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12U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Google Patents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12U
KR20090004412U KR2020070017923U KR20070017923U KR20090004412U KR 20090004412 U KR20090004412 U KR 20090004412U KR 2020070017923 U KR2020070017923 U KR 2020070017923U KR 20070017923 U KR20070017923 U KR 20070017923U KR 20090004412 U KR20090004412 U KR 20090004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age
groundwater
drai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9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46848Y1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20070017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48Y1/en
Publication of KR20090004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1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40Other devices for confining, e.g. trenches,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건축 구조물의 바닥 하부에서 발생되는 지하수의 적정한 수압을 유지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에 있어서, 지하수가 유입되어 일측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굴토마감면, 바닥면 또는 암반층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배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는 집수정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 공간에는 연직 상방으로 상승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proper water pressure of the groundwater generated from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building structure, in order to allow the groundwater to flow to one side, the gulting finish surface, floor or rock layer and concrete located above A drain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ayers,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being positioned in the sump, and the drainage space is connected to an end of a pressure reducing tube which rises vertically upward to drain the groundwater to the sump. It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지하수가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기준치 이상으로 몰리게 될 때, 차단부재에 의하여 차단된 돌출관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감압관을 거치지 않고, 돌출관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하여, 지하수를 평상시보다 빠르게 배출시키도록 하고,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drainage structure that can control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oundwater is driven to the base and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bove the reference value, by opening the protrusion pipe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the ground water does not go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tube, As soon as it is discharged,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faster than usual, and the upward pressur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is kept constant and controlled.

배수 공간, 감압관, 지하수, 차단부재 Drainage space, pressure reducing pipe, groundwater, blocking member

Description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Drainage structure with upward hydraulic pressure control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본 고안은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바닥콘크리트의 하부에 침투하는 지하수를 굴토마감면, 자갈, 다발관, 유공관, 토목섬유 등으로 형성된 다양한 배수 경로를 통해 적절히 배출시키되, 현장 일측에 설치된 집수정으로 배출시 과도한 지하수 배출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의 자중과 건축물 바닥면에서의 지하수의 작용압력에 의한 힘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배수로를 시공하기 위한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upward hydraulic pressure,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various drainage paths formed by the ground surface infiltrating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concrete, gravel, bundle tube, perforated pipe, geotextile, etc.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caused by excessive groundwater discharge when discharging to the sum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te, the construction is to raise drainage to balance the force caused by the pressure of the groundwater and the working pressure of groundwater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It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hydraulic pressure adjustment.

일반적으로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많은 양의 지하수가 존재하게 되면 건축물은 지하수로 인해 일종의 부력을 전달받아 건축물이 떠오르는 힘을 받으며 파괴되어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반대로,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강제 배수에 의해 많은 양을 급격하게 제거해 버리면 지하수가 존재하던 공간이 갑자 기 비게 되면서 지반이 침하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이 내려앉게 되어 그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exists around and underneath the building, the building receives a buoyancy force due to the groundwater, which causes the building to rise and is destroyed, threatening safety. On the contrary, if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existing around and underneath the building is rapidly removed by forced drainage, the ground where the groundwater existed suddenly becomes empty and the ground sinks, which causes the building to fall and threaten its safety. do.

