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054U -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054U
KR20090006054U KR2020070020129U KR20070020129U KR20090006054U KR 20090006054 U KR20090006054 U KR 20090006054U KR 2020070020129 U KR2020070020129 U KR 2020070020129U KR 20070020129 U KR20070020129 U KR 20070020129U KR 20090006054 U KR20090006054 U KR 200900060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sensor
guide member
locking devic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70020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054U/ko
Publication of KR20090006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가 닫힘에 따라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데드 볼트가 설치되는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도어락 본체로 인입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락 본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에지 볼트; 상기 에지 볼트의 말단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고정핀을 축으로 상기 도어락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말단에 센서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를 감지하도록 PCB 기판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센서 감지부의 민감한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 잠금장치의 장치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에지 볼트, 잠금장치, 센서부, 센서 감지부, 가이드 부재, 스토퍼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AUTO LOCKING APPARATUS FOR DIGITAL DOOR-LOCK}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door)가 닫힘에 따라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계식 도어락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번호,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에는 도어(door)가 닫힘에 따라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자동 잠금장치가 채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자동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측면에 내측 조작부(20)가 설치되고, 내측 조작부(20)의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PCB 기판(24)이 설치되며, PCB 기판(24)의 일면에는 마그네틱 센서(26)가 설치된다. 또한, 문틀에는 내측 조작부(20)의 데드 볼트(22)가 인입되는 걸쇠(30)가 설치된다. 이때, 걸쇠(30) 내에는 마그네틱 센서(26)와 작용하는 마그네트(3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의 개방을 이룬 후 도어를 닫으면 걸쇠(30)의 마그네트(34)와 내측 조작부(20)의 마그네틱 센서(26)가 근접되어 센싱(sensing)이 이루어진다. 마그네틱 센서(26)의 전기신호를 PCB 기판(24)이 수신하여 자동으로 데드 볼트(22)가 걸쇠에 인입되도록 제어하여 잠금 상태를 이루도록 구동된다.
상술한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자동 잠금장치가 있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와 같이, 종래의 다른 형태의 자동 잠금장치는 도어락 본체(10)에 에지 볼트(12)를 설치하고, 에지 볼트(12)의 단부에 마그네트(15)를 설치한다. 또한, 도어락 본체(10)에 고정된 PCB 기판(16)에는 마그네트(15)와 작용하는 마그네틱 센서(17)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으로, 도어가 닫힐 때 에지 볼트(12)가 문틀에 접촉되어 도어락 본체(10) 내부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에지 볼트(12)가 인입되면 에지 볼트(12)의 단부에 설치된 마그네트(15)가 PCB 기판(16)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17)에 근접하게 되어 센싱이 이루어지며, 이어 마그네틱 센서(17)의 전기적 신호를 PCB 기판(16)이 수신하여 데드 볼트(14)를 구동함으로써 잠금상태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두 가지의 종래기술은 설치시 마그네틱 센서(17)와 마그네트(15)의 설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마그네트(15)와 마그네틱 센서(17)가 너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면 올바른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이 닫혔는데도 불구하고 자동으로 문이 잠기지 않는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설치시 이러한 사항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설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에지 볼트(12)를 설치한 경우에 올바른 센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에지 볼트(12)가 충분한 깊이만큼 도어락 본체(10)로 인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락 본체(10)는 문틀에 밀착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어락 본체(10)가 문틀에 너무 밀착되어 설치되면 도어의 여닫음이 원활하지 못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그네틱 센서(17)가 마그네트(15)를 센싱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자기 영역을 갖는 강한 자석이 채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마그 네트(15)의 자기력이 약해지는 경우에, 자기 영역이 감소되어 올바른 센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마그네트(15)가 마그네틱 센서(17)의 정중앙에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세밀한 센싱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센싱기능의 감소는 장치의 오작동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잠금장치의 에지 볼트가 충분히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민감한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한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door)가 닫힘에 따라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로서, 상기 데드 볼트가 설치되는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도어락 본체로 인입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락 본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에지 볼트; 상기 에지 볼트의 말단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고정핀을 축으로 상기 도어락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말단에 센서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를 감지하도록 PCB 기판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를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도어락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센서부가 상기 센서 감지부 상에 근접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에지 볼트가 충분히 인입되지 않도록 설치되더라도 가이드 부재의 충분한 회전반경을 확보할 수 있어 민감한 센싱이 이루어짐으로써 자동 잠금장치의 장치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지 볼트가 지나치게 가압되더라도 스토퍼를 통해 가이드 부재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와 센서 감지부의 적정 센싱위치를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장치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에 대한 최적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디지털 도어락은 통상의 장치임에 따라 상세한 작동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되,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이하, 자동 잠금장치라 함)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자동 잠금장치는 도어락 본체(10), 에지 볼트(12), 가이드 부재(50), 및 PCB 기판(16)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17)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도어락 본체(10)에는 데드 볼트(14)가 설치되어 PCB 기판(16)의 전기적 제어에 의해 개방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에지 볼트(12)는 도어락 본체(10)에 탄성수단(미도시)을 통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을 통해 도어락 본체(10)에 인입되었다가 도어 개방시 다 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50)는 도어락 본체(10)의 내측벽에 고정핀(52)을 통해 일정반경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0)는 일정길이를 갖는 격자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고정핀(52)의 고정위치가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부측의 회전반경이 상부측보다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지 볼트(12)의 말단과 가이드 부재(50)의 말단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통상의 스프링(60; 특히, 토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0)의 하단부에는 센서부(15)가 고정된다. 센서부(15)는 통상의 마그네트(magnet; 자성체)가 채용될 수 있다. PCB 기판(16)에는 센서부(15)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감지부(17)가 설치된다. 한편, 도어락 본체(1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부재(5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70)는 도어락 본체(1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힘 상태일 경우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데드 볼트(14)는 도어락 본체(1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에지 볼트(12)는 도어락 본체(10)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도어가 닫혀진 경우에는 에지 볼트(12)는 도어 프레 임(80)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락 본체(10)로 인입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에지 볼트(12)가 인입되면 말단에 연결된 스프링(60)이 수축된다. 수축된 스프링(60)은 가이드 부재(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50) 말단에 설치된 센서부(15)가 이동되어 PCB 기판(16)의 센서 감지부(17) 상에 위치됨으로써 센싱이 이루어진다. 이어 센서 감지부(17)는 PCB 기판(16)에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고 PCB 기판(16)은 데드 볼트(14)를 구동시켜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어 프레임(80)과 자동 잠금장치가 너무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에지 볼트(12)가 지나치게 가압되어 가이드 부재(50)의 회전반경이 너무 커질 우려가 있다. 즉, 에지 볼트(12)가 지나치게 가압되면 가이드 부재(50)에 설치된 센서부(15)가 센서 감지부(17)를 지나친 위치까지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센서부(15)와 센서 감지부(17)의 센싱 성능이 감소될 우려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도어락 본체(10)에는 스토퍼(70)가 마련되어 에지 볼트(12)가 지나치게 가압되더라도 가이드 부재(50)의 센서부(15)가 센서 감지부(17) 상에 근접을 이룰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5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최적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힘 상태일 경우의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주요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도어락 본체 12: 에지 볼트
14: 데드 볼트 15: 센서부
17: 센서 감지부 50: 가이드 부재
52: 고정핀 60: 스프링

