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636A -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636A
KR20090006636A KR1020070070165A KR20070070165A KR20090006636A KR 20090006636 A KR20090006636 A KR 20090006636A KR 1020070070165 A KR1020070070165 A KR 1020070070165A KR 20070070165 A KR20070070165 A KR 20070070165A KR 20090006636 A KR20090006636 A KR 2009000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rmentation
raw material
packaging
fermented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630B1 (ko
Inventor
조근희
우승환
전석수
Original Assignee
조근희
우승환
전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근희, 우승환, 전석수 filed Critical 조근희
Priority to KR102007007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을 재배(새송이, 팽이버섯)하고 난 후 폐기되는 부산물(균사체)을 주원료로하고, 이에 부원료로서 식품 부산물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자연 또는 발효기를 이용한 발효과정을 거쳐 발효사료를 제조함으로서 버섯 속에 함유된 영양성분 및 균사체 자체의 영양성분인 유산균 및 바실러스균 등이 다량 함유된 영양가 높은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버섯을 재배한 후의 부산물 30~50 중량% 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공정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과, 상기 포장공정에서 공기가 미접촉되는 상태로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상온에서 하절기에는 3일간, 동절기에는 10일간 각각 자연 발효시키는 자연발효공정과, 상기 자연발효공정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Feed Composite for Se-Fortified Animal Products of Rumina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을 재배(새송이, 팽이버섯)하고 난 후 폐기되는 부산물(균사체)을 주원료로하고, 이에 부원료로서 식품 부산물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자연 또는 발효기를 이용한 발효과정을 거쳐 발효사료를 제조함으로서 버섯 속에 함유된 영양성분 및 균사체 자체의 영양성분인 유산균 및 바실러스균 등이 다량 함유된 영양가 높은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버섯 폐배지 속에 남아 있는 버섯의 잔량은 폐배지 중량의 약 3~4%가 되며 농장의 버섯 작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 표1과 같이 원배지의 영양성분과 버섯을 재배하고 난 후의 버섯 부산물(균사체)의 차이는 매우 미약함을 알 수 있다.
단위 : %
품명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회분 ADF NDF 비고
원배지 68.00 3.41 2.19 8.93 2.78 11.41 20.11
폐배지 58.00 3.47 1.10 13.37 4.35 17.73 27.72
그리고 재배를 거친 균사체에는 각종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버섯의 영양성분은 인간이 식용하는 버섯보다 균사체에 더 풍부하게 들어있다는 보고이다.
따라서 버섯의 원배지 자체가 주로 사료에 사용되는 곡물이며, 가축사료로 사용 시에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이 균사체에 들어가는 톱밥과 균에 의한 부패가 가장 큰 단점이며 특히 하절기에는 고온으로 인해 발병 이후 수시간 이내에 부패가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 약업신문 개국약사를 위한 학술정보 1992
따라서, 본 발명은 버섯을 재배(새송이, 팽이버섯)하고 난 후 폐기되는 부산물(균사체)을 주원료하고, 이에 부원료로서 식품 부산물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자연 또는 발효기를 이용한 발효과정을 거쳐 발효사료를 제조함으로서 버섯 속에 함유된 영양성분 및 균사체 자체의 영양성분인 유산균 및 바실러스균 등이 다량 함유된 영양가 높은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버섯을 재배한 후의 부산물 30~50 중량% 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 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공정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과, 상기 포장공정에서 공기가 미접촉되는 상태로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상온에서 하절기에는 3일간, 동절기에는 10일간 각각 자연 발효시키는 자연발효공정과, 상기 자연발효공정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원료는 톱밥 30 중량%, 콘코프 20 중량%, 탈지미강 15 중량%, 옥수수가루 및 전분 5 중량%, 대두박(채종박) 4 중량%, 소맥피 15 중량%, 당밀 5중량%, 어분 4 중량%, 활성탄 1 중량% 및 제올라이트(패각분) 1 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섯을 재배한 후의 부산물 30~50 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 (섬유질)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하고 발효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동시에 40~ 60℃ 온도에서 24시간이상 발효시키는 배합 및 발효공정과, 상기 배합 및 발효공정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과, 상기 포장공정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조성물은 버섯을 재배한후 얻어지는 30~50 중량%의 부산물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 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50~70 중량%의 부원료를 자연발효 또는 발효기를 사용하여 배합 및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제반 효과가 있다.