건물의 기초 바닥에 작용하는 상향수압 처리를 위해서 사하중과 영구(부력)앙카를 통한 공법이 많이 사용되나, 이는 건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과 관련하여 부력앙카의 인장력에 대한 지속적인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한 방법이 기초바닥 아래에 인위적인 집수정과 배수층을 형성하여 부지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가 배수로를 따라 집수정으로 모이면 정기적으로 이를 펌핑하여 배출시킴으로써 기초바닥 콘크리트에 양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초바닥 영구 배수시스템 방법이다. 이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높은 지하수위와 비례하여 작용하는 상향수압 문제를 보다 안정적이고, 영구적으로 해결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Many methods are used through dead weight and permanent (buoyancy) anchors for the up-water pressure treatment on the foundation floor of the building, but this is limited in that the continuous reliability of the buoyancy anchor's tensile force is not guaranteed with respect to the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building. have. An improved method is to form an artificial catchment and drainage layer under the foundation floor so that the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site is collected in the catchment along the drainage path and pumped and discharged regularly so that the foundation floor concrete does not act as a positive pressure. Permanent drainage system method. This has the advantage of more stable and permanently solve the problem of up-water pressure in proportion to the high groundwater lev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굴토마감면(101) 위에 소정 높이를 갖는 배수재(또는 거푸집)(110)를 가로 및/또는 세로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수평되게 연결하여 배치하되 상기 암반층의 굴토마감면(101)과 상기 배수재(110) 사이에 부직포(미도시)를 위치시키면서 일측으로 모여진 배수재(110)의 출구가 상기 집수정(130)과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그 위에 몰탈을 소정 높이로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120)를 형성하는 방식이다.This conventional general drainage system i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a drainage material (or formwork)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horizontally and / or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yster finish surface 101 to be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gulto finish surface of the rock layer. While the non-woven fabric (not shown) is positioned between the 101 and the drain 110, the outlet of the drain 110 gathered to one side is installed to connect with the sump 130 and cast mortar on a predetermined height thereon. The concrete 120 is formed.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집수정(130)을 통해 강제배수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배출관(미도시)과 직접 연결되며 외부의 주배수로(미도시)와 연통되어, 상향 수압에 의해 자연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 방법은 과도한 배출로 인한 지반 침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약간의 상향수압만 발생하더 라도, 멈추지 않고 계속적인 배수가 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과도한 지하수 배수로 인해 지반이 침하되거나 약화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This conventional method is forced to drain through the sump 130, or directly connected to a separate discharge pipe (not shown)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main drain (not shown), so that it can be naturally drained by the upward pressure do. However, this drainage method ha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ground subsidence due to excessive discharge. That is, even if only a slight upward water pressure is generated, since it is a continuous drainage without stopping, in some cases the ground may be settled or weakened due to excessive groundwater drainage.

따라서 건축물의 상향 수압 방지를 위한 지하수 배출을 원활히 하는 동시에 과도한 배출을 방지하여, 설계안정수위, 즉 건축물의 자중과 건축물 하부에서의 지하수의 작용압력에 의한 힘이 균형을 이루는 이론적인 지하수 안정 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를 설계안정수위가 될 때까지 집수하고,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경우에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Therefore, the groundwater discharge is prevented to prevent the upward pressure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excessive discharge is prevented, and the design ground water level, that is, the theoretical groundwater level is a balance between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of the groundwater under the building. In order to be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have a drainage system that collects groundwater that penetrates the bottom of the building until it reaches a design level and discharges only when it exceeds the level.

한편, 폭우나 장마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지하수가 과도하게 몰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평상시보다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을 일정하게 유지, 조절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지하수가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기준치 이상으로 몰리게 될 때, 지하수를 평상시 보다 빠르게 배출시키도록 임의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under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heavy rain or rainy season, groundwater is excessively concentrated around and under the buildings. In this case, the groundwater penetrating into the bottom of the building is discharged more quickly than usual, and the water pressur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must be kept constant and adjusted. Accordingly, when the groundwater is driven above the reference value around the building and the lower portion, it is necessary to arbitrarily adjust to discharge the groundwater faster than usual.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 저면의 지하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지 않도록 하여 지하수에 의해 작용된 부력이 건축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하고, 지하수가 과도하게 강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uoyancy acted by the groundwater to threaten the safety of the building so that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bottom of the building does not exceed the design stability level, and the groundwater It is to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upward hydraulic pressure to prevent excessive forced drainag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하수가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기준치 이상으로 몰리게 될 때, 평상시보다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되도록 한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groundwater penetrating to the bottom of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faster than usual when the groundwater is driven to the base and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maintaining a constant upward water pressur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It is to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to be adjus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하 건축 구조물의 바닥 하부에서 발생되는 지하수의 적정한 수압을 유지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에 있어서, 지하수가 유입되어 일측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굴토마감면, 바닥면 또는 암반층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배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는 집수정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 공간에는 연직 상방으로 상승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structure for maintaining an appropriate water pressure of the groundwater generat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ment building structure, groundwater inflow and flow to one side to the gulto finish surface, floor surface or rock layer and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pipe to form a drainage space between the concrete layer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is located in the sump, and vertically rises in the drainage space to drain the groundwater to the sump. Provides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connected.

