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2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223A
KR20150124223A KR1020140050799A KR20140050799A KR20150124223A KR 20150124223 A KR20150124223 A KR 20150124223A KR 1020140050799 A KR1020140050799 A KR 1020140050799A KR 20140050799 A KR20140050799 A KR 20140050799A KR 20150124223 A KR20150124223 A KR 2015012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topper
cam
door
latch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129B1 (ko
Inventor
전기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129B1/ko
Priority to EP15161084.7A priority patent/EP2940411B1/en
Priority to US14/682,281 priority patent/US9869112B2/en
Priority to CN201510205497.5A priority patent/CN105042998B/zh
Publication of KR2015012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접근가능한 보조저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는 후크부재; 상기 메인도어 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선택적으로 걸리는 래치캠; 상기 래치캠의 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캠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래치캠의 아래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를 옆으로 밀어 상기 스토퍼와 래치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장치; 및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 사이의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팅 타입(Top Mounting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본래의 기능에서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정수와 얼음을 제공하기도 하고, 도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보여주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고,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도어의 내측에도 도어선반 내지 수납케이스를 마련하여 저장물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특히 냉장실도어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메인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로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서브도어는 그 배면에 마련되는 후크부재가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되는 래치장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도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된 손잡이를 사용자가 당기면 상기 서브도어와 메인도어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함께 열린다. 그래서, 사용자는 개방된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와 래치장치의 결합 상태는 상기 보조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래치해제버튼을 누름으로써 해제되었다.
상기 래치해제버튼은 상기 보조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래치해제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3470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장치와 래치해제장치가 장착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와 서브도어(34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록킹유닛은 상기 메인도어에 장착되는 록킹장치와, 상기 서브도어(340)에 구비되는 후크부재(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장치가 형성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30) 전면에는 래치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서브도어(340)에 함몰된 록킹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록킹 어셈블리(610)와,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를 차폐하는 록킹장치 커버(62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의 일측은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며, 다른 일측은 스크류에 의해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의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에는 개방유닛의 푸쉬로드(633)에 의해 눌려지는 래치로드(615)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로드(615)는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의 내측에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17)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록킹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후크부재(110)는 상기 서브도어(340)의 배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유닛을 구성하는 록킹장치는 상기 후크부재(110)와 대응하는 상기 서브도어(34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록킹장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서브도어(340)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유닛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에 해당하는 개방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개방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장치와 상기 후크부재(11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도어(340)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340)의 전면을 통해서 상기 개방유닛을 조작하면, 상기 록킹장치와 상기 후크부재(1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서브도어(340)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유닛(630)은, 상기 서브도어(34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조작버튼(632)과, 상기 조작버튼(632)의 조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로드(615)를 밀어주는 푸쉬로드(63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는,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후크부재(110)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캠(612)과, 상기 래치캠(6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613)와, 상기 스토퍼(613)를 후방으로 밀어서 상기 래치캠(612)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래치로드(615)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613)의 전방에는 상기 래치로드(61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 장착부(616)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장착부(616)의 위치는 상기 푸쉬로드(63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래치로드(615)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1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래치로드(615)의 후방이동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61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632)을 누르면 상기 푸쉬로드(633) 후단이 상기 래치로드(615)의 전단을 가압하여 상기 래치로드(615)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래치로드(615)는 상기 스토퍼(613)를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613)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래치캠(612)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스토퍼(613)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캠(612)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캠(612)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래치캠(612)과 상기 후크부재(110)가 서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의 경우 도 1과 비교할 때 상기 스토퍼(613)를 밀어주는 조작버튼(632), 푸쉬로드(633), 래치로드(615) 대신에, 솔레노이드와 같은 액츄에이터(618)와 입력부재(640)를 구비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입력부재(640)로부터 연결되는 전선(642)은 제어부를 경유하여 전선(619)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618)에 연결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재(640)에 터치하거나 또는 압력을 가하는 조작을 하면 그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618)를 작동시켜 상기 스토퍼(613)를 밀어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2가지 예에서 상기 래치로드(615)와 상기 액츄에이터(618)는 두 경우 모두 상기 래치캠(612)의 아래에,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613)를 후방으로 밀어 회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한 래치해제장치로서 버튼 작동 구조 또는 솔레노이드 작동 구조는 둘 중 어느 하나만을 적용할 수 있고, 두 가지 래치해제장치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기계식 또는 전자식 래치해제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없었다.