1.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유산균 및 바실러스균을 다량 함유함.
2. 미생물이 합성된 단백질, 비타민 및 자연 항생물질을 포함함.
3. 버섯 속에 있는 다량의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발효에 의한 자연항생물질이 각종 반추가축(비육우, 돼지, 젖소 등)의 질병을 예방함.
4. 항암효과(베타구르칸) 및 육질을 개선함.
5. 발효에 따라 비소화성 물질이 소화성으로 변화되므로 흡수율 및 소화성이 증대 됨.
6. 사료비 절감 및 고급육 생산이 가능함.
7. 출하일령이 단축됨.
8. 기호도 및 안전성이 크게 개선됨.
9. 비소화성 물질이 많은 원료에 미생물이 접종되어 균체와 원료를 모두 사료로 이용 가능함.
10. 발효가 완료되면 잡균번식이 중지되며 기타 세균 사멸로 장기보관이 가 능함.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발효시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가 입고(S10)되면 버섯을 재배한후 얻어지는 부산물 30~50 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 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S11)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배합공정(S12)과, 상기 배합공정(S12)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13)과, 상기 포장공정(S13)에서 공기가 미접촉되는 상태로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상온에서 하절기에는 3일간, 동절기에는 10일간 각각 자연 발효시키는 자연발효공정(S14)과, 상기 자연발효공정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S15)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 사용 시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가 입고(S20)되면 버섯을 재배한 후의 부산물 30~50 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S21)하고 발효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동시에40~ 60℃ 온도에서 24시간이상 발효시키는 배합 및 발효공정(S22)과, 상기 배합 및 발효공정(S22)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23) 과, 상기 포장공정(S23)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S2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조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반추가축용 발효사료 조성물은 버섯을 재배한후 얻어지는 30~50 중량%의 부산물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50~70 중량%의 부원료를 자연발효 또는 발효기를 사용하여 배합 및 발효시켜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명에 따른 본 자연발효시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가 입고(S10)되면 버섯을 재배한후 얻어지는 부산물 30~50 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 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한다(S11).
다음에 주원료와 부원료를 정확히 계량한후 균일하게 배합한다(S12).
상기 배합공정(S12)을 거친후에는 각기 단위별(예로서, 25kg, 30kg, 1000kg 등)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13)을 거치게 되는 데, 이때 포장공정(S13)에서는 공기가 미 접촉되는 상태로 가스배출 미세구멍(바늘구멍 정도 크기)을 형성하여 다음의 자연발효공정(S14)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가스배출 구멍이 너무 커서 공기와 접촉면이 생기면 사료에 부패가 발생하므로 바늘구멍 정도 크기로 미세해야 된다.
상기한 자연발효공정(S14)에서는 상온에서 하절기에는 3일간이상, 동절기에는 10일이상 각각 자연 발효시킨다.
상기한 자연발효공정(S14)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은 출하하게 된다(S15).
또는 자연발효시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가 입고(S10a)되면 버섯을 재배한후 얻어지는 부산물 30~50 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 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한다(S11a).
다음에 주원료와 부원료를 정확히 계량한후 균일하게 배합한다(S12a).
상기 배합공정(S12a)을 거친후에는 상온에서 하절기에는 3일간이상, 동절기에는 10일이상 각각 자연 발효시키는 자연발효공정(S13a)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예로서, 25kg, 30kg, 1000kg 등)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14a)을 거치게 되는 데, 이때 포장공정(S14a)에서는 공기가 미접촉되는 상태로 가스배출 미세구멍(바늘구멍 정도 크기)을 형성하여 다음의 자연발효공정(S13a)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가스배출 구멍이 너무 커서 공기와 접촉면이 생기면 사료에 부패가 발생하므로 바늘구멍 정도 크기로 미세해야 된다.
상기한 포장공정(S14a)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은 출하하게 된다(S15a).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 사용시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가 입고(S20)되면 버섯을 재배한후 얻어지는 부산물 30~50 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한다(S21).
다음에 주원료와 부원료를 정확히 계량한 후 발효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동시에 60℃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발효시킨다(S22).
상기 배합 및 발효공정(S22)을 거친후에는 포장공정(S23)을 거쳐 각기 단위별(예로서, 25kg, 30kg, 1000kg 등)로 포장하고, 이와 같이 포장된 제품은 출하하게 된다(S24).