또한,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에 돌출관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의 상측에 상기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돌출관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돌출관에 흐르는 지하수를 차단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감압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rotruding tube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the pressure reducing tub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the protruding tube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the blocking member, the protruding member Blocking the ground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to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sump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pipe.

또한,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에 돌출관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의 상측에 상기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의 하측에 드레인관이 연결되고, 상기 돌출관과 상기 드레인관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돌출관과 상기 드레인관에 흐르는 지하수를 차단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감압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rotruding tube extends at an end of the drainage space, an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tube is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a drain pipe is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and the protruding pipe and the A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drain pipe, and the blocking member blocks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protruding pipe and the drain pipe so that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to the sump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pipe.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또한, 상기 감압관은 상기 배수 공간 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연직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상방 연장관을 포함하며, 상기 상방 연장관에 의해 지하수가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ducing pip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space end, and includes an upward extension pipe which is formed so as to rise vertically upward, by the upward extension pip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d groundwater to the sump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또한, 상기 상방 연장관이 다시 하방으로 향하는 하방 연장관과 연결되어, 상기 상방 연장관 내부의 지하수가 상기 하방 연장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pward extens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ownward extension pipe to the downward downward again, the groundwater inside the upward extension pipe provides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downward extension pipe to the sump.

또한, 상기 상방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연결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방 연장관으로 상승되는 지하수가 상기 보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auxiliary connection pipe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xtension pipe, and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ontro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water rising to the upper extension pipe is drained to the sump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on pipe.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또한, 상기 보조 연결관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보조 연결관으로 흐르는 지하수를 차단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상방 연장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조 연결관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보조 연결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and the blocking member blocks the groundwater flowing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so that the groundwater is drained to the sump through the upper extension pipe, or by opening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In addition, the groundwater provides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aining to the sump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또한, 상기 보조 연결관은 그 일측은 상기 상방 연장관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하방 연장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is provided with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up,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xtension pip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extension pipe.

또한, 상기 배수 공간에는 드레인 보드, 드레인 매트, 무공관, 유공관, 다발관, 토목섬유, 버럭, 모래 또는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워진 배수재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The drainage space may include a drain board, a drain mat, a non-pipe, a hollow pipe, a bundle pipe, a geotextile, a bag, a drainage layer filled with at least one of sand, or gravel. To provide.

또한, 상기 배수 공간에는 버럭, 모래 또는 자갈이 채워진 배수재층과, 상기 배수재층 내에 구비되는 배수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rainage space provides a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upward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layer is filled with a bucket, sand or gravel, and a drainage pipe provided in the drainage layer.

본 고안에 따른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장형의 배수 공간, 배수재층 또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공사 현장에서, 집수정측 단부에 일정 수두차를 갖도록 배수로를 상향 및 하향으로 올라갔다 내려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을 일정하게 유지, 조절하는 동시에, 과도한 지하수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drainage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upward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p and down the drainage channel to have a certain water head at the end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at the construction site including a long drain space, drainage layer or drain pipe In addition, it maintains and regulates the constant water pressure up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xcessive groundwater discharg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지하수가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기준치 이상으로 몰리게 될 때, 차단부재에 의하여 차단된 돌출관 또는 보조 연결관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감압관을 거치지 않고, 돌출관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하여, 지하수를 평상시보다 빠르게 배출시키도록 하고,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drainage structure that can control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oundwater is driven to the base and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bove the reference value, by opening the protruding pipe or auxiliary connection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the groundwater does not go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pipe Rather, it is directly discharged into the protruding pipe, so that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faster than usual, and the upward pressure on the building floor is kept constant and adjus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굴토마감면(1) 위의 배수 공간(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하면서, 버림콘크리트(20)와 바닥콘크리트(40)보다 높은 위치까지 배수로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도록 하는 감압관(60)과, 상기 배수 공간(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관(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stream hydraulic pressure adjustable drainage structure ha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drainage space 10 on the gulto finish surface (1), with the discarded concrete 20 It includes a pressure reducing pipe (6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rainage path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concrete 40, and a protruding pipe (50)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10).

