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141A -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141A
KR20090004141A KR1020070068119A KR20070068119A KR20090004141A KR 20090004141 A KR20090004141 A KR 20090004141A KR 1020070068119 A KR1020070068119 A KR 1020070068119A KR 20070068119 A KR20070068119 A KR 20070068119A KR 20090004141 A KR20090004141 A KR 2009000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button tray
door
outlet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931B1 (ko
Inventor
이남기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31B1/ko
Priority to PCT/KR2008/003879 priority patent/WO2009008620A2/en
Priority to US12/166,780 priority patent/US8001796B2/en
Publication of KR2009000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된 음식물을 취출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내용물을 취출할 수 있는 스위치 역할과 내물이 취출되고 난 후에 일부 잔여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 도어, 디스펜서

Description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Food stor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보관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음식물 보관기기로는 냉장고가 있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은 음식물과 야채를 신선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대략 3~4℃ 온도로 유지되고, 상기 냉동실은 육고기와 음식물 등을 얼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영하의 온도로 유지된다.
또한, 종래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를 포함한다.
최근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제빙에 관한 일련의 과정들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편리하게 얼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제빙 장치와, 얼음 또는 물을 냉장고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dispenser) 등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이 냉장고에 부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냉장고는 디스펜서에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 취 출덕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때 잔류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어의 외측에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덕트가 도어의 내부로 수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잔류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내용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도 잔류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취출구를 갖는 디스펜서, 상기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버튼 트레이, 그리고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버튼 트레이는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취출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보관기기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중에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알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구간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구간이 변할 때 상기 알림장치는 음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취출구는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구와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취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물 취출구가 상기 얼음 취출구보다 도어의 전면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는 사용시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전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고, 보관시에는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무빙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함몰형성된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단계, 그리고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중에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버튼 트레이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무빙 슈트와 상기 무빙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버튼 트레이가 함께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버튼 트레이의 이동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취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버튼 트레이로 두 종류 이상의 내용물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음식물 보관기기의 일측에 알림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중에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버튼의 역할과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소정의 내용물이 취출된 후 취출구에서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에 구비된 트레이 이동장치는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잔류 내용물이 취출되는 취출구의 방향으로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잔류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는 내용물이 취출되는 취출구가 도어의 내부로부터 틸아웃 되거나, 도어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도어에 형성된 함몰부에 설치되는 모든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무빙슈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도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무빙슈트가 도어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잔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를 냉장고에 한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는 냉장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장고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냉동실, 냉장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60, 70)와 냉동실 도어(5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장실은 두 개의 블럭으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냉장실은 제1 냉장실과 제2 냉장실로 구성되며, 냉장실 도어(60, 70)는 상기 제1 냉장실과 제2 냉장실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냉장실 도어(60)와 제2 냉장실 도어(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냉장실 도어(60) 및 제2 냉장실 도어(70)는 냉장고 본체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개폐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50)는 슬라이딩 형식으로 냉장고 본체의 전후로 개폐된다.
물론,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도어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는 탑 마운트형이나 양문형 냉장고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는 소정의 내용물 즉,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0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에는 상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고 난 후의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200)가 설치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 설치된 디스펜서와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냉장실 도어(60)에 설치된 디스펜서와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1 냉장실 도어는 전면프레임(61)과 후면프레임(63)을 가진다. 상기 전면프레임(61)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후면프레임(63)의 일부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노출된다.
