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818A -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818A
KR20160063818A KR1020140167582A KR20140167582A KR20160063818A KR 20160063818 A KR20160063818 A KR 20160063818A KR 1020140167582 A KR1020140167582 A KR 1020140167582A KR 20140167582 A KR20140167582 A KR 20140167582A KR 20160063818 A KR20160063818 A KR 20160063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erminal
bolt
junction block
large curren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해윤
이영종
고형근
김항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818A/ko
Publication of KR2016006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트가 장착되며, 와이어가 구비된 대전류단자와; 버스바와 함께 너트를 통해 상기 대전류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정션블록으로 구성되어, 볼트 및 너트를 정션블록에 조립하지 않게 하여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종래의 볼트 고정 방식에 비해 추가 여유가 불필요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대전류단자 조립 후 체결 시 볼트의 진입 각도에 의한 볼트 및 너트의 나사산 마모로 인한 품질 문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와이어 장력에 의한 터미널 이탈 방지가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high current terminal of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션블록에 대전류단자 결합 시 볼트 및 너트를 정션블록에 조립하지 않게 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전류단자는 자동차용 단자의 종류 중 대전류 통전용으로 제작된 판형 단자로 10SQ 이상 와이어와 압착되며, 버스바와 접점유지를 통한 전류를 공급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블록(20)에 통전 볼트(11)를 고정하고 버스바(22)와 대전류단자(10)를 조립한 후 너트(21)를 조여 통전이 되도록 한다.
이때, 대전류단자(10)와 압착된 와이어(12)의 굵기와 유연함 정도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난이도가 결정된다.
여기서, 대전류단자(10)의 장착을 위해서는 와이어(12)의 여유길이 반영되는데, 볼트(11) 높이 이상의 길이가 반영되며, 그 길이는 a+b가 된다. 이는 작업자가 대전류단자(10) 장착을 위해서는 b의 길이만큼 눌러 주거나 너트(21) 작업 시 그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하는데 와이어(12)가 굵거나 유연함이 없다면 상당히 힘든 작업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구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1)와 너트(12)의 위치를 변경하여 정션블록(20)에 너트(21)를 고정하고 버스바(22)와 대전류단자(10)를 조립한 후 볼트(11)를 조여 통전이 되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도 도 2의 a와 같이 볼트(11)의 진입각도가 수직이 되어야 하나 진입각도가 b 또는 c 처럼 기울어질 경우 볼트(11) 및 너트(21)의 나사산 마모가 발생되어 진동 및 외력에 의한 볼트(11) 및 너트(21)의 풀림이 발생되며, 이는 대전류단자(10)와 버스바(22)의 들뜸이 발생 되어 접점 유지가 불가능 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14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션블록에 대전류단자 결합 시 볼트 및 너트를 정션블록에 조립하지 않게 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볼트가 장착되며, 와이어가 구비된 대전류단자와; 버스바와 함께 너트를 통해 상기 대전류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정션블록;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대전류단자는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헤드부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의 나사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는 상기 관통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션블록 하단에는 상기 대전류단자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션블록 하단 측면에는 상기 대전류단자와 상기 버스바를 고정시키는 보조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류단자는 상기 정션블록에 측면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볼트 및 너트를 정션블록에 조립하지 않게 하여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종래의 볼트 고정 방식에 비해 추가 여유가 불필요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대전류단자 조립 후 체결 시 볼트의 진입 각도에 의한 볼트 및 너트의 나사산 마모로 인한 품질 문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와이어 장력에 의한 터미널 이탈 방지가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서 대전류단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서 대전류단자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에서 대전류단자가 장착된 정션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A-A선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10)가 구비된 대전류단자(100)와, 너트(220)를 통해 대전류단자(100)가 삽입 고정되는 정션블록(200)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류단자(100)는 내부에 볼트(110)가 장착되며, 외측에는 와이어(120)가 구비된다.
이때, 대전류단자(100)는 내부에 삽입공간(101)이 형성되며, 상면에 관통홀(102)이 형성되도록 하여 볼트(110)에 형성된 헤드부(111)는 삽입공간(101)에 삽입되고, 볼트(110)의 나사부(112)는 관통홀(10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블록(200)은 버스바(210)와 함께 너트(220)를 통해 대전류단자(100)가 삽입 고정되어 버스바(210)와 접점유지를 통한 전류를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너트(220)는 관통홀(102) 외부로 노출된 볼트(110)의 나사부(112)에 결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특징인 정션블록(200)에 볼트(110) 및 너트(220) 조립이 용이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볼트(110)를 대전류단자(100)에 조립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기술로, 종래기술 보다 제조 조립 공정이 간단하며, 대전류단자(100) 통전을 위한 서브 작업 공수 축소 및 와이어(120) 굵기와 유연함에 의한 조립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류단자(100)를 측면방향인 A-1에서 A-2 방향으로 삽입한 후 너트(220)를 체결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와이어(120) 여유길이 및 텐션에 의한 임의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류단자(100)와 버스바(210)가 너트(220)에 의하여 접점을 유지하게 되어 전류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블록(200) 하단에는 대전류단자(100)를 고정시키는 걸림턱(201)이 형성되며, 정션블록(200) 하단 측면에는 대전류단자(100)와 버스바(210)를 고정시키는 보조걸림턱(202)이 형성되게 하여 와이어(120) 장력에 의한 터미널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볼트(110)가 장착되며, 와이어(120)가 구비된 대전류단자(100)와, 버스바(210)와 함께 너트(220)를 통해 대전류단자(100)가 삽입 고정되는 정션블록(200)으로 이루어져 볼트(110) 및 너트(220)를 정션블록(200)에 조립하지 않게 하여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종래의 볼트(110) 고정 방식에 비해 추가 여유가 불필요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대전류단자(100) 조립 후 체결 시 볼트(110)의 진입 각도에 의한 볼트(110) 및 너트(220)의 나사산 마모로 인한 품질 문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와이어(120) 장력에 의한 터미널 이탈 방지가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대전류단자 110 : 볼트
120 : 와이어 200 : 정션블록
210 : 버스바 220 : 너트

