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757U -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 Google Patents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57U
KR20090005757U KR2020070019760U KR20070019760U KR20090005757U KR 20090005757 U KR20090005757 U KR 20090005757U KR 2020070019760 U KR2020070019760 U KR 2020070019760U KR 20070019760 U KR20070019760 U KR 20070019760U KR 20090005757 U KR20090005757 U KR 200900057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cision
elevating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019Y1 (ko
Inventor
박재식
Original Assignee
박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식 filed Critical 박재식
Priority to KR20070019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0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0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01B15/006Making a longitudinal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longitudinal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7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전선 탈피기 및 그 절개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취급도 용이한 탈피기와 서로 다른 굵기의 폐전선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폐전선 탈피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절개롤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통상적인 탈피기의 승강베어링메탈(30)(30') 상면에 승강판(400)을 배치하여 승강판(400) 양측을 승강베어링메탈(30)(30') 상면에 고정하고, 상기 승강판(400) 중앙에는 나사관(401)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20) 상면 중앙에 위치한 승강회전체(500)의 나사봉(201)을 체결하며, 상기 구,피동절개롤러(80)(80')의 접경부 전방에는 폐전선 투입안내공(301)이 여러 개 형성된 보호판(300)을 마련하여 상기 보호판(300)을 프레임(20)에 고정하는 탈피기 및 일 측면에 회전지지축(811)이 형성되는 압착부(81)와; 상기 압착부(81)의 회전지지축(811) 타측에 형성되면서 원호홈 혹은 경사홈 형태의 절개안내홈(821)(821')이 다 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개안내홈(821)(821') 사이에는 절개칼(100)이 형성되는 절개부(82)와; 상기 절개부(82) 외측의 회전지지축(831)으로 구성되는 절개롤러에 관한 것이다.
탈피기, 보호판, 절개롤러, 절개안내링, 절개칼

Description

폐전선 탈피기 및 그 절개롤러{incision roller and the apparatus of peeling off the wasted wire}
본 고안은 폐전선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 하자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취급도 용이한 탈피기와 서로 다른 굵기의 폐전선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합성수지(PE, PP, PVC) 외피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피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그 탈피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명이 오래가는 탈피기용 절개롤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전선의 외피를 탈피하는 이유는 폐전선 내부의 동(구리)선을 재활용하기 위함인데, 현재까지는 폐전선의 외피를 연소하여 탈피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외피 탈피방식은 대기를 오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실시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고급에 속하는 폐전선 외피를 재활용할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을 낳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전선 외피를 절개하여 동선과 외피를 분리하는 방식 이 제안되었긴 하나, 대부분 폐전선 외피를 수동으로(사람이 절개칼 이용) 하고 있으므로 탈피에 대한 신속성과 안정성이 매우 취약하여 실제로 시행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이를 배제하더라도 위 탈피 방식이 시행될 수 없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탈피 작업 시간 및 인력의 낭비로 인한 경제적 손해가 막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한 쌍의 절개롤러 사이로 폐전선을 통과시켜 외피를 절개하는 하기와 같은 전동식 탈피기가 개발되었다.
구동축에 체인기어를 가진 구동모터가 일측 상면 설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구동모터 타측 상면에 설치되고 양 측벽에는 승강공이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 개방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 승강공에 각기 위치하는 승강베어링메탈과; 상기 승강베어링메탈을 각각 승강시키는 승강회전체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 승강베어링메탈에 회전지지축 양단이 지지 되고 회전지지축 일단은 프레임의 측벽 외부로 연장되며 표면에는 다 수개의 절개칼이 형성되는 피동절개롤러와; 상기 피동절개롤러 직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지지축 양단이 프레임의 승강공 하단의 고정베어링메탈에 각 지지되고 회전지지축 일단이 피동절개롤러 회전축 일단의 연장방향으로 프레임의 측벽 외부로 연장되며 표면에는 피동절개롤러의 절개칼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절개칼이 다 수개 형성되는 구동절개롤러와; 상기 구동절개롤러 및 피동절개롤러의 연장 회전지지축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면서 서로 치합하는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절개롤러의 구동기어 외측에 끼워져 구동모터의 체인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체인기어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 전동식 탈피기(이하 '종래 탈피기'라 함)는 폐전선 외피를 절개할 때 폐전선 내부의 동선과 접촉됨으로써 마모가 촉진되는 절개칼이 절개롤러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절개칼의 마모로 인한 절개롤러를 빈번하게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절개롤러의 수명 단축성)과, 한 쌍의 절개롤러 사이로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종래 탈피기는 구,피동절개롤러 다 수개 형성되어 있는 절개칼 간의 간격이 동일하여 구,피동절개롤러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서로 다른 굵기의 폐전선을 탈피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는 폐전선 굵기에 따라 피동절개롤러를 승강시켜줘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였으며, 그리고 매우 작은 폐전선의 탈피는 불가능하였다.