왜냐하면,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의 케이스 내에서 상기 래치로드(615)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618)가 래치캠(612)의 아래 및 상기 스토퍼(613)의 후방 측에 각각 장착되는데, 상기 래치로드(615)와 상기 액츄에이터(618)를 동일한 위치에 동시에 장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래치로드(615)와 상기 액츄에이터(618)는 상기 스토퍼(613)를 전후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래치해제장치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중 도어 구조의 냉장고에서 수동식과 자동식으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 사이의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접근가능한 보조저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는 후크부재; 상기 메인도어 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선택적으로 걸리는 래치캠; 상기 래치캠의 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캠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래치캠의 아래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를 옆으로 밀어 상기 스토퍼와 래치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장치; 및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는, 전원 인가에 의해 작동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미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스토퍼의 경사진 일측면에 접촉해서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퍼를 옆으로 밀어주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은, 그 원주면에 상기 스토퍼의 절곡된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걸림돌출부와, 상기 걸림돌출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출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은, 상기 측방지지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상기 헤드부가 스토퍼를 측방으로 밀 때 상기 스토퍼가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돌출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은 상기 스토퍼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었다가 다시 잠금 상태로 될 때 상기 스토퍼의 절곡된 단부를 상기 걸림돌출부로 안내하는 경사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의 후방에서 상기 작동버튼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푸쉬로드; 및 상기 메인도어 내에 장착되어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를 미는 래치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치로드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래치캠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캠이 상기 스토퍼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래치캠을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래치캠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 스토퍼,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는 래치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상기 래치케이스는 상기 스토퍼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는 작동 후 전원 차단시 상승되었던 상기 로드부와 헤드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터치센서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장치일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의 일단부를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서브도어의 일단부를 상기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서브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힌지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캠이 마련된 힌지고정부와,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고 하면에 상기 제1캠과 맞물리는 제2캠이 마련된 힌지회전부와, 상기 힌지회전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회전부를 상기 힌지고정부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메인도어와 서브도어 사이의 결합상태를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래치해제장치에서 기계식 작동 장치와 전자식 작동 장치를 한정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자식 래치해제장치만을 구비하는 경우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래치장치의 두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래치해제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서 음성인식장치를 구비하고, 서브도어에 캠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어셈블리를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손을 쓰지 않고도 서브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어서 냉장고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기계식 래치해제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식 래치해제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에 장착된 서브도어가 개방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래치해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래치해제장치와 케이스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래치해제장치의 케이스에서 좌측벽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래치케이스에서 래치캠(120)과 스토퍼(130)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래치해제장치의 기계식 작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래치해제장치의 전자식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서브도어에 힌지브라켓과 힌지어셈블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서브도어가 닫혔을 때 힌지브라켓과 힌지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서브도어가 열렸을 때 힌지브라켓과 힌지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의 좌측에 냉동실(10)이 배치되고 우측에 냉장실(20)이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이중도어로 구성된 냉장고라면 탑마운팅 타입(Top Mounting Type) E또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등 다른 타입의 냉장고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양측에는 상기 냉동실(10)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40)와 상기 냉장실(20)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5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의 상면 및 하면의 양측부에는 상기 냉동실도어(40)와 상기 냉장실도어(50)가 장착되는 한 쌍의 힌지(14, 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40)와 상기 냉장실도어(50)의 중간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당겨서 열 수 있도록 손잡이홈(42, 5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도어의 전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도어(50)에는 제2힌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60)에 대비하여 상기 냉장실도어(50)는 메인도어(50)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60)는 상기 냉장실도어(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서브도어(60)가 상기 냉장실도어(5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거나, 더 작은 폭과 높이를 가진 서브도어(60)가 상기 냉장실도어(50)의 중간부 또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도어(60)의 전면에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70)의 아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70) 작동을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8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70)의 아래에는 후술하는 솔레노이드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60)의 전면에는 상기 제2힌지(16)의 