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61A -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 Google Patents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61A
KR20090003561A KR1020070066298A KR20070066298A KR20090003561A KR 20090003561 A KR20090003561 A KR 20090003561A KR 1020070066298 A KR1020070066298 A KR 1020070066298A KR 20070066298 A KR20070066298 A KR 20070066298A KR 20090003561 A KR20090003561 A KR 2009000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fixed
frame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996B1 (ko
Inventor
임철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9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의 모서리에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10a ~ 10d)와; 상기 지주(10a ~ 10d)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20)와; 상기 지주(10a ~ 10d)의 하단에 모서리부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사각 바스켓 상의 좌대(30)와; 상기 지주(10a ~ 10d)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40a ~ 40d)과;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모서리에 브라켓(41a ~ 41d)을 통해 세워서 고정 설치되는 롤러 지지대(50)와; 상기 롤러 지지대(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롤러(60a ~ 60d)와;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롤러(70a, 70b) 및 엔진(71)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70) 및; 상기 연결 프레임(40b, 40d)과 좌대(30)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80)으로 구성되어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를 장착하여 동력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므로 작업자의 체력 소모를 적게고, 전력선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서도 작업할 수 있어 인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기존의 2도체, 4도체 스페이샤 카에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송전선로, 스페이샤 카, 동력장치, 롤러, 안전사고.

Description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Transferring vehicle with power device}
도 1은 종래 송전선로 정비용 스페이샤 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송전선로 정비용 스페이샤 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10d : 지주 20 : 지지대
30 : 좌대 40a ~ 40d : 연결 프레임
41a ~ 41d : 브라켓 50 : 롤러 지지대
60a ~ 60d : 롤러 70 : 동력장치
70a, 70b : 롤러 70c : 롤러 브라켓
70d : 볼트 70e : 조정핸들
71 :엔진 71a : 지지대
71b : 회전축 73 : 제1기어
74 : 제 2기어 75 : 제어핸들
80 : 멈춤수단 81 : 페달
82 : 걸림구 83 : 이동대
83a : 장홈 83b : 권취롤
84 : 패드 85 : 스프링
86 : 와이어
본 발명은 송전선로 정비시에 사용하는 스페이샤 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를 구비하여 스페이셔 카를 동력장치로 선로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선로정비의 품질을 향상, 안전사고 예방, 정비원의 심리적 부담 경감, 인력절감 및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페이샤 카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샤 카의 골격을 이루는 'ㄷ'자형의 캐리지(100)의 상부에 캐리지 지지브래킷(110)에 의해 동일 위상차와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잡아주고 또한 캐리지(100)의 무게 및 작업자의 자중을 지탱하도록 하는 한편, 송전선로(300)에 걸쳐지도록 된 롤러(120)가 설치되고, 롤러(120)와 롤러(120) 사이에는 그 롤러(120)의 수평중심을 잡아주는 크로스 플레이트(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100)의 하부에는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140)가 마련되고, 그 측부에는 작업자가 상기 좌대(140)에 앉아 발을 밟으면서 송전선로(300)에 마찰을 가하여 브레이킹하는 풋 브레이크기구(20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130)의 좌우 양측에는 좌대(140)에 앉아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보호끈을 결착하는 결착링(150)이 부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캐리지(100)의 측부에 내향되게 구성되는 풋 브레이크기구(2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상기 캐리지(100)에 접설되는 브래킷(210) 상에 피봇결합되는 요동링크(220)와, 그 요동링크(220)의 일측단에 피봇결합되고 상기 브래킷(210) 상에 수직방향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되며 그 상부에 브레이크 패드(230)가 접설된 브레이커(240)와, 상기 요동링크(220)의 타측단에 피봇결합되고 하부 일정위치까지 연장 형성된 연결링크(250)와, 상기 연결링크(250) 간에 걸림결합되고 답력(踏力)을 가할 수 있도록 된 브레이크 페달(2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페이샤 카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된다.
① 롤러(120)의 수평중심을 잡기 위해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 플레이트(130)이 작업자가 좌대(140)에 앉을려는 방향과 대향될 뿐만 아니라 일자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중심을 잡고 좌대(140)에 자리잡기가 매우 힘들고,
② 풋 브레이크기구(200)가 캐리지(100)의 내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신체나 옷 등에 의해 간섭현상이 일어나 원활히 작동이 되지 않거나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③ 종래의 브레이크 방식은 답력(踏力)을 이용한 풋 브레이크 방식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260)을 밟을 경우 순간적으로 자리잡은 위치가 흔들려 작업자에게 심리적으로 불안정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송전선로 정비용 스페이샤 카"가 실용신안등록 제20-0229447호(2001년 4월 23일 등록)로서 등록되어 그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29447호의 "송전선로 정비용 스페이샤 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선로(300)상에 걸쳐지도록 캐리지(100) 및 캐리지 지지브래킷(110)의 지지구조에 의해 동일위상차를 갖도록 롤러(120)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100)의 하부에는 좌대(140)가 설치되는 송전선로 정비용 스페이샤 카에 있어서, 상기 롤러(120)의 수평중심을 위해 캐리지(100)를 가로지르는 크로스 플레이트(130)를 구비 설치하되, 작업자가 좌대(140)에 앉았을 경우, 작업자의 상체중심이 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일정 공간부(130b)가 마련된 절곡부(130a)를 형성하고, 상기 캐리지(100)의 외측단에 수조작으로 송전선로(300)에 마찰을 가하여 브레이킹하는 핸드 브레이크기구(200')를 구성한 것으로서, 크로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절곡부(130a)와, 이에 따른 공간부(130b)의 형성에 의해 작업자의 무게중심을 앞으로 옮겨 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풋 브레이크 방식을 배제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기구(200')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크로스 플레이트(130)의 절곡부(130a)와 같이 작업상 안정성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고, 또한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을 지속적으로 밟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229447호의 "송전선로 정비용 스페이샤 카"는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는 동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 및 정비시나 단도체 가공지선 항공구 교체 및 전력선 이물질 제거작업시 스페이샤 카를 인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시 작업자의 힘만으로 전력선을 당겨서 경사면을 이동하여 스페이샤를 점검함으로써 작업자의 많은 체력 소모와 무리한 작업으로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시 전력선의 경사가 심한 곳은 낮은 곳에서 높은곳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이 불가능하여 부득이 우선 