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556B1 -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 Google Patents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3556B1 KR100753556B1 KR1020060029395A KR20060029395A KR100753556B1 KR 100753556 B1 KR100753556 B1 KR 100753556B1 KR 1020060029395 A KR1020060029395 A KR 1020060029395A KR 20060029395 A KR20060029395 A KR 20060029395A KR 100753556 B1 KR100753556 B1 KR 100753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ompression
- drainage
- extension path
- drainage space
- pat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3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배수로 시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drainage construction.
도 2는 종래의 배수로 시공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drainage construc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로 시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drainag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배수로 시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other drainag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5b는 본 발명의 감압구조체의 단면, 입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for showing the cross-sect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6b는 본 발명의 다른 감압구조체의 단면, 입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for showing a cross-sect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nother reduced pres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굴토마감면 10 : 배수공간1: gulto finish 10: drainage space
20 : 버림콘크리트 30 : 집수정20: discarded concrete 30: sump
40 : 바닥콘크리트 50 : 감압구조체40
52 : 상방연장로 54 : 하방연장로52: Upward extension road 54: Downward extension road
60 : 감압구조체 62 : 상방연장로60: decompression structure 62: upward extension path
64 : 하방연장로 70 : 감압배출관64: Downward extension road 70: Decompression pipe
101 : 굴토마감면 110 : 배수재101: gulto finish noodles 110: drainage
120 : 버림콘크리트 130 : 집수정120: discarded concrete 130: sump
140 : 바닥콘크리트140: floor concrete
본 발명은 건축물 하부 및 주위의 콘크리트층 하부에 침투하는 지하수를 배수공간을 통해 적절히 배출시키는 동시에 누적되는 상향수압을 적정 수준의 수압에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감압배수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duced pressure drainage system for controlling discharge while balancing the power at a proper level with the pressure of the upstream pressure accumulated at the same time as the groundwater infiltrating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concrete layer through the drainage space and It's about that system.
일반적으로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많은 양의 지하수가 존재하게 되면 건축물은 지하수로 인해 일종의 부력을 전달받아 건축물이 떠오르는 힘을 받으며 파괴되어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반대로, 건축물 주변 및 하부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강제 배수에 의해 많은 양을 급격하게 제거해 버리면 지하수가 존재하던 공간이 갑자기 비게 되면서 지반이 침하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이 내려앉게 되어 그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exists around and underneath the building, the building receives a buoyancy force due to the groundwater, which causes the building to rise and is destroyed, threatening safety. On the contrary, if the groundwater existing around and underneath the building is rapidly removed by forced drainage, the ground where the groundwater existed suddenly becomes empty and the ground sinks, which causes the building to fall and threaten its safety. .
건물의 기초 바닥에 작용하는 상향수압 처리를 위해서 사하중과 영구(부력)앙카를 통한 공법이 많이 사용되나, 이는 건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과 관련하여 부 력앙카의 인장력에 대한 지속적인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한 방법이 기초바닥 아래에 인위적인 집수정과 배수층을 형성하여 부지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가 배수로를 따라 집수정으로 모이면 정기적으로 이를 펌핑하여 배출시킴으로써 기초바닥 콘크리트에 양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초바닥 영구 배수시스템 방법이다. 이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높은 지하수위와 비례하여 작용하는 상향수압 문제를 보다 안정적이고, 영구적으로 해결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Many methods are used through dead weight and permanent (buoyancy) anchors for the up-water pressure treatment acting on the foundation floor of the building, but this is the limitation that the continuous reliability of the buoyancy anchor's tensile force is not guaranteed in relation to the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building. There is. An improved method is to form an artificial catchment and drainage layer under the foundation floor so that the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site is collected in the catchment along the drainage path and pumped and discharged regularly so that the foundation floor concrete does not act as a positive pressure. Permanent drainage system method. This has the advantage of more stable and permanently solve the problem of up-water pressure in proportion to the high groundwater lev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 시스템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굴토마감면(101) 위에 소정 높이를 갖는 배수재(또는 거푸집)(110)을 가로 및/또는 세로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수평되게 연결하여 배치하되 상기 암반층의 굴토마감면(101)과 상기 배수재(110) 사이에 부직포(미도시)를 위치시키면서 일측으로 모여진 배수재(110)의 출구가 상기 집수정(130)과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그 위에 몰탈을 소정 높이로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120)를 형성하는 방식이다.This conventional general drainage system is shown in FIGS. 1 and 2.