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232A -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232A
KR20090005232A KR1020087029417A KR20087029417A KR20090005232A KR 20090005232 A KR20090005232 A KR 20090005232A KR 1020087029417 A KR1020087029417 A KR 1020087029417A KR 20087029417 A KR20087029417 A KR 20087029417A KR 20090005232 A KR20090005232 A KR 2009000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er
fuel
functional unit
fuel cel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426B1 (ko
Inventor
마티아스 볼체
미첼 로츄멕
슈테판 캐딩
안드레아스 린데르마이어
노르베르트 귄터
제레미 라우렌체
안드레아스 라이네르트
마르코 뮐너
슈테판 카
Original Assignee
에너다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다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너다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0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0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 B01J8/042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through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 B01J8/043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through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the beds being place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0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 B01J8/042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through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 B01J8/044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through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the beds being placed in separate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oxygen or mixtures containing oxygen as gasif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18Construction aspects
    • B01J2219/0002Plants assembled from modules joined tog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76Mixing of different feed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4Details of the flowsheet
    • C01B2203/148Details of the flowsheet involving a recycle stream to the feed of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질연료(reformate) 생성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로서, 연료 처리를 위한 복수 개의 기능 유닛(28, 30)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28, 30)은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것인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28, 30) 대신에 대체용 기능 유닛을 연결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32)를 이용하여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28, 30)을 모듈로서 분리 가능하도록 개질기(14)에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대체용 기능 유닛은 제1 유형의 연료와 상이한 제2 유형의 연료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질기용 기능 유닛, 상기 개질기(12)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10), 및 이러한 연료 전지 시스템(10)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REFORMER FOR A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개질연료(reformate) 생성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로서, 연료 처리를 위한 복수 개의 기능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은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것인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질기용 기능 유닛, 상기 개질기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러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방법 및 방식으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은 정상 사용 중에 연료를 취급할 수 있어야만 한다. 수소와 산소가 연료 전지 내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 스택의 애노드에 공급되는 가스에 수소가 농후하게 되도록 사용되는 연료를 조절해야만 한다. 캐소드 단부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연료 전지 스택에 공기 산소가 공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료 및 산화제,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개질기에 주입된다. 연료는 이때 개질기에서, 바람직하게는 부분 산화법에 의해 산소와 반응하게 된다. 통상적인 구조의 개질기는, 예컨대 독일 특허 제DE 101 20 375 A1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개질연료는 이후에 연료 전지 또는 연료 전지 스택에 공 급되며, 개질연료의 성분으로서의 수소와 산소의 제어된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방출된다.
사용되는 연료의 유형과 상관없이, 항상 개질연료의 가능한 높은 비율의 수소가 이후에 연료 전지 스택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개질기는 이러한 특정 연료에 적합한 것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의 생산자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대한 광범위한 선택권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때 각각의 연료 전지 시스템은 관련된 특정 연료에 특히 적합해야 하므로, 이에 따라 막대한 개발 비용 및 생산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제 비교적 비용 효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연료에 적합하게 될 수 있는 개질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로운 양태 및 추가적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기는,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 대신에 대체용 기능 유닛을 연결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을 분리 가능한 모듈로서 분리 가능하게 개질기에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 기초하며, 상기 대체용 기능 유닛은 제1 유형의 연료와 상이한 제2 유형의 연료에 적합하다. 