Claims (4)

  1. 도어(door)가 닫힘에 따라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로서,
    상기 데드 볼트가 설치되는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 내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도어락 본체로 인입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락 본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에지 볼트;
    상기 에지 볼트의 말단과 탄성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센서부가 마련되어 일정 반경으로 회전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를 감지하도록 PCB 기판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고정핀을 축으로 상기 도어락 본체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센서부가 상기 센서 감지부 상에 근접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KR2020070020129U 2007-12-14 2007-12-14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KR200900060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29U KR20090006054U (ko) 2007-12-14 2007-12-14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29U KR20090006054U (ko) 2007-12-14 2007-12-14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54U true KR20090006054U (ko) 2009-06-18

Family

ID=4129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129U KR20090006054U (ko) 2007-12-14 2007-12-14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05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0747983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090006054U (ko) 디지털 도어락의 자동 잠금장치
KR100899446B1 (ko)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110010936U (ko) 출입문 안전장치
TW202225539A (zh) 手動電子鎖栓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514637B1 (ko)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CN207228814U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102380471B1 (ko)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456722B1 (ko)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100439113B1 (ko) 도어록킹장치
US11976495B2 (en) Tubular-type deadbolt door lock with edge bolt for detecting door lock status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20110027170A (ko) 도어록 장치
KR200425566Y1 (ko) 감금시설용 전자식 도어록
JP2015190197A (ja) 防災用倉庫用施錠装置
KR101958314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출입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