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707U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07U
KR20090005707U KR2020070019678U KR20070019678U KR20090005707U KR 20090005707 U KR20090005707 U KR 20090005707U KR 2020070019678 U KR2020070019678 U KR 2020070019678U KR 20070019678 U KR20070019678 U KR 20070019678U KR 20090005707 U KR20090005707 U KR 20090005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olt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558Y1 (ko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20070019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55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며, 축전지의 상측에서 조임 및 해제가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최소화되고 조작이 용이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111)와 그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12) 및 연결볼트(150)와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110)와; 볼트 고정부(113) 상측에 위치되고,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21) 및 그 뒤쪽에서 돌출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125)가 구비된 와셔 부재(120)와; 곡면 형상의 선단부(13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자 삽입부(111)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고,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삽입되는 장공(132)이 구비되어 와셔 부재(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가이드부(125)의 전방 경사면에 접촉되는 어퍼 바디(130)와; 조임용 고정볼트(140)에 체결되어 어퍼 바디(130)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전지, 접속단자. 경사부, 가이드, 조임부, 와셔, 포스트단자, 조임너트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A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본 고안은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전지의 상측에서 조임 및 해제가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최소화되고 조작이 용이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와이어를 연결시키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조임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단자 삽입부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20)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판(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축전지(도시 생략)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40)와, 상기 삽입부(40)의 일측에 상/하 대칭식으로 형 성되는 조임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부(50)는, 전/후방에 조임공을 구비하여 조임볼트(51)와 조임 너트(52)로 상기 삽입부(4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51)와 조임 너트(52)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의 과다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형의 고정통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직렬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되어 축전지로부터 자동차내에 전력을 공급할수 있도록 된 커넥션 와이어(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터미널(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터미널(70)은,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30)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구비되고, 와셔(32)를 개재하여 고정너트(31)가 고정부재(3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판(20)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삽입부(40)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축전지의 측부에서 조임볼트(51)와 조임 너트(52)를 체결함에 따라 설치 작업이 쉽지 않고 축전지 주변에 일정한 작업 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축전지의 설치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전지의 상부에서 조임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단자 삽입부에 삽입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전지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각 구성요소를 단품화하고 독립구조가 되도록 간접 결합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 교체가 용이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구비하고 전후 이동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 측에 전방으로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이 접하도록 하여, 조임용 고정볼트에 조임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단자 삽입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곡면형 선단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와, 상기 단자 삽입부의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및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와 조임용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볼트 고정부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 및 그 뒤쪽에서 돌출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된 와셔 부재와;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단자 삽입부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고,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장공이 구비되어 상기 와셔 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 경사면에 접촉되는 어퍼 바디와;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 바디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연장부 상단을 감싼 후 그 외측까지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선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단자 삽입부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전체가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 하단이 절곡되어 연결된 상기 볼트 고정부가, 상기 연장부의 타측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의 타측 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 및 연결볼트는 상기 볼트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각형의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 일부가 볼트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 부재의 삽입공은 상기 원통부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볼트 고정부는,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 및 연결볼트의 베이스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하향 절곡되며; 측부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전방측 측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편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와 상기 조임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 와셔가 안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와, 상기 단자 삽입부의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후단측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경사진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와;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 및 조임용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볼트 고정 부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 바디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연장부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 양측에 레일 홈이 형성된 언더 바디와;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 상측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의 단자 삽입부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연장부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 양측에 레일 홈이 형성된 어퍼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 바디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언더 바디는, 상기 레일 홈 외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고, 조임용 고정볼트 고정부의 측부에 연결볼트 고정부가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레일 홈 외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고, 그 후단부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조임 너트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단자 삽입부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언더 바디의 삽입돌기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어퍼 바디의 삽입돌기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의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부의 후단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와 언더 바디 및 어퍼 바디는 각각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고정부재의 후단측에 구비된 경사진 가이드부로 인하여 축전지의 상측에서 조임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가동부재가 전진하여 고정부재의 단자 삽입부에 삽입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축전지 주위에 작업 공간이 없더라도 접속단자의 체결이 가능하여 축전지의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메인 바디에 어퍼바디 또는 언더바디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으면서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가 독립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가 쉬울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축 전지용 접속단자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구비하고 전후 이동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 측에 전방으로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이 접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조임용 고정볼트에 조임 너트를 체결하면, 전방으로 경사진 상기 가이드부로 인해 상기 가동부재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전진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단자 삽입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곡면형 선단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며,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본 고안의 접속단자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단자 삽입부의 후단 측에 위치된 조임용 고정볼트에 조임 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단자 삽입부에 삽입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축전지의 측부가 아닌 상부에서 조임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다.
