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445U -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 Google Patents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445U
KR20090008445U KR2020080002156U KR20080002156U KR20090008445U KR 20090008445 U KR20090008445 U KR 20090008445U KR 2020080002156 U KR2020080002156 U KR 2020080002156U KR 20080002156 U KR20080002156 U KR 20080002156U KR 20090008445 U KR20090008445 U KR 200900084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cart
garba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한
Original Assignee
김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한 filed Critical 김창한
Priority to KR2020080002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445U/ko
Publication of KR20090008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2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1/26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이는 기존의 쓰레기 수거용 수레에서 불편한 점을 보다 편리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우후면 및 하면이 밀폐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전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패널(20)과; 좌우측이 상기 본체부(10) 하측의 좌우단에 일부 고정되도록 하여, 전후측이 상기 수직패널(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프레임(30)과; 상기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바퀴(40)와; 상기 본체부(10) 상부 및 좌부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0) 상부 우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결되는 제2 프레임(50)과; 상기 제2 프레임(50)에 고정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수평패널(60)과; 상기 제2 프레임(50)의 일측에 고정되는 보관통(70)과; 상기 본체부(10) 좌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쓰레기수거통(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편리한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체부, 수직패널, 프레임, 수평패널, 쓰레기수거통, 오수수집통

Description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A cart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rash}
본 고안은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도구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인간이 생활하는 범주 내에서 배출되는 폐물질(廢物質)로써, 이와 같은 쓰레기를 적절하게 처리 또는 처분하지 않을 경우, 생활공간을 더럽히고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의 보존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쓰레기를 재활용하거나 폐기처분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주택단지 등에서 배출된 쓰레기를 종량제 봉투에 담아 도로변에 내놓으면 쓰레기 수거차가 순회하면서 수거하게 되어 있다.
한편으로, 공공장소 또는 도로변의 환경미화를 위해 쓰레기 분리수거용 수레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수레는 환경미화원이 도로변에서 수거하여 적재한 쓰레기를 다시 수레까지 운반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등 운반 및 이동이 불편하고, 적재함을 목재 등으로 만들어 불결할 뿐 아니라 색상이 조잡하여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있으며, 무겁고 폭이 넓어 도로 등에서는 차량과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된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283876호에서는 쓰레기수거용 손수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는 절곡부를 가지는 사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절곡부 전면에 형성된 적재구와, 상기 절곡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제1투입구, 제2투입구 및 수납부와, 상기 제1투입구와 제2투입구 및 수납부를 각각 개폐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내부에 격판을 가지는 사각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수레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는 그 구성을 위한 여러가지 요소들로 인해 제작에 따른 비용소모가 크고, 모든 면이 밀폐되는 박스형태로 되어 있어 대량의 쓰레기 수거를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우며, 쓰레기 수거시 손수레가 오수에 오염되었을 때 그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쓰레기 수거에도 효율적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쓰레기 내에 오수가 포함되어 카트의 수거통에 유입되었을 시에도 이러한 오수를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재에 의해 전우후면 및 하면이 밀폐되어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전후단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수직패널과; 좌우측이 상기 본체부 하측의 좌우단에 일부 고정되도록 하여, 전후측이 상기 수직패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수직패널 및 제1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 되고 상기 수직패널 및 제1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퀴와; 상기 본체부 상부 및 좌부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 상부 우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결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전후측에 고정된 회동축에 연결되어 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의 좌우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수평패널과; 길이가 긴 청소도구를 보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보관통과; 상기 수평패널이 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 좌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쓰레기수거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우측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바퀴가 설치된 본체부가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브레이크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제2 바퀴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우면 상부에는 고정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패널 우측에는 상기 고정고리에 끼움되는 끼움홈이 일측에 형성된 힌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제2 프레임 우측 전후방향으로 고정홀을 형성하여 지지대를 삽입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상기 본체부 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고안은, 상기 쓰레기수거통 상단에 종량제 봉투를 덮어 배치한 다음에 그 종량제 봉투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쓰레기수거통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되는 