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907A -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907A
KR20090005907A KR1020070069331A KR20070069331A KR20090005907A KR 20090005907 A KR20090005907 A KR 20090005907A KR 1020070069331 A KR1020070069331 A KR 1020070069331A KR 20070069331 A KR20070069331 A KR 20070069331A KR 20090005907 A KR20090005907 A KR 2009000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sensor
safety system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응규
Original Assignee
(주)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술 filed Critical (주)한기술
Priority to KR102007006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907A/ko
Publication of KR2009000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바닥면 및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우산, 애완용 강아지의 보호 줄과 같이 가늘고 긴 물체 등을 모두 감지하여 도어 사이에 물체가 끼인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 센서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SAFETY SYSTEM OF AN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이나 승객이 소지한 물품이 도어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로프나 유압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켜 사람 또는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이다. 엘리베이터는 주로 높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사람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승객의 안전을 위한 많은 안전장치들이 요구된다. 그 중 하나가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사람이나 물건이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지 않도록 도어 사이의 물체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장치로 세이프티 슈(SAFETY SHOE, 110)가 있다. 세이프티 슈(110)는 엘리베이터의 도어(100)의 좌우측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100)가 열릴 때 같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110)는 도어(100)가 닫힐 때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도어(100)가 다시 열리도록 하여 도어(100)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세이프티 슈(110)는 동작 시 승객이나 물건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계되어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도어(100)가 닫히는 마지막에는 도어(10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도어(100)가 닫히는 시점에서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한 안전장치가 포토 빔 센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토 빔 센서(120)는 엘리베이터 도어(10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발광부(120a)와 수광부(120b)과 위치하여, 발광부(120a)에서 발생한 빛이 수광부(120b)에서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100)가 닫힐 때, 도어(100) 사이에 물체가 위치할 경우 발광부(120a)에서 발생한 빛이 수광부(120b)에서 정상적으로 감지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도어(100)가 다시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포토 빔 센서(120)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에 제한되어 있어 포토 빔 센서(120)가 위치하는 영역 이외에 물체가 위치하거나, 가늘고 긴 물체가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는 순간까지 도어 사이의 물체를 감지하여 승객이나 승객이 소지한 물건이 도어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소지한 우산, 애완용 강아지의 보호 줄과 같이 가늘고 긴 물체 등을 모두 감지하여 도어 사이에 물체가 끼인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바닥면 및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후면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바닥면 및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들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는 순간까지 도어 사이의 물체를 감지하여 승객이나 승객이 소지한 물건이 도어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우산, 애완용 강아지의 보호 줄과 같이 가늘고 긴 물체 등을 모두 감지하여 도어 사이에 물체가 끼인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적은 수의 센서만으로 물체의 감지가 가능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그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본체(200), 제어부(220), 제1센서(260), 도어 구동부(230) 및 엘리베이터 도어(2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은 제2센서(250) 및 세이프티 슈(SAFETY SHOE,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본체(200)는 건물 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장치로, 로프나 유압 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도어(210)는 이를 통해 승객이나 물건이 엘리베이터 본체(200)와 건물의 각 층 사이를 출입할 수 있는 부분으로, 엘리베이터 본체(200)가 건물의 각 층에 정지하여 승객이 타고 내리는 경우를 제외하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본체(200) 및 도어(210)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 아니며,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성이면 특정한 형태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20)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특히 제1센서(260), 제2센서(250) 및 세이프티 슈(240)와 같은 안전 감지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구동부(230)에 엘리베이터 도어(210)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어 구동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210)를 열고 닫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210)가 열린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210)를 닫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제어부(220)에서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물체가 감지된다는 신호를 전송받았을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210)를 다시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이프티 슈(240)는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후면에 위치하여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세이프티 슈(240)는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열림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하게 되고,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동안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진입하는 승객이나 물건에 의해 세이프티 슈(240)가 안으로 밀리게 되면 이 신호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도어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210)를 다시 열도록 한다. 세이프티 슈(240)는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의 전 구역에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세이프티 슈(240)는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다시 엘리베이터 도어(210) 내부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순간에는 센서로서 기능하지 못한다.
제2센서(250)는 좌우측 엘리베이터의 도어(210)의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나 물건을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형성되며, 발광부(250a)와 수광부(250b)로 구 성된다.
