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750A -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750A
KR20090004750A KR1020080064881A KR20080064881A KR20090004750A KR 20090004750 A KR20090004750 A KR 20090004750A KR 1020080064881 A KR1020080064881 A KR 1020080064881A KR 20080064881 A KR20080064881 A KR 20080064881A KR 20090004750 A KR20090004750 A KR 20090004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kiln
driver
upper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모리시마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8Shuttles with bobbin casings held by removable ca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재봉바늘과 뾰족부가 이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늘땀이 튀거나, 윗실 루프가 절단되거나 혹은 일부가 갈라져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봉실(13)에 의해 윗실 루프(13a)를 형성하는 재봉바늘(12)과, 회동동작에 의해 윗실 루프(13a)를 포착하는 뾰족부(3c)를 구비한 속가마(3)와, 회동동작에 의해 속가마(3)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드라이버(5)를 가지며, 드라이버(5)는, 재봉바늘(12)에 있어서의 뾰족부(3c)에 대향하는 후면을 지지하는 바늘 후측 받이부(5e)와, 재봉바늘(12)의 전면(前面)을 지지하는 바늘 전측 받이부(5f)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HALF ROTATION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속가마(中釜)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를 구비한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바늘에 의해 형성된 재봉실의 윗실 루프를, 회동하는 속가마의 뾰족부(劍先)에 의해 포착하여 밑실과 교착시킴으로써 봉제를 행하는 반회전(半回轉) 가마를 구비한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반회전 가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된 대략 보울(bowl) 형상의 큰 가마(19)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 보빈 케이스를 유지시키는 속가마(17)를 회전가능하게 유지시키며,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요동회전하는 하부축(20)에 연결된 드라이버(18)가 반회전 요동한다. 그리고, 드라이버(18)가 반회전 요동함으로써, 드라이버(18)의 양 자유단부(18A, 18B)가 속가마(17)를 눌러 속가마(17)에 반회전 요동을 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22)이 하사점으로부터 상 승할 때 형성되는 윗실(23)의 윗실 루프(23a)를, 속가마(17)가 정방향으로 요동할 때 속가마(17)의 뾰족부(17a)에 의해 포착하고, 속가마(3)가 더 회동(回動)함으로써, 윗실 루프(23a)를 속가마(17)에 수납된 보빈 케이스로 빠져나가게 한다. 이에 따라, 재봉기는, 보빈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밑실(도시 생략)을 윗실 루프(23a)에 교착시켜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봉기에서는, 재봉 바늘(22)이 하사점에 도달한 후에 상승할 때, 재봉바늘(22)이 진동하거나 구부러짐에 의해, 재봉바늘(22)의 선단 위치가 가마 본체측(뾰족부 통과측)으로 어긋나면, 재봉바늘(22)의 선단 부근과 속가마(17)의 뾰족부(17a)가 접근하기 때문에, 뾰족부(17a)에 의해 윗실 루프(23a)를 확실하게 포착할 수 없어 바늘땀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혹은, 뾰족부(17a)가 재봉바늘(22)의 뾰족부와 걸림결합하여 뾰족부를 망가뜨리거나, 재봉바늘을 부러뜨리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18)의 일단부(18A)에는, 재봉바늘(22)의 하강 시에 재봉바늘(22)의 가마 본체측(뾰족부측)의 측면에 걸림결합하여 바늘의 틀어짐(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받이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부(18a)에 의해 재봉바늘(22)의 선단이 뾰족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2-52276호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재봉바늘(22)의 가마 본체의 반대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하는 천(25)에 단차가 있는 경우나 천(25)의 짜임방향에 따라서는, 재봉바늘(22)의 선단이 가마 본체와 