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rainage material (or formwork)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horizontally and / or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집수정(130)을 통해 강제배수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배출관(미도시)과 직접 연결되며 외부의 주배수로(미도시)와 연통되어, 상향 수압에 의해 자연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 방법은 배수재(110)의 배출 용량을 넘어서는 많은 양의 지하수에 대한 배출 및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배수재(110)의 배출 용량을 넘는 높은 상향 수압의 지하수의 경우, 별도로 배출시킬 방법이 없게 되므로, 배수 시스템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게 된다.This conventional method is forced to drain through the
따라서 건축물의 과도한 상향 수압 발생시, 배수재(110)의 용량을 넘어서는 양의 지하수에 대해서도,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동시에, 과량의 지하수에 대해서도 무조건적인 과배출을 방지하여, 설계안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case of excessive upward water pressure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amount of ground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배수 용량을 넘어서는 과도한 지하수 배출을 수용할 수 있는 배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러한 과량의 지하수 배수 구조가 적정한 설계안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로 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inage system for accommodating excessive groundwater discharge exceeding a general drainage capacity,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such an adequate groundwater drainage structure to maintain an appropriate design stability level. The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하 건축 구조물의 바닥 하부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감압 배수시스템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토 후의 상면 자체, 잔토층, 자갈층, 버럭층 또는 암반층 등을 이용하여 굴토마감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정지하는 수평정지 작업공정; 상기 수평정지 작업공정을 거친 상기 마감면의 상부에 배수로 기능을 위한 배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간은 집수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공간 형성공정; 상기 배수공간에 소정 높이를 갖는 상방연장로 및 하방연장로를 포함하는 감압구조체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방연장로의 하측 단부를 상기 배수공간과 연결시키는 감압구조 연결공정; 상 기 배수공간을 덮도록 상기 마감면 위에 몰탈을 소정 높이로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버림콘크리트 타설공정; 상기 감압구조체의 하방 연장로를 집수정과 연결된 감압배출관과 연결시키는 배출경로 연결공정; 및 상기 버림콘크리트층 위에 몰탈을 소정 높이로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바닥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reduced pressure drainage system for discharging groundwater generat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ment building structure, the upper surface itself after the excavation, the after-layer layer, gravel layer, the rock layer or rock layer A horizontal stop working step of stopping the oyster finish surface to be horizontal using a back and the like; A drainage space forming step of forming a drainage space for a drainage fun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surface through the horizontal stop working process, and the drainage space being connected to a sump well; A decompression structure connecting process of connecting a lower end of the upper extension path with the drainage space to connect a decompression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extension path and a lower extension path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drainage space; A cast concrete placing process of forming a cast concrete layer by pouring mortar on a predetermined height to cover the drainage space; A discharge path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the downward extension path of the decompression structure to the decompression pipe connected to the sump; And a bottom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mortar on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bottom concrete layer.
상기 배수공간은 배수판, 드레인 보드, 드레인 매트, 유공관, 무공관, PE관, PVC관, 토목섬유, 다발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rainage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rain plate, drain board, drain mat, perforated pipe, non-perforated pipe, PE pipe, PVC pipe, geotextile, bundle pipe.
상기 배수공간은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rainage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formwork.
상기 감압구조체는 상기 상방연장로가 상기 하방연장로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상방연장로와 상기 하방연장로는 분할면에 의해 분리되면서,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ecompress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xtension is surrounded by the lower extension, the upper extension and the lower extension is separated by a spli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connection at the upper end.
상기 감압구조체는 상기 하방연장로가 상기 상방연장로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상방연장로와 상기 하방연장로는 분할면에 의해 분리되면서,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ecompress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xtension is surrounded by the upper extension, the upper extension and the lower extension is separated by a spli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connection at the upper end.