반대쪽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해제장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버튼(310)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인 상기 냉장실도어(50)를 열면 복수의 선반(22)이 배치된 상기 냉장실(20)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20)에는 복수의 선반(22)과 함께 하나 이상의 서랍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도어(50)의 배면에는 보조저장실(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보조저장실(30)은 상기 서브도어(60)를 열었을 때 상기 메인도어(5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실(30)은 상기 냉장실(20)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구비하거나 상기 메인도어(50)을 열었을 때 내측에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저장실(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보조저장실(31)을 더 구비하여 복수의 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실(30)의 아래에는 상기 메인도어(50)의 배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바스켓(3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저장실(30)에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이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50)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브도어(60)를 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5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조저장실(30)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60)의 배면 일측에는 후크부재(110)가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메인도어(50)의 전면 일측에서 상기 후크부재(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후크부재(1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래치슬롯(105)이 마련된다.
상기 래치슬롯(10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캠(120)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110)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래치슬롯(105)은 후술하는 래치케이스(10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50)의 일측에는 래치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이에 상기 래치케이스(102)가 장착되며, 그 전면이 메인도어(50)의 전면과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110)의 위쪽에는 후술하는 래치로드(330)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작동버튼(310)과 함께 움직이는 푸쉬로드(320)가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전면에는 상기 푸쉬로드(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 내부에 상기 푸쉬로드(320)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리게 되는 래치로드(330)가 장착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래치장치(100)의 구조와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래치장치(100)의 부품들은 상기 메인도어(50)의 내부에 장착되는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케이스(102)에 장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메인도어(50)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주입되는데, 상기 케이스(102)에 조립된 래치장치(100)를 상기 메인도어(50)에 체결하여 고정한 후에 단열재를 주입한다.
상기 케이스(102)는 상기 메인도어(50)의 전면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긴 구멍에 삽입되고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는 좌측부와 우측부가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고 그 위에 커버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래치캠(120)은 상기 케이스(102)의 양측면 사이에 회동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래치캠(12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재(110)와 선택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제1연장부(124)와 상기 후크부재(110)에 의해 밀려서 회동되는 제2연장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4)와 제2연장부(126) 사이에는 상기 후크부재(110)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26)는 상기 래치캠(120)이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110)에 의해 밀려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장부(124)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120)의 위에는 상기 래치캠(1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13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그 회동축(133)이 상기 케이스(102)에 전후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130)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동축(133)이 삽입되는 관통공(132)이 마련되는데, 상기 관통공(132)은 상기 회동축(133)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회동축(133)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음은 물론 상하방향으로도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래치캠(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1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단부(135)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122)는 일측부는 막혀 있고 타측부는 열려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출부(122)의 상면은 열려 있는 타측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23)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120)의 아래에는 상기 스토퍼(130)를 옆으로 밀어서 상기 스토퍼와 래치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장치(200)가 장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로드를 포함하는데, 솔레노이드장치(200)가 상기 스토퍼(130)를 옆으로 밀어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는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로드가 더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이렇게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는 제어부(260)가 상기 서브도어(60)에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일종의 입력부로서, 기계적으로 눌러지는 버튼일 수도 있으나,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터치식 버튼이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를 작동시키는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음성인식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는 전원 인가에 의해 작동되는 본체부(220)와, 상기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부(230)와,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미는 헤드부(2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20)의 내부에는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미도시)이 권취되고, 상기 코일의 내측에 상기 로드부(23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코일의 양 단부는 상기 본체부(220)의 외부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선(도 2에서 619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23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로드부(230)의 상부는 상기 본체부(2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20)의 코일에 일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상기 로드부(230)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로드부(230)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230)에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토퍼(120)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미는 헤드부(250)가 결합된다.