상기 전면프레임(61)과 후면프레임(6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냉동실과 연통되며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기(미도시), 상기 제 빙기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용기(미도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빙기, 얼음 저장용기 및 물 탱크는 냉장고 본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동실 도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의 일부에는 상기 물 탱크 및 얼음 저장용기와 연결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0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사용시 전면프레임(61)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보관시 상기 전면프레임(61)과 후면프레임(63)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무빙슈트(moving chute)(120)와, 상기 무빙 슈트와 함께 상기 전면프레임(61)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디스펜싱 커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에는 내용물, 즉 얼음 또는 물의 취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113)과 상기 내용물이 취출되는 상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에는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를 외부에서 확인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투명 패널부(115)가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무빙슈트의 취출구(121)에서 취출되는 내용물이 용기에 얼마만큼 수용되었는지를 상기 투명 패널부(115)를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도어 내부 공간에 별도의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내용물이 용기에 얼마만큼 수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물이 취출될 때에만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가 작동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물론, 이때 디스펜싱 커버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와 무빙슈트(120)는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와 무빙슈트(120)는 하나의 디스펜싱 하우징을 형성하고, 디스펜싱 커버가 상기 디스펜싱 하우징의 외곽을 구성하며 상기 무빙슈트가 상기 디스펜싱 하우징의 내부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와 무빙슈트(120)는 함께 움직이며 상기 무빙슈트(120)는 도어 내부로 인/입출 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00)는 일측은 상기 무빙슈트(120)와 연통되며 타측은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용기와 연통되는 고정슈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슈트(130)는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소정의 결합유닛(미도시), 예를 들면 볼트/너트, 후크 등에 의하여 상기 공간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무빙슈트(120)가 전면프레임(6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거나 도어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이거나 상관없이 상기 무빙슈트(120)는 항상 고정슈트(130)와 연통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물론, 전면프레임(61)과 후면프레임(6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고정슈트를 연통시키기 위한 얼음 취출덕트(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슈트(130)와 연통되는 얼음 취출덕트의 끝단에는 상기 얼음 취출덕트를 개폐하기 위한 덕트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를 전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무빙슈트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빙슈트 이동장치는 무빙슈트(120)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펜싱 커버(110)를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170),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가 상기 전면프레임(6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미도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와 상기 전면프레임(61)을 결합시키면서 상기 탄성장치의 복원력을 억제하고 있는 결합장치(181, 18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장치는 디스펜싱 커버(110)에 구비되는 제1 결합장치(181)과 도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제2 결합장치(18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장치(181)와 상기 제2 결합장치(183)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결합되기도 하고 해제되기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먼저 제1 결합장치와 제2 결합장치가 함께 가압되면 제2 결합장치에 구비된 갈고리가 제1 결합장치에 구비된 결합홈에서 해제되고, 재차 상기 제1 결합장치가 가압되면 상기 갈고리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징슈트 이동장치는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의 이동시 상기 디스펜싱 커버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퍼(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로는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가 회전할 때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일정한 힘을 가해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의 회전에 대하여 비교적 일정한 힘을 줄 수 있는 가스 스프링(Gas spring)이나, 기어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70)는 상기 디스펜싱 커버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축(미도시)과 상기 힌지축과 대응되며 전면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힌지홈(미도시)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디스펜싱 커버(110)에 결합되고,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덕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을 취출하고자 할 때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 및 무빙슈트(120)가 전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에 결합된 물 취출덕트(미도시)도 함께 이동되게 되고 상기 물 취출덕트의 배출구에서 물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에는 상기 무빙슈트의 취출구(121)에서 취출되는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구(121)에서 취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부공간 일측에는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200)와 함께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취출 스위치(270)를 갖는 제어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200)는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기 위하 여 상기 취출 스위치(27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버튼 스위치(280)와, 상기 잔류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취출구(121)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버튼 트레이(210), 상기 버튼 트레이(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이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200)는 상기 버튼 트레이(2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250)와, 상기 버튼 트레이(210)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안내부재(250)의 안내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트레이(210)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버튼 트레이(210)의 전면패널에는 내용물을 취출하는 취출용기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곡면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부(211)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면서 취출용기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버튼 트레이(2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이동부재 바닥부(223)과 상기 이동부재 바닥부(223)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 트레이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이동부재 후벽(22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바닥에는 상기 안내부재와 대응되는 안내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부재(220)가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재의 안내홈(227)이 상기 안내부재(25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부재(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 트레이(210)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2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 트레이(2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 동부재(220)는 상기 버튼 트레이(21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후면패널에 설치되며 자성을 가지는 제1 결합부재(261)와, 상기 이동부재 후벽(225)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261)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2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영구자석,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영구자석, 전자석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부재와 버튼 트레이의 결합은 착탈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결합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부재와 버튼 트레이는 후크결합이나 나사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0)에는 상기 취출 스위치(27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스위치(28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재(220)가 이동하면서 상기 버튼 스위치(280)가 상기 취출스위치(270)와 접촉을 하게 되면 제어장치는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상기 신호를 바탕으로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 이동장치는 상기 버튼 트레이(2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로서 와이어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트레이 이동장치는 도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롤러(230)와, 외력의 작용시 상기 롤러에서 풀어지고 외력의 제거시 상기 롤러에 감기면서 상기 버튼 트레이(210)를 이동시키는 와이어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240)의 일측은 이동부재(220)에 구비된 스프링 설치부(22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롤러(23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230)는 회전하는 몸체부(233)와 상기 몸체부(233)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축부(231)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롤러(230)에는 몸체부(233)의 회전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버튼 트레이(210)가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버튼 트레이와 결합된 이동부재(220)가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이 인장력을 받게 되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인장력으로 인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롤러에서 풀려지게 된다.
