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708B1 - 조합형 자석압정 - Google Patents

조합형 자석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708B1
KR101612708B1 KR1020140020662A KR20140020662A KR101612708B1 KR 101612708 B1 KR101612708 B1 KR 101612708B1 KR 1020140020662 A KR1020140020662 A KR 1020140020662A KR 20140020662 A KR20140020662 A KR 20140020662A KR 101612708 B1 KR101612708 B1 KR 10161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k
pushpin
magnet
connecting memb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113A (ko
Inventor
염선희
이현상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염선희
이현상
김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선희, 이현상, 김진아 filed Critical 염선희
Priority to KR102014002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7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01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23Nail, spike or tack having specific hea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또는 금속재 등의 부재에 종이 등의 대상물을 고정시켜 놓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조합형 자석압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제 1압정과 상기 제 1압정이 삽입된 연결부재의 다른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2압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압정은 자석부를 포함하는 조합형 자석압정으로 대상물의 외관 손상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합형 자석압정{COMBINATION MAGNET PUSH PIN}
본 발명은 목재 또는 금속재 등의 부재에 종이 등의 대상물을 고정시켜 놓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조합형 자석압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제 1압정과 상기 제 1압정이 삽입된 연결부재의 다른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2압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압정은 자석부를 포함하는 조합형 자석압정으로 대상물의 외관 손상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의 압정은 공지된 바와 같이 침부와 그 침부의 상부에 압을 가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대상물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대상물에 침부를 대고 머리부에 압을 가해 압정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정을 사용할 경우, 대상물 외부에 손상을 입히고, 압정 분실시 머리부가 바닥에 닿고 침부가 상부로 향하는 경우가 많아 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8290호에서는 내부 하우징부; 상기 내부 하우징부의 내측 배면에 지지되도록 수납되어 상기 내측 배면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압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수납된 상기 내부 하우징부에 상기 압정의 침부가 배면으로 수납되는 압정; 및 상기 내부 하우징부의 외측 배면에 부착되는 자석과 상기 내부 하우징부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외부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블록자석압정을 개시하였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51,339호에서는 몸체에 슬라이딩홈을 구성하여 이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봉을 갖는 슬라이딩몸체를 결합하고 중앙에 못관통공을 갖는 영구자석을 몸체전면에 장착하는 한편, 슬라이딩봉의 중앙에는 일단의 두부가 매립 고정된 못을 결합한 압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8290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51,339호에 개시된 압정은 여전히 대상물 및 벽면을 관통함으로서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여전히 대상물의 외관에 손상을 입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51,339호에 개시된 압정은 영구자석의 중앙에 못이 관통하는 공간을 포함함으로서, 이와 같은 영구자석을 제조하기 위하여 공정상 복잡성 및 제조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시키는 대상물의 외관 손상이 없어 재활용시 편리하고, 자석을 포함하는 압정으로 인해 압정들끼리 붙어서 보관시 유용한 조합형 자석압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합형 자석압정은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1압정; 및 상기 제 1압정이 삽입된 연결부재의 다른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2압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압정은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코르크, 발포 스타이렌 수지, 고무, 스펀지, 목재 중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압정의 제 1침부 및 상기 제 2압정의 제 2침부는 서로 동일선상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압정의 제 1침부 및 상기 제 2압정의 제 2침부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석압정은 대상물의 외관 손상 없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활용시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압정에 자석이 포함되어있어 압정들끼리 붙어서 보관시 유용하며, 목재 부재, 금속부재 등에 복수 개의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서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서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에 의한 대상물의 고정의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에 의한 대상물의 고정의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에 의한 대상물의 고정의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의 두께 또는 크기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삽입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
실시예 1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조합형 자석압정은 연결부재(100), 제 1압정(200) 및 제 2압정(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압정이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자재이면 어떤 것에도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코르크, 발포 스타이렌 수지, 고무, 스펀지, 목재 중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압정(200)은 종래에 공지된 압정으로서, 제 1머리부(201) 및 제 1침부(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압정(300)은 제 2머리부(301), 제 2침부(302) 및 자석부(30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부(303)는 제 2머리부(301)의 일부 또는 전체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압정 및 제 2압정은 자석에 붙을 수 있는 금속 물질이면 어떤 것에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압정 머리부(제 1머리부, 제 2머리부)의 중심부에 침부(제 1침부, 제 2침부)를 구비함으로서, 제 1압정(200)의 제 1침부(202) 및 제 2압정(300)의 제 2침부(302)는 서로 동일선상에 삽입된다.
상기 도 1의 자석압정의 구성을 조합하면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조는 연결부재(100), 상기 연결부재(100)의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1머리부(201)와 제 1침부(202)를 갖는 제 1압정(200); 및 상기 제 1압정(200)이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100)의 다른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고, 제 2머리부(301)를 갖는 제 2압정(30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100)는 상기 제 1압정(200)과 상기 제 2압정(300)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연결부재(100)는 상기 제 2압정(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물에 삽입된 상기 제 1압정(200)의 제 1머리부(201)와 자석부(303)의 사이에 대상물(400)을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상기 연결부재(100)는 적어도 상기 제 2압정(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지지물과 상기 자석부(303)의 사이에 대상물을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조합형 자석압정은 대상물을 고정시킬 시에 압정(제 1압정, 제 2압정)을 분리하지 않고, 그 자체로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실시예 2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조는 연결부재(100), 상기 연결부재(100)의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1압정(200) 및 상기 제 1압정(200)이 삽입된 연결부재(100)의 다른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2압정(300)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압정(300)은 자석부(3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정 머리부(제 1머리부, 제 2머리부)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침부(제 1침부, 제 2침부)를 구비함으로서, 제 1압정(200)의 제 1침부(202) 및 제 2압정(300)의 제 2침부(302)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삽입된다.
실시예 1은 침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재(100)의 길이는 제 1침부(201) 및 제 2침부(301)의 길이의 합보다 긴 형태이나, 실시예 2는 제 1침부(202) 및 제 2침부(302)가 서로 엇갈린 형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연결부재(100)의 길이가 실시예 1 보다 감소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조합형 자석압정의 구성에 의한 대상물의 고정>
상기 실시예 1을 적용하여 대상물을 고정하는 방법은 도 4를 이용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합형 자석압정은 목재부재(500)의 부착면에 제 1압정(200)의 제 1침부(202)을 삽입하고, 연결부재(100)의 일면에 제 2압정(300)의 제 2침부(302)를 삽입하며, 상기 제 1압정(200)의 제 1머리부(201) 상부면과 상기 제 2압정(300)의 제 2머리부(301)의 상부면 사이에 대상물(400)을 배치시킴으로써 대상물(400)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400)은 메모지, 명함 등의 종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1압정(200)이 삽입되는 지지물은 상기와 같이 목재부재(50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또한, 대상물(400)은 목재부재(500)와 제 1압정(200) 사이, 제2 압정(300)과 연결부재(100) 사이에 고정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어, 대상물(400)을 복수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을 적용하여 대상물을 고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합형 자석압정은 금속부재(600)에 대상물(400)을 고정시킨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100)의 일면에 제 1압정(200)의 제 1침부(202)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재(100)의 다른 일면에 제 2압정(300)의 제 2침부(302)를 삽입하며, 금속부재(600)의 부착면과 상기 제 2압정(300)의 제 2머리부(302)의 상부 사이에 대상물(400)을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400)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여기서 제 2압정(300)과 함께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지지물은 금속재질의 물체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400)은 금속부재(600)의 부착면과 제 2압정(300)에 포함된 자석부(303)에 의하여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대상물(400) 고정시 외관 손상 없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400)은 메모지, 명함 등의 종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재(100)와 제 1압정(200) 사이에 제 1침부(201)를 이용하여 대상물(400)을 더 고정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어, 대상물(400)을 복수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 6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압정(200)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에서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결부재
200 : 제 1압정
201 : 제 1머리부
202 : 제 1침부
300 : 제 2압정
301 : 제 2머리부
302 : 제 2침부
303 : 자석부
400 : 대상물
500 : 목재부재
600 : 금속부재