상기 헤드부(250)는 상기 로드부(2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50)는 내부에 상기 결합공(243)이 형성된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40)는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태로서 상기 헤드부(250)와 일체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240)가 사각기둥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로드부(230)와 결합할 때 상기 헤드부(250)의 각도를 맞추어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5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130)를 측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는 상기 래치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작동된 후 전원을 차단했을 때 상승되었던 상기 로드부(230)와 헤드부(25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23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되므로, 이에 중력이 하방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25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로드부(230)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스스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복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드부(230)를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에 전류를 반대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7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스토퍼(130)에서 상기 헤드부(250)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우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헤드부(250)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130)가 좌측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50)의 좌측면은 그 후반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경사면(251)에 상기 스토퍼(130)의 우측면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부(2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251)은 평면일 수도 있지만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251)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헤드부(25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130)의 우측면 모서리가 상기 헤드부(250)의 홈부(253)에 삽입되도록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의 좌측면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헤드부(250)에 의해 옆으로 밀려 회동될 때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그 회동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래치캠(120)은, 그 원주면에 상기 스토퍼의 절곡된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걸림돌출부(122)와, 상기 걸림돌출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출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지지부(122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30)의 하단부(135)는 상기 래치캠(120)의 외주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곡 단부(135)는 상기 래치캠(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출부(122)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래치캠(120)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걸림돌출부(122)는 상기 래치캠(120)의 외주면에 상기 절곡 단부(135)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방지지부(122S)는 상기 래치캠(120)이 설치된 것을 정면에서 봤을 때 상기 걸림돌출부(122)의 우측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0)의 절곡 단부(135)가 상기 래치캠(120)의 걸림돌출부(122)에 걸렸을 때, 상기 래치캠(120)은 상기 측방지지부(122S)에 의해 좌측으로만 회동되고 우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캠(120)은, 상기 측방지지부(122S)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상기 헤드부(250)가 스토퍼(120)를 측방으로 밀 때 상기 스토퍼가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돌출부(12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헤드부(250)가 상승하면서 밀어줌에 의해 좌측으로 회동되고, 이때 상기 절곡 단부(135)는 상기 걸림돌출부(122)의 개방된 좌측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래치캠(1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래치캠(120)이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캠(120)은 상기 스토퍼(130)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었다가 다시 잠금 상태로 될 때 상기 스토퍼의 절곡된 단부(135)를 상기 걸림돌출부(135)로 안내하는 경사안내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안내부(123)는 상기 걸림돌출부(122)의 상면에 좌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헤드부(250)에 의해 밀려 상기 래치캠(120)과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래치캠(120)이 회동된 후 상기 헤드부(250)가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120)는 후술하는 제1탄성부재(140)에 의해 원위치인 우측으로 회동되어 복원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110)가 상기 래치캠(120)의 홈(125) 뒤쪽의 제2연장부(126)를 밀고 들어가면서 상기 래치캠(120)을 회동시키면, 상기 절곡 단부(135)는 상기 경사안내부(123)에 의해 좌측으로 회동되었다가 상기 걸림돌출부(135)의 개방된 좌측을 지나 상기 걸림돌출부(135)에 걸리도록 우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래치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기계적으로 해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서브도어(60)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작동버튼(310), 상기 작동버튼의 후방에서 상기 작동버튼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푸쉬로드(320) 및 상기 메인도어 내에 장착되어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130)를 미는 래치로드(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310)은 상기 서브도어(6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고 상기 서브도어(6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310)의 후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60)를 관통하여 그 배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푸쉬로드(320)가 결합된다.
