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196U - 쓰레기수거용 카트 - Google Patents

쓰레기수거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196U
KR20090004196U KR2020070017624U KR20070017624U KR20090004196U KR 20090004196 U KR20090004196 U KR 20090004196U KR 2020070017624 U KR2020070017624 U KR 2020070017624U KR 20070017624 U KR20070017624 U KR 20070017624U KR 20090004196 U KR20090004196 U KR 20090004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art
garbage bag
edge member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173Y1 (ko
Inventor
배진희
Original Assignee
배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희 filed Critical 배진희
Priority to KR2020070017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7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22Flexible bags, e.g. for rubb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이 신속용이하고, 쓰레기양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이면서 경량이어서 더욱 노령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고 보관도 편리한 쓰레기수거용 카트를 제공하기 위해, 쓰레기 봉투(1)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수거용 카트에 있어서, 쓰레기 봉투(1)의 개방단부(1a)를 걸치기 위한 제1테두리부재(10)와, 그 걸친 쓰레기 봉투를 고정시키도록 제1테두리부재(10)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제1테두리부재(10)로부터 이격되어 쓰레기 봉투를 장탈착하는 장탈착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테두리부재(20)와, 그 제2테두리부재(20)를 하체부(70)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대(5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는 회동수단(21) 및 중간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2020070017624
쓰레기봉투, 카트, 경량, 테두리부재, 회동수단, 중간지지부재.

