부분
54 : 제1스프링
56 : 삽입홀
56a : 하강돌기
58 : 제2스프링

Claims (5)

  1. 사용자가 당길 경우 상승하며, 가압하여 누를 경우 하강하도록 구성된 버튼부(10);
    중심부에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10)와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20);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버튼부(10)와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10)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달체(30);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결합되며, 상기 전달체(30)가 하강된 경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달체(3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부 하우징(40); 및
    상부가 상기 전달체(3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체(30)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동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전기선과 연결된 고정접점(42)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50)에는 상기 버튼부(10)가 하강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접점(4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10)를 당겨 상승시킬 경우 상기 가동부(5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42)의 저면에 접촉되는 가동접점(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달체(30)의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동부(50)와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전달체(30)가 하강된 경우, 상기 하부 하우징(4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전달부(3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달부(32)에는 상기 버튼부(10)가 하강 상태일 경우, 하강된 전달부(3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홀(22)이 형성된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턱(34)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기턱(34)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2)의 하측 내경(A)보다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가 더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2)의 하측 내경(A)는 11mm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턱(34) 간의 사이거리(B)는 11.9mmm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턱(34) 하나의 폭은 4.5mm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위치.
  3. 제 1 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32) 하단에는 상기 버튼부(10)를 상승시킬 경우, 상승된 전달부(3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저면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36)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50)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강된 가동부(50)의 위치를 복귀시켜 상기 가동부(50)를 상승시키는 제1스프링(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위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52)은
    상기 가동부(5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56)에 삽입되는 삽입부분(52a); 및
    상기 삽입부분(52a)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50)가 상승할 경우 상기 고정접점(42)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점부분(52b);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50)의 삽입홀(56)에는 상기 삽입부분(52a)의 저면에 배치되어 하강된 가동부(50)의 위치를 복귀시켜 상기 가동부(50)를 상승시키는 제2스프링(5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스위치.
KR1020200025042A 2020-02-28 2020-02-28 비상 스위치 KR10225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42A KR102256649B1 (ko) 2020-02-28 2020-02-28 비상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42A KR102256649B1 (ko) 2020-02-28 2020-02-28 비상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649B1 true KR102256649B1 (ko) 2021-05-26

Family

ID=7613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042A KR102256649B1 (ko) 2020-02-28 2020-02-28 비상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6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826A (ja) * 2002-05-02 2003-11-14 Omron Corp 非常停止スイッチ
JP2004234950A (ja) * 2003-01-29 2004-08-19 Maruyasu Dengiyou Kk 非常停止用押釦スイッチ
US20090218206A1 (en) * 2007-11-21 2009-09-03 Franz Gessler Emergency off switching device
KR101052388B1 (ko) 2007-07-12 2011-07-28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비상 누름 버튼
KR20180123819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826A (ja) * 2002-05-02 2003-11-14 Omron Corp 非常停止スイッチ
JP2004234950A (ja) * 2003-01-29 2004-08-19 Maruyasu Dengiyou Kk 非常停止用押釦スイッチ
KR101052388B1 (ko) 2007-07-12 2011-07-28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비상 누름 버튼
US20090218206A1 (en) * 2007-11-21 2009-09-03 Franz Gessler Emergency off switching device
KR20180123819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8933B2 (ja) バッテリ・パ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の携帯ツールとの組合せ体
US7028874B2 (en) Windows-breaking emergency escape device
US20180061605A1 (en) Ground fault circut interrupter having reversed wiring protection fuction
KR102256649B1 (ko) 비상 스위치
US10843016B2 (en) Weight bearing fall protection connector having a wireless fall indicator
GB2285035A (en) Lift assembly for parking cars
CN111667929A (zh) 控制棒驱动机构及具有其的反应堆
US7309840B1 (en) Emergency stopping safety device of paper shredder
ES2789298T3 (es) Unidad principal de anillo con dispositivo de interbloqueo
EP2725283B1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US3350675A (en) Locking electrical connector
EP1958299B1 (en) Touch-safe socket
KR102597350B1 (ko) 원터치 조립형 엘리베이터 버튼
CN210170691U (zh) 一种破窗安全逃生装置
ES2088634T3 (es) Aparato elevador con un dispositivo de elevacion.
JP2007076838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運転装置
CN2884601Y (zh) 安全型电源插座
CN111319535B (zh) 应急装置和公共交通工具
CN102128955A (zh) 高压试验辅助安措设备
CN209922664U (zh) 一种电梯非平层停梯时的应急处理系统
KR20240014435A (ko) 추락 알림장치
US4873523A (en) Shallow water indicator for a boat
JPH09326277A (ja) 緊急時にプラグを抜くテーブルタップ
KR20160146302A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CN213676610U (zh) 一种智能破窗救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