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428U - 노크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노크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428U
KR20090006428U KR2020070020638U KR20070020638U KR20090006428U KR 20090006428 U KR20090006428 U KR 20090006428U KR 2020070020638 U KR2020070020638 U KR 2020070020638U KR 20070020638 U KR20070020638 U KR 20070020638U KR 20090006428 U KR20090006428 U KR 200900064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ar end
knock
clip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게야마 히데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20070020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428U/ko
Publication of KR20090006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필기부를 축통의 전단부에서 돌출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클립의 탄발력을 크게 한다.
노크식 필기구(10)는, 장공(11a)이 주위에 형성된 축통(11)과, 축통에 삽입되고 탄성체(14)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지는 필기체(12)와, 축통의 뒷부분에 삽입된 노크체(16)와, 전단이 노크체(16)에 접속되어 만곡될 수 있는 탄성편(17)과, 탄성편(17)에 설치되어 필기부(12a)가 축통에 들어간 상태에서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는 각부(18)와, 뒷부분이 각부(18)에 연결되는 클립(19)을 구비한다. 필기부(12a)가 축통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장공의 후단에 걸려져 필기부(12a)의 돌출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21)가 탄성편(17)의 후단에 형성되고, 걸림돌기(21)는 탄성편(17)의 후단이 축통 내부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장공(11a)의 후단에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노크식 필기구{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축통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노크체를 압압함으로써, 축통에 삽입된 필기체의 필기부를 축통의 전단(前端)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노크식 필기구로서, 축통과, 그 축통 내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된 필기체와, 이 필기체를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체와, 그 탄성체가 밀어붙이는 부세력에 대항해서 필기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노크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축통의 뒷부분 주위에 축방향으로 뻗은 장공이 형성되고, 축통의 뒷부분에 삽입된 노크체에 장공에 삽통하는 각부(脚部)가 형성되고, 축통의 외부로서 그 축통을 따라 설치된 클립의 뒷부분이 그 각부에 연결된다. 또, 클립의 전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장공 전방의 축통에는, 클립의 걸림돌기의 위치보다 전방에서, 필기체의 이동량과 같은 거리의 위치에 걸림돌기를 걸려지게 하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노크체를 압압함으로써 필기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클립 전단에서 걸림돌기가 걸림구멍에 걸려지고, 이에 의해 필기체의 앞부분에서 필기부를 축통의 전단에서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필기구에서는, 클립 전단에서의 걸림돌기를 걸림구멍에 걸려지게 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할 필요 때문에, 클립과 각부의 각도를 클립을 축통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클립과 각부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시켜, 클립을 축통에 부착된 상태에서 클립과 각부와의 부착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클립과 각부와의 각도를 벌리고서, 그의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클립의 전단을 축통의 표면에 압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필기부를 축통 내로 들이기 위해서는 클립 전단에서의 걸림돌기를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킬 필요가 있고, 그때에는 클립과 각부와의 부착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클립의 전단을 축통으로부터 이간(離間)시키고 있다. 따라서, 클립의 전단을 항상 축통의 표면에 압접시키기 위해, 또 클립 전단에서의 걸림돌기를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클립과 각부와의 부착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 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편(7)을 노크체(6)에 설치하고, 그 탄성편(7)에 각부(8)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이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탄성편(7)을 매개로 각부(8)가 노크체(6)에 접속되기 때문에, 클립(9)의 탄성에 의해 그 클립(9)의 전단을 항상 축통(1)의 표면에 압접시키지만,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9) 전단에서의 걸림돌기(9a)를 걸림구멍(1a)으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이 탄성편(7)이 탄성변형을 해서 만곡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립(9)과 각부(8)와의 부착부분에 가해지는 부하를 탄성편(7)에 분산시킬 수가 있어, 그 부착부분에 부하가 집중해서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공평 5-2591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실공평 6-15741호 공보