한편 종래 탈피기는 피동절개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회전체가 피동절개롤러의 양측 승강베어링메탈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동절개롤러의 수평 승강이 매우 난이 한 폐단도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 탈피기에서 나타나는 절개롤러 자체의 문제점, 절개작업의 비 안정성, 서로 다른 굵기의 폐전선 탈피에 대한 불편성 등을 해결하고 자함을 그 과제로 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위 해결과제를 서로 다른 크기의 절개원형홈부 및 절개칼이 다 수개 구현되는 구,피동절개롤러와; 폐전선 투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 을 보호판의 결합관계로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70)가 일측 상면 설치되는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의 구동모터(70) 타측 상면에 설치되고 양 측벽에는 승강공(21)이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 개방형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승강공(21)에 각기 위치하는 승강베어링메탈(30)(30')과; 상기 승강베어링메탈(30)(30')을 승강시키는 승강회전체와(500);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승강베어링메탈(30)(30')에 회전지지축 양단이 지지되고 회전지지축 일단은 프레임(20)의 측벽 외부로 연장되는 피동절개롤러(80')와; 상기 피동절개롤러(80') 직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축 양단이 프레임(20)의 승강공(21) 하단의 고정베어링메탈(40)(40')에 각 지지 되고 회전지지축 일단이 피동절개롤러(80') 회전지지축 일단의 연장방향으로 프레임(20)의 측벽 외부로 연장되는 구동절개롤러(80)와; 상기 구동절개롤러(80) 및 피동절개롤러(80')의 연장 회전지지축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면서 서로 치합하는 구동기어(50) 및 피동기어(51)와; 상기 구동절개롤러(80)의 구동기어(50) 외측에 고정되어 구동모터(70)의 체인기어(71)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체인기 어(60)로 구성되는 폐전선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베어링메탈(30)(30') 상면에 승강판(400)을 배치하여 승강판(400) 양측을 승강베어링메탈(30)(30') 상면에 고정하고, 상기 승강판(400) 중앙에는 나사관(401)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20) 상면 중앙에 위치한 승강회전체(500)의 나사봉(201)을 체결하며, 상기 구,피동절개롤러(80)(80')의 접경부 전방에는 폐전선 투입안내공(301)이 여러 개 형성된 보호판(300)을 마련하여 상기 보호판(300)을 프레임(20)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승강회전체(500)는 상기 프레임(20) 상면 중앙을 관통하면서 승강판(400)의 나사관(401)에 체결되는 나사봉(201), 위 나사봉(201)과 일체형이면서 상기 프레임(20) 상면에 걸리는 걸림축(501), 위 걸림축(501) 상단과 일체로 되는 회전핸들(503)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폐전선 탈피기에 채용되는 구,피동절개롤러(80)(80')는 일측면에 회전지지축(811)이 형성되는 압착부(81)와; 상기 압착부(81)의 회전지지축(811) 타측에 형성되면서 원호홈 혹은 경사홈 형태의 절개안내홈(821)(821')이 다 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개안내홈(821)(821') 사이에는 절개칼(100)이 형성되는 절개부(82)와; 상기 절개부(82) 외측의 회전지지축(83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절개부(82)는 압착부(81) 일측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나사(832)가 형성된 장치축(83)과; 상기 장치축(83)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지지 축(831)과; 상기 장치축(83)에 차례로 끼워지고 양 단에 원호면 또는 경사면과 같은 오목 절개안내면(91)(91')을 가진 다 수개의 절개안내링(90)과; 상기 장치축(83)의 절개안내링(90) 사이에 끼워지는 다 수개의 절개칼(100)과; 상기 장치축(83) 끝단에 끼워져 중앙의 나사공(201)이 장치축(83)의 나사(832)에 체결되면서 장치축(83)에 끼워진 다 수개의 절개안내링(90) 및 절개칼(100)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너트(200)로 구성하여 장치축(83) 외주에 절개안내링(90)의 절개안내면(821)(821')에 의한 절개안내홈(91)(91')이 다 수개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장치축(83)에 끼워지는 각 절개안내링(90) 양 단의 절개안내면(91)(91')의 크기를 달리하여 각 