상기 푸쉬로드(320)는 상기 작동버튼(310)과 함께 움직이고, 상기 서브도어(60)의 내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31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작동버튼(310)과 푸쉬로드(320)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측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래치로드(330)는 상기 메인도어(50)의 래치케이스(102)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래치로드(330)의 후단부가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래치로드(330)을 상기 래치케이스(10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내측에는 상기 래치로드(330)의 전반부를 수용하여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보스(3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스(340)는 그 후반부 내경이 전반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로드(330)의 전반부에는 상기 가이드보스(340)의 후반부 내에 삽입되는 대경부(大徑剖, 3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로드(330)의 대경부(332)는 상기 래치로드(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로드(330)가 밀릴 때 상기 대경부(332)가 상기 가이드보스(340)의 단차면에 걸려서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로드(330)의 후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C"자 모양의 스토퍼링(33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래치로드(330)는 상기 가이드보스(340) 내에 장착될 때 그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보스(34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데, 그 돌출 부분에 상기 스토퍼링(334)이 있어서, 상기 래치로드(330)가 상기 가이드보스(34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보스(340)에는 후면측에 상기 래치로드(330)의 지름에 대응하는 관통공(103)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로드(3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래치장치(100)는 상기 스토퍼(130)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치로드(33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140)는 상기 스토퍼(130)와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의 중간에는 제1탄성부재(140)의 일단부가 걸리는 고리(13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리(134)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토퍼(130)의 중간부가 펀칭(punching)에 의해 절곡되고 그 부분이 다시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일측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140)의 타단부가 걸리는 고리(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104)는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40)가 상기한 두 고리(134, 104)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130)를 상기 회동축(133)에 대해 후방 및 우측방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한다.
그래서, 상기 제1탄성부재(140)는 상기한 래치로드(330)에 의한 상기 스토퍼(130)의 상하 회동시뿐만 아니라 상기한 헤드부(250)에 의한 상기 스토퍼(130)의 좌우 회동시에도 상기 스토퍼(130)를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래치로드(330)에 의해 상하로 회동될 때 상기 제1탄성부재(140)에 의해 상기 스토퍼(130)가 우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130)의 측면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106)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40)가 상기 스토퍼(130)를 우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당기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경사면(106)은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상부 우측에, 상기 스토퍼(130)의 상부 우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케이스(10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과 좌측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래치캠(120)과 상기 스토퍼(130) 등을 상기 래치케이스(102)에 장착할 때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경사면(106)은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캠(120)은 상기 래치케이스(102)에 좌우로 장착되는 회전축(121)에 장착되는데, 상기 회전축(121)의 일측에 제2탄성부재(150)가 장착되어 상기 래치캠(120)이 상기 스토퍼(130)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래치캠(120)을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여 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50)가 상기 래치캠(120)을 회전시키는 방향은 상기 후크부재(110)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2탄성부재(150)는 상기 래치캠(120)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캠(12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내측에는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타단부가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케이스(102)의 측면에는 상기 래치캠(1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홈(107)이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캠(12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07)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그 회동각도가 제한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캠(120)이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회전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래치캠(120)의 회전을 막고 있다.