이제 이러한 구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연료로 작동되는 개질기의 두드러진 기능 유닛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매우 비용 효과적이고 간단한 방식 및 수단으로 상이한 유형의 연료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대해 개질기가 적합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제 단순히 개질기의 기능 유닛을 교체함으로써 완전한 연료 전지 시스템이 또 다른 유형의 연료에 최적으로 적합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기능 유닛은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하고 대체용 기능 유닛은 가스 혼합기일 때 동일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따라 가스 혼합기가 기화기인 경우에 이러한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기능 유닛이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하고 대체용 기능 유닛이 반응 유닛일 때 전술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따라 반응 유닛이 개질기 버너인 경우에 이러한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질기는 인터페이스를 신속 분리형 커넥터(quick-release connector)로 구성함으로써 정교해질 수 있다. 신속 분리형 커넥터를 포함함으로써, 개질기의 모듈 구조 및 기능 유닛의 교체는 개질기의 복잡한 분해를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 편의에 맞도록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가 베이요닛 커넥터(bayonet connector)인 경우에 이러한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전술한 개질기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개질기용 기능 유닛이 본 발명에 따라 마련된다. 이러한 기능 유닛을 이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개질기를 구비한 연료 전기 시스템 및 마찬가지로 전술한 장점을 제공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하, 일례로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료 전지 시스템(10)은 연료 펌프(14)로부터 연료의 공급을 받아들이는 개질기(12)를 포함한다. 관련된 연료의 유형에는 디젤, 가솔린, 바이오가스, 천연 가스, 및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또 다른 유형의 연료가 포함된다. 개질기(12)는 또한, 이 경우에 송풍기(16)에 의해 이송된 공기 및 이 공기에 혼입된 애노드 배기 가스(18)를 포함하는 산화제의 공급을 받아들인다. 애노드 배기 가스(18)는 연료 전지 송풍기(22)가 할당된 연료 전지(20)에 의해 발생되며 개질기(12)에 의해 발생되는 개질연료의 공급을 받아들인다. 관련되는 개질연료는, 연료 전지 송풍기(22)에 의해 이송된 캐소드 공기의 도움을 받아 연료 전지(20)에서 전기 및 열로 변환되는 수소 농후 가스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애노드 배기 가스(18) 중 복귀하지 못하는 부분은 애프터버너 송풍기(26)가 할당된 애프터버너(24)에 공급된다. 애프터버너(24)에서, 고갈된 개질연료는 애프터버너 송풍 기(26)에 의해 이송된 공기에 의해 유해한 배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연료 배기 가스로 변환된다.
개질기(12)는 가스 혼합기(28) 및 반응 유닛(30)을 포함한다. 가스 혼합기(28)에서는, 연료와 산화제, 바람직하게는 공기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연료의 기화와 관련하여 가스 혼합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스 혼합물은 반응 유닛(30)에서 바람직하게는 부분 산화법에 의해 개질연료에 대해 반응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가스 혼합기(28)는 바람직하게는 기화기이고 반응 유닛(30)은 바람직하게는 개질기 버너이다. 반응 유닛(30) 뿐만 아니라 가스 혼합기(28)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베이요닛, 스크류,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와 같은 신속 분리형 커넥터로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32)에 의해 개질기 및 개질기의 나머지 기능 유닛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신속 분리형 커넥터는 꼭 맞는 접촉(positive contact) 또는 헐거운 접촉(non-positive contact)을 위해 기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커넥터이며 바람직하게는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임은 물론이다. 개질기는 이에 따라 필요할 때 사용자 편의에 맞도록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모듈로 세분된다. 개질기 및 이에 따른 완전한 연료 전지 시스템은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특정 유형의 연료에 적합하다.
또 다른 유형의 연료에 대한 변형이 요구되는 경우, 특정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개질기의 기능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상이한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또 다른 기능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연료에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상호 교환이 가능한 기능 유닛의 인 터페이스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상호 교환이 가능한 모든 기능 유닛은 치수 및 연결과 관련하여 개질기 및 또 다른 기능 유닛과 최적으로 호환 가능하다.
기능 유닛들 또는 개질기와의 상호 연결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개질기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기능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립형(stand-alone) 기능 유닛의 인터페이스는 개질기의 입력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자립형 기능 유닛의 또 다른 인터페이스는 후속하는 기능 유닛에 연결되며, 이후에 마지막 기능 유닛의 인터페이스가 개질기의 출력부를 형성할 때까지 기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하우징 단부에 기능 유닛들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개질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하우징 단부에서의 인터페이스들이 작동 중에 기능 유닛의 상호 연결을 위해 하우징 내부에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자체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1. 개질연료 생성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10)용 개질기(12)로서, 연료 처리를 위한 복수 개의 기능 유닛(28, 30)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28, 30)은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것인 개질기에 있어서,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28, 30) 대신에 대체용 기능 유닛을 개질기(12)에 연결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32)를 이용하여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28, 30)을 모듈로서 개질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28, 30) 및 대체용 기능 유닛은 가스 혼합기(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혼합기(28)는 기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연료에 적합한 기능 유닛 및 대체용 기능 유닛은 반응 유닛(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유닛(30)은 개질기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유닛(30)은 개질기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32)는 베이요닛 커넥터(bayonet conne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기.
  8. 제1항에 따른 개질기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하는 개질기(12)용 기능 유닛.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질기(12)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10).