배수 공간(10)은 지하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층이나 굴토마감면에 거푸집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자갈층, 버럭층, 모래층을 채워 넣거나, 드레인 보드, 드레인 매트, 무공관, 유공관, 다발관, 토목섬유 등이 채워져 배수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배수재층은 다양한 재질로서 배수 공간(10) 내에 채워져, 집수 및 배수를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The drainage space 10 is a passage for allowing the groundwater to flow,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formwork on the concrete layer or the gulting finish surface, and fills a separate gravel layer, a barrier layer, a sand layer, a drain board, a drain mat , Drain pipe, perforated pipe, bundle pipe, geotextile, etc. may be filled to form a drainage layer. The drainage layer is a portion that fills the drainage space 10 with various materials, and serves to smooth the collection and drainage.

감압관(60)은 그 단부가 배수 공간(10)의 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배수 공간(10)에 흐르는 지하수를 집수정(30)으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배수 공간(10)의 단부에서 연직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상방 연장관(62)과, 다시 하방으로 향하는 하방 연장관(64)과, 이들 상방 연장관(62)과 하방 연장관(64)을 서로 이어 주는 연결관(66)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뒤집힌 'U'자형 관 형태로 형성된다.The pressure reducing tube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rain space 10, the flow path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ground water flowing in the drain space 10 to drain to the sump 30, The upper extension pipe 62 which is formed so as to rise vertically upward from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10, the lower extension pipe 64 which is directed downward again, and the connection which connects these upper extension pipe 62 and the lower extension pipe 64 with each other. Including the tube 66,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whole 'U' shaped tube upside down.

상방 연장관(62)은 건축물의 자중과 건축물 하부에서의 지하수의 작용압력에 의한 힘이 균형을 이루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그 높이는 집수정의 크기 및 지하수의 작용압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형성된다.The upper extension pipe 62 has a predetermined height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force due to the action pressure of the ground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the height is form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mp and the working pressure of the groundwater.

이렇게 형성되는 감압관(60)은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설계안정수위가 될 때까지 상방 연장관(62)에 집수되고,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경우에는 연결관(66)과 하방 연장관(64)을 통하여 집수정(30)으로 배수된다.The decompression tube 60 formed in this way is collected in the upper extension pipe 62 until the groundwater penetrating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becomes the design stable water level, and in the case of exceeding the design stable water level, the connecting pipe 66 and the lower extension pipe 64 are formed. Drain through the sump (30).

이처럼, 배수 공간(10)을 흐르던 지하수의 상향수압이 갑압관의 상방 연장관(62)의 높이의 수두차에 못 미치면 배수가 안되다가, 이를 넘어서면 하방 연장관(64)을 통하여 배수가 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조그만 상향수압에도 많은 양의 지하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과도한 지하수 배수로 인해 지반이 침하되거나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upstream water pressure of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drainage space 10 is less than the water head difference of the height of the upper extension pipe 62 of the pressure pipe, the water is not drained, and if it exceeds the drain water,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extension pipe 64.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to be discharged even in the small upward water pressure, thereby preventing the ground from sinking or weakening due to excessive groundwater drainage.

돌출관(50)은 배수 공간(10)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그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차단부재(52)를 포함한다. 시공 초기에는 지하수의 상향 수압이 약하므로, 감압이 필요 없어, 지하수가 돌출관(50)을 통하여 바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공 후에는 상향 수압이 발생되므로, 배수 공간(10)의 지하수가 감압관(60)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 배수 공간(10)의 돌출관(50)을 폐쇄시키지 않으면, 지하수가 감압관(60)을 거치지 않고 돌출관(50)으로 바로 배출되므로, 밸브 등의 차단부재(52)를 사용하여 돌출관(50)을 폐쇄시켜서, 돌출관(50)으로 흐르던 지하수가 감압관(60)을 따라 배출되도록 한다.Protruding tube 50 is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to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10, and includes a blocking member 52 to block the inside. In the initial stage of construction, since the upward pressure of the groundwater is weak, decompression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protruding pipe 50. And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after the construction, the groundwater in the drainage space 10 passes through the decompression tube 60, in which case the groundwater does not close the protruding pipe 50 of the drainage space 10, Since it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protruding pipe 50 without passing through 60, by closing the protruding pipe 50 by using a blocking member 52, such as a valve, the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protruding pipe 50, the pressure-reducing pipe 60 To be discharged accordingly.