그러나, 탄성편(7)을 매개로 각부(8)를 노크체(6)에 접속하는 상기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클립(9)의 전단에서의 걸림돌기(9a)를 축통(1)의 걸림구멍(1a)에 걸려지도록 하는 힘이 약해서 필기부(2a)를 축통(1)의 전단부에서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하기가 불안정함과 더불어, 클립(9) 전단에서의 걸림돌기(9a)를 걸림구멍(1a)으로부터 이탈시켜 필기부(2a)를 축통(1)에 끼워넣기가 비교적 곤란해지는 불편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클립(9)의 전단이 축통(1)의 표면을 압압하는 탄발력을 확보하기 위해, 클립(9)과 각부(8)의 각도를 클립(9)을 축통(1)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클립(9)과 각부(8)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하고서, 클립(9)이 축통(1)에 부착된 상태에서 클립(9)과 각부(8)와의 각도를 벌려, 그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클립(9)의 전단을 축통(1)의 표면에 압접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편(7)을 노크체(6)에 설치해서 이 탄성편(7)에 각부(8)를 형성 하게 되면, 클립(9)과 각부(8)의 각도를 클립(9)을 축통(1)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클립(9)과 각부(8)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시켜 클립(9)을 축통(1)에 부착하고, 클립(9)과 각부(8)와의 각도를 벌리면, 그 탄성편(7)도 탄성변형이 되고 만다. 그렇게 되면, 클립(9)의 전단이 축통(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클립(9)과 각부(8)와의 사이가 벌려지는 각도가 종래부터 작아져, 그 클립(9)의 전단이 축통(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도 감소하게 된다. 이 압접하는 탄발력이 감소하면, 클립(9)의 전단에서의 걸림돌기(9a)를 축통(1)의 걸림구멍(1a)에 걸려지게 하는 힘이 약해져서, 필기부(2a)를 축통(1)의 전단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탄성편(7)을 설치하지 않은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노크식 필기구에서 필기부(2a)를 축통(1)에 끼워넣는 데에는, 도 13의 화살표 P로 나타낸 것과 같이, 각부(8)보다 후방에서의 클립(9)의 뒷부분(9b)을 축통(1) 측에 압압함으로써 각부(8)를 중심으로 해서 그 클립(9)을 요동시키고, 이에 따라 각부(8)보다 전방에서의 클립(9)의 전단을 축통(1)의 외표면에서 이간시켜 클립(9) 전단에서의 걸림돌기(9a)를 걸림구멍(1a)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편(7)을 매개로 각부(8)를 노크체(6)에 접속시키는 상기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9)의 뒷부분(9b)을 축통(1) 측에다 압압하면, 그 각부(8)가 설치된 탄성편(7) 자체가 만곡되어, 그 각부(8)가 축통(1)의 내부에 끼어 들어가서 클립(9)을 크게 요동시킬 수가 없게 된다. 이 때 문에, 각부(8)보다 전방에서의 클립(9)의 전단을 축통(1)의 외표면에서 크게 이간시킬 수가 없어, 걸림돌기(9a)를 걸림구멍(1a)으로부터 이탈시켜 필기부(2a)를 축통(1) 내로 들어가게 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해지는 불편이 있었다.
또, 필기부(2a)가 축통(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클립(9)은, 그 전단을 축통(1)에서부터 벌어져, 그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포켓 등의 천을 진입시킨 후에 복원시켜 축통(1)과 함께 그 천을 협지하고록 하고, 그에 의해 그 필기구를 그 포켓 등으로 보유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클립(9)의 전단을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 클립(9)의 뒷부분(9b)을 축통(1) 측으로 압압하여도, 각부(8)가 축통(1)의 내부에 끼어들게 되면 클립(9)를 크게 요동시킬 수가 없어, 클립(9)의 전단을 축통(1)으로부터 크게 벌어지게 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클립에 의해 협지시킬 수가 없는 불편도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탄성편(7)을 노크체(6)에 설치하는 상기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스프링(5)을 탄성편(7)과 노크체(6)의 사이에 부착 하여, 그 스프링(5)에 의해 각부(8)를 바깥쪽으로 탄발시켜, 클립(9)과 각부(8)와 부착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편(7)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클립(9)의 전단이 축통(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이 감소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5)을 탄성편(7)과 노크체(6) 사이에 설치하는 것은, 부품 점수의 증가와 함께 그를 부착시키는 공수(工數)의 증가를 불러, 결과적으로 제품의 단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필기부를 축통의 전단에서 돌출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비교적 용이하게 필기부를 축통에 끼워넣을 수가 있고, 클립에서의 파지력을 크게 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방향으로 뻗은 장공(11a)이 형성된 축통(11)과, 전단의 필기부(12a)를 축통(11)의 전단에서 출몰될 수 있게 축통(11)에 삽입되어 탄성체(14)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지는 필기체(12)와, 필기체(12)의 후단에 닿아 뒷부분이 축통(1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축통(11)의 뒷부분에 삽입된 노크체(16)와, 축통(11)에 삽입된 노크체(16)를 따라 설치되어 전단이 노크체(16)에 접속되어 만곡될 수 있도록 된 탄성편(17)과, 탄성편(17)에 설치되어 장공(11a)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통된 각부(18)와, 각부(18)에 연결되어 축통(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축통(11)의 외주에 탄성에 의해 압접시키는 클립(19)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10)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필기부(12a)가 축통(11)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져 필기부(12a)의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걸림돌기(21)가 탄성편(17)의 후단에 형성되어, 걸림돌기(21)가 탄성편(17)의 후단이 축통(11) 내부로 탄성변형함으로써 장공(11a)의 후단에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클립(19)과 각부(18)의 각도를, 부착된 상태에서의 클립(19)와 각부(18)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시키고서, 클립(19)을 축통(11)에 부착된 상태에서 클립(19)와 각부(18)와의 각도를 벌어지도록 한다. 