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56U -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56U
KR20090004456U KR2020070018129U KR20070018129U KR20090004456U KR 20090004456 U KR20090004456 U KR 20090004456U KR 2020070018129 U KR2020070018129 U KR 2020070018129U KR 20070018129 U KR20070018129 U KR 20070018129U KR 20090004456 U KR20090004456 U KR 200900044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wall
insertion space
blocking mem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도
Original Assignee
정낙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도 filed Critical 정낙도
Priority to KR2020070018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456U/ko
Publication of KR20090004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관을 외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띄우도록 앵커볼트로 고정된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1
" 형상의 브래킷에 U볼트로서 고정한 것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서 압출 성형하되 중앙에 가스관의 둘레면이 1/3∼1/2 정도 삽입되어 접하도록 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의 양측 말단으로부터 역으로 연장되면서 선단이 삽입공간부보다 넓게 벌어져 경사를 이루는 측벽을 갖는 대략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2
' 형상을 이루는 차단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삽입공간부는 가스관에 접촉되고 측벽의 선단은 외벽에 접촉되어 이격공간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단부재가 단일 또는 결합 형상의 간단한 구성이면서 자체의 탄성력 또는 스프링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가스관과 외벽 사이의 이격공간에 설치가능함으로써 외벽에 설치된 가스관을 타고 건물 내로 침입할 수 없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편리함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가스관, 차단부재, 탄성, 스프링, 체결볼트