상기 감압구조체는 상기 상방연장로와 상기 하방연장로가 관형태로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ecompress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xtension road and the lower extension roa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 in the form of a tube.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은, 지하 건축 구조물의 바닥 하부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감압 배수시스템에 있어서, 굴토마감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굴토마감면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공간; 소정 높이를 갖 는 상단에서 연결되는 상방연장로와 하방연장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방연장로가 상기 배수공간과 연결 결합되는 감압구조체; 상기 배수공간을 소정 높이로 덮는 버림콘크리트층; 및 상기 감압구조체의 상기 하방연장로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공간과 별도로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감압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compression drainage system for discharging groundwater generat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ment building structure, the drainage disposed on the gulto finish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sump well formed on one side of the gulto finish surface space; A decompression structure including an upward extension path and a downward extension path connected at an upper e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upper extension path being connected to the drainage space; A discarded concrete layer covering the drainage spac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reduced pressur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ownward extension path of the decompression structure and connected to the sump well separately from the drainage space.
상기 감압구조체는: 상기 하방연장로가 상기 상방연장로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상방연장로는 상기 하방연장로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방연장로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방연장로는 상기 감압배출관을 통해 상기 집수정과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ecompression structure includes: the downward extension path surrounds the upper extension path, the upward extension path is located inside the downward extension path, the upward extension pat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space, and the downward extension pat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ump through the decompression pipe.
상기 감압구조체는: 상기 상방연장로가 상기 하방연장로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하방연장로는 상기 상방연장로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방연장로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방연장로는 상기 감압배출관을 통해 상기 집수정과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ecompression structure includes: the upper extension path surrounds the lower extension path, the lower extension path is located inside the upper extension path, the upper extension pat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space, and the lower extension pat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ump through the decompression pipe.
상기 감압구조체는: 상기 상방연장로와 상기 하방연장로가 소정 높이 상단에서 연결되고, 상기 상방연장로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하방연장로는 상기 감압배출관을 통해 상기 집수정과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decompression structure is: the upper extension path and the lower extension path is connected at the upper end of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extension pat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space, the lower extension path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well through the decompression discharge pipe It is characterized by the th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배수로 시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굴토 마감면(1)의 상측에 다양한 형태의 배수공간(10), 배수재를 형성, 배치시킨다. 배수공간(10)은 굴토 마감면(1)과 버림콘크리트층(20) 사이에 비닐, 부직포(미도시) 등을 개재하며 형성되는 미세한 틈에 해당되는 공간일 수도 있고, 배수거푸집, 철재관, 스틸관, 관, 판넬 등을 이용하여 버림콘크리트 타설시 버림콘크리트층(20) 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스틸관, 목재관, 스테인리스관, 합성수지관, 유공관, 무공관, 다발관, 드레인 보드, 드레인 매트, 배수판, PE관, PVC관, 토목섬유, PE필름, 비닐 등의 배수재가 배치되어 그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면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various cross-section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various types of
이러한 배수공간(10)은 집수정(30)과 연결되는데, 그 중간 소정의 위치에 배수공간(10)과 연결되는 감압구조체(50)가 구비되고, 감압구조체(50)에 의해 배수공간(10)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집수정(30)으로 연결되는 감압배출관(70)이 구비된다. 감압구조체(50)는 하단부가 버림콘크리트(20)에 의해 고정되며, 감압배출관(70)은 버림콘크리트층(20)의 상방에 위치하며, 바닥콘크리트층(40) 내에 고정, 위치된다.The
감압구조체(50)는 이중관 형태로서, 상방 경로와 하방 경로가 소정 높이를 갖는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지하수가 감압구조체(50)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상방 경로와 하방 경로가 연결된 높이까지 수위가 상승하여 넘쳐 하방 경로로 흘러야만 한다. 적정 수위가 되기 전에는, 지하수가 감압구조체(5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배수공간(10)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상향수압에 의해 밀려 집수정(30)으로 바 로 배출된다. 지하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경우, 배수공간(10)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용량 이상의 지하수는 감압구조체(50)의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 수위가 상승한다. 상향 수압이 점점 증가하게 되면, 소정 높이를 초과하도록 상승된 지하수는 감압배출관(70)으로 배출되어 집수정(30)으로 배출된다. 결국 과도한 지하수는 배수공간(10) 이외에도 감압배출관(70)을 통해 집수정(30)으로 배출된다.The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다만, 감압구조체(50)를 통해 유입된 모든 지하수를 배출시키지 않고, 수리학적 계산에 의해 해당 위치에 적당한 설계수위 이상의 지하수만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즉, 적정한 수준의 상향수압은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과배수가 되지 않도록 감압구조체(50)를 통과한 지하수만 집수정(3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However, without discharging all the groundwater introduced through the