절개안내링(90)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안내홈(821)(821')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거나 또는 커지도록 하되, 상기 각 절개안내홈(821)(821')으로 돌출되는 절개칼(100)의 칼날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즉 절개안내홈(821)(821')이 큰 곳의 절개칼에 비해 절개안내홈이 작은 곳의 절개칼 지름이 커진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폐전선 탈피기의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구,피동절개롤러(80)(80') 전방에 폐전선 투입안내공(301)이 형성된 보호판(30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폐전선(600) 투입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구, 피동절개롤러(80)(80')의 접경부에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전혀 없는 이점이 있으며. 그리고 피동절개롤러(80')를 회전을 지지하는 양측의 승강베어링메탈(30)(30')이 하나의 승강판(400)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또 위 승강판(400)은 프레임 상면 중앙에 있는 하나의 승강회전체(500)에 의해 승강되기 때문에 피동절개롤러(80')의 승강을 항상 수평으로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폐전선 탈피기에 채용되는 구,피동절개롤러(80)(80')는, 압착부(81)와 절개부(82)로 구분 형성함으로써 압착부(81)는 지름이 아주 작은 폐전선을 탈피할 수 있는 반면 절개부(82)는 여러 개의 절개안내홈(821)(821')과, 상기 절개안내홈(821)(821') 사이에 절개칼(100)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절개안내홈(821)(821')을 통해 지름이 굵은 폐전선(600)의 탈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82)를 여러 개의 절개안내링(90)과 절개칼(100)로 구성함으로써 절개칼(100)이 마모되었을 경우 절개칼(100)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도 있는 것이며, 다음으로 절개부(82)의 절개안내홈(821)(821') 크기를 순차적으로 작게 하거나 크게 하고 절개안내홈(821)(821') 크기에 따라 절개칼(00)의 지름을 다르게 하면 서로 다른 굵기의 폐전선을 한꺼 번에 탈피할 수 있는 절개부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그에 앞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폐전선을 프레임(20) 전방에 위치한 보호판(300)의 투입안내공(301)으로 투입함과 동시에 구,피동절개롤러(80)(80') 사이로 투입하여 구,피동절개롤러(80)(80')에 형성된 절개칼로 투입되는 폐전선(600) 외피를 절개할 수 있다. 이때 보호판(300)에 의해 작업자의 손가락이 구,피동절개롤러(80)(80') 사이로 인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폐전선을 탈피한 후 차기 탈피작업을 위해 구,피동절개롤러(80)(80') 사이(접경부)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프레임(20) 상면의 승강회전체(500)의 나사봉(502)을 제자리에서 정 회전 혹은 역 회전시켜 피동절개롤러(80')의 양측 승강베어링베칼(30)(30') 상면이 함께 연결 고정된 승강판(40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동절개롤러(80')를 항상 수평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에서 승강판(400)의 승강은 승강회전체(500)의 나사봉(502)이 승강판(400) 중앙의 나사관(401)에 체결되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즉 승강판(400)의 나사관(401)은 제자리 회전하는 승강회전체(500)의 나사봉(502)을 따라 승강하기 때문이다.
한편 압착부(81)와 여러 개의 절개안내홈(821)(821')이 형성되는 절개부(82) 로 구성되는 구,피동절개롤러(80)(80')를 상하에 설치하면 상하 압착부(81) 사이에는 지름이 매우 작은 폐전선을 투입하면서 압착으로 탈피할 수 있고, 또 절개부(82)의 각 절개안내홈(821)(821')으로는 지름이 큰 폐전선(600)을 투입하여 폐전선의 외피를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피동절개롤러(80)(80')를 상하에 설치하면 구,피동절개롤러(80)(80') 사이에는 각 절개롤러(80)(80')의 절개안내홈(821)(821')이 상하에 배치됨으로써 폐전선(600)의 외형을 수용할 수 있는 도입안내공(80a)이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도입안내공(80a)으로 폐전선(600)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도입안내공(80a)으로 폐전선(600)이 투입되면 투입됨과 동시에 각 절개안내홈 사이에 돌출되는 상하 절개칼(100)에 의해 폐전선의 외피 상하가 절개되어 탈피된다.