한편, 경우에 따라, 시공 후에도 지하수의 상향 수압이 약하여, 감압이 필요 없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수 공간(10)의 돌출관(50)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감압관(60)을 거치지 않고 돌출관(50)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even after construction, the upward water pressure of the groundwater may be weak, so that decompression may not be necessary. In this case, the protrusion pipe 50 of the drainage space 10 is opened so that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protrusion pipe 5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pipe 60.

그리고 폭우나 장마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지하수가 과도하게 몰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평상시보다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을 일정하게 유지, 조절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하수가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기준치 이상으로 몰리게 될 때, 차단부재(52)에 의하여 차단된 돌출관(50)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감압관(60)을 거치지 않고, 돌출관(50)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하여, 지하수를 평 상시 보다 빠르게 배출시키도록 하고,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되도록 한다.Under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heavy rain and rainy seasons, the groundwater is concentrated excessively around and underneath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groundwater penetrating into the bottom of the building is discharged more quickly than usual, and the water pressur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must be kept constant and adjusted. Therefore, when the groundwater is driven to the periphery and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bove the reference value, by opening the protruding pipe 50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52, the ground water to the protruding pipe 5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ecompression pipe 60 It is to be discharged immediately, to discharge the groundwater faster than usual, and to maintain a constant, upward pressur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도 3은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상기 도 2 에서 드레인관(54)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drainage structure of which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ain pipe 54 in FIG. 2.

드레인관(54)은 배수 공간(10)의 단부의 상측에 감압관(60) 단부가 연결되고, 배수 공간(10)의 단부에 돌출관(50)이 형성될 때, 배수 공간(10)의 단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관으로서, 돌출관(50)과 마찬가지로 그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차단부재(56)를 포함한다.The drain pipe 54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pipe 60 at an upper end of the drain space 10, and when the protrusion pipe 5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 space 10, As the tu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nd, it comprises a blocking member 56 to block the inside, like the protruding tube 50.

이렇게 형성된 드레인관(54)은 배수 공간(10)에 침전, 누적되고 있는 부유물, 침전물을 집수정(30) 쪽으로 강제적으로 배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돌출관(50)과 마찬가지로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지하수가 과도하게 몰리게 될 때, 차단부재(56)에 의하여 차단된 드레인관(54)을 개방시켜서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을 일정하게 유지, 조절할 수도 있다.The drain pipe 54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forcibly drain the suspended matter and sediment accumulated in the drainage space 10 toward the sump 30. In addition, when the groundwater is excessively concentrated around and under the building, similar to the protruding pipe 50, the ground water penetrating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is quickly discharged by opening the drain pipe 54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56.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regulate the constant water pressure up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도 4는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상기 도 2 에서 보조 연결관(67a)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A,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stream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nnecting pipe 67a in FIG. 2.

보조 연결관(67a)은 상방 연장관(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관으로서, 경우에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출관(50)과 마찬가지로 그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차단부재(68)를 포함한다. Auxiliary connecting pipe (67a) is a pipe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xtension pipe (62), a plurality of cases may be formed, like the protruding pipe (50) blocking member 68 to block the inside thereof ).

이러한 보조 연결관(67a)은 폭우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지하수가 과도하게 몰리게 될 때, 평상시보다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를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은 물론,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몰리는 지하수의 양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하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is auxiliary connector (67a) is to ensure that when the groundwater is excessively concentrated around and under the building in a special situation, such as heavy rain, to quickly discharge groundwater penetrating into the bottom of the building than usual, as well as around and below the building The furnace is configured to discharge groundwater differential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groundwater.

즉, 평상시에는 차단부재(68)에 의하여 보조 연결관(67a)의 내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되나, 지하수가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기준치 이상으로 몰리게 되면, 차단부재(68)에 의하여 차단된 보조 연결관(67a)을 개방시켜서 건축물 하부 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다.That is, the auxiliary connector 67a is normally configured to be closed by the blocking member 68. However, when the groundwater is concentrate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nd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68. Open (67a) to allow rapid discharge of groundwater that penetrates the bottom of the building.

이때, 보조 연결관(67a)은 상방 연장관(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층에 다수 개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에 따라, 상기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즉,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지하수가 너무 과도하게 몰리게 되는 경우(이하, 제 1 경우라 함), 지하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하층에 위치되는 보조 연결관(67a)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67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lay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xtension pipe (62). And according to the upward pressur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when the water pressure is relatively high, that is, when the groundwater is excessively concentrated in and around the build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case), the groundwater is discharged more smoothly To this end,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67a) located in the lower floor is opened, so that the ground water is quickly discharged.