또 다른 실시례로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형태의 감압구조체(6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압구조체(60)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나, 엎어진 U자형의 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another type of
도 5a, 5b는 본 발명의 감압구조체의 단면, 입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5b를 참조하면, 상방연장로(52)는 내부의 원통형, 하방연장로(54)는 외부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방연장로(52)의 하단부는 배수공간(10)과 연결된다. 이 때 배수공간(10)에 구멍을 형성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별도의 소켓, 커넥터(미도시)를 설치한 후 연결시킬 수도 있다. 5A and 5B are views for showing the cross-sect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the
상방연장로(52)의 높이는 하방연장로(5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개방되며, 상방연장로(52)와 하방연장로(54)는 상단부에서 연결되고, 연결되는 부위까지는 상방연장로(52)의 측면 분할벽으로 상호 차단되어 있다. 하방연장로(54)는 하단부가 배출구를 통해 감압배출관(70)과 연결되고, 감압배출관(70)은 집수정(30)으로 바로 연결된다. 이러한 감압구조체(50)는 상방연장로(52)가 내부에, 하방연장로(54)가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위치할 수도 있다. The height of the
도 6a, 6b는 본 발명의 다른 감압구조체의 단면, 입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6b를 참조하면, 감압구조체(60)의 형상을 U자형 관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서, 상방연장로(62)와 하방연장로(64)가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유로가 일정 높이만큼 올라갔다 내려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방연장로(64)는 감압배출관(70)과 연결되며, 감압구조체(60)의 하부는 버림 몰탈 타설에 의해 버림콘크리트층(20)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6A and 6B are views for showing a cross-sect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nother reduced pres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the shap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시스템의 시공 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하층을 파내는 굴토 작업을 한 후, 굴토 작업 후의 마감면을 수평으로 정지하게 되고, 이 때 추가적으로 버럭층, 자갈층, 모래층 등을 형성하기도 한다. Referring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rst excavating the underground layer to excavation, and then stops the finishing surface after the excavation horizontally, at this time may form additional layers, gravel layer, sand layer and the like.
이러한 마감면의 상측에는 별도의 배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비닐, 토목섬유를 깔거나, 거푸집을 형성하거나, 관을 배치하거나, 배수재를 배치시키고, 그 배수공간의 단부는 집수정과 연결시킨다.On top of this finishing surface, vinyl, geotextiles, formwork, pipes or drainage are arranged to form a separate drainage space, and the end of the drainage space is connected to the sump.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감압구조체의 설치 위치를 설계한 후, 소켓,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배수공간과 감압구조체를 연결시킨다. 배수공간은 집수정과 연결된 상태에서 일부 분기하여 감압구조체와 연결된다. Before installing the discarded concrete, desig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compression structure, and connect the drainage space and the decompression structure by using a socket or a connector. The drainage space is partially connected with the sump and connected to the decompression structure.
이후 소정 높이로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이 때 배수공간, 배수재, 마감면은 콘크리트에 의해 덮혀지게 되며, 감압구조체는 상단부가 버림콘크리트층 위로 노출되도록 한다. 감압배출관은 배수공간보다 소정 높이 상측, 버림콘크리트 상측에 설치되며, 집수정측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된다.After casting the discarded concrete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drainage space, drainage material, the finishing surface is covered by the concrete, the pressure-sensitive structure to the upper end exposed to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The decompression pipe is installed above the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drainage space and the discarded concrete, and is connected to be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well side.
이 후에는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고, 바닥콘크리트의 상면에는 다시 누름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압구조체를 벽체나 기둥 위치에 배치하고, 벽체 또는 기둥을 타설할 때에 그 전체 또는 일부가 같이 매설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fter this, the bottom concrete is poured, and the pressed concrete is poured again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concret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pressure-sensitive structure at the wall or column position, and when the wall or column is placed, all or part thereof may be embedded together.
본 발명의 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적인 배수 용량을 넘어서는 과도한 지하수 배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적정한 설계안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excessive groundwater discharge exceeding the general drainage capacity,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n appropriate design stability level.