한편 절개롤러(80)(80')의 절개부(82)를 압착부(81)와; 장치축(83)과; 양 단에 오목 절개안내면(91)(91')을 가진 다 수개의 절개안내링(90)과; 상기 절개안내링(90) 사이에 끼워지는 다 수개의 절개칼(100)과; 상기 절개안내링(90) 및 절개칼(100)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너트(200)로 구성하면 폐전선을 탈피할 때 폐전선 내부의 동선과 절개칼(100)의 접촉으로 인하여 절개칼(100)의 칼날이 마모되었을 경우나 절개안내링(9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고정너트(200) 만 장치축(83)에서 분리하면 교체가 필요한 절개칼 또는 절개안내링 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이는 폐전선 굵기에 따라 절개안내면(91)(91') 크기가 다른 절개안내링(90)을 교체할 때 더욱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장치축(83)에 끼워지는 각 절개안내링(90) 양 단의 절개안내면(91)(91')의 크기를 달리하여 각 절개안내링(90)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안내홈(821)(821')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거나 또는 커지도록 하면 구,피동절개롤러(80)(80') 사이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한 채 서로 다른 굵기의 폐전선을 동시에 탈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개롤러 측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절개롤러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절개롤러 분해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20 : 프레임
21 : 승강공 30,30' : 승강베어링메틸
40,40' : 고정베어링메탈 50 : 구동기어
51 : 피동기어 60 : 구동체인기어
70 : 구동모터 71 : 체인기어
80 : 구동절개롤러 80' : 피동절개롤러
80a : 도입안내공 81 : 압착부
811 : 회전지지축 82 : 절개부
821,821' : 절개안내홈 83 : 장치축
831 : 회전지지축 832 : 나사
90 : 절개안내링 91,91' : 절개안내홈
100 : 절개칼 200 : 고정너트
201 : 나사공 300 : 보호판
301 : 투입안내공 400 : 승강판
401 : 나사관 500 : 승강회전체
501 : 걸림축 502 : 나사봉
503 : 회전핸들 600 : 폐전선

Claims (4)

  1. 구동모터(70)가 일측 상면 설치되는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의 구동모터(70) 타측 상면에 설치되고 양 측벽에는 승강공(21)이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 개방형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승강공(21)에 각기 위치하는 승강베어링메탈(30)(30')과; 상기 승강베어링메탈(30)(30')을 승강시키는 승강회전체와(500);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승강베어링메탈(30)(30')에 회전지지축 양단이 지지되고 회전지지축 일단은 프레임(20)의 측벽 외부로 연장되는 피동절개롤러(80')와; 상기 피동절개롤러(80') 직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축 양단이 프레임(20)의 승강공(21) 하단의 고정베어링메탈(40)(40')에 각 지지 되고 회전지지축 일단이 피동절개롤러(80') 회전지지축 일단의 연장방향으로 프레임(20)의 측벽 외부로 연장되는 구동절개롤러(80)와; 상기 구동절개롤러(80) 및 피동절개롤러(80')의 연장 회전지지축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면서 서로 치합하는 구동기어(50) 및 피동기어(51)와; 상기 구동절개롤러(80)의 구동기어(50) 외측에 고정되어 구동모터(70)의 체인기어(71)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체인기어(60)로 구성되는 폐전선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베어링메탈(30)(30') 상면에 승강판(400)을 배치하여 승강판(400) 양측을 승강베어링메탈(30)(30') 상면에 고정하고, 상기 승강판(400) 중앙에는 나사관(401)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20) 상면 중앙에 위치한 승강회전체(500)의 나사봉(201)을 체결하며, 상기 구,피동절개롤러(80)(80')의 접경부 전방에는 폐전선 투입안내공(301)이 여러 개 형성된 보호판(300)을 마련하여 상기 보호판(300)을 프레임(20)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탈피기.