Claims (6)

  1. 볼트가 장착되며, 와이어가 구비된 대전류단자와;
    버스바와 함께 너트를 통해 상기 대전류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정션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단자는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헤드부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의 나사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관통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하단에는 상기 대전류단자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하단 측면에는 상기 대전류단자와 상기 버스바를 고정시키는 보조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단자는 상기 정션블록에 측면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KR1020140167582A 2014-11-27 2014-11-27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KR20160063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82A KR20160063818A (ko) 2014-11-27 2014-11-27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82A KR20160063818A (ko) 2014-11-27 2014-11-27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18A true KR20160063818A (ko) 2016-06-07

Family

ID=5619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82A KR20160063818A (ko) 2014-11-27 2014-11-27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8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8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정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141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141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8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정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4989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crew clamp terminal
KR20040039868A (ko) 플랜지볼트
US9457440B2 (en) Chattering vibration preventing jig for workpiece
US10024345B2 (en) Fixing device for a circuit plate to a carrier,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fixing a circuit plate to a carrier
US9966748B1 (en) One-bolt type junction box
KR20160063818A (ko) 정션블록의 대전류단자 연결 구조
US20210013641A1 (en) Mechanical grounding clamp
CN210136847U (zh) 压指结构及半导体引线框架的固定装置
JP2007124751A (ja) バスバー接続部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100137921A (ko) 조임너트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200480634Y1 (ko)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KR101317804B1 (ko) 너트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차단기 단자 어셈블리
KR100700044B1 (ko) 졍션박스의 고정 구조
KR200451959Y1 (ko) 정션박스 결합구조
JP6212371B2 (ja) 固定手段のキャップ
CN105422569A (zh) 一种连接零件的紧固机构
KR101777402B1 (ko) 배전선 클램핑 장치
KR20000013523U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너트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KR101792705B1 (ko) 케이블 그랜드 어댑터 및 그를 도입한 전기 장비
KR102518531B1 (ko) 배터리 포스트 장치
KR20230001082U (ko) 오링 장착형 육각머리 캡너트
KR20200004721A (ko) 차량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