Description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a crime prevention device for gas-pipe}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과 가스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침입자가 가스관을 파지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도난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혹은 단독 주택의 외벽에는 가스관이 설치되고, 설치된 가스관은 각 가정, 사무실, 업소 등으로 분배되어 난방 및 취사를 위한 가스(GAS)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스관은 외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띄우도록 앵커볼트로 고정된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3
" 형상의 브래킷에 U볼트와 너트로서 고정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관 설치구조는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가스관을 손으로 감싸면서 움켜잡을 수 있으므로 절도범들이 가스관을 이용하여 벽을 타고 올라가 매우 쉽게 침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안 공고번호 제20-0175032호 "가스관의 벽간격 차단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가스관의 벽간격 차단 장치는 가스관을 U볼트와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4
" 형상의 브래킷으로 외벽과 공간부가 되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서 공간부에 대응하는 높이로서 볼트구멍을 횡설한 한 쌍의 삼각차단대를 가스관을 중심으로 좌우에 설치하여 볼트구멍을 통해 끼워넣은 볼트와 너트로서 고정하되 볼트의 두부와 너트를 삼각차단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내홈에 안치되게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가스관의 벽간격 차단장치는 가스관과 외벽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부를 폐쇄하여 손으로 잡을 만한 공간을 제공할 수 없으며 볼트 및 너트 등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매끈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삼각차단대의 내홈에 천공되는 볼트구멍이 한 개당 2이므로 한 조를 이루는 삼각차단대에 천공된 4개의 볼트구멍으로 볼트와 너트가 내홈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위한 볼트의 한정된 짧은 길이로는 볼트구멍으로 관통시키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너트의 체결 역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외벽에 설치되는 U볼트 및 브래킷의 위치가 현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어 삼각차단대의 절단 길이는 항상 변화가 이루어지므로 한 조를 이루는 삼각차단대를 각각 절단한 후 볼트구멍을 일치시키는 것 역시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분리된 2개의 삼각차단대를 조립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금형 제작비 및 생산비의 과다로 설치비용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 또는 결합 형상의 간단한 구성이면서 자체의 탄성력 또는 탄성체 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설치가능함으로써 외벽에 설치된 가스관을 타고 건물 내로 침입할 수 없도록 한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스관을 외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띄우도록 앵커볼트로 고정된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5
" 형상의 브래킷에 U볼트로서 고정한 것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서 압출 성형하되 중앙에 가스관의 둘레면이 1/3∼1/2 정도 삽입되어 접하도록 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의 양측 말단으로부터 역으로 연장되면서 선단이 삽입공간부보다 넓게 벌어져 경사를 이루는 측벽을 갖는 대략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6
' 형상을 이루는 차단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삽입공간부는 가스관에 접촉되고 측벽의 선단은 외벽에 접촉되어 이격공간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구성과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수단의 결합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결합수단 그리고 장착의 편리성을 위한 회전수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단부재가 단일 또는 결합 형상의 간단한 구성이면서 자체의 탄성력 또는 스프링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가스관과 외벽 사이의 이격공간에 설치가능함으로써 외벽에 설치된 가스관을 타고 건물 내로 침입할 수 없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편리함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 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부호 1은 차단부재, 2는 삽입공간부, 3은 측벽, 31은 선단, 7은 앵커볼트, 8은 브래킷 9는 U볼트, 10은 가스관, 11은 외벽, 12는 이격공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가스관(10)은 외벽(11)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띄우도록 앵커볼트(7)로 고정된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7
" 형상의 브래킷(8)에 U볼트(9)로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가스관(10)과 외벽(11) 사이에는 이격공간(12)이 생겨 손으로 가스관(10)을 감싸서 잡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재(1)를 설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차단부재(1)는 합성수지재로서 압출 성형하되 도 1에서와 같이 가스관(10)을 고정하고 있는 브래킷(8)과 U볼트(9)의 차기 브래킷(8)과 U볼트(9) 사이의 이격공간에 끼워져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차단부재(1)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스관(10)의 둘레면이 1/3∼1/2 정도 삽입되어 접하도록 중앙에 삽입공간부(2)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삽입공간부(2)의 양측 말단으로부터 역으로 연장되면서 선단(31,31)이 삽입공간부(2)보다 넓게 벌어져 경사를 이루도록 측벽(3,3)이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8
'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1)는 일체로 형성된 삽입공간부(2)를 도 2a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인 자체의 휨 탄성력을 이용하기 위해 가압하게 되면 측벽(3,3)의 선단(31,31)이 벌어지게 되고, 측벽(3,3)의 선단(31,31)이 벌어진 상태에서 밀어 넣은 후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도 2b에서와 같이 삽입공간부(2)가 가스관(10)에 접촉되고 측벽(3,3)의 선단(31,31)은 외벽(11)에 접촉되어 이격공간(12)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측벽(3,3)이 외벽(11)과 직교상태가 아닌 벌어진 경사면을 이루므로 내측으로 좁아짐이 방지되고 삽입공간부(2)가 가스관(10) 걸려있으므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첨부된 도 3a에서와 같이 차단부재(1)의 측벽(3,3) 선단(31,31)에 외벽(11)과 접촉하는 날개(32,32)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측벽(3,3)에 천공한 구멍(34,34)을 이용하여 체결볼트(4) 및 너트(5)로서 결합하여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3b와 같이 측벽(3,3)에 보강용 리브(33,33)를 일체로 형성한 후 천공한 구멍(34,34)을 이용하여 체결볼트(4) 및 너트(5)로서 결합하여 내구성 증대 및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1)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변되면서 끼워진 후 원상태로 복원 및 결합 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3,3) 내측에 홈(35,35)을 형성하고, 상기 홈(35,35)에 끼워지는 고리(61,61)에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6)을 결합하여 스프링(6)의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5a 및 5b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1)의 삽입공간부(2) 말단 외측으로 확장된 곡면부(21,21)를 일체로 확장 형성하여 마련함으로써 2개의 크 고 작은 가스관(10,10')의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에 의한 설치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절기의 경우 차단부재(1)에 힘을 가하여도 탄성 변형되는 정도가 약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6a 및 6b에서와 같이 차단부재(1)의 삽입공간부(2)를 끼움홈(22) 또는 걸림돌기(23)를 각각 갖는 것으로 분할형성하여 장착할 때 회전되어 편리하게 이격공간(12)으로 통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차단부재(1)는 일체로 형성된 단일 또는 회동되도록 결합된 형상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고, 자체의 탄성력 또는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공간(12)으로 편리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게 가스관(10,10')과 외벽(11) 사이의 이격공간(12)을 폐쇄하게 되며, 설치 후에는 분리를 위한 가압 및 벌림 등이 어려워 제거를 통한 침입이 어려우므로 차단부재(1)가 설치된 장소에서는 외벽에 설치된 가스관(10,10')을 타고 건물 내로 침입할 수 없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편리함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도 1의 A-A선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단부재 2: 삽입공간부
3: 측벽 31: 선단
7: 앵커볼트 8: 브래킷
9: U볼트 10: 가스관
11: 외벽외벽2: 이격공간
7b: 제2 배수관 21: 저수홈
22: 배수공 81: 나사결합부
82: 끼움결합부