Claims (4)

  1.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는 제 1머리부와 제 1침부를 갖는 제 1압정; 및
    상기 제 1압정이 삽입된 연결부재의 다른 일면에 삽입되어 분리될 수 있고, 제 2머리부, 제 2침부 및 상기 제 2머리부 상에 제공되는 자석부를 갖는 제 2압정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압정과 상기 제 2압정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2압정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물에 삽입된 상기 제 1압정의 제 1머리부와 상기 자석부의 사이에 대상물을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상기 제 2압정이 삽입된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지지물과 상기 자석부의 사이에 대상물을 배치시켜 자력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자석압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코르크, 발포 스타이렌 수지, 고무, 스펀지, 목재 중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자석압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압정의 제 1침부 및 상기 제 2압정의 제 2침부는 서로 동일선상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자석압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압정의 제 1침부 및 상기 제 2압정의 제 2침부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자석압정.
KR1020140020662A 2014-02-21 2014-02-21 조합형 자석압정 KR10161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62A KR101612708B1 (ko) 2014-02-21 2014-02-21 조합형 자석압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62A KR101612708B1 (ko) 2014-02-21 2014-02-21 조합형 자석압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13A KR20150099113A (ko) 2015-08-31
KR101612708B1 true KR101612708B1 (ko) 2016-04-19

Family

ID=5406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662A KR101612708B1 (ko) 2014-02-21 2014-02-21 조합형 자석압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97B1 (ko) 2015-07-13 2016-08-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질량을 이용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439A (ja) * 2009-03-05 2010-10-14 Matsuzaki:Kk 画鋲組立体
JP2013252671A (ja) * 2012-06-07 2013-12-19 Hironori Hirose 安定保持可能なピンキャップとピンキャップの点灯方法およびその装着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439A (ja) * 2009-03-05 2010-10-14 Matsuzaki:Kk 画鋲組立体
JP2013252671A (ja) * 2012-06-07 2013-12-19 Hironori Hirose 安定保持可能なピンキャップとピンキャップの点灯方法およびその装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13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90906A (ja) クリップ
US9403270B2 (en) Tool box with a positioning device
US20140162735A1 (en) Cell-phone case with touch pen holder
EP1754425A3 (en) Carry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licate items
JP2012042956A (ja) キータグ
CN102456985A (zh) 固定座
US20110030172A1 (en) Connecting fitting
CN108350917A (zh) 固定件
US9823695B2 (en) Screen-edge stylus retainer
TW201211960A (en) Display device
KR101612708B1 (ko) 조합형 자석압정
US20150352889A1 (en) Magnetic Paper Holder with a Fastening Pin Member
KR101839734B1 (ko) 메모홀더
KR101509350B1 (ko) 간편한 고정수단을 갖는 배지
JP2004306468A (ja) クリップ
US741458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036752A1 (en) Point of Purchase Graphic Sign Holder Device
KR20120023988A (ko) 사용이 간편한 아일렛 펀치
US20140290316A1 (en) Anti-theft display hanger for a socket
US20240042789A1 (en) Non-slip assembly for binder clip
JP2021101369A (ja) ペダルカバーおよびその支持体ならびに部品キットおよびペダルカバーをペダルのヘッド部に挿嵌する方法
TWM563354U (zh) 磁性夾具之結構
KR101448481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2538318B1 (ko) 손가락 끼움식 압정 운반구
JP5469560B2 (ja) 筆記具のクリ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