상기 래치캠(1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토션스프링(150)에 의해 상기 래치캠(120)이 회전하되, 상기 래치캠(120)의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107)의 일측단부에 지지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래치로드(330)에 의한 상기 스토퍼(130)와 래치캠(12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래치캠(120)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래치캠(120)이 회동되지 못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로드(330)가 상기 스토퍼(130)를 밀어주면, 상기 스토퍼(130)의 절곡 단부135)는 상기 래치캠(120)의 걸림돌출부(122)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래치캠(120)이 상기 토션스프링(15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래치캠(120)이 소정 각도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래치캠(120)에 걸려있던 후크부재(110)가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캠(120), 스토퍼(130), 제1탄성부재(140) 및 제2탄성부재(150)는 상기 래치케이스(102) 내에 장착되는데, 상기 래치케이스(102)는 상기 스토퍼(130)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70)는 실리콘 겔(Silicone Gel)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치캠(120)이 상기 래치로드(330)에 의해 밀려서 들릴 때 상기 래치캠(1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70)는 상기 헤드부(250) 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25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케이스(102)에 상기한 래치장치와 솔레노이드장치가 조립된 후에 그 위에 케이스커버(270)를 씌워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커버(270)는 상기 래치케이스(102)처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270)는 상기 메인도어(50) 내부에 발포제를 주입할 때 상기 래치케이스(102) 내부로 발포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에는 전선이 연결되어야 하는바, 상기 케이스커버(270)에는 전선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60)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버튼이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 접근, 또는 음성을 감지하여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터치센서장치일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작동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서브도어(60)의 전면에는 외장재로서 전면패널이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전면패널의 뒤에 장착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작동버튼(310)은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반면에,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전면패널에 덮여서 매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장치도 상기 서브도어(60)의 전면패널 뒤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고 그 중에 래치장치를 해제하는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리 상기 제어부((260)에 "서브도어 열어"를 래치장치 해제명령으로 설정해 두고,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에서 "서브도어 열어"라고 말하면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를 작동하여 상기 서브도어(60)가 열릴 수 있도록 그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1(a)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260)를 작동시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의 헤드부(250)가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스토퍼(130)를 좌측으로 회동되도록 밀어준다.
이때, 상기 스토퍼(130)의 절곡 단부(135)는 상기 래치캠(120)의 걸림돌출부(122)에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00)의 헤드부(250)가 위로 끝까지 올라가면 상기 스토퍼(130)의 절곡 단부(135)는 상기 래치캠(120)의 걸림돌출부(122)로부터 완전히 좌측으로 빠져나와서, 상기 래치캠(120)이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상기한 토션스프링(150)은 상기 래치캠(120)을 바로 회동시켜서 이에 걸려있던 상기 후크부재(110)가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서브도어(60)의 일단부를 상기 메인도어(5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브라켓(180)과, 상기 서브도어(60)의 일단부를 상기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서브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힌지어셈블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브라켓(180)은 상기 서브도어(6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도어(6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힌지(16)와 더불어 상기 서브도어(60)를 상기 메인도어(5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힌지어셈블리(190)는 상기 서브도어(60)의 개방 조작시 상기 서브도어(60)가 자동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브도어(60)가 소정의 각도로 개방된 후에는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어셈블리(190)는, 상기 힌지브라켓(180)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캠(192)이 마련된 힌지고정부(191)와, 상기 서브도어(60)에 마련되고 하면에 상기 제1캠(192)과 맞물리는 제2캠(194)이 마련된 힌지회전부(193)와, 상기 힌지회전부(193)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회전부를 상기 힌지고정부(191)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9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고정부(191)는 상기 힌지브라켓(180)에 고정되는 삽입돌기(196)와, 상기 삽입돌기(196)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캠(19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힌지고정부(191)는 상기 힌지브라켓(180)에 고정되므로, 상기 서브도어(60)의 회전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제1캠(192)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1캠면(192a)과, 상기 제1캠면(192a)의 하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경사진 제2캠면(192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캠면(192a)과 제2캠면(192b)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캠(19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회전부(193)의 측면 둘레에는 고정돌기(1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60)의 내부에는 힌지수용부(6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수용부(62)에 상기 힌지회전부(193)가 장착된다.
상기 힌지수용부(62)의 내측면 둘레에는 돌기수용홈(63)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돌기수용홈(6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95)가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회전부(193)는 상기 서브도어(6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193)의 하면에는 제2캠(19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캠(194)에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3캠면(194a)과, 상기 제3캠면(194a)의 하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경사진 제4캠면(194b)이 형성된다.