이후에,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복원력 또는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240)은 다시 롤러(230)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스프링(240)과 결합된 이동부재(220)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트레이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는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로는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과 같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 트레이가 외력에 의하여 도어의 내부공간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된 상태로 도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 트레이를 밀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원하는 내용물, 즉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디스펜싱 커버의 하단부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펜싱 커버(110)와 전면프레임(61)을 결합시키고 있는 결합장치(181, 183)가 설치된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와 버튼 트레이(210)는 동시에 상기 전면 프레임(6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싱 커버(110)는 무빙슈트 이동장치에 구비된 탄성장치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면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버튼 트레이(210)는 트레이 이동장치에 구비된 탄성부재, 즉 와이어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면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담고자 하는 용기를 버튼 트레이(210)에 갖다 대면서 상기 버튼 트레이(210)를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버튼 트레이(210)와 결합된 이동부재(220)는 버튼 트레이와 함께 안내부재(250)를 따라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 스프링(240)은 이동부재(220)의 이동과 함께 상기 롤러(230)에서는 풀려지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되면서 특정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버튼 트레이(210)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280)는 도어 내부의 취출 스위치(270)와 연결된다. 그러면, 제어장치는 상기 연결스위치와 취출스위치의 연결에 의하여 발생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취출구(121)를 통하여 내용물을 취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빙슈트(120)가 전면 프레임(6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만 상기 취출구(121)를 통하여 내용물을 취출한다. 즉, 무빙슈트와 버튼 트레이가 함께 도어 내부로 수용될 때는 내용물이 취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상기 버튼 스위치(280)와 취출 스위치(270) 사이의 연결상태의 유지시간 또는 접촉위치 등을 포함하는 정보에 의하여 발생한다.
다음으로, 내용물의 취출이 종료하고, 사용자가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상기 버튼 트레이(210)로부터 떼어내면 상기 와이어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재(220) 및 버튼 트레이(210)가 원래의 위치, 즉 취출구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취출구(121)에서 내용물이 취출되고 난 직후의 잔류 내용물은 상기 버튼 트레이(210)에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디스펜싱 커버(110)를 상기 도어의 내부측으로 밀면 상기 무빙슈트(120)와 버튼 트레이(210)는 도어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버튼 트레이(210)는 취출구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취출구에서 취출될 수 있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 트레이(210)는 전면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나 도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나 항상 취출구(121)의 하부에 위치하 게 됨으로써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버튼 트레이의 이동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식물 보관기기가 냉장고이고, 상기 내용물이 물과 얼음에 해당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버튼 트레이(210), 그리고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위치에 따라 물과 얼음이 선택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과 얼음을 취출하기 전에 먼저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는 제어버튼(도 2의 113 참조)을 사용하여 물과 얼음의 취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버튼은 물과 얼음을 함께 배출하기 위한 버튼, 물을 배출하기 위한 버튼,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 트레이(210)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물 취출구(191)와 얼음 취출구(121)에서 상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취출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취출구(191)는 상기 얼음 취출구(121)보다 도어의 전면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얼음이 취출될 때 물 취출덕트의 끝단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중에 물 또는 얼음의 취출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알림장치(2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알림장치(290)는 상기 버튼 트레이(210)가 특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음향이나, 소리 또는 빛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장치(29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빛을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장치(29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소리를 들을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트레이가 특정의 위치까지 이동을 하게 되면 캠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운동체와 제2 운동체가 서로 스텝형태의 변위이동을 하면서 '딸깍'하는 소리를 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위치는 상기 버튼 트레이와 일체로 이동되는 이동부재(220)의 후벽에 설치되는 버튼 스위치(280)와 도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취출 스위치(27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 스위치(280)와 취출 스위치(270)는 일종의 거리 센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재의 후벽에 설치되는 제1 거리센서이고, 상기 취출 스위치는 도어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거리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리센서가 이동될 때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는 서로 대응되면서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한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물 취출덕트 및 얼음취출덕트의 개폐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중에 물 또는 얼음의 취출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알림장치(290)를 제어한다.