끼움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면 좌측 중앙부에 제1 홀을 형성하고,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하면 일측에 상기 제1 홀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에 연결되는 오수수집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판재, 관재, 바퀴 등을 사용하는 단순한 구성요소로 제작가능하고 본체부에 설치된 수평패널을 통해 형성된 공간을 청소도구보관용 또는 쓰레기 수거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공간 효율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리수거용 카트는 손잡이용으로 돌출된 제2 프레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오수가 카트의 오수수거통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간단히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장소 또는 도로변 등의 노상에 오수가 흐르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의 오수수집통 및 끼움고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는 기본적으로 본체부(10)와, 본체부(10) 전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패널(20)과, 좌우측이 본체부(10) 하측 좌우단에 일부 고정되어 전후측이 수직패널(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제1 프레임(30)과,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바퀴(40)와, 본체부(10) 상부 및 좌부를 따라 고정되고 상부측이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결되는 제2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5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패널(60)과, 제2 프레임(50)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보관통(70)과, 본체부(10)에 배치되는 쓰레기수거통(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그 내측에 소정공간을 형성하도록 강판 등에 의해 전우후면 및 하면이 밀폐되어 상면 및 좌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수거통을 배치하거나 소형의 청소도구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그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청소도구 보관용 고리를 복수개 설치하여 이동시에도 이러한 청소도구를 손쉽게 본체부(10)로부터 취하거나 그에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패널(20)은 본체부(10) 전후단에 설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본체 부(10) 하측으로 설치되어 제1 바퀴(40)가 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1 프레임(30)은 전후측의 좌우방향 길이가 수직패널(20)의 길이와 동일하고 좌우측의 길이가 본체부(10) 좌우측 보다 소정길이 더 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좌우측이 본체부(10) 좌우측에 일부 고정되도록 하여 전후측이 수직패널(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제1 바퀴(40)가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바퀴(40)는 기술된 바와 같이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회전축(41)으로 결합되는데, 자전거의 바퀴와 유사한 제1 바퀴(40) 중심에 형성된 홀에 축을 관통시키고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에 형성된 홀에 축의 양측을 용접 고정시키거나 축 양측에 나선을 형성하여 나선결합시킴으로써 제1 바퀴(40)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프레임(50)은 본체부(10) 상부 및 좌부를 따라 고정되고 그 상부가 우측으로 돌출 및 연결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부의 연결은 제2 프레임(5)의 돌출부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처리하여 연결하거나 삼각형의 좌우변을 연결하는 식으로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도록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패널(60)은 양측이 제2 프레임(50)의 상부 전후측에 고정된
회동축(61)에 일측이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데, 회동축(61)은 수평패널(60)에 부착된 소형의 원형관을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제2 프레임(50)에 직접적으로 용접 고정될 수 있고 제2 프레임(50) 전후측에 형성된 홀 중 일측을 관통하고 다음으로 수평패널(60)의 원형관을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제2 프레임(50)의 타측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수평패널(60)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패널(60)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본체부(10) 중 일부를 청소도구 및 기타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가능하고 나머지 일부는 쓰레기수거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량의 쓰레기 수거시에는 수평패널(60)을 따로 분리하여 본체부(10) 전체를 쓰레기수거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보관통(70)은 길이가 긴 청소도구, 예를 들어 빗자루, 대걸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고, 이는 제2 프레임(50) 중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며, 대량의 청소도구를 이동보관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적합한 크기의 원통형 관과 같은 통을 설치하고 그 관 상측을 십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획 분리하여 복수개의 청소도구를 배치한다.
상기 쓰레기수거통(80)은 현재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드럼통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수거통(80)은 본체부(10)의 좌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며, 그 상단에는 쓰레기수거통(80)에 종량제 봉투가 덮여졌을 시에 봉투를 고정하기 위한 끼움고리(81)가 쓰레기수거통(8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끼움된다. 이러한 끼움고리(81)에는 쓰레기수거통(80)의 상부에 끼움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면 우측 중앙부에는 제2 바퀴(90)가 더 설치되는데, 이는 제1 바퀴(40)가 설치된 본체부(10)가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바퀴(40)와 비교해 작은 크기를 가지며 종래 기술에 따라 유모차, 유아용 탈 것 등에 장착되는 브레이크(91)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간단히 발을 사용하여 제2 바퀴(9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 우면 상부에는 고정고리(11)가 설치되어 있어, 수평패널(60) 일측에 고정고리(11)에 끼움되는 끼움홈을 갖는 힌지(61)와 서로 결합되어 수평패널(6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고리(11)에 자물쇠를 설치하여 카트 사용자 이외에 타인이 수평패널(60) 및 본체부(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납된 청소도구 및 물품을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수거통(80)이 본체부(10) 하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가능한 경우 본체부(10) 또는 제2 프레임(50) 좌측 전후방향에 고정홀(12)을 형성하여, 본체부(10)에 쓰레기 수거통(80)을 배치하고 일측 끝단에 단턱이 형성된 지지대(13)를 이 고정홀(12)에 설치하여 쓰레기수거통(80)이 본체부(10) 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쓰레기 수거시 또는 공공장소나 도로변 청소시에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오수가 쓰레기수거통(80)에 쓰레기와 함께 