일반적으로 상기한 자연발효보다 발효기에 의한 발효가 발효시간은 단축되는 이점은 있으나, 제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한편 자연발효는 하절기에는 발효과정이 용이하나 동절기에는 온도 보상에 따른 제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주 원료와 부 원료의 성분을 분석하여 보면 회사별 출처 및 수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아래 표2와 같다.
단위: %
원료명 수분 조단백 조섬유 조지방
버섯부산물 65 3.47 13.37 1.10
두유박 79 9.4 2 2.2
주정박 75 7.2 4.3 1
엿박 43 20.6 3.3 2.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발효사료의 성분을 분석하면 아래 표3과 같다.
단위: %
사료명 수분 조단백 조섬유 조회분 NDF ADF
라이브1호 71.65 4.44 7.65 2.67 16.17 9.65
라이브2호 64.99 7.92 7.60 3.66 16.22 10.68
비육우사료 40 10 10 4 21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발효사료가 무발효사료에 비하여 소화율이 약10%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섬유소 소화율도 약 6~7% 정도 향상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측할 수 있는 것은 가축의 출하시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유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배설물의 량도 감소하며 악취 또한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발효사료내의 유산균 및 바실러스 등 총균수의 분석 결과치를 나타내면 아래 표4와 같다.
성분 결과치
유산균 1.9×107 CFU/g
바실러스 등 총균수 2.0×108 CFU/g
주지와 같이 상기한 유산균(젖산균)은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균으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며 위 성질은 유제품(요구르트, 치즈 등), 김치류, 양조식품(청주, 된장, 간장 등) 등의 식품에 이용된다.
또한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로도 이용되는 중요한 세균의 일종으로서, 그람양성균이며 통성혐기성 또는 혐기성이다.
한편 바실러스 등 총균수(바실러스 서브틸러스)는 바실러스에 속하는 균으로 이른바 고초균이라고도 하며 주로 토양에서 서식하는 간균이며 크기는 0.5× 1.4㎛ 이고, 최적배양온도는 20~40℃ 범위이며, 최적생육 ph는 8.0 이고 생육가능 ph 범위는 5.0~9.0 이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는 청국장의 발효미생물이며, 이 균은 발효과정에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를 분비하여 여러 가지 아미노테 질소를 암모니아테 질소로 변환시킨다.
이 균은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서 암모니아, 인돌, 아민 등 발암촉진 물질을 감소시키며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이 균은 유기산도 생성하여 소화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면역력을 향상시켜 주며 흡수율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발효하기전 포장.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발효후 포장.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 사용시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Claims (5)

  1. 버섯을 재배한 후의 부산물 30~50 중량% 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하고 상기 배합 및 자연발효공정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과, 상기 포장공정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원료는 톱밥 30 중량%, 콘코프 20 중량%, 탈지미강 15 중량%, 옥수수가루 및 전분 5 중량%, 대두박(채종박) 4 중량%, 소맥피 15 중량%, 당밀 5중량%, 어분 4 중량%, 활성탄 1 중량% 및 제올라이트(패각분) 1 중량%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3. 버섯을 재배한 후의 부산물 30~50 중량% 를 주원료로 하고, 상기 주원료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 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50~70 중량%로 계량하고 발효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배합하는 동시에40~ 60℃ 온도에서 24시간이상 발효시키는 배합 및 발효공정과,
    상기 배합 및 발효공정을 거친후 각기 단위별로 포장하는 포장공정과,
    상기 포장공정을 거친후 포장된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4. 버섯을 재배한 후 얻어지는 30~50 중량%의 부산물에 주정박, 두유박(비지박), 엿박, 제빵 제과부산물, 호마박, 쌀겨, 조사료(섬유질) 및 기타 배양균으로 이루어진 50~70 중량%의 부원료를 자연발효 또는 발효기를 사용하여 배합 및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가축용 발효사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는 톱밥 30 중량%, 콘코프 20 중량%, 탈지미강 15 중량%, 옥수수가루 및 전분 5 중량%, 대두박(채종박) 4 중량%, 소맥피 15 중량%, 당밀 5중량%, 어분 4 중량%, 활성탄 1 중량% 및 제올라이트(패각분) 1 중량%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가축용 발효사료 조성물.