도 5에 표시된 X축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X0는 얼음 취출덕트(190)가 도어의 전면으로 돌출되었을 때 버튼 트레이의 끝단에서 상기 물 취출구(191)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X1은 물 취출구에서 물이 취출될 때 버튼 트레이 끝단의 위치(이하, '제1 위치'라 한다.)를 나타내고, X2는 얼음 취출구(121)에서 얼음이 취출될 때 버튼 트레이 끝단의 위치(이하, '제2 위치'라 한다.)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 트레이의 제1 위치에서 물의 취출여부에 대한 스위치가 온/오프되고, 제2 위치에서 얼음의 취출여부에 대한 스위치가 온/오프된다. 물론, 상기 스위치가 온/오프될 때 물 또는 얼음이 나오는 시간은 미리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X3 은 상기 알림장치(290)가 작동될 때 상기 버튼 트레이 끝단의 위치(이하, '제3 위치'라 한다.)를 나타내고, X4는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취출구의 끝단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구간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X1 ~X3의 구간은 물이 취출될 수 있는 구간이고, X2~X3의 구간은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중에 물 또는 얼음의 취출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구간이다. 또한, X2 ~X4의 구간은 얼음이 취출될 수 있는 구간이다.
이하에서는 무빙슈트와 버튼 트레이가 도어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물과 얼음을 순차적으로 취출하기 위하여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버튼 트레이의 곡면부(도 4a의 211 참조)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X방향으로 민다(제1 단계).
그러면, 상기 버튼 트레이의 위치에 따라 물과 얼음이 각각 배출되고(제2 단계),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중에 물과 얼음의 취출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제3 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 트레이(210)가 제1 위치에 오면, 상기 물 취출구(191)에서 물이 취출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물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취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용기의 이동, 즉 버튼 트레이의 이동을 멈춘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물을 받게 될 것이다. 물론, 상기 물이 취출되기 시작한 후부터 사용자가 용기를 X 방향으로 일정 거리 더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에, 사용자가 용기를 지속적으로 X 방향으로 밀어, 상기 버튼 트레이(210)가 제3 위치에 오면 더 이상 물이 취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알 림장치(290)가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장치(290)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음향 또는 빛을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물의 취출이 종료되었다는 사실 및/또는 얼음이 취출될 거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용기를 지속적으로 X 방향으로 밀어, 상기 버튼 트레이(210)가 제2 위치에 오면 얼음 취출구(121)에서 얼음이 취출된다. 마찬가지로, 얼음은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취출될 것이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미는 힘을 제거했을 때, 즉 용기를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버튼 트레이는 용기를 따라 물 취출구(191) 및 얼음 취출구(1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버튼 트레이는 상기 무빙덕트나 물 취출덕트에 남아 있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용기와 버튼 트레이를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즉 버튼 트레이의 이동속도와 용기의 이동속도가 동일하면 물 또는 얼음이 용기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는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1200)가 구비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가 설치되는 도어(60),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200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트레이와 버튼 트레이 이동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도어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함몰형성된 함몰부(S)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취출구(1200)는 상기 함몰부(S)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 트레이(2100)는 상기 취출구(12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이 취출되지 않을 때 상기 버튼 트레이(2100)는 취출구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 트레이(2100)를 도어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버튼 트레이(2100)는 도어의 내부공간으로 일부 수용된다. 이때,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 스위치는 도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취출 스위치와 연결되면서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 트레이를 미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즉 내용물을 받기 위한 용기를 버튼 트레이(2100)로부터 제거하면 버튼 트레이(210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버튼 트레이는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 트레이를 사용할 때만 상기 버튼 트레이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 상기 버튼 트레이가 도어 내부에 다시 수 용하는 경우에는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는 상술한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1210, 1230)가 구비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가 설치되는 도어(60),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구(1210)에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300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내용물이 취출되는 취출구(1210, 1230)가 도어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물 취출구(1230)가 얼음 취출구(1210)보다 도어의 전면 외측으로 더 많이 돌출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얼음보다 물을 자주 취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버튼 트레이(3100)도 상기 도어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취출구(1210, 12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는 상기 취출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의 전면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1000)에는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1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트레이(3100)의 하부에는 취출구에서 내용물이 취출되고 난 후 잔류 내용물을 보조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하부 트레이(1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는 걸림돌기(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전면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보관기기에 구비된 디스펜서가 사용될 때의 도어 전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가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가 사용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트레이의 이동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구비된 도어 전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구비된 도어 전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냉동실 도어 60, 70: 냉장실 도어
61: 전면 프레임 63: 후면프레임
100: 디스펜서 110: 디스펜싱 커버
120: 무빙슈트 130: 고정슈트
200: 버튼 트레이 복합장치 210: 버튼 트레이
220: 이동부재 230: 롤러
240: 탄성부재 250: 안내부재
270: 취출스위치 280: 버튼스위치

Claims (13)

  1.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취출구를 갖는 디스펜서;
    상기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버튼 트레이; 그리고,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트레이는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상기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취출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트레이의 이동 중에 사용자에게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인지시 키기 위한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구와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취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물 취출구가 상기 얼음 취출구보다 도어의 전면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구간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알림장치는 물이 취출되는 구간과 얼음이 취출되는 구간 사이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전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고, 보관시에는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무빙슈트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함몰형성된 함몰부를 형성하며, 상기 취출구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기기.