탄성편(17)에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성편(17)을 만곡시켜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진 걸림돌기(21)를 그 장공(11a)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종래의 기술인 클립(19)의 전단에 설치된 걸림돌기를 축통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보다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장공(11a)의 후단에 걸림돌기(21)를 비교적 큰 힘으로 걸려지도록 할 수가 있어, 이에 의해 필기부(12a)가 축통(11)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1에 따른 고안에서, 축통(11)의 외주에 클립(19)의 전단이 압접되고, 각부(18)가 걸림돌기(21) 보다 전방의 탄성편(17)의 중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각부(18)를 걸림돌기(21)가 형성된 탄성편(17)의 후단에 형성하지 않고, 그 걸림돌기(21)보다 전방의 탄성편(17)의 중간부에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1)보다 전방의 탄성편(17)의 중간부에 각부(18)를 형성함으로써, 탄성편(17)을 만곡시켜 각부(18)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탄발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 결과, 그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으로 탄발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로 하였던 도 13에서의 스프링(5)을 필요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탄성편(17)의 불필 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이에 의해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의 감소를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고안에서,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돌기(21)가 진입할 수 있는 걸림구멍(11e)이 장공(11a) 후방의 축통(11)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탄성편(17)을 탄성변형시켜 걸림돌기(21)를 축통(11)의 내부에 매몰시킴으로써 장공(11a)과의 걸림상태를 해소하지 않더라도, 필기부(12a)가 축통(11)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그 걸림돌기(21)가 진입할 수 있는 걸림구멍(11e)가 축통(1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편(17)이 탄성변형한 상태를 필기부(12a)가 축통(11) 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해소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탄성편(17)의 탄성변형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기인하는 탄성편(17)의 피로를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3에 따른 고안에서, 다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통(11)에 축통(11)의 후단으로부터 걸림구멍(11e)을 관통해서 장공(11a)에 이르는 슬릿(11f)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각부(18)를 축통(11)의 슬릿(11f)에 위치시키고서, 그 슬릿(11f)을 벌리고서 각부(18)를 전진시키기만 하는 비교적 단순한 작업으로, 그 각부(18)가 걸림구멍(11e)을 관통해서 장공(11a)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그 각부(18)를 축통(11)의 장공(11a)에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어, 비교적 제조가 용이하게 노크식 필기구를 얻을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3 또는 4에 따른 고안에서, 클립(19)의 뒷부분에 각부(18)를 넘어 후방으로 뻗은 조작부(22)가 형성되어,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조작부(22)가 걸림구멍(11e)을 덮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조작부(22)가 걸림구멍(11e)을 덮기 때문에, 그 걸림구멍(11e)이 외부로 표출됨으로 인한 외관상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에 따른 고안에서,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각부의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도록 구성되어, 각부(18)의 후단과 걸림돌기(21)의 후면(21b)과의 간격과, 장공(11a)의 후단과 걸림구멍(11e)의 후단과의 간격이 같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필기부(12a)가 축통(11) 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각부(18)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고, 걸림돌기(21)의 후면(21b)이 걸림구멍(11e)의 후단에 닿게 된다. 이 때문에, 각부(18)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아 필기부(12a)가 축통(11)에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걸림돌기(21)의 후면(21b)이 걸림구멍(11e)의 후단에 닿게 됨으로써, 이 부분에 힘이 분산될 수가 있어, 이에 따라 필기부(12a)가 축통(11)에 들어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예컨대 슬릿(11f)을 형성한 경우에는, 각부(18)의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과도하게 닿게 됨으로써 말미암아 슬릿(11f)이 벌어짐이 억 제되어, 축통(11)의 장공(11a)에 삽입된 각부(18)가 슬릿(11f)으로부터 이탈하는 것과 같은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6에 따른 고안에서, 노크체(16)가, 뒷부분이 축통(1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노크부(16a)와 노크부(16a)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필기체(12)의 후단이 접촉하는 접촉부(16b)와 노크부(16a)와 접촉부(16b)를 연결하는 연결부(16c)를 갖고, 탄성편(17)은 연결부(16c)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부(16c)에 병설되어 전단이 접촉부(16b)에 접속되고, 장공(11a)의 후단에 닿는 각부(18)의 후단이 축통(11)에 직행하거나 또는 클립(19)을 향해 갈수록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필기체(12)를 후방에 밀어붙이는 탄성체(14)는 각부(18)의 후단을 장공(11a)의 후단에 밀어붙여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7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탄성체(14)가 필기체(12)를 후방을 밀어붙임으로써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을 돌출시키므로, 탄성편(17)의 전단을 중심으로 해서 그 각부(18)에 연결된 클립(19)을 회동시켜, 클립(19)의 전단을 비교적 강한 힘으로 축통(11)의 외주에 압접시킬 수가 있다. 이 결과, 이 클립(19)에서의 파지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안에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크체(16)는, 뒷부분이 축통(1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노크부(16a)와, 노크부(16a)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필기체(12)의 후단이 접촉하는 접촉부(16b)와 노크부(16a)와 접촉부(16b)를 연결하는 연결부(16c)를 갖고, 탄성편(17)이 연결부(16c)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 연결부(16c)에 병설되어 전단이 접촉부(16b)에 접속되고,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이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부(16c) 또는 탄성편(17)에 닿는 지지돌기(26)가 탄성편(17)의 중간부 또는 각부(18)에 대향하는 연결부(16c)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8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가 해제된 상태에서, 지지돌기(26)가 연결부(16c) 또는 탄성편(17)에 닿아, 각부(18)가 그 이상 축통(11) 내부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게 되면, 예컨대 조작부(22)를 다시 압압하면, 그 후 클립(19)이 그 이상 축통(11) 내부로 파고드는 것이 금지된 각부(18)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을 하여, 클립(19)의 전단을 축통(11)으로부터 비교적 크게 벌어지게 한다. 