반대되는 측으로 틀어짐(구부러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 속가마(17)의 뾰족부(17a)에 의해 재봉바늘(22)에 의해 형성된 윗실 루프(23a)를 포착할 때, 재봉바늘(22)과 뾰족부(17a)가 이격되어 버리므로, 뾰족부(17a)에 의해 윗실 루프(23a)를 포착할 수가 없어 바늘땀이 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혹은 뾰족부(17a)가 윗실 루프(23a)를 찔러 윗실 루프(23a)를 절단하거나 일부가 갈라져나오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드라이버에 의한 재봉바늘의 양측으로의 틀어짐이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바늘땀이 튀거나, 윗실 루프가 절단되거나 또는 일부가 갈라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은, 재봉실에 의해 윗실 루프를 형성하는 재봉바늘과,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뾰족부를 구비한 속가마와,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속가마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드라이버를 가지는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로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재봉바늘에 있어서의 상기 뾰족부 통과측의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1 받이부(5e)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기 제 1 측면과 반대되는 측인 제 2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받이부(5f)를 회전방향의 일단부(5Ba)에 형성한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재봉바늘이 하사점에 위치하는 때부터 뾰족부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위치를 넘어갈 때까지, 재봉바늘의 제 1 측면(후면)이 제 1 받이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제 2 측면(전면)이 제 2 받이부에 걸림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바늘의 후방으로의 이동뿐만 아니라 전방으로의 이동도 규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윗실 루프의 형성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특징은, 상기 제 1 받이부와 제 2 받이부 사이의 틈새의 폭이, 상기 제 1 받이부와 제 2 받이부의 선단측을 향해 점차로 좁아져 있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의 직경 사이즈의 변화에 맞추어 상기 제 1 받이부와 제 2 받이부 사이의 틈새의 폭이 변화하므로, 재봉바늘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하여, 윗실 루프의 형성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에 의하면, 속가마의 뾰족부에 의해 윗실 루프를 포착할 때의 재봉바늘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윗실 루프의 형성위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뾰족부에 의해 확실하게 윗실 루프를 포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뾰족부에 의해 윗실 루프를 포착하지 못하여 바늘땀이 튀거나, 뾰족부가 윗실 루프를 찔러 윗실 루프의 절단이나 일부 갈라짐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봉기에 있어서의 조작자가 조작하는 쪽을 전측이라 하고, 반대되는 쪽을 후측이라 하며, 윗실에 밑실을 교착시키는 가마기구로서 속가마가 소정의 각도로 왕복방향으로 회동(왕복하여 반회전)하는 반회전 가마가 이용되고 있는 재봉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2)는, 종래와 같은 보빈 케이스(도시 생략)를 유지시키는 속가마(3)와, 속가마(3)를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대략 보울 형상의 큰 가마(6)를 구비하고 있다.
속가마(3)를 왕복이동가능하게 회동시키는 드라이버(5)와, 큰 가마(6)는, 재봉기의 베드부에 있어서의 바늘판(도시 생략) 하방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재봉기 주축(도시 생략)과 동기하여 요동하는 가마 축(7)이 회전가능하게 큰 가마(6)의 저부(6a)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큰 가마(6)의 상면에는, 바늘 낙하 위치에 관통구멍(9a)이 형성된 대략 평판형상의 실 제어판(9)이 고정되어 있다. 