  10. 소정의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단계; 그리고,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트레이가 이동되는 중에 사용자가 상기 내용물의 취출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취출된 후에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잔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버튼 트레이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무빙 슈트와 상기 무빙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버튼 트레이가 함께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68119A 2007-07-06 2007-07-06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119A KR101405931B1 (ko) 2007-07-06 2007-07-06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8/003879 WO2009008620A2 (en) 2007-07-06 2008-07-01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12/166,780 US8001796B2 (en) 2007-07-06 2008-07-02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119A KR101405931B1 (ko) 2007-07-06 2007-07-06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41A true KR20090004141A (ko) 2009-01-12
KR101405931B1 KR101405931B1 (ko) 2014-06-12

Family

ID=4022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119A KR101405931B1 (ko) 2007-07-06 2007-07-06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01796B2 (ko)
KR (1) KR101405931B1 (ko)
WO (1) WO2009008620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41B1 (ko) * 2008-04-07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57424B1 (ko) * 2008-04-07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201715B2 (en) 2008-04-07 2012-06-1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20160063818A (ko) 2014-11-27 201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005B1 (ko) * 2007-07-0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00292B1 (ko) * 2007-07-05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857206B2 (en) * 2009-12-07 2014-10-14 Whirlpool Corporation Multifunction dispenser actuation pad
WO2011139116A2 (en) * 2010-05-06 2011-11-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175894B2 (en) 2011-07-25 2015-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and solids
US9654434B2 (en) * 2012-10-01 2017-05-16 Sharp Kabushiki Kaisha Message originating server, message orginating method, terminal,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electric appliance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37690B2 (en)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52046B2 (en)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US11293680B2 (en)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6361B1 (en) * 1994-08-18 2001-02-13 Creamiser Products Corporation Liquid dispenser
US6182453B1 (en) * 1996-04-08 2001-02-06 Worldwide Water, Inc. Portable, potable water recovery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020148858A1 (en) * 2000-07-31 2002-10-17 Claudio Bertone Multi-flavoured hot beverage dispenser
US7337594B2 (en) * 2002-04-22 2008-03-04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KR100852741B1 (ko) 2002-08-08 2008-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스부
AU2003303505A1 (en) * 2002-12-31 2004-07-29 Diebold, Incorporated Atm currency cassette arrangement
KR100510698B1 (ko)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100991543B1 (ko) 2003-10-06 201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 또는 물 취출장치
US7269968B2 (en) * 2004-03-11 2007-09-18 Norcold, Inc. Chilled water dispens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US7340914B2 (en) * 2005-01-03 2008-03-1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and ice dispenser having a retractable ledge
US7607312B2 (en) * 2005-05-27 2009-10-27 Maytag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with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20070025488A (ko) * 2005-09-02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KR100729962B1 (ko) 2005-10-21 2007-06-1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US7287555B2 (en) * 2005-11-30 2007-10-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Dispens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KR100745791B1 (ko) * 2005-12-06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US8905267B2 (en) * 2005-12-12 2014-12-09 Carrier Corporation Concentrate holder
KR101215095B1 (ko) 2005-12-21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41B1 (ko) * 2008-04-07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57424B1 (ko) * 2008-04-07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201715B2 (en) 2008-04-07 2012-06-1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20160063818A (ko) 2014-11-27 201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01796B2 (en) 2011-08-23
WO2009008620A2 (en) 2009-01-15
WO2009008620A3 (en) 2009-08-20
US20090013699A1 (en) 2009-01-15
KR101405931B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141A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0029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6951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40593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CN111492190B (zh) 冰箱
US8016160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CN100449232C (zh) 冰箱
EP3150946B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20150124223A (ko) 냉장고
EP2024697B1 (en) Refrigerator
KR20110088937A (ko) 냉장고
EP2357436B1 (en) The refriger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US8365548B2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KR20170119864A (ko) 디스펜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2781861B1 (en) Refrigerator with an ice dispenser
KR20130045437A (ko) 냉장고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101153582B1 (ko) 디스펜서의 물꼭지 오염 방지 장치
KR100852672B1 (ko)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68174A (ko) 냉장고
KR20100071306A (ko) 냉장고
KR20210031885A (ko) 냉장고
JPH07141552A (ja) 自動販売機
KR10095742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12290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