제2센서(250)는 엘리베이터의 도어(210)가 열리면 발광부(250a)에서 빛을 조사하고, 이 빛이 수광부(250b)에서 감지되면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중에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승객이나 물건이 진입하면, 발광부(250a)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250b)에서 감지되지 못하고, 제2센서(250)는 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도어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210)를 다시 열도록 한다. 제2센서(250)는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있어서, 해당 영역 이외에 물체가 진입할 경우는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
제1센서(260)는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지점에 상응하는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바닥면 및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도 5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제1센서(260)의 발광부(260b)를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지점의 바로 앞 엘리베이터 본체의 바닥면에 위치시키고, 수광부(260a)를 발광부(260b)에 상응하는 위치의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천정에 위치시킨다.
한편, 발광부(260b)가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천정에 위치하고, 수광부(260a)가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바닥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제1센서(260)는 엘리베이터의 도어(210)가 열리면 발광부(260b)에서 빛을 조 사하고, 이 빛을 수광부(260a)에서 감지하면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중에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물체가 진입하면, 발광부(260b)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260a)에서 감지되지 못하고, 제1센서(260)는 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이 때, 제1센서(260)는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진입하는 어떠한 형태의 물체도 감지할 수 있다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열려있을 때에는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해야하는 영역이 넓지만,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힘에 따라 그 감지 영역은 좁아지고,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기 직전에는 하나의 라인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제1센서(260)를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기 직전에 하나의 라인으로 모이는 지점에 설치하여, 우산이나 애완용 강아지의 보호 줄과 같이 가늘고 긴 물체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센서(260)를 수광부(260a)와 발광부(260b)로 구성된 포토 빔 센서로 구성하되, 엘리베이터의 도어(210)가 닫히는 순간까지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승객이나 물체가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센서(360)의 발광부(360b)를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지점의 바로 앞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바닥면에 복수개 위치시키고, 수광부(360a)를 발광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천정에 복수개 위치시킨다.
한편, 발광부(360b)가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천정에 위치하고, 수광부(360a)가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바닥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센서(360)를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각 지점에 배치하면, 도어(210)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도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제1센서(360)의 구성 이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센서(460)는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닫히는 지점의 바로 앞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천정에 위치한다.
제1센서(460)는 반사형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형 센서의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열리면 빛을 조사하고, 조사한 빛이 다시 재입사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상태로 인지한다.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물체가 위치할 경우, 조사된 빛은 상기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반사 형 센서로 재입사한다. 이에 따라, 제1센서(460)는 조사한 빛이 재입사할 경우 이를 제어부(220)로 전송하고, 제어부(220)는 도어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다시 열리도록 한다.
초음파 센서의 경우, 발신한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물체 유무를 감지한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210) 사이에 물체가 있을 경우, 정상적인 상태보다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210)가 다시 열리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제1센서(460)를 천정에만 위치시키는 것은 엘리베이터 본체(200)의 바닥에 이물질이 많아 센서가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상술한 제1센서(460)의 구성 이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바닥면 및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된 포토 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후면에 위치하여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세이프티 슈; 및
    상기 좌우측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4.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후면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바닥면 및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들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들은,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된 포토 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후면에 위치하여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세이프티 슈; 및
    상기 좌우측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7. 건물내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천장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반사형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후면에 위치하여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세이프티 슈; 및
    상기 좌우측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하여 물체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KR1020070069331A 2007-07-10 2007-07-10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KR20090005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31A KR20090005907A (ko) 2007-07-10 2007-07-10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31A KR20090005907A (ko) 2007-07-10 2007-07-10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07A true KR20090005907A (ko) 2009-01-14

Family

ID=404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331A KR20090005907A (ko) 2007-07-10 2007-07-10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525A (ko) * 2017-11-30 2019-06-10 (주)솔루션뱅크 로커의 이용상태 확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525A (ko) * 2017-11-30 2019-06-10 (주)솔루션뱅크 로커의 이용상태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8940B2 (ja) 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EP3357851B1 (en) Mechanism for improving safety for an elevator system
JP4041544B2 (ja) スライドドアの安全検出システムの制御
KR102054600B1 (ko) 승강기 시스템의 안전 장치
US9751727B1 (en) Elevator entry and exit system and method with exterior sensors
JP2009051615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EP1833747B1 (en) Elevator safety systems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0816900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CN110027975B (zh) 门操作控制器
KR101331125B1 (ko)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474067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20090005907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전 시스템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H1179632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検出装置
JP200731428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5577636B2 (ja)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13918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7032613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ドア位置検出装置
JP3824586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JP6123890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KR101946319B1 (ko) 홀 도어 스위치의 고장위치 감지 및 출입구 바닥 틈새 자동차단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