상기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특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111)와, 상기 단자 삽입부(111)의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12) 및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150)와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의 볼트 고정부(113)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21) 및 그 뒤쪽에서 돌출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125)가 구비된 와셔 부재(120)와; 곡면 형상의 선단부(13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110)의 단자 삽입부(111)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고,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삽입되는 장공(132)이 구비되어 상기 와셔 부재(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25)의 전방 경사면에 접촉되는 어퍼 바디(130)와;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 바디(130)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어퍼 바디(130)와 상기 조임 너트(145) 사이에 보조 와셔(146)가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130)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 와셔(146)가 안착되는 함몰부(13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임 너트(145)를 조임용 고정볼트(140)에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상기 어퍼 바디(130)가 전진하면서 곡면형 선단부(131)와 메인 바디(110)의 단자 삽입부(111)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함으로써 둘 사이에 삽입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는 상기 어퍼 바디(130)의 장공(13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퍼 바디(130)의 움직임을 저해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110)와 와셔 부재(120) 및 어퍼 바디(130)가 각각 단품으로서 독립적인 구조로 형성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가 쉬울 뿐 아니라 생산성도 향상된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13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연장부(112) 상단을 감싼 후 그 외측까지 연장 형성된 측면부(133)와, 상기 측면부(133)의 선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13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110)는, 상기 단자 삽입부(111)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재(114)와, 상기 단자 삽입부(11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135)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115)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의 접속단자를 설치할 때, 상기 삽입돌기(135)가 상기 메인 바디(110)의 상단 지지부재(115)에 걸쳐지고 그 후단부가 상기 와셔 부재(120)의 가이드부(125)에 걸쳐진 형태로, 상기 어퍼 바디(130)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110)의 볼트 고정부(113)에 설치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상기 와셔 부재(120) 및 어퍼 바디(130)를 관통하여 돌출되므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에 조임 너트(145)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125)의 전방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어퍼 바디(130)가 하향 이동과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130)의 곡면형 선단부(131)와 메인 바디(110)의 단자 삽입부(1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둘 사이에 삽입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110)는 전체가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2)의 일측 하단이 절곡되어 연결된 상기 볼트 고정부(113)가, 상기 연장부(112)의 타측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112)의 타측 하단과 결합된다. 또,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 및 연결볼트(150)는 각형의 베이스(141)(151)를 구비하여, 상기 볼트 고정부(11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 고정부(113)는,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 및 연결볼트(150)의 베이스(141)(151)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하향 절곡되며, 측부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141)(151)를 지지하는 지지편(117) 및 전방측 측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편(116)을 각각 구비한다.