상기 제3캠면(194a)과 제4캠면(194b)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캠(19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캠면(194a)과 제4캠면(194b)은 각각 상기 제1캠면(192a)과 제2캠면(192b)과 접하게 되며,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193)의 상면은 상기 힌지수용부(62)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9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회전부(193)의 하면과 상기 힌지고정부(191)의 상면은 서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도어(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고정부(191)의 제1캠면(192a) 및 제2캠면(192b)이 상기 힌지회전부(193)의 제3캠면(194a)과 제4캠면(194b)과 접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서브도어(6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제1캠면(192a)과 제3캠면(194a)이 접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캠면(192a)과 제3캠면(194a)은 모두 하향 경사를 가지게 되어 상기 서브도어(60)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도어(6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3캠면(194a)은 상기 제1캠면(192a)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60)에 회전력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서브도어(60)는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도어(60)의 개방시 상기 서브도어(60)가 소정의 각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1캠면(192a)과 제3캠면(194a)은 더 이상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캠면(192b)과 제4캠면(194b)이 서로 접하게 된다.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캠면(192b)과 제4캠면(194b)은 모두 상향 경사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서브도어(60)의 회전 속도가 점진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60)가 소정의 각도, 예컨대 140°만큼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2캠면(192b)과 제4캠면(194b)은 도 14에서와 같이 완전히 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98)도 압축되어 상기 힌지회전부(193)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도어(60)의 회동이 정지 및 제한된다.
상기 서브도어(60)가 개방되는 최대 각도는 상기 제2캠면(192b)과 제4캠면(194b)의 곡률 및 상기 탄성부재(198)의 탄성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브도어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브도어(6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버튼(310)을 누르거나 상기 제어부(260)를 작동시키면, 상기 래치장치(100)로부터 상기 후크부재(110)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서브도어(6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면 이와 동시에, 상기 서브도어(60)는 소정의 각도까지 상기 힌지어셈블리(19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며, 최대 각도로 개방될 때까지, 상기 힌지어셈블리(190)에 의해 점차 속도가 느려지면서 정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래치해제장치의 제어부가 음성인식장치를 구비하고, 서브도어에 캠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어셈블리를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손을 쓰지 않고도 서브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어서 냉장고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50: 메인도어 60: 서브도어
100: 래치장치 102: 래치케이스
110: 후크부재 120: 래치캠
121: 회전축 122: 걸림돌출부
122S: 측방지지부 124: 제1연장부
125: 홈 126: 제2연장부
130: 스토퍼 132: 관통공
133: 회동축 134: 고리
135: 절곡단부 140: 제1탄성부재
150: 제2탄성부재 170: 커버부재
180: 힌지 브라켓 190: 힌지 어셈블리
200: 솔레노이드장치 210: 장착케이스
220: 본체부 230: 로드부
240: 결합부 250: 헤드부
260: 제어부 270: 케이스커버
310: 작동버튼 320: 푸쉬로드
330: 래치로드

Claims (16)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접근가능한 보조저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는 후크부재;
    상기 메인도어 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선택적으로 걸리는 래치캠;
    상기 래치캠의 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캠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래치캠의 아래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를 옆으로 밀어 상기 스토퍼와 래치캠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장치; 및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는,
    전원 인가에 의해 작동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미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스토퍼의 경사진 일측면에 접촉해서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퍼를 옆으로 밀어주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캠은,
    그 원주면에 상기 스토퍼의 절곡된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걸림돌출부와,
    상기 걸림돌출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출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캠은, 상기 측방지지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상기 헤드부가 스토퍼를 측방으로 밀 때 상기 스토퍼가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돌출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캠은 상기 스토퍼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었다가 다시 잠금 상태로 될 때 상기 스토퍼의 절곡된 단부를 상기 걸림돌출부로 안내하는 경사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의 후방에서 상기 작동버튼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푸쉬로드; 및
    상기 메인도어 내에 장착되어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스토퍼를 미는 래치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치로드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래치캠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캠이 상기 스토퍼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래치캠을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래치캠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캠, 스토퍼,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는 래치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상기 래치케이스는 상기 스토퍼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장치는 작동 후 전원 차단시 상승되었던 상기 로드부와 헤드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터치센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의 일단부를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서브도어의 일단부를 상기 힌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서브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힌지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캠이 마련된 힌지고정부와,