한편, 조작부(22)의 압압을 해제하면, 클립(19)이 각부(18)를 중심으로 한 탄성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걸림돌기(21)를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이탈시킨 후의 탄성편(17)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하여,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과 함께 포켓 등의 천을 협지하는 힘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따른 고안은, 청구항 8에 따른 고안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돌기(26)가 탄성에 의해 만곡될 수 있게 경사져 탄성편 또는 연결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돌기(26)가 연결부(16c) 또는 탄성편(17)에 닿은 상태에서 클립(19)이 탄성변형하면, 그 클립(19)과 각부(18)의 부착부분이나 지지돌기(26)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 청구항 9에 기재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경사져 형성된 지지돌기(26)가 탄성에 의해 만곡해서 클립(19)과 각부(18)의 부착부분이나 지지돌기(26)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여, 그 부착부분이나 그 지지돌기(26)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과 같은 것을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필기부가 축통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장공의 후단에 걸려진 필기부의 돌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돌기를 축통 내부에서의 탄성편의 후단에 형성시켰기 때문에, 클립의 전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걸림돌기를 장공의 후단에 걸려지도록 밀어붙이는 힘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필기부를 축통의 전단에서 돌출시킨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탄성편이 축통 내부로 탄성변형됨으로써 걸림돌기가 장공의 후단에의 걸려짐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을 축통 측으로 압압하기만 하는 비교적 단순한 동작으로, 걸림돌기를 장공의 후단으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필기부를 축통 내로 끌어들일 수가 있다.
그리고, 각부를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편의 후단에 형성하지 않고, 그 걸림돌기보다 전방의 탄성편 중간부에 형성함으로써, 그 각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발 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그 각부를 축통의 바깥쪽으로 탄발시키기 위해 종래에 필요로 하였던 스프링을 필요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탄성편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클립의 전단이 축통을 압접하는 탄발력의 감소를 회피할 수가 있다. 그리고, 탄성편을 연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고서, 그 전단을 접촉부에 접속시켜, 장공의 후단에 닿는 각부의 후단을 축통에 직행하거나 또는 클립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면, 탄성체가 각부의 후단을 장공의 후단에 밀어붙여 각부를 축통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클립의 선단을 비교적 강한 힘으로 축통의 외주에 압접시킬 수가 있게 되어, 클립에서의 파지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장공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가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부 또는 탄성편에 닿는 지지돌기를 탄성편의 중간부 또는 연결부에 형성시켜도, 클립의 전단이 축통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그 지지돌기를 경사지도록 하면 탄성에 의해 만곡되어 클립과 각부의 부착부분이나 그 지지돌기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과 같은 것을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기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노크식 필기구(10)는, 주위에 축방향으로 뻗은 장공(11a)이 형성된 축통(11)과, 전단의 필기부(12a)를 축통(11)의 전단에서 출몰할 수 있게 축통(11)에 삽입된 필기체(12)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 태에서의 필기체(12)는, 필기부(12a)와 파이프(12b)를 가진 이른바 볼펜으로서, 수지 파이프(12b)의 앞 부분에는 그 앞끝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을 끌어당기는 스프링 걸림(12c)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걸림(12c)보다 전방의 수지 파이프(12b)에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14)이 끼워진다. 축통(11)의 앞부분 내면에는, 필기체(12)는 삽통할 수 있으나 코일스프링(14)은 통과할 수 없는 단차부(11d)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4)의 전단이 단부(11d)에 닿아 압축되어, 그 탄발력에 의해 필기체(12)를 축통(11)의 후방으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통(11)에 형성되는 장공(11a)은, 축통(11)의 뒷부분으로서, 뒤에 설명하는 탄성편(17)에 대응하는 곳에 길이방향으로 뻗어 축통(11)의 내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장공(11a)의 후방의 축통(11) 주위에는 이 장공(11a)과 동축으로 걸림구멍(11e)이 형성되고, 축통(11)의 후단으로부터 이 걸림구멍(11e)을 관통해서 장공(11a)에 이르는 슬릿(11f)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공(11a)의 후단과 걸림구멍(11e)의 후단까지의 간격은, 축통(11)의 내부에 들어간 필기체(12)가 전방으로 이동해서 그 전단에서의 필기부(12a)가 축통(1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기까지의 이동거리와 같게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11f)은 축통(11)의 탄성에 의해 벌려질 수 있게 구성되고 그 폭은 뒤에 설명하는 각부(18)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1 ~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통(11)의 뒷부분에는 노크체(16)가 삽입된다. 