또,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는, 상기 베이스(140)의 상측 일부가 볼트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142)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 부재(120)의 삽입공(121)은 상기 원통부(14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실시예2>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211)와, 상기 단자 삽입부(211)의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212)와, 상기 연장부(212)의 후단측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경사진 가이드부(215)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210)와;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250) 및 조임용 고 정볼트(240)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21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210)의 연장부(212)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가 삽입되는 삽입공(221) 양측에 레일 홈(222)이 형성된 언더 바디(220)와;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215)의 전방 상측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곡면 형상의 선단부(233)가 상기 메인 바디(210)의 단자 삽입부(211)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바디(2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210)의 연장부(212)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가 삽입되는 삽입공(231) 양측에 레일 홈(232)이 형성된 어퍼 바디(230)와; 상기 어퍼 바디(230)의 상측에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 바디(230)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210)의 가이드부(215)는 상기 연장부(212)의 후단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언더 바디(220) 및 어퍼 바디(230)의 후단측이 상기 가이드부(215)에 접촉되어 승강 및 전후 이동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부(215)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언더 바디(220)는 상기 레일 홈(222) 외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2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230)는 상기 레일 홈(232) 외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2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인 바디(210)는, 상기 단자 삽입부(211)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언더 바디(220)의 삽입돌기(225)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213)와, 상기 단자 삽입부(21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어퍼 바디(230)의 삽입돌기(235)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21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언더 바디(220)와 어퍼 바디(230) 및 메인 바디(21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상호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언더 바디(220) 및 어퍼 바디(230)의 삽입돌기(225)(235)가 상기 메인 바디(210)의 하단 및 상단 지지부재(213)(214)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언더 바디(220) 및 어퍼 바디(230)의 후단이 상기 메인 바디(210)의 가이드부(21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언더 바디(220) 및 어퍼 바디(230)를 상기 메인 바디(210)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언더 바디(220)는 조임용 고정볼트 고정부(223)의 측부에 연결볼트 고정부(224)가 배치된 병렬 구조로 형성되어, 축전지 주위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와 연결볼트(250)가 직렬 배치되는 경우 연결볼트(250)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만,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와 연결볼트(250)가 병렬 배치되는 경우에는 축전지의 상면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연결볼트(250)를 연결할 수 있어, 축전지 주위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충분히 접속단자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메인 바디(210)와 언더 바디(220) 및 어퍼 바디(230)는 각각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를 상기한 구성요소의 전개도 형상으로 절단한 후 절곡시키는 것만으로도, 각 구성요소들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메인 바디 111: 단자 삽입부
112: 연장부 113: 볼트 고정부
114: 하단 지지부재 115: 상단 지지부재
116: 연결편 117: 지지편
120: 와셔 부재 121: 삽입공
125: 가이드부 130: 어퍼 바디
131: 선단부 132: 장공
133: 측면부 135: 삽입돌기
136: 함몰부 140: 조임용 고정볼트
141: 베이스 142: 원통부
145: 조임 너트 146: 보조와셔
150: 연결볼트 151: 베이스
210: 메인바디 211: 단자 삽입부
212: 연장부 213: 하단 지지부재
214: 상단 지지부재 215: 가이드부
220: 언더 바디 221: 삽입공
222: 레일 홈 223: 조임용 고정볼트 고정부
224: 연결볼트 고정부 225: 삽입돌기
230: 어퍼 바디 231: 삽입공
232: 레일 홈 233: 선단부
234: 안착부 235: 삽입돌기
240: 조임용 고정볼트 245: 조임 너트
250: 연결볼트

Claims (15)

  1.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구비하고 전후 이동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 측에 전방으로 경사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이 접하도록 하여, 조임용 고정볼트에 조임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단자 삽입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곡면형 선단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2.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111)와, 상기 단자 삽입부(111)의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12) 및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150)와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의 볼트 고정부(113)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21) 및 그 뒤쪽에서 돌출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125)가 구비된 와셔 부재(120)와;
    곡면 형상의 선단부(13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110)의 단자 삽입부(111)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고,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가 삽입되는 장공(132)이 구비되어 상기 와셔 부재(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25)의 전방 경사면에 접촉되는 어퍼 바디(130)와;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 바디(130)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13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연장부(112) 상단을 감싼 후 그 외측까지 연장 형성된 측면부(133)와, 상기 측면부(133)의 선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10)는, 상기 단자 삽입부(111)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재(114)와, 상기 단자 삽입부(11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135)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10)는 전체가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2)의 일측 하단이 절곡되어 연결된 상기 볼트 고정부(113)가, 상기 연장부(112)의 타측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112)의 타측 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 및 연결볼트(150)는 상기 볼트 고정부(11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각형의 베이스(141)(1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140)는, 상기 베이스(140)의 상측 일부가 볼트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142)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 부재(120)의 삽입공(121)은 상기 원통부(142)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113)는,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 및 연결볼트의 베이스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곡면 형상의 선단부가 하향 절곡되며,