그리고 상기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즉,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지하수가 조금 과도하게 몰리게 되는 경우(이하, 제 2 경우라 함), 상층에 위치되는 보 조 연결관(67a)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제 1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덜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And when the water pressure is relatively low, that is, when the groundwater is excessively concentrated around and below the build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case), by opening the auxiliary connector 67a located on the upper floor, To be discharged relatively less quickly than in the first case.

이처럼, 폭우나 장마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건축물 주변 및 하부로 몰리게 되는 지하수의 양에 따라 서로 다른 층에 구비되는 보조 연결관(67a)을 사용하여, 차등적으로 지하수를 배출시킴으로써, 건물 바닥면에 미치는 상향수압이 일정하게 유지, 조절되도록 한다.As such, in a special situation such as heavy rain or rainy season, the ground floor is differentially discharged by using an auxiliary connecting pipe 67a provided on different floo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groundwater that is collected around and under the building. The upstream pressure on the tank is kept constant and adjusted.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는 상방 연장관(62)에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연결관(67b)이 하방 연장관(64)까지 연장 형성되어, 보조 연결관(67b)의 일측은 상방 연장관(62)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하방 연장관(64)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4B and 4C, the upstream hydraulic pressure contro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xiliary connector 67b protruding from the upper extension tube 62 a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extension tube 64, thereby supporting the auxiliary connector ( One side of the 67b) is connected to the upper extension tube 62,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xtension tube (64).

이렇게 형성되는 보조 연결관(67b)은 상기 도 4a의 보조 연결관(67a)에 비하여, 그 타측이 하방 연장관(64)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감압관(60)이 보다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유지, 보수에 보다 효율적이고, 지하수의 낙하되는 높이차에 따른 소음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67b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lower extension pipe 64 as compar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67a of FIG. 4A, and thus the pressure reducing pipe 60 is formed in a more rigid structure. Due to the more efficient maintenance and repair, there is a relatively less noise caused by the height difference falling of the groundwater.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도 1은 종래의 배수로 시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drainage construction.

도 2는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굴토마감면 10 : 배수 공간1: Gulto finish surface 10: Drainage space

20 : 버림콘크리트 30 : 집수정20: discarded concrete 30: sump

40 : 바닥콘크리트 50: 돌출관40: bottom concrete 50: protrusion pipe

52 : 차단부재 54: 드레인관52: blocking member 54: drain pipe

56 : 차단부재 60 : 감압관56: blocking member 60: pressure reducing tube

62 : 상방 연장관 64 : 하방 연장관62: upward extension pipe 64: downward extension pipe

66 : 연결관 67a: 보조 연결관66: connector 67a: auxiliary connector

67b: 보조 연결관 68: 차단부재67b: auxiliary connector 68: blocking member

Claims (11)