  10. 제9항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087029417A 2006-06-29 2007-06-12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KR101009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9917A DE102006029917A1 (de) 2006-06-29 2006-06-29 Reform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DE102006029917.5 200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32A true KR20090005232A (ko) 2009-01-12
KR101009426B1 KR101009426B1 (ko) 2011-01-19

Family

ID=3847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417A KR101009426B1 (ko) 2006-06-29 2007-06-12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90239110A1 (ko)
EP (1) EP2032249B1 (ko)
JP (1) JP2009541951A (ko)
KR (1) KR101009426B1 (ko)
CN (1) CN101479033A (ko)
AT (1) ATE444805T1 (ko)
AU (1) AU2007264245B2 (ko)
BR (1) BRPI0712859A2 (ko)
CA (1) CA2653441A1 (ko)
DE (2) DE102006029917A1 (ko)
DK (1) DK2032249T3 (ko)
EA (1) EA200870485A1 (ko)
ES (1) ES2333485T3 (ko)
PL (1) PL2032249T3 (ko)
WO (1) WO2008000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0693B2 (en) 2006-01-23 2015-11-17 Bloom Energy Corporation Modular fuel cell system
US8852820B2 (en) 2007-08-15 2014-10-07 Bloom Energy Corporation Fuel cell stack module shell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
US8535836B2 (en) * 2009-07-08 2013-09-17 Bloom Energy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with bypass ports in a fuel processing assembly
JP2017503174A (ja) 2014-01-06 2017-01-26 ブルーム エネルギー コーポレイション 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望ましくない成分を示すための構造および方法
JP2015072930A (ja) * 2015-01-19 2015-04-16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10320017B2 (en) 2015-10-06 2019-06-11 Bloom Energy Corporation Sorbent bed assembly and fuel cell system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1919A1 (en) * 2001-03-15 2002-09-19 Debellis Crispin L. Modular fuel processing system for plate reforming type units
JP4994571B2 (ja) * 2001-12-07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電気機器
EP1618065A2 (en) * 2003-04-15 2006-01-25 Nuvera Fuel Cells, Inc. Modular fuel reformer with removable carrier
US20040265656A1 (en) * 2003-06-30 2004-12-30 Nokia Corporatio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fuel cell
US7740973B2 (en) * 2004-08-05 2010-06-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electrochemical power system
US7811341B2 (en) * 2005-12-28 2010-10-12 Casio Computer Co., Ltd. Reaction device, heat-insulating container, fuel cel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032249T3 (pl) 2010-04-30
EP2032249B1 (de) 2009-10-07
DE102006029917A1 (de) 2008-01-03
JP2009541951A (ja) 2009-11-26
ATE444805T1 (de) 2009-10-15
AU2007264245B2 (en) 2010-03-25
KR101009426B1 (ko) 2011-01-19
ES2333485T3 (es) 2010-02-22
DE502007001698D1 (ko) 2009-11-19
WO2008000216A1 (de) 2008-01-03
CN101479033A (zh) 2009-07-08
AU2007264245A1 (en) 2008-01-03
EA200870485A1 (ru) 2009-04-28
CA2653441A1 (en) 2008-01-03
DK2032249T3 (da) 2010-01-18
EP2032249A1 (de) 2009-03-11
US20090239110A1 (en) 2009-09-24
BRPI0712859A2 (pt)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42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FI90967B (fi) Menetelmä ammoniakin valmistamiseksi
CN1533620A (zh) 燃料电池发电设备用水蒸汽传递装置
US6759154B2 (en) Water recovery for a fuel cell system
KR102230130B1 (ko) 공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전해 방법
US20090047557A1 (en) Anode exhaust recycle system
KR101892311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시스템과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CN108431047B (zh) 使用rep利用部分氧化生成氢气和一氧化碳
US20080213636A1 (en) Reformer,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EP1758192A3 (en) Fuel cell system
EP1498974A3 (en)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heated reforming unit
KR102583704B1 (ko) Rep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사용한 수소 생성
US200402534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hydrogen to a fuel cell, and the use thereof for electric vehicle traction
KR20110037316A (ko) 탄소 수증기 개질장치를 포함한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
US20110311892A1 (en) Fuel cell system with reformer and reheater
WO2023190737A1 (ja) 燃料電池装置、及び燃料電池装置の運転方法
JP2003109638A (ja) Sofc燃料リサイクルシステム
CA2540144A1 (en) Solid oxide fuel cell-based auxiliary power unit
US20100316927A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a fuel cell or a fuel cell stack
JPH0633358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16657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