실 제어판(9)은, 재봉바늘(12)의 상승에 따라 큰 가마(6)의 외부로 끌어올려지는 윗실 루프(13a)를 관통구멍(9a)에 의해 잘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큰 가마(6)의 내부에는, 속가마 누르개(도시 생략)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속가마(3)가 수납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속가마(3)는, 윗실 루프(13a)를 포착하기 위한 뾰족한 형상의 뾰족부(3c)와, 바닥벽(3a)에 보빈 케이스가 탈부착되는 보빈 축(3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5)는, 가마 축(7)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5A)와, 큰 가마(6)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절반의 내주면을 따르는 만곡된 형상의 둘레벽(5b) 및 둘레벽(5b)과 고정부(5A)를 연결하는 연결부(5c)를 가지는 드라이버부(5B)를 구비하며, 고정부(5A)와 드라이버부(5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5)는, 큰 가마(6)의 내부에서 가마 축(7)의 회동에 종동하여, 재봉바늘(12)이 상승할 때 소정의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200°정도)만큼 가는 방향(往方向)으로 회동(도 2에서 화살표 A방향)하고, 재봉바늘(12)이 하강할 때 소정의 각도만큼 오는 방향(復方向)으로 회동(도 2에서 화살표 B방향)하여, 왕복이동 가능하게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부(5B)의 양단부(5Ba, 5Bb)는, 각각 속가마(3)의 둘레벽(3b)의 둘레방향 양단부(3ba, 3bb)에 접촉가능하게 대향되어 있으며, 드라이버(5)는, 상기 양단부(5Ba, 5Bb)에 의해 속가마(3)를 가압함으로써, 큰 가마(6) 내부에서 속가마(3)를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부(5B)의 둘레벽(5b)에 있어서의 오는 방향의 회동방향의 선단부(5Ba)에는, 하강하여 속가마(3) 내부에 위치하는 재봉바늘(12) 중 뾰족부(3c)가 통과하는 측(가마 본체측, 뾰족부 통과측)의 후면(제 1 측면)에 대향하는 바늘 후측 받이부(제 1 받이부; 5e)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바늘 후측 받이부(5e)에 의해 재봉바늘(12)의 후측(가마 본체측, 뾰족부 통과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부(5B)의 선단부(5Ba)에는, 상기 재봉바늘(12)의 상기 후측면 과 반대되는 측의 전면(제 2 측면)에 대향하는 바늘 전측 받이부(제 2 받이부; 5f)가 바늘 후측 받이부(5e)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 전측 받이부(5f)에 의해 재봉바늘(12)의 전측(가마 본체와 반대되는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버(5)는, 오는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바늘 후측 받이부(5e)의 선단에 의해, 속가마(3)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5)에 있어서의 바늘 전측 받이부(5f)와 바늘 후측 받이부(5e) 사이의 틈새는, 하강한 재봉바늘(12)이 속가마(3) 내부로 진입할 때의 재봉바늘(12)의 통과로(5g)를 형성한다. 그리고, 바늘 전측 받이부(5f) 및 바늘 후측 받이부(5e)는, 드라이버(5)가 속가마(3)와 함께 큰 가마(6)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바늘 전측 받이부(5f) 및 바늘 후측 받이부(5e)의 각 선단부분이 속가마(3)의 뾰족부(3c)의 선단부와 회동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 전측 받이부(5f) 및 바늘 후측 받이부(5e)는, 통과로(5g) 내에 위치할 때의 재봉바늘(12)의 직경 사이즈에 맞추어, 상기 통과로(5g)의 폭 사이즈가, 재봉바늘(12)의 상승에 따라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통과로(5g)의 안쪽에서는,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12)의 굵은 부분이 통과하므로 통과로(5g)의 폭 사이즈가 넓어지고, 선단부 부근에서 재봉바늘(12)의 가느다란 부분이 통과하므로 통과로(5g)의 안쪽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점차 통과로(5g)의 폭 사이즈가 좁아지도록, 바늘 전측 받이부(5f)의 내측 가장자리가, 바늘 후측 받이부(5e)의 내측 가장자리에 대해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에 있어서, 재봉실(13)이 삽입통과된 재봉바늘(12)이, 실 제어판(9)의 관통구멍(9a) 및 드라이버(5)에 있어서의 바늘 전측 받이부(5f)와 바늘 후측 받이부(5e) 사이의 틈새의 통과로(5g)를 통해 속가마(3)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강되어 있다. 이어서, 재봉기는, 재봉바늘(12)이 하사점에 도달한 후 상승할 때 재봉바늘(12)의 후측에 윗실 루프(13a)가 형성되면, 가마 축(7)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드라이버(5)가 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드라이버(5)의 단부(5Bb)에 의해 속가마(3)를 가압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속가마(3)의 뾰족부(3c)에 의해 윗실 루프(13a)를 포착한다.