KR1020070070165A 2007-07-12 2007-07-12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KR100889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65A KR100889630B1 (ko) 2007-07-12 2007-07-12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65A KR100889630B1 (ko) 2007-07-12 2007-07-12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36A true KR20090006636A (ko) 2009-01-15
KR100889630B1 KR100889630B1 (ko) 2009-03-20

Family

ID=404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65A KR100889630B1 (ko) 2007-07-12 2007-07-12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8095A (zh) * 2010-03-01 2011-04-20 安徽科创牧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饲用豆粕替代品的生产方法
CN107568462A (zh) * 2017-10-20 2018-01-12 徐可欣 一种豆渣加速发酵方法及装置
CN110810626A (zh) * 2019-12-11 2020-02-21 宁夏仁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反刍动物用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83B1 (ko) * 2012-05-15 2014-03-20 대한민국 고추냉이 및 버섯재배 폐배지를 포함하는 분뇨 악취 저감용 사료 첨가 조성물
CN103704465B (zh) * 2013-12-13 2015-11-18 广西康佳龙农牧集团有限公司 一种无抗生素微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489250A (zh) * 2014-11-25 2015-04-08 固镇县荣财黄牛养殖专业合作社 一种具有治疗黄牛肠炎功能的专用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938769B (zh) * 2015-07-27 2019-04-05 江西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制备米糠菌种制剂及其用于饲料发酵的方法
CN107624955A (zh) * 2017-11-02 2018-01-26 安徽省淮丰园渔业科技有限公司 一种富有机硒甲鱼喂养饲料
KR101913327B1 (ko) 2018-03-05 2019-01-14 조재성 가축을 위한 펠릿 사료
KR20200046194A (ko) 2018-10-22 2020-05-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브로콜리 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92A (ko) * 2001-11-29 2002-01-09 김상민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가축 및 해수어, 담수어, 대하의기능성 사료 제조방법 및 첨가물질
KR100691557B1 (ko) * 2005-01-05 2007-04-13 이숙자 폐유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가금용 혼합사료, 이를이용하여 풍미가 우수하고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알의생산방법
KR100749227B1 (ko) 2006-02-23 2007-08-13 김호년 버섯배지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KR100890225B1 (ko) * 2006-04-20 2009-03-25 신현성 기능성 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8095A (zh) * 2010-03-01 2011-04-20 安徽科创牧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饲用豆粕替代品的生产方法
CN107568462A (zh) * 2017-10-20 2018-01-12 徐可欣 一种豆渣加速发酵方法及装置
CN110810626A (zh) * 2019-12-11 2020-02-21 宁夏仁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反刍动物用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630B1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6636A (ko)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KR100840145B1 (ko)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축산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894215B (zh) 一种畜禽用中药多酶菌秸秆复合饲料
CN110122658A (zh) 一种微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04622B1 (ko) 당 영양소 첨가 복합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곡물 발효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하는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1144473B1 (ko) 버섯부산물(폐배지)을 주원료로 이용한 가축용 발효조사료 제조방법
EP2875735B1 (en) Feed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CN109362987B (zh) 一种家禽无抗桑叶发酵浓缩料及制备方法
CN100998369A (zh) 博根双微生物蛋白饲料
CN105475623A (zh) 一种生态真菌复合饲料的生产方法及饲喂方法
KR101032654B1 (ko) 완전혼합발효사료 제조 방법
KR20210067850A (ko) 고초균, 당류 및 미네랄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송아지의 설사 예방용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용도
KR101082838B1 (ko) 제과, 제빵 및 제면부산물을 이용한 효모균 미생물제
KR101898246B1 (ko) 케나프 사일리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케나프 사일리지
KR20120122186A (ko) 술지게미를 이용한 가축용 고체발효 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생균제 조성물
CN107080051A (zh) 一种生物饲料
KR101501094B1 (ko) 당박과 안동소주박을 이용한 발효 사료의 제조방법
KR20150109516A (ko)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료물
CN106721068A (zh) 用于调节动物肠道微生物环境的组合物及饲料
KR20120055837A (ko) 버섯 발효 배지를 이용한 미생물 사료 제조방법
KR102289532B1 (ko) 기능성 가축보조사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08406A (zh) 一种发酵猪饲料
CN107927323A (zh) 微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101942B1 (ko) 제과, 제빵 및 제면부산물을 이용한 유산균 미생물제
CN112741213A (zh) 昆虫蛋白源生物饲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