이 노크체(16)는, 축통(11)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가진 원주상의 노크부(16a)와, 이 노크부(16a)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필기 체(12)의 후단이 접촉하는 원주상의 접촉부(16b)와, 이 노크부(16a)와 접촉부(16b)를 연결하는 평판형상의 연결부(16c)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접촉부(16b)와 연결부(16c)는 축통(11)의 뒷부분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부(16b)에 필기체(12)의 후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노크부(16a)의 뒷부분이 축통(1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16c)에는, 그 연결부(16c)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탄성편(17)이 병설되고서, 이 탄성편(17)의 전단이 접촉부(16b)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탄성편(17)이 축통(11)에 삽입된 노크체(16)를 따라 설치되어 만곡됨으로써 그의 후단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편(17)에는 축통(11)에서의 장공(11a)에 삽통할 수 있는 각부(18)가 형성된다. 장공(11a)은 각부(18)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고, 각부(18)는 장공(11a)에 삽통된 상태에서 필기체(12)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긴 거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부(18)를 축통(11)의 장공(11a)으로 삽입하는 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부(18)를 축통(11)의 슬릿(11f)에 위치시켜, 그 슬릿(11f)을 벌리고서, 노크체(16)와 함께 각부(18)를 전진시키면, 벌려진 슬릿(11f)를 통해 각부(18)를 장공(11a)에까지 진입시키게 된다. 그 후 벌려진 슬릿(11f)이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각부(18)가 장공(11a)에 삽통되어, 그 각부(18)가 장공(11a)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통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기체(12)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그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각부(18)의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도록 구성된다.
각부(18)에는 클립(19)의 뒷부분이 연결된다. 이 클립(19)은 축통(11)의 외부로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그 탄성에 의해 전단을 축통(11)의 외주에 압접시키는 것이다. 이 클립(19)은 각부(18)가 형성된 탄성편(17)보다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클립의 탄성에 의해 전단이 노크체(16)에서의 접촉부(16b)보다 전방의 축통(11)의 외주에 압접되게 된다. 노크체(16)와 탄성편(17)과 각부(18)와 이 클립(19)은 수지 성형품으로서, 이들은 수지 성형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바, 필기부(12a)가 축통(11) 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장공(11a)의 후단에 닿는 각부(18)의 후단이 축통(11)에 직행하거나 또는 클립(19)을 향해 갈수록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여기서, 도 2는, 각부(18)의 후단이 축통(11)에 직행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부(18)는 걸림돌기(21)보다 전방의 탄성편(17)의 중간부와 클립(19)의 뒷부분을 연결하고, 탄성편(17)은 탄성에 의해 각부(18)를 매개로 클립(19)의 뒷부분을 축통(11)의 바깥쪽으로 탄발하도록 구성된다. 또, 필기체(12)를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체(14)에 있어서도, 축통(11)에 직행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각부(18)의 후단을 장공(11a)의 후단에 밀어붙여, 그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필기부(12a)가 축통(11)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1)가, 탄성편(17)의 후단에 축통(11)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걸림돌기(21)는, 그 전면(前面; 21a)이 축통(11)의 전단(前端)을 향해 축통(11)의 내부를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그 후면(21b)이 축통(11)에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돌기(21)는 축통(11)에 직교하는 후면(21b)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아 그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지는 상태로 되어, 이 걸림상태에서 필기부(12a)의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각부(18)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의 후면(21b)까지의 거리와, 노크체(16)를 노크조작함으로써 필기체(12)가 전진하는 거리가 같아지도록 하는 걸림돌기(21)가 탄성편(17)의 후단에 형성되어, 필기체(12)가 전진해서 필기부(12a)가 축통(11)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걸림돌기(21)의 후면(21b)이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돌기(21)의 축통(11)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은 연결부(16c)와 탄성편(17)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 탄성편(17)이 축통(11) 내부로 탄성변형하게 됨으로써 이 걸림돌기(21)가 장공(11a) 후단에 걸려져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공(11a)의 후방의 축통(11) 주위에 형성된 걸림구멍(11e)은 걸림돌기(21)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돌기(21)가 이 걸림구멍(11e)에 진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부(18)의 후단 가장자리와 걸림돌기(21)의 후면(21b)과의 간격과, 장공(11a)의 후단 가장자리와 걸림구멍(11e)의 후단 가장자리와의 간격이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각부(18)의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닿아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돌기(21)의 후면(21b)이 걸림구멍(11e)의 후단에 닿도록 되어 있다. 