여기서, 재봉바늘(12)은, 하사점에 위치할 때, 드라이버(5)의 바늘 전측 받이부(5f)와 바늘 후측 받이부(5e) 사이의 틈새에 형성된 통과로(5g)의 가장 안쪽이면서 통과로(5g)의 폭 사이즈가 가장 넓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재봉바늘(12)이 상승해 있을 때 드라이버(5)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재봉바늘(12)은 점차로 가늘어지는 드라이버(5)의 통과로(5g)를 통과한다. 그리고, 재봉바늘(12)은, 뾰족부(3c)가 윗실 루프(13a)를 포착하는 위치를 넘을 때까지 드라이버(5)의 통과로(5g)를 통과함으로써, 재봉바늘(12)의 전면(前面)이 드라이버(5)의 바늘 전측 받이부(5f)에 지지되는 동시에 후면이 바늘 후측 받이부(5e)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이어서, 재봉기는, 속가마(3)의 뾰족부(3c)에 의해 윗실 루프(13a)를 포착한 후, 속가마(3)를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의 각도까지 회동시키면, 재봉바늘(12)의 상승에 의해 윗실 루프(13a)가 상측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상기 윗실 루프(13a)를 속가마(3)에 수납된 보빈 케이스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봉기는, 보빈 케이스로부터 바늘구멍(12a)을 통해 바늘 낙하 위치에 공급되는 밑실을 윗실 루프(13a)에 교착시켜 봉제를 한다.
이후, 재봉바늘(12)을 하강시키면서, 가마 축(7)의 타방향으로의 회동에 종동하여 드라이버(5)를 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드라이버(5)의 단부(5Ba)에 의해 속가마(3)를 가압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속가마(3)의 뾰족부(3c)를 화살표 A의 가는 방향에 있어서의 윗실 루프(13a)의 형성위치보다도 상류측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재봉바늘(12)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부터 뾰족부(3c)가 윗실 루프(13a)를 포착하는 위치를 초과하기 까지, 재봉바늘(12)의 전면이 바늘 전측 받이부(5f)에 지지되는 동시에 후면이 바늘 후측 받이부(5e)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재봉바늘(12)의 후방으로의 이동뿐만 아니라 전방으로의 이동도 규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윗실 루프(13a)의 형성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속가마(3)의 뾰족부(3c)에 의해 윗실 루프(13a)를 포착할 때의 재봉 바늘(12)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윗실 루프(13a)의 형성위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뾰족부(3c)에 의해 확실하게 윗실 루프(13a)를 포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뾰족부(3c)에 의해 윗실 루프(13a)를 포착하지 못하여 바늘땀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재봉바늘과 뾰족부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뾰족부(3c)가 윗실 루프(13a)를 찔러 윗실 루프(13a)를 절단하거나 일부가 갈라져나오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바늘 전측 받이부(5f) 및 바늘 후측 받이부(5e)의 틈새 사이즈를, 재봉바늘(12)이 바늘 전측 받이부(5f)와 바늘 후측 받이부(5e) 사이의 틈새에 형성된 통과로(5g)에 위치할 때의 재봉바늘(12)의 직경 사이즈에 맞추어, 재봉바늘(12)의 상승에 따라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재봉바늘(12)의 전면과 후면을 바늘 전측 받이부(5f)와 바늘 후측 받이부(5e)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봉바늘(12)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하여, 실 루프의 형성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버(5)는, 고정부(5A) 및 드라이버부(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부(5B)에 형성된 바늘 전측 받이부(5f) 및 바늘 후측 받이부(5e)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례로서,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한 바늘 전측 받이부(5f)나 바늘 후측 받이부(5e)를 드라이버부(5B)에 부착시켜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가마에 대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마에 구비된 드라이버를 전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한 경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마에 구비된 드라이버를 후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한 경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드라이버의 상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한 경우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재봉기의 가마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재봉기에 있어서의 재봉바늘과 재봉실에 형성된 윗실 루프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속가마의 뾰족부 간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봉기 2 : 반회전 가마
3 : 속가마 3c : 뾰족부