    측부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141)(151)를 지지하는 지지편(117)과 전방측 측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편(116)을 각각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130)와 상기 조임 너트(145)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와셔(1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130)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 와셔(146)가 안착되는 함몰부(1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0.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자 삽입부(211)와, 상기 단자 삽입부(211)의 양단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212)와, 상기 연장부(212)의 후단측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돌출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경사진 가이드부(215)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210)와;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250) 및 조임용 고정볼트(240)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21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210)의 연장부(212)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가 삽입되는 삽입공(221) 양측에 레일 홈(222)이 형성된 언더 바디(220)와;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215)의 전방 상측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곡면 형상의 선단부(233)가 상기 메인 바디(210)의 단자 삽입부(211)와 함께 조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바디(2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210)의 연장부(212)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가 삽입 되는 삽입공(231) 양측에 레일 홈(232)이 형성된 어퍼 바디(230)와;
    상기 어퍼 바디(230)의 상측에서 상기 조임용 고정볼트(240)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 바디(230)가 전진되도록 하는 조임 너트(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1. 10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바디(220)는, 상기 레일 홈(222) 외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225)를 더 포함하고, 조임용 고정볼트 고정부(223)의 측부에 연결볼트 고정부(224)가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230)는, 상기 레일 홈(232) 외측 선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235)를 더 포함하고, 그 후단부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부(233)와의 사이에 상기 조임 너트(245)가 안착되는 안착부(23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10)는, 상기 단자 삽입부(211)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언더 바디(220)의 삽입돌기(225)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213)와, 상기 단자 삽입부(21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어퍼 바디(230)의 삽입돌기(235)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2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10)의 가이드부(215)는 상기 연장부(212)의 후단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10)와 언더 바디(220) 및 어퍼 바디(230)는 각각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20070019678U 2007-12-07 2007-12-07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47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678U KR200447558Y1 (ko) 2007-12-07 2007-12-07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678U KR200447558Y1 (ko) 2007-12-07 2007-12-07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07U true KR20090005707U (ko) 2009-06-11
KR200447558Y1 KR200447558Y1 (ko) 2010-02-03

Family

ID=4128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678U KR200447558Y1 (ko) 2007-12-07 2007-12-07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35B1 (ko) * 2014-03-10 2015-07-03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21B1 (ko) 2017-04-18 2017-11-06 태성전장주식회사 배터리 단자 결합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027Y2 (ja) 1992-06-17 1999-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3084192B2 (ja) * 1994-10-26 2000-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端子
JPH1154185A (ja) 1997-08-04 1999-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35B1 (ko) * 2014-03-10 2015-07-03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558Y1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570B2 (en) Wiring structure for head rest
JP5482622B2 (ja) ケーブル用固定金具
JP2011097707A (ja) スタッドボルト組立体及びスタッドボルト組立体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4733007B2 (ja) 蓄電池用接続端子
KR20044276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KR200447558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US11108299B2 (en) Fixture, fixing assembly, and fixation method for fixing power line to base member
JP2018200777A (ja) 端子モジュール
JP2002184387A (ja) 上締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4657980B2 (ja) 端子台及び通電部材の支持構造
KR101840462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769849B1 (ko)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CN107431285A (zh) 带有外部的电气构件的接线盒
CN202991735U (zh) 用于汽车内饰件的连接装置及汽车
KR100230937B1 (ko) 연장 지지판을 가지고 있는 가동 커넥터
KR200466124Y1 (ko) 다용도 결합형 클립
WO2020105537A1 (ja) 端子台および電線配索ユニット
JP6645315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インバータ装置の製造方法
KR101769850B1 (ko)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325360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200296519Y1 (ko) 스탭 콘넥터
KR200421257Y1 (ko) 자동차용 조인트박스의 충전단자구조
KR101159732B1 (ko) 이동형 끝단 지그 어셈블리
JP2012131271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