Description

쓰레기수거용 카트{cart for heaping rubbish}
본 고안은,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이 신속용이하고, 쓰레기양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이면서 경량이어서 더욱 노령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고 보관도 편리한 쓰레기수거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쓰레기수거용 카트 내지 손수레가 개발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3876호, 제20-0369868호 등을 들 수 있다.
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3876호에 개시된 고안은,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내장하여 쓰레기 수거와 동시에 수거된 쓰레기가 종량제 봉투에 담겨지도록 함은 물론 다 채워진 쓰레기 봉투를 용이하게 도로변에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 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색상이 미려하고 산뜻한 느낌을 주어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구성은 절곡부를 가지는 사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절곡부 전면에 형성된 적재구와, 상기 절곡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제1투입구, 제2투입구 및 수납부와, 상기 제1투입구와 제2투입구 및 수납부를 각각 개폐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내부에 격판을 가지는 사각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수레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69868호에 개시된 고안은, 쓰레기 수거용 마대를 착탈가능하게 끼워 넣은 상태로 손쉽게 이동하면서 거리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카트의 프레임에 야광표시와 점멸등을 부착하여 어두운 새벽이나 야간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환경미화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수거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에 고정다리와 바퀴를 부착한 장방형상의 하부프레임과 이의 일정간격을 둔 상부에 손잡이가 부착된 상부프레임이 다수개의 연결간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쓰레기포대를 수납하는 빈 공간의 상협하광형 이동식 틀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안들은, 손쉽게 이동하면서 거리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거나, 다 채워진 쓰레기 봉투를 용이하게 도로변에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 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색상이 미려하고 산뜻한 느낌을 주어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여전히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이 불편 하고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이 불편하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몇년 전부터 구조 조정으로 환경미화원 인원을 채용하기 않아서 환경미화원 1인이 맡은 작업량이 많아지게 되고 가로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 내 작업을 끝낼 수가 없어서 문제가 없으며, 많은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수거용 카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장기간의 환경미화작업의 결과, 쓰레기와 재활용이 많이 나오는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쓰레기수거용 카트와, 쓰레기와 재활용이 작게 나오는 장소나 동사무소 측에서 일하는 일용직할머니, 할아버지들께서 가볍게 끌고 다니며 동네 길 좁은 구석을 깨끗이 하기에 적합한 소형 쓰레기수거용 카트의 개발의 필요성을 느껴 본 고안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이 신속용이하고, 쓰레기양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이면서 경량이어서 더욱 노령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고 보관도 편리한 쓰레기수거용 카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수거용 카트는, 쓰레기 봉투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수거용 카트에 있어서, 쓰레기 봉투의 개방단부를 걸치기 위한 제1테두리부재와, 그 걸친 쓰레기 봉투를 고정시키도록 제1테두리부재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제1테두리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쓰레기 봉투를 장탈착하는 장탈착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테두리부재와, 그 제2테두리부재를 하체부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는 회동수단 및 중간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제1테두리부재에의 제2테두리부재만으로도 그 회동 결합 및 이격에 의해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 조작 간단신속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경량이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며 제조가 용이저렴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의 전후로만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각각 한쌍 설치된 소형의 쓰레기수거용 카트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트의 좌우 및 전후로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3쌍이 설치된 구조의 대형 쓰레기수거용 카트가 도시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용 카트에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쓰레기 봉투(1)의 개방단부(1a)를 걸치기 위한 제1테두리부재(10)와, 그 걸친 쓰레기 봉투를 고정시키도록 제1테두리부재(10)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제1테두리부재(10)로부터 이격되어 쓰레기 봉투를 장탈착하는 장탈착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테두리부재(20)와, 그 제2테두리부재(20)를 하체부(70)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대(5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는 회동수단(21) 및 중간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로 구성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구조가 간단하고도 경량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제2테두리부재(20)만을 회동시켜 쓰레기 봉투(1)를 장탈착함으로써 신속하게 장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상태에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장탈착과정에서 쓰레기 봉투(1)의 찢어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소형 쓰레기수거용 카트에서는 더욱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경량화시키도록 서로 고정되는 수직지지대(50)와 수평지지대(40), 중간지지부재(30)와 회동상하조절수단(31) 및 하향지지대(11)를 개재하여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설치된다. 중간지지부재(30)에는 하향지지대(11)의 상단이 그 하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구체적으로 회동수단(21)를 구성하는 회동지지대(24)가 고정되고, 그 제2테두리부재(20)에는 연장회동부재(22)가 거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고정되어 회동지지대(24)와의 사이에서 회동축(23)을 개재하여 회동가능 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향지지대(11)와 수평지지대(40)사이에는, 높이를 조절하여 쓰레기 봉투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위치조절수단(42)이 설치된다. 그 상하위치조절수단(42)도 종래와 같이 경량이고도 단순한 구성인 다수의 핀공과 핀으로 구성되지만,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스부재(41a)와 너트(41b) 및 수직지지대(50)의 숫나사부(51)로 구성될 수 있다. 하체부(70)의 구성도 단순화시키도록 하나의 바퀴(73), 바닥판(71), 앵글(72), 수직지지대(50)의 고정부재(71a), 받침대(74) 및 손잡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보관시나 비사용시 공간을 차지 하지 아니하도록 손잡이(80)가 손잡이회동수단(81)을 개재하여 내향(화살표Z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의 회동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테두리부재(20)가 제1테두리부재(10)보다 높이가 낮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지만, 원의 상세도에서와 같이 경사진 원추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제2테두리부재(20)가 원호단면의 내면을 지니거나, 짧은 원통링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쓰레기수거용 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의 좌우 및 전후로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3쌍이 설치된다. 즉, 수평지지대(40)를 개재하여 양단에 상기 중간지지부재(30)가 각각 설치되고 한쌍의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각각 좌우로 설치되며, 그 수평지지대(40)의 상부에 회동상하조절수단(31)을 개재하여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한쌍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이 3쌍으로 구성함으로써 규격봉투 2개를 걸 수 있어 편하고, 가로 청소시 양 많은 쓰레기도 쉽게 담아둘 수 있으니 즐거운 마음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 낙엽 철에는 낙엽을 쉽고 빠르게 담을 수 있도록 재활용 마대를 후방에 설치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설치되는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의 구성과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다른 점은, 상기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로부터 가득찬 쓰레기 봉투(1)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트내의 장착위치(B1, B2)로부터 카트 바깥측의 탈착위치(B3,B4)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회동수단(41)이 상기 중간지지부재(30)와 수직지지대(50)사이에 설치된다. 그 수평회동수단(41)은,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40)에 고정되는 회동중심축부재상에, 중간지지부재(30) 및/또는 하향지지대(11)를 회동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득찬 쓰레기 봉투(1)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폐형광 등을 수거하여 일정한 장소에 놓기가 용이하다.
더욱,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35)을 연장회동부재(22)와 회동지지대(24)사이에 핀(35a,35b)을 개재하여 설치함으로써 결합위치에서는 Y1방향으로 힘이 작용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빠짐을 더욱 방지하고, 제2테두리부재(20)가 회동된 장탈착위치에서는 Y2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쓰레기 봉투의 장탈착중에 제2테두리부재(20)가 결합위치로 회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드시 이러한 기능은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또 인장스프링(35)이 아닌 다른 탄성수단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수직지지대(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는 중간지지부재(30)가 보스부재(31a) 및 너트(31b)에 의해 수직지지대(50)에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숫나사부(51)를 따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보스부재(31a)는, 상하 너트사이에서 수직지지대(50)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를 지닌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그 상부에 설치되는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수직지지대(50)를 중심으로 그 높이 조절과 함께 사용위치(C0)와 비사용위치(C1)사이에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주차 등과 같이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수직지지대(50)의 내측인 비사용위치(C1)으로 회동하여 공간을 차지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하체부(70)에는 바퀴(73)가 다수 설치되고 안전작업을 위한 브레이크장치(62)가 설치되며, 브레이크케이블(61)을 개재하여 브레이크손잡이(60)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브레이크손잡이(60)로는 차량용 파킹핸드브레이크의 구조가, 브레이크장치(62)로는 자전거 브레이크의 구조가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 규격봉토와 장갑, 우비, 장화 등을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90)을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자루꽂이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쓰레받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관설치구조로 사물한(90)의 상부가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모든 회동수단은, 스토퍼 내지는 탄성와셔 등을 이용한 회전정지기구가 채용 될 수도 있으며, 재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모두 가능하지만, 경량은 위해서는 합성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작용이 용이하여 고장이 없으며 수리비용이 전혀 없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도 펑크가 나지 않은 최첨단 맞춤형 환경미화원 선별 카트이다. 크기가 작고 좁아서 미화원의 구역에 보관하여도 시민들의 불편이 전혀 없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쓰레기 봉투(1)의 장탈착을 위한 제2테두리부재(20)의 회동시 서로 걸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쌍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설치되는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본 고안은 하나의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 등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조절 및 수평회동이 가능한 구조가 도시되지만,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높이조절 및 수평회동중 어느 하나만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수거용 카트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수거용 카트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4-4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방에서 본 전면도로서, 전방의 테두리부재들을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후방의 꽉 찬 쓰레기 봉투의 탈착을 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2테두리부재의 회동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 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제1테두리부재 11: 하향지지대
20: 제2테두리부재 21: 회동수단
22: 연장회동부재 23: 회동축
24: 회동지지대 30: 중간지지부재
31: 회동상하조절수단 31a,42a: 보스부재
31b,42b: 너트 40: 수평지지대
41: 수평회동수단 42: 상하위치조절수단
45: 회동보스부재 50: 수직지지대
51: 숫나사부 60: 브레이크손잡이
61: 브레이크케이블 62: 브레이크장치
70: 하체부 71: 바닥판
72: 앵글 73: 바퀴
74: 받침대 80: 손잡이
81: 손잡이회동수단 90: 사물함