5 : 드라이버 5A : 고정부
5b : 둘레벽 5c : 연결부
5B : 드라이버 본체 5e : 바늘 후측 받이부
5f : 바늘 전측 받이부 5g : 통과로
6 : 큰 가마 7 : 가마 축
9 : 실 제어판 12 : 재봉바늘
13 : 재봉실 13a : 윗실 루프

Claims (2)

  1. 재봉실에 의해 윗실 루프를 형성하는 재봉바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뾰족부를 구비한 속가마, 및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속가마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드라이버를 가지는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로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재봉바늘에 있어서의 상기 뾰족부 통과측의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1 받이부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기 제 1 측면과 반대되는 측인 제 2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받이부를 회전방향의 일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이부와 상기 제 2 받이부 사이의 틈새의 폭은, 상기 제 1 받이부와 상기 제 2 받이부의 선단측을 향해 점차로 좁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KR1020080064881A 2007-07-05 2008-07-04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KR20090004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7324A JP2009011595A (ja) 2007-07-05 2007-07-05 ミシン
JPJP-P-2007-00177324 2007-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50A true KR20090004750A (ko) 2009-01-12

Family

ID=4021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881A KR20090004750A (ko) 2007-07-05 2008-07-04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11595A (ko)
KR (1) KR20090004750A (ko)
CN (1) CN1013384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0894A (zh) * 2014-09-10 2014-12-31 常熟市古里镇淼泉利达机械厂 一种缝纫机勾线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8714B (zh) * 2011-07-22 2016-01-13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半旋转釜及缝纫机
CN107858792A (zh) * 2017-12-10 2018-03-30 绍兴信和皮塑工艺制品有限公司 一种缝纫机底线供给装置和缝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1752A (en) * 1976-05-20 1977-11-26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Rocking unit pattern for sewing machine
JPH10305184A (ja) * 1997-05-09 1998-11-17 Brother Ind Ltd 垂直全回転か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0894A (zh) * 2014-09-10 2014-12-31 常熟市古里镇淼泉利达机械厂 一种缝纫机勾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8495A (zh) 2009-01-07
CN101338495B (zh) 2013-04-24
JP2009011595A (ja)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1062B (zh) 縫紉機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JP2003038879A (ja) 多本針二重環縫いミシンの針糸制御装置
KR20090004750A (ko) 재봉기의 반회전 가마 장치
JP2009061020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5547930B2 (ja) 複数針偏平縫いミシンおよび飾り縫目
US3253560A (en) Chain stitch devices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US4357887A (en) Loop catching device for lock stitching sewing machines
JP2003326059A (ja) 針送りミシン
US6401640B2 (en) Sewing machine with loop retainer
CN106087292B (zh) 缝纫机
JP5089120B2 (ja) ミシンの全回転釜
JP5089122B2 (ja) ミシンの全回転釜
JP2010035990A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体
JP3866970B2 (ja) 布端裁断装置付本縫ミシン
US437083A (en) Walter e
JP5481624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5314980B2 (ja) 単環縫いミシンのルーパー装置
JPH0793996B2 (ja) 八方送りミシンのヒツチステツチ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JP4615235B2 (ja) 環縫いミシンのスリット付きルーパ及びスリット付きルーパを備えたミシン
US630099A (en) Hemstitch sewing-machine.
JP5014748B2 (ja) 多本針ミシン
US762559A (en) Rotating hook for sewing-machines.
US220964A (en) Improvement in overseaming attachments for sewing-machines
WO2012053338A1 (ja) かがり縫いにおけるミシンの糸たるみ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