수거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본체부(10)의 하면 좌측 중앙부에 제1 홀(14)을 형성하고 쓰레기수거통(80)의 하면 일측에 제1 홀(14)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제2 홀(82)을 형성하며 그 제1 홀 및 제2 홀(14, 82)에 오수수집통(100)을 설치함으로써, 쓰레기수거통(80)에 오수가 모이면 제2 프레임(50)의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본체부(10)의 좌측을 아래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오수수집통(100)으로 그 오수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한 오수수집통(100)은 나선이 형성되어 있어 제1홀 및 제2 홀(14, 81)에 나선결합되는 삽입부와, 오수가 수집되는 몸통부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판재 또는 쓰레기수거통(80)에 복수개의 구멍들을 형성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트를 더욱 경량화 하거나 미적효과를 더할 수 있으며, 상기된 바와 같은 고정홀(12) 대신에 이러한 구멍을 통해 지지대(13)를 설치하여 쓰레기수거통(80)이 본체부(10) 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의 오수수집통 및 끼움고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6)

  1. 판재에 의해 전우후면 및 하면이 밀폐되어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전후단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수직패널(20)과;
    좌우측이 상기 본체부(10) 하측의 좌우단에 일부 고정되도록 하여, 전후측이 상기 수직패널(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제1 프레임(30)과;
    상기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패널(20) 및 제1 프레임(30)을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41)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퀴(40)와;
    상기 본체부(10) 상부 및 좌부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0) 상부 우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결되는 제2 프레임(50)과;
    상기 제2 프레임(50)의 전후측에 고정된 회동축(61)에 연결되어 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좌우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수평패널(60)과;
    길이가 긴 청소도구를 보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50)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보관통(70)과;
    상기 수평패널(60)이 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 좌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쓰레기수거통(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하면 우측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바퀴(40)가 설치된 본체부(10)가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브레이크(91)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제2 바퀴(9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 우면 상부에는 고정고리(11)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패널(60) 우측에는 상기 고정고리(11)에 끼움되는 끼움홈이 일측에 형성된 힌지(6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 또는 제2 프레임(50) 좌측 전후방향으로 고정홀(12)을 형성하여 일측 끝단에 단턱이 형성된 지지대(13)를 삽입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80)이 상기 본체부(10) 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수거통(80) 상단에 종량제 봉투를 덮어 배치한 다음에 그 종량제 봉투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쓰레기수거통(80)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되는 끼 움고리(8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하면 좌측 중앙부에 제1 홀(14)을 형성하고, 상기 쓰레기수거통(80)의 하면 일측에 상기 제1 홀(14)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홀(82)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홀 및 제2 홀(14, 82)에 연결되는 오수수집통(1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KR2020080002156U 2008-02-18 2008-02-18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KR200900084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56U KR20090008445U (ko) 2008-02-18 2008-02-18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56U KR20090008445U (ko) 2008-02-18 2008-02-18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45U true KR20090008445U (ko) 2009-08-21

Family

ID=4129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156U KR20090008445U (ko) 2008-02-18 2008-02-18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44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790A (zh) * 2013-03-19 2013-07-24 林淑琴 一种环卫车
CN108423343A (zh) * 2018-02-27 2018-08-21 南安市如兴智能家居开发有限公司 安全系数高的人力三轮垃圾车
CN110182495A (zh) * 2019-06-25 2019-08-30 上海龙澄专用车辆有限公司 桶装垃圾运输车
CN111470220A (zh) * 2020-04-21 2020-07-31 张坤海 一种环卫推车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790A (zh) * 2013-03-19 2013-07-24 林淑琴 一种环卫车
CN108423343A (zh) * 2018-02-27 2018-08-21 南安市如兴智能家居开发有限公司 安全系数高的人力三轮垃圾车
CN110182495A (zh) * 2019-06-25 2019-08-30 上海龙澄专用车辆有限公司 桶装垃圾运输车
CN111470220A (zh) * 2020-04-21 2020-07-31 张坤海 一种环卫推车
CN111470220B (zh) * 2020-04-21 2022-10-11 青岛泰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卫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86752B (zh) 用于电动垃圾收集车内的垃圾压实机构和电动垃圾收集车
KR20090008445U (ko)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JP2006103838A (ja) ゴミ収集用集積庫
KR101753538B1 (ko) 생활쓰레기 수거용 청소차량의 적재함
JPH10316203A (ja) ごみ集荷容器
KR200442269Y1 (ko) 쓰레기 수거장치
JP3088504U (ja) ゴミ集積用具
CN214783538U (zh) 一种带有垃圾收集篮的清洁车
CN206705025U (zh) 一种用于汽车内的垃圾存放结构
CN2401505Y (zh) 车载封闭垃圾箱
KR200319621Y1 (ko)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
KR101265987B1 (ko) 다기능성 보관함
CN211256814U (zh) 一种环卫清洁器
CN212686523U (zh) 一种电动环保垃圾收集车
CN217497352U (zh) 一种多功能垃圾分类新能源车辆
CN211469606U (zh) 一种多功能保洁车
JPS62269801A (ja) ゴミ袋用箱
US8672170B2 (en) Deep refuse container
CN212862646U (zh) 一种垃圾运转车用的垃圾桶承载装置
CN218757205U (zh) 一种路面垃圾清理机
CN201614073U (zh) 地下垃圾桶脚踏自动开盖装置
CN201932606U (zh) 小型拉臂钩配套的分类回收垃圾箱体
KR20040091986A (ko)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
CN209097469U (zh) 一种城市隐形垃圾箱
KR100644288B1 (ko)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