Claims (5)

  1. 쓰레기 봉투(1)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수거용 카트에 있어서,
    쓰레기 봉투(1)의 개방단부(1a)를 걸치기 위한 제1테두리부재(10)와, 그 걸친 쓰레기 봉투를 고정시키도록 제1테두리부재(10)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제1테두리부재(10)로부터 이격되어 쓰레기 봉투를 장탈착하는 장탈착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테두리부재(20)와, 그 제2테두리부재(20)를 하체부(70)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대(5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는 회동수단(21) 및 중간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수거용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50)에 수평지지대(40)가 설치되고, 그 수평지지대(40)의 양단에 상기 중간지지부재(30)가 각각 설치되고 한쌍의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한쌍이 좌우 또는 전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수거용 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로부터 가득찬 쓰레기 봉투(1)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카트 바깥측의 탈착위치(B3,B4)로 회동시키도록 수평회동수단(41)이 상기 중간지지부재(30)와 수직지지대(50)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수거용 카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각각 수직지지대(50)상에서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제1테두리부재(10) 및 제2테두리부재(20)가 그 높이 조절과 함께 사용위치(C0)와 비사용위치(C1)사이에 회동시키도록 회동상하조절수단(31)이 상기 수직지지대(50)와 중간지지부재(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수거용 카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쓰레기 봉투(1)의 쓰레기 봉투의 높이따라 상하로 조절가능하게 하는 상하위치조절수단(42)이 설치되거나, 브레이크장치(62)가 설치되고, 손잡이(80)가 비사용위치와 사용위치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수거용 카트.
KR2020070017624U 2007-10-31 2007-10-31 쓰레기수거용 카트 KR200446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24U KR200446173Y1 (ko) 2007-10-31 2007-10-31 쓰레기수거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24U KR200446173Y1 (ko) 2007-10-31 2007-10-31 쓰레기수거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96U true KR20090004196U (ko) 2009-05-07
KR200446173Y1 KR200446173Y1 (ko) 2009-10-01

Family

ID=412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24U KR200446173Y1 (ko) 2007-10-31 2007-10-31 쓰레기수거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96Y1 (ko) * 2010-08-13 2013-02-27 김재홍 이동작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8B1 (ko) * 2004-07-08 2008-02-18 송원순 쓰레기 봉투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96Y1 (ko) * 2010-08-13 2013-02-27 김재홍 이동작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73Y1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173Y1 (ko) 쓰레기수거용 카트
CN203391812U (zh) 牵引式多用售货车
CN102228372B (zh) 一种便携式坐便器
JPH03238201A (ja) ごみ容器
US7931141B2 (en) Golf bag carrier
KR20090008445U (ko)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CN207258491U (zh) 一种可移动城市垃圾桶
CN207613321U (zh) 一种多功能雨伞
KR200369868Y1 (ko) 쓰레기 수거용 카트
KR200439557Y1 (ko) 접이식 분리수거대
CN106275159B (zh) 挡泥板结构
JP4922356B2 (ja) 袋支持スタンド
CN219029222U (zh) 车载垃圾收纳总成以及车辆
RU89126U1 (ru) Снегоуборочная тачка
JP3712986B2 (ja) ベンチ
CN207072302U (zh) 一种越野型汽车用车顶架
US1048894A (en) Mud-guard.
JP3172408U (ja) 折り畳み式物品収容装置
CN103273949B (zh) 牵引式多用售货车
CN220743040U (zh) 一种老年人购物手拉车
CN200953979Y (zh) 学步摇椅两用车
CN2491310Y (zh) 男式摩托车踏板式保护架
CN211869435U (zh) 一种具有辅助承载件的折叠购物车
CN202027509U (zh) 一种便携式坐便器
CN209870410U (zh) 一种吸污净化车用可折叠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