또한 본 발명은 감압구조체에 의해 일정 상향 수압에 이르기 전에는 과도한 지하수 배출을 억제, 조절하여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ground to sink by inhibiting, controlling the excessive groundwater discharge before reaching a certain upward water pressure by the pressure-sensitiv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단순화시켜 공기를 감소시키고, 자재비, 시공비를 절감시키며, 별도의 운영비와 동작, 감독 없이도 반영구적으로 그 기능을 담당하므로 배수가 용이하고, 관리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ir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material costs, construction costs, semi-permanent function without a separate operating cost and operation, supervision, easy drainage, and easy managemen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9395A KR100753556B1 (en) | 2006-03-31 | 2006-03-31 |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9395A KR100753556B1 (en) | 2006-03-31 | 2006-03-31 |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8573U Division KR200420660Y1 (en) | 2006-03-31 | 2006-03-31 | De-pressure drainag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3556B1 true KR100753556B1 (en) | 2007-08-30 |
Family
ID=3861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9395A KR100753556B1 (en) | 2006-03-31 | 2006-03-31 |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3556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002B1 (en) | 2007-12-14 | 2010-06-21 | 홍종인 | under ground water drainage device |
KR101331244B1 (en) * | 2011-12-08 | 2013-11-19 |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Dewatering contro system for under ground water |
CN103882889A (en) * | 2012-12-21 | 2014-06-25 | 曹琪喆 | Bottom plate waterproofing system of foundation of building |
CN105625483A (en) * | 2016-03-21 | 2016-06-01 |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 Water pressure control metho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
CN105672370A (en) * | 2016-03-21 | 2016-06-15 |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 Water pressure control system for underground engineering |
CN114150683A (en) * | 2021-12-09 | 2022-03-08 | 西南交通大学 | Arrangement method of pressure relief device on bottom plate of basement in sloping field |
WO2023103651A1 (en) * | 2021-12-08 | 2023-06-15 | 华南理工大学 | Drainage pressure relief anti-floating system for weakly permeable soft stratu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498Y1 (en) | 2005-12-28 | 2006-03-15 | 박옥교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
2006
- 2006-03-31 KR KR1020060029395A patent/KR10075355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498Y1 (en) | 2005-12-28 | 2006-03-15 | 박옥교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002B1 (en) | 2007-12-14 | 2010-06-21 | 홍종인 | under ground water drainage device |
KR101331244B1 (en) * | 2011-12-08 | 2013-11-19 |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Dewatering contro system for under ground water |
CN103882889A (en) * | 2012-12-21 | 2014-06-25 | 曹琪喆 | Bottom plate waterproofing system of foundation of building |
CN105625483A (en) * | 2016-03-21 | 2016-06-01 |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 Water pressure control metho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
CN105672370A (en) * | 2016-03-21 | 2016-06-15 |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 Water pressure control system for underground engineering |
CN105672370B (en) * | 2016-03-21 | 2017-12-12 |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underground engineering water pressure control system |
WO2023103651A1 (en) * | 2021-12-08 | 2023-06-15 | 华南理工大学 | Drainage pressure relief anti-floating system for weakly permeable soft stratum |
CN114150683A (en) * | 2021-12-09 | 2022-03-08 | 西南交通大学 | Arrangement method of pressure relief device on bottom plate of basement in sloping field |
CN114150683B (en) * | 2021-12-09 | 2022-07-12 | 西南交通大学 | Arrangement method of pressure relief device on bottom plate of basement in sloping fiel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3556B1 (en) |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 |
CN112144584A (en) | Self-flowing drainage pressure-limiting anti-floa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433220Y1 (en) | Sump system | |
KR100665984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self drainage | |
KR100734047B1 (en) | Sump system and the setting method | |
KR200432040Y1 (en) | Sump system | |
CN214657275U (en) | Self-flowing drainage pressure-limiting anti-floating structure | |
RU30367U1 (en) | Wall drainage device | |
KR100665985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self drainage | |
KR200420660Y1 (en) | De-pressure drainage system | |
KR100665986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drainage | |
KR200411498Y1 (en)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100666103B1 (en) | Convertible de-pressure drainage method and the system | |
KR200413305Y1 (en) | Convertible de-pressure drainage system | |
KR100666102B1 (en)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200446848Y1 (en)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100556820B1 (en) | chamber for uplift reduction process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419448Y1 (en) | Over pressure durabl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100905661B1 (en) | Connector and system for apparatus draining | |
KR100656410B1 (en)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100820572B1 (en) | Constructing method of drainage structure by using water way with a gap | |
JP3777085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structure and underground storage structure | |
KR100383656B1 (en) |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bottom of the underground floor | |
KR200413300Y1 (en) | Vertical typ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100693807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drain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