또, 클립(19)의 뒷부분에는 각부(18)를 넘어 후방으로 뻗은 조작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22)는,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 간 상태에서 걸림구멍(11e)을 덮도록 구성되어,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구멍(11e)이 외부로 표출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외관상의 형상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노크체(16)를 압압하면, 필기체(12)가 축통(11) 내를 전진해서, 필기부(12a)가 축통(11)의 전단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필기부(12a)가 축통(11)으로부터 돌출하면, 탄성편(17)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져 필기부(12a)의 돌출상태가 유지되게 된다(도 1). 그리고, 걸림돌기(21)는 종래의 제품에 형성되어 있던 클립이 아니라 탄성편(17)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탄성편(17)을 만곡시켜 장공(11a)의 후단에 걸려진 걸림돌기(21)를 그 장공(11a)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을, 종래의 클립에서의 전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축통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힘과 비교해서 크게 할 수가 있다. 즉, 노크체(16)를 기준으로 한 클립(19)의 전단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탄성편(17)의 후단에 걸림돌기(21)를 형성함으로써, 그 걸림돌기(21)를 장공(11a)의 후단에 비교적 큰 탄발력으로 걸려지게 할 수가 있어, 이에 의해 필기부(12a)가 축통(11)에서 돌출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19)의 후단에 연속해서 형성된 조작부(22)를 축통(11) 방향으로 압압하면, 탄성편(17)이 축통(11) 내부로 탄성변형 되어 걸림돌기(21)를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된 탄성체(14)의 탄발에 의해 필기체(12) 및 노크체(16)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필기부(12a)가 축통(11) 내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 서, 비교적 용이하게 걸림돌기(21)를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이탈시켜 필기부(12a)를 축통(11) 내로 확실하게 들어가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기부(12a)를 축통(11) 내로 들어가게 하는 데에는, 탄성편(17)을 축통(11) 내부로 탄성변형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클립(19)과 각부(18)의 부착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 각부(18)를 걸림돌기(21)보다 전방의 탄성편(17)의 중간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그 각부(18)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발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그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으로 탄발시키기 위해 종래에 필요하였던 도 13에서의 스프링(5)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탄성편(17)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의 감소를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클립(19)에 종래의 것에 형성되어 있던 걸림돌기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클립(19)의 디자인의 자유도(自由度)가 향상되고,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이 커진다고 하여도, 걸림돌기가 그 클립(19)과 축통(11)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천에 밀어붙여져 그 천에 흠집을 내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걸림돌기(21)가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이탈한 후에도 다시 조작부(22)를 축통(11) 방향으로 압압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편(17)의 뒷부분이 연결부(16c)에 닿게 되고, 다시 조작부(22)를 축통(11) 방향으로 압압하면, 그 조작부(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클립(19)이 각부(18)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여,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외표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클 립(19)의 전단과 축통(11)과의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포켓 등의 천을 삽입하고, 그 후 복원시켜 클립(19)의 전단과 축통(11)에 의해 그 천을 사이에 협지하도록 하면, 이 클립(19)에 의해 필기구(10)를 그 포켓 등에 부착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필기구(10)에서는, 탄성편(17)의 만곡을 저해하는 도 13에서의 종래기술의 스프링(5)을 탄성편(17)과 연결부(16c) 사이에 개재시키지 않기 때문에, 탄성편(17)의 충분한 만곡과 함께, 각부(18)를 중심으로 하는 클립(19)의 충분한 요동을 확보하는 수가 있어, 클립(19)의 전단을 축통(11)으로부터 크게 벌릴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클립(19)의 전단과 축통(11) 사이의 개방을 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어, 최대한으로 두께가 두꺼운 물품을 클립(19)의 전단과 축통(11) 사이의 간극에 삽입시켜 이 클립(19)에 의해 협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장공(11a)의 후단에 닿는 각부(18)의 후단을 축통(11)에 직행시키키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하기 때문에, 조작부(22)를 축통(11) 방향으로 압압하면, 각부(18)의 후단이 장공(11a)의 후단에 밀어붙여져 노크체(16)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클립(19)의 전단과 축통(11) 사이의 간극에 도시되지 않은 포켓 등의 천을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한편, 클립(19)의 전단과 축통(11)과의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포켓 등의 천을 삽입한 후에 조작부(22)의 압압을 해제하면, 탄성편(17)이 복원되어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각부(18)에 연결된 클립(19)은 그 전단을 탄성에 의해 축통(11)의 외주에 압접되어, 천 등을 사이에 두고 필기구(10)를 포켓 등에 부착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필기구(10)에서는, 클립(19) 및 탄성편(17) 쌍방의 탄성에 의해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과 함께 천 등을 협지하는 탄발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부(18)의 후단을 축통(11)에 직행시키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탄성체(14)는 필기체(12)를 후방으로 밀어붙임으로써 각부(18)를 축통(11)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킨다. 