  2. 일측면에 회전지지축(811)이 형성되는 압착부(81)와; 상기 압착부(81)의 회전지지축(811) 타측에 형성되면서 원호홈 혹은 경사홈 형태의 절개안내홈(821)(821')이 다 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개안내홈(821)(821') 사이에는 절개칼(100)이 형성되는 절개부(82)와; 상기 절개부(82) 외측의 회전지지축(8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3. 제 2항에 있어서, 절개부(82)는 압착부(81) 일측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나사(832)가 형성된 장치축(83)과; 상기 장치축(83)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지지축(831)과; 상기 장치축(83)에 차례로 끼워지고 양 단에 원호면 또는 경사면과 같은 오목 절개안내면(91)(91')을 가진 다 수개의 절개안내링(90)과; 상기 장치축(83)의 절개안내링(90) 사이에 끼워지는 다 수개의 절개칼(100)과; 상기 장치축(83) 끝단에 끼워져 중앙의 나사공(201)이 장치축(83)의 나사(832)에 체결되면서 장치축(83)에 끼워진 다 수개의 절개안내링(90) 및 절개칼(100)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너트(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장치축(83)에 끼워지는 각 절개안내링(90) 양 단의 절개안내면(91)(91')의 크기를 달리하여 각 절개안내링(90)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안내홈(821)(821')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거나 또는 커지도록 하되, 상기 각 절개안내홈(821)(821')으로 돌출되는 절개칼(100)의 칼날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KR20070019760U 2007-12-08 2007-12-08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KR200446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760U KR200446019Y1 (ko) 2007-12-08 2007-12-08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760U KR200446019Y1 (ko) 2007-12-08 2007-12-08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57U true KR20090005757U (ko) 2009-06-11
KR200446019Y1 KR200446019Y1 (ko) 2009-09-17

Family

ID=4128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9760U KR200446019Y1 (ko) 2007-12-08 2007-12-08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01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33B1 (ko) *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101450854B1 (ko) * 2013-07-10 2014-10-2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코팅장치
AT514691A4 (de) * 2013-09-26 2015-03-15 Compag Rohstoffaufbereitung Gmbh Kabelschlitzvorrichtung
KR20160103416A (ko) 2015-02-24 2016-09-01 정성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CN110400661A (zh) * 2019-08-27 2019-11-01 台州路桥博仁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废弃铜线高效去皮机
CN111243800A (zh) * 2020-04-03 2020-06-05 罗连巧 一种电力线缆回收用快速剥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99U (ko) * 1998-02-25 1999-09-27 김관욱 폐전선의 탈피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33B1 (ko) *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101450854B1 (ko) * 2013-07-10 2014-10-2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코팅장치
AT514691A4 (de) * 2013-09-26 2015-03-15 Compag Rohstoffaufbereitung Gmbh Kabelschlitzvorrichtung
AT514691B1 (de) * 2013-09-26 2015-03-15 Compag Rohstoffaufbereitung Gmbh Kabelschlitzvorrichtung
KR20160103416A (ko) 2015-02-24 2016-09-01 정성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CN110400661A (zh) * 2019-08-27 2019-11-01 台州路桥博仁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废弃铜线高效去皮机
CN111243800A (zh) * 2020-04-03 2020-06-05 罗连巧 一种电力线缆回收用快速剥皮装置
CN111243800B (zh) * 2020-04-03 2022-02-15 湖南湘鹤集团电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力线缆回收用快速剥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019Y1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019Y1 (ko)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US91533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ipping insulation lengthwise fom electrical wires and cables
CN210326750U (zh) 一种废旧线缆用剥皮装置
CN111883323B (zh) 一种电缆线回收处理设备及处理方法
KR20160052082A (ko) 탁상용 폐전선 탈피기
CN210477082U (zh) 一种用于铝合金电缆抗蠕变性能检测的剥离刀具
CN107947037B (zh) 线缆去皮装置
CN211466845U (zh) 一种建筑用加气砖切割装置
CN116454796A (zh) 一种新能源发电用特种电缆剥皮装置
JPH0160220B2 (ko)
CN217304558U (zh) 建筑工程材料检测切割器
KR101996820B1 (ko) 육류 절단기
US3822615A (en) Wire and cable insulation removing device
CN210475599U (zh) 一种印刷包装用打孔设备
CN220992680U (zh) 一种电缆加工使用的切割装置
CN102468623B (zh) 一种电缆扒皮工具
CN218214814U (zh) 一种电缆剥缆刀
CN217370732U (zh) 一种大口径不锈钢管材切断装置
CN215144875U (zh) 一种具有清除铁屑功能的零部件钻孔装置
CN217571112U (zh) 一种消防无齿锯
CN220029025U (zh) 一种打火机外壳激光雕刻设备
CN210926896U (zh) 一种快速简便的剥电缆皮小工具
CN214341920U (zh) 一种食物处理器的绞切组件安装结构
CN116365433B (zh) 一种通信工程用的便携式线材剥皮切割装置
CN214162270U (zh) 一种切割机全方位护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