    상기 서브도어에 마련되고 하면에 상기 제1캠과 맞물리는 제2캠이 마련된 힌지회전부와,
    상기 힌지회전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회전부를 상기 힌지고정부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050799A 2014-04-28 2014-04-28 냉장고 KR10161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99A KR101618129B1 (ko) 2014-04-28 2014-04-28 냉장고
EP15161084.7A EP2940411B1 (en) 2014-04-28 2015-03-26 Refrigerator
US14/682,281 US9869112B2 (en) 2014-04-28 2015-04-09 Refrigerator
CN201510205497.5A CN105042998B (zh) 2014-04-28 2015-04-27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99A KR101618129B1 (ko) 2014-04-28 2014-04-2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23A true KR20150124223A (ko) 2015-11-05
KR101618129B1 KR101618129B1 (ko) 2016-05-04

Family

ID=5287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799A KR101618129B1 (ko) 2014-04-28 2014-04-2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69112B2 (ko)
EP (1) EP2940411B1 (ko)
KR (1) KR101618129B1 (ko)
CN (1) CN1050429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747A1 (ko)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4622777A (zh) * 2022-04-28 2022-06-14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一体式锁具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1201B2 (en) * 2013-01-18 2020-03-17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Cooler lock
CN105258437B (zh) * 2014-07-18 2019-02-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冰箱的门以及冰箱
CN105466119B (zh) * 2014-07-18 2019-03-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具有门的冰箱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6202614A1 (de) * 2016-02-19 2017-08-24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beweglicher Frontplatte
US10358853B2 (en) * 2016-04-07 2019-07-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riction hinge
KR102567513B1 (ko) * 2016-06-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42416B1 (ko) 2017-01-19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2412060B1 (ko) *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4128B1 (ko) * 2017-12-01 2023-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670019B (zh) * 2018-06-30 2023-08-29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高压电蒸烹饪电器及其控制方法
KR20200009356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11191B1 (ko) * 2018-12-07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2031553B (zh) * 2019-06-04 2023-06-1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以及用于冰箱的门锁
US10712082B1 (en) * 2019-07-08 2020-07-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utomatic open drawer front
CN112983130B (zh) * 2019-12-02 2021-12-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门组件及冰箱
US20210293468A1 (en) * 2020-03-23 2021-09-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ull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US11460242B1 (en) * 2021-07-30 2022-10-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Under-shelf storage bin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043B2 (ja) * 1991-04-22 1997-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装置
KR20050072617A (ko) * 2004-01-07 2005-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0203695A (ja) * 2009-03-04 2010-09-16 Panasonic Corp 冷蔵庫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101311168B1 (ko) 2011-09-11 2013-09-23 김준규 냉장고 자동문
KR20140008597A (ko) * 2012-07-09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9267315B2 (en) * 2013-03-18 2016-02-23 Poong Won Industry Co., Ltd. Door safety lock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747A1 (ko)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91505B2 (en) 2018-06-08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4622777A (zh) * 2022-04-28 2022-06-14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一体式锁具组件
CN114622777B (zh) * 2022-04-28 2022-12-23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一体式锁具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129B1 (ko) 2016-05-04
CN105042998A (zh) 2015-11-11
EP2940411B1 (en) 2017-10-18
EP2940411A1 (en) 2015-11-04
US9869112B2 (en) 2018-01-16
CN105042998B (zh) 2017-09-22
US20150308158A1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129B1 (ko) 냉장고
KR102473752B1 (ko) 냉장고
US9759477B2 (en) Refrigerator
KR101860718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EP2685185B1 (en)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3150946B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US20100107679A1 (en) Refrigerator
KR20150099024A (ko) 냉장고
US20100307187A1 (en) Refrigerator
KR101697112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10041727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JP6145696B2 (ja) 冷蔵庫
US9593877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locking device of ice bucket
KR101745124B1 (ko) 냉장고
KR100598391B1 (ko) 냉장고
US9770795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200463488Y1 (ko) 냉장고
KR200340653Y1 (ko) 양문 개폐형 냉장고의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