Claims (5)

  1. 가스관(10)을 외벽(11)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띄우도록 앵커볼트(7)로 고정된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09
    " 형상의 브래킷(8)에 U볼트(9)로서 고정한 것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서 압출 성형하되 중앙에 가스관(10)의 둘레면이 1/3∼1/2 정도 삽입되어 접하도록 삽입공간부(2)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2)의 양측 말단으로부터 역으로 연장되면서 선단(31,31)이 삽입공간부(2)보다 넓게 벌어져 경사를 이루는 측벽(3,3)을 갖는 대략 '
    Figure 112007508979177-UTM00010
    ' 형상을 이루는 차단부재(1)를 일체로 형성하여 삽입공간부(2)가 가스관(10)에 접촉되고 측벽(3,3)의 선단(31,31)은 외벽(11)에 접촉되어 이격공간(12)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의 측벽(3,3) 선단(31,31)에 외벽(11)과 접촉하는 날개(32,32)를 일체로 형성하고, 측벽(3,3)에 직접 또는 보강용 리브(33,33)에 천공한 구멍(34,34)을 이용하여 체결볼트(4) 및 너트(5)로서 결합하여 내구성 증대 및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변되면서 끼워진 후 원상태로 복원되어 결합되거나 측벽(3,3) 내측에 형성된 홈(35,35)에 끼워지는 고리(61,61)에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의 삽입공간부(2)를 크고 작은 2개의 가스관(10,10')에 사용 가능하도록 말단에 확장된 곡면부(21,21)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의 삽입공간부(2)를 끼움홈(22) 또는 걸림돌기(23)를 각각 갖는 것으로 분할형성하여 장착이 편리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KR2020070018129U 2007-11-07 2007-11-07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KR200900044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29U KR20090004456U (ko) 2007-11-07 2007-11-07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29U KR20090004456U (ko) 2007-11-07 2007-11-07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56U true KR20090004456U (ko) 2009-05-12

Family

ID=4129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129U KR20090004456U (ko) 2007-11-07 2007-11-07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4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012B2 (en) Insert for tube retaining bracket
EP1517075A3 (en) Connection device
KR950033224A (ko) 파이프용 커플링
EP2324265A2 (en) C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
US20160003290A1 (en) Adjustable linking arm assembly
EP2707633A1 (en) Pipe clip
JP6019049B2 (ja) タイヤバルブユニット
KR20090004456U (ko) 가스관용 침입 방지장치
EP0851551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affermir le maintien sur une goulotte d'un quelconque accessoire à rapporter par emboítement sur le socle de celle-ci
KR200408477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구조
SE539329C2 (en) Clamp device for a fuel dispenser
KR200368638Y1 (ko) 원터치로 결합되는 방범용 배관커버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JP4509009B2 (ja) オイルフィルタの取付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クリップ
JP6479635B2 (ja) 配線ボックス固定装置、及び配線ボックス固定具
JP4241519B2 (ja) 架空ケーブル用回転式鳥害防止器
WO2003005496A3 (de) Kabelbaumstecker mit lagerelement zur aufnahme einer verriegelungskralle
KR20050120613A (ko) 이탈방지용 일체형 편수 이음관
JP3814338B2 (ja) 差込み型管継手
KR200399658Y1 (ko) 케이블 고정용 브라켓 구조
IE913639A1 (en) Guttering
JP4004424B2 (ja) 型枠とセパレータとの連結具
JP5951735B2 (ja) ケーブル架設用取付金具
JPH087688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US833409A (en) Nut-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