지하 건축 구조물의 바닥 하부에서 발생되는 지하수의 적정한 수압을 유지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drainage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proper water pressure of the ground water generated in the lower floor of the underground building structure, 지하수가 유입되어 일측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굴토마감면, 바닥면 또는 암반층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배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는 집수정에 위치되도록 하며,In order to allow the groundwater to flow into one side, a drain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gulto finish surface, the bottom surface or the rock layer and the concrete layer located thereon, and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is located in the sump. 상기 배수 공간에는 연직 상방으로 상승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space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end of the decompression tube to rise vertically to drain the groundwater to the sum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에 돌출관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Protruding pipe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의 상측에 상기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며,The pressure reducing pip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상기 돌출관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고,The protruding tube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상기 차단부재는,The blocking member, 상기 돌출관에 흐르는 지하수를 차단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감압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Blocking the ground water flowing through the protruding pipe,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에 돌출관이 연장 형성되고,Protruding pip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의 상측에 상기 감압관 단부가 연결되며,The pressure reducing pip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상기 배수 공간의 단부의 하측에 드레인관이 연결되고,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nd of the drain space, 상기 돌출관과 상기 드레인관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The protruding pipe and the drain pipe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상기 차단부재는,The blocking member, 상기 돌출관과 상기 드레인관에 흐르는 지하수를 차단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감압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Blocking the ground water flowing in the protruding pipe and the drain pip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up-wate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pip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감압관은 :The pressure reducing tube is: 상기 배수 공간 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연직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상방 연장관을 포함하며,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space end, and includes an upwardly extending tube formed to rise vertically upwards, 상기 상방 연장관에 의해 지하수가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sump by the upper extension pip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상방 연장관이 다시 하방으로 향하는 하방 연장관과 연결되어, 상기 상방 연장관 내부의 지하수가 상기 하방 연장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upward extens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ownward extension pipe directed downward again, the groundwater inside the upward extension pipe is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ing well through the downward extens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ur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상방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연결관이 돌출 형성되고, At least one auxiliary connection pipe protru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xtension pipe, 상기 상방 연장관으로 상승되는 지하수가 상기 보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groundwater rising to the upper extension pipe is drainage structure capable of up-water pressur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drainage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on pip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연결관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The auxiliary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상기 차단부재는,The blocking member, 상기 보조 연결관으로 흐르는 지하수를 차단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상방 연장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By blocking the ground water flowing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allowing the ground water to drain to the sump through the upper extension pipe, 상기 보조 연결관을 개방시켜서, 지하수가 상기 보조 연결관을 통하여 집수 정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Opening the auxiliary connection pipe, the up-water pressure adjustable drain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on pipe to the sump.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연결관은 그 일측은 상기 상방 연장관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하방 연장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xtension pip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extens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stream hydraulic pressure adjustable drainage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조 연결관은 그 일측은 상기 상방 연장관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하방 연장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auxiliary connecting pipe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xtension pip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extens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stream hydraulic pressure adjustable drainag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공간에는 드레인 보드, 드레인 매트, 무공관, 유공관, 다발관, 토목섬유, 버럭, 모래 또는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워진 배수재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drainage space is a drain board, drain mat, non-pipes, perforated pipes, bundle pipes, geosynthetic fiber, a bucket, sand or gravel filled with any one or more of the drain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ressure adjustable drainag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공간에는 버럭, 모래 또는 자갈이 채워진 배수재층과, 상기 배수재층 내에 구비되는 배수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The drainage structure includes a drainage layer filled with a barrel, sand or gravel, and a drainage pipe provided in the drainage layer.
KR20070017923U 2007-11-06 2007-11-06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KR2004468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923U KR200446848Y1 (en) 2007-11-06 2007-11-06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923U KR200446848Y1 (en) 2007-11-06 2007-11-06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12U true KR20090004412U (en) 2009-05-11
KR200446848Y1 KR200446848Y1 (en) 2009-12-04

Family

ID=4129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7923U KR200446848Y1 (en) 2007-11-06 2007-11-06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4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0050A (en) * 2021-09-07 2021-11-26 通号建设集团有限公司 Underground building anti-floating structur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57B1 (en) * 2019-10-02 2020-03-27 지에스이앤씨(주) Rodding eye system cleaning by high pressure permanent drainage materials for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227B1 (en) * 2004-07-21 2006-07-19 홍종인 Draining apparatus for draining underground water having reduced water- overflow pl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0050A (en) * 2021-09-07 2021-11-26 通号建设集团有限公司 Underground building anti-floating structur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48Y1 (en) 200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369B1 (en) Slope ditch for preventing erosion, the system for preventing erosion using the same, and the concreting method therefor
JP5346731B2 (en) Rainwater penetration facilities
KR100753556B1 (en)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CN216640547U (en) Drainage decompression anti-floating system suitable for weak permeable soft soil stratum
CN211228626U (en) Automatic pressure relief device for anti-floating of basement bottom plate
CN110952574A (en) Method for treating landslide deformation body
KR100665984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self drainage
KR200446848Y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CN112726659A (en) Double-backflow-preventing retaining wall drain pip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665986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drainage
KR200411498Y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KR100666102B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KR100748607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drainage having double drainage canals and the system
KR20090129089A (en) Decompression apparatus of double drain pipe
KR100656410B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KR200419448Y1 (en) Over pressure durable basement drainage system
KR200413300Y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JP377708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structure and underground storage structure
KR100665985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self drainage
KR100693807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drainage
KR200413305Y1 (en) Convertible de-pressure drainage system
JP7222602B2 (en) Surface drainage system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0445948Y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KR200412083Y1 (en)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KR100666103B1 (en) Convertible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