이 때문에, 탄성편(17)의 전단을 중심으로 해서 그 각부(18)에 연결된 클립(19)을 회동시켜, 클립(19)의 선단을 비교적 강한 힘으로 축통(11)의 외주에 압접시킬 수가 있다. 이 결과, 이 클립(19)에서의 파지력을 크게 할 수가 있어, 이 클립(19)에 의해 필기구(10)를 그 포켓 등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필기체(12)가 볼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필기체(12)는, 이른바 사인펜이나 마킹펜 등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각부(18)를 걸림돌기(21)보다 전방의 탄성편(17)의 중간부에 형성시켜 각부(18)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발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종래 필요하였던 도 13에서의 스프링(6)을 필요로 하지 않았지만,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탄성편(17)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가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부(16c) 또는 탄성편(17)에 닿는 지지돌기(26)를 각부(18)가 형성된 탄성편(17)의 중간부 또는 각부(18)에 대향하는 연결부(16c)에 형성시켜도 좋다. 도 7에서는, 연결부(16c)에 닿는 지지돌기(26)를 탄성편(17)의 중간부에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탄성편(17)에 닿는 지지돌기(26)를 각부(18)에 대향하는 연결부(16c)에 형 성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지지돌기(26)를 형성한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가 해제된 상태에서 지지돌기(26)가 연결부(16c) 또는 탄성편(17)에 닿아, 접촉부(16b)에 접속된 전단을 기준으로 하는 탄성편(17)의 탄성변형을 금지하고, 각부(18)가 그 이상 축통(1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가 해제된 후에는 탄성편(17)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이 방지되어, 클립(19)의 탄성변형 되는 기준이 탄성편(17)의 전단에서 이 지지돌기(26)로 변경된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후 클립(19)은 이 지지돌기(26)에 의해 그 이상 축통(1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금지된 각부(18)를 중심으로 해서 탄성변형하게 되고, 그 복원력에 의해 클립(19)의 전단을 축통(11)의 표면을 압접시키게 된다. 즉, 기준이 변경함으로써, 그 기준으로부터 클립(19)의 전단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고, 이에 의해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의 표면을 압접하는 탄발력의 감소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이와 같은 지지돌기(26)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필요로 하였던 도 13에서의 스프링(5)을 사용하지 않고 그 후의 탄성편(17)의 불필요한 탄성변형을 방지해서, 클립(19)의 전단이 축통(11)과 함께 포켓 등의 천을 협지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지지돌기(26)는, 탄성에 의해 만곡될 수 있게 경사져 탄성편(17) 또는 연결부(16c)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지지돌기(26)를 형성한 노크식 필기구(10)에서는, 도 11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공(11a)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21)가 해제된 상태에서 지지돌기(26)가 연결부(16c) 또는 탄성편(17)에 닿아, 각부(18)가 그 이상 축통(1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후 클립(19)은 이 지지돌기(26)를 기준으로 해서 탄성변형하게 되지만, 이 지지돌기(26)를 경사가 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지지돌기(26)는 탄성에 의해 만곡되어 탄성편(17)과 연결부(16c)의 간격을 조금 줄여, 클립(19)이 탄성변형할 때에 클립(19)과 각부(18)의 부착부분이나 그 지지돌기(26)에 가해지는 힘을 그 탄성에 의해 흡수하게 한다. 이에 의해, 클립(19)과 각부(18)의 부착부분이나 그 지지돌기(26)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0에서는, 경사지는 지지돌기(26)를 연결부(16c)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지지돌기(26)를 탄성편(17)에 형성시켜 탄성에 의해 만곡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형태의 노크식 필기구의 필기부가 축통의 전단에서 돌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필기부가 축통 내로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 1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노크체가 축통의 뒷부분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탄성편의 후단이 축통 내부로 탄성변형되어 걸림돌기의 장공 후단에의 걸려짐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조작부가 밀려져 클립이 요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5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7, 탄성편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도 1의 확대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8, 장공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가 해제되어 연결부에 지지돌기가 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7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9는, 각부를 중심으로 해서 탄성변형해서 클립의 전단이 축통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0은, 지지돌기가 경사져 형성된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은, 경사진 지지돌기에 탄성편이 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2는, 경사진 지지돌기에 탄성편이 닿은 후에 클립의 전단이 축통으로부 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9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의 클립 전단의 걸림돌기가 걸림구멍에서의 걸림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 - - 노크식 필기구,
11 - - - - 축통,
11a - - - - 장공,
11e - - - - 걸림구멍,
11f - - - - 슬릿,
12 - - - - 필기체,
12a - - - - 필기부,
14 - - - - 코일스프링(탄성체),
16 - - - - 노크체,
16a - - - - 노크부,
16b - - - - 접촉부,
16c - - - - 연결부,
17 - - - - 탄성편,
18 - - - - 각부,
19 - - - - 클립,
21 - - - - 걸림돌기,
22 - - - - 조작부,
26 - - - - 지지돌기.

Claims (9)

  1. 축방향으로 뻗은 장공이 형성된 축통과, 전단의 필기부를 상기 축통의 전 단에서 출몰할 수 있게 상기 축통에 삽입되어 탄성체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지는 필기체와, 상기 필기체의 후단에 닿아 뒷부분이 상기 축통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축통의 뒷부분에 삽입된 노크체와, 상기 축통에 삽입된 노크체를 따라 설치되어 전단이 상기 노크체에 접속되어 만곡될 수 있게 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에 설치되어 상기 장공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통된 각부와, 상기 각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통의 외부에 설치되고서 상기 축통의 외주에 탄성에 의해 압접시키는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에서,
    상기 필기부가 상기 축통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장공의 후단에 걸려져 상기 필기부의 돌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돌기가 상기 탄성편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편의 후단이 상기 축통 내부로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장공의 후단에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축통의 외주에 클립의 전단이 압접되고, 각부가 걸림돌기보다 전방의 탄성편의 중간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기부가 축통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돌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걸림구멍이 장공 후방의 상기 축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축통에 상기 축통의 후단으로부터 걸림구멍을 관통해서 장공에 이르는 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클립의 뒷부분에 각부를 넘어 후방으로 뻗은 조작부가 형성되고, 필기부가 축통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가 걸림구멍을 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기부가 축통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각부의 후단이 장공의 후단에 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부의 후단과 걸림돌기의 후면과의 간격과, 상기 장공의 후단과 걸림구멍의 후단과의 간격이 같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노크체는, 뒷부분이 축통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노크부와, 상기 노크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필기체의 후단이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노크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탄성편은,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부에 병설되어 전단이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고,
    장공의 후단에 닿는 각부의 후단이 상기 축통에 직행하거나 또는 클립 쪽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필기체를 후방에 밀어붙이는 탄성체가 상기 각부의 후단을 상기 장공의 후단에 밀어붙여 상기 각부를 상기 축통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크체는, 뒷부분이 축통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노크부와, 상기 노크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필기체의 후단이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노크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탄성편은,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부에 병설되어 전단이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고,
    장공의 후단으로부터 걸림돌기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탄성편에 닿는 지지돌기가 상기 탄성편 중간부 또는 각부에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지지돌기가 탄성에 의해 만곡될 수 있게 경사져 탄성편 또는 연결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KR2020070020638U 2007-12-24 2007-12-24 노크식 필기구 KR200900064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638U KR20090006428U (ko) 2007-12-24 2007-12-24 노크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638U KR20090006428U (ko) 2007-12-24 2007-12-24 노크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28U true KR20090006428U (ko) 2009-06-29

Family

ID=4132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638U KR20090006428U (ko) 2007-12-24 2007-12-24 노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4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490A (zh) * 2021-05-19 2021-09-14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式点动触发自动收芯笔
JPWO2020149201A1 (ja) * 2019-01-18 2021-12-0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149201A1 (ja) * 2019-01-18 2021-12-0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EP3912827A4 (en) * 2019-01-18 2022-09-21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TWI809239B (zh) * 2019-01-18 2023-07-21 日商百樂股份有限公司 出沒式筆記具
US11912058B2 (en) 2019-01-18 2024-02-27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CN113386490A (zh) * 2021-05-19 2021-09-14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式点动触发自动收芯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1290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KR101309391B1 (ko) 노크식 필기구
JP4648818B2 (ja) クリップ
KR20090006428U (ko) 노크식 필기구
JP2001010277A (ja) 筆記具の軸筒
US7100247B2 (en) Clip fixing structure
JP3139755U (ja) ノック式筆記具
JP5469561B2 (ja) 筆記具のクリップ構造
JP2014025423A (ja) エンジンカバー取付構造
JP4544405B2 (ja) 筆記具のクリップ
JP2010104442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鏡取付構造
JP4369171B2 (ja) 挟持構造
JP3149465U (ja) 金属製のクリップ
JP2007309396A (ja) クリップ
CN210881898U (zh) 一种布置在汽车手套箱中对笔进行固定的装置
US7254870B2 (en) Clip fixing structure
JPH0732136Y2 (ja) ノツク式筆記具
JP3787997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WO2005100045A1 (en) Front-knock type ballpen
KR100470273B1 (ko) 클립
KR101612708B1 (ko) 조합형 자석압정
KR102130462B1 (ko) 다이어리 고정클립
JP3195471U (ja) 筆記具用クリップ
JPH08135645A (ja) 端末部材およびその組付方法
JP2006231815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