높은 곳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킨 후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인력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 및 정비시 선로의 경사면을 작업자의 힘만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의 스페이샤 카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스페이샤 카에 엔진을 갖는 동력장치를 장착하여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시 동력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켜 작업자의 체력 소모를 적게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를 장착하여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시 동력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켜 전력선의 경사가 심한 곳에서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많은 인력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 및 정비시 선로의 경사면을 따라 동력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켜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선 한 가닥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므로 2도체, 4도체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를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스페이샤 카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동력 이동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는 사각의 모서리에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모서리부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사각 바스켓 상의 좌대와;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 결 프레임의 모서리에 브라켓을 통해 세워서 고정 설치되는 롤러 지지대와; 상기 롤러 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롤러 및 엔진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 및; 상기 연결 프레임과 좌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의 사용상태 정면도로서 사각의 모서리에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10a ~ 10d)와; 상기 지주(10a ~ 10d)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20)와; 상기 지주(10a ~ 10d)의 하단에 모서리부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사각 바스켓 상의 좌대(30)와; 상기 지주(10a ~ 10d)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40a ~ 40d)과;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모서리에 브라켓(41a ~ 41d)을 통해 세워서 고정 설치되는 롤러 지지대(50)와; 상기 롤러 지지대(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롤러(60a ~ 60d)와;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롤러(70a, 70b) 및 엔진(71)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70) 및; 상기 연결 프레임(40b, 40d)과 좌대(30)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10a ~ 10d)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20)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지 주(10a ~ 10d) 들을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주(10a ~ 10d)의 하단에는 사각 바스켓 상 좌대(30)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의 모서리부를 돌출시켜 형성한 브라켓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지주(10a ~ 10d)의 하단에 좌대(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주(10a ~ 10d)의 상단부에는 "ㄷ"형 상기 브라켓(41a ~ 41d)의 하부 돌출부가 볼트와 너트로서 고정되고, 이 브라켓(41a ~ 41d) 각각의 일측면에 연결 프레임(40a ~ 40d) 각각의 선단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ㄷ"형 브라켓(41a ~ 41d) 내에 롤러 지리대(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지리대(50)의 상단부에는 롤러(60a ~ 60d)가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60a ~ 60d)의 축이 너트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는 고정블록(72)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블록(72)에 동력장치(70)의 엔진 브라켓(72a)이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되어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장치(70)는 엔진(71)과, 상기 엔진(71)의 일측에 세워서 설치되는 "ㄱ"자형 지지대(71a)와, 상기 엔진(71)의 회전축(71b) 상부에서 회전축(71b)과 기어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기어(73)와, 상기 제 1기어(73)의 상부에서 제 1기어(73)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지지대(70a)에 설치된 제 2기어(74)와, 상기 제 2기어(74)의 상부에서 제 2기어(74)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지지대(70a)에 설치된 롤러(70a)와, 상기 지지대(70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하는 롤러(70b) 및; 상기 지지대(70a) 상부 선단에 설치되어 엔진(7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핸들(7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70b)는 롤러 브라켓(70c) 내에 설치되고, 롤러 브라켓(70c)의 상부에 상기 지지대(71a)를 관통하여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볼트(70d)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며, 상기 볼트(70d)의 상단에는 조정핸들(70e)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71a)의 내측면에 설치된 안내가이드를 따라 롤러(70b)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멈춤수단(80)은 상기 좌대(30)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ㄷ"자형 페달(81)과, 상기 연결 프레임(40b, 40d) 각각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걸림구(82)와, 내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홈(83a)을 구비하여 장홈(83a)에 상기 걸림구(82)가 삽입되고 귄취롤(83b)이 장착된 이동대(83)와, 상기 이동대(83)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패드(84)와, 일측단이 상기 이동대(83)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좌대(30)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스프링(85) 및, 일단이 상기 페달(81)에 연결되고 타단이 귄취롤(83b)을 통해 상기 이동대(83)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86)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70)를 장착한다. 동력장치(70)의 장착은 연결 프레임(40a ~ 40d)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블록(72)에 엔진 브라켓(72a)를볼트 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동력장치(70)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블록(72)으로부터 간편하게 동력장치(70)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페이샤 카에 동력장치(70)를 장착한 다음에는 송전선로(A, A')에 롤러((60a ~ 60d)를 걸어 주는데, 이때 동력장치(70)를 통과하는 송전선로(A)는 동력장치(70)의 롤러(70a)와 롤러(70b)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다( 도 5참조).
이어 조정핸들(70e)을 돌려 롤러(70b)를 하강시켜 롤러(70a)와 롤러(70b) 사에에 송전선로(A)가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핸들(75)을 조작하여 엔진(71)의 시동을 걸어 동력장치(7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동력장치(70)가 작동하여 엔진(71)의 회전축(71b)과, 제 1기어(74) 및 제 2기어(73)가 순차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롤러(70a)가 회전하게 되어 스페이샤 카가 송전선로(A, 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송전선로(A, A')를 따라 이동하는 스페이샤 카의 이동 속도는 제어핸들(75)로서 제어하게 되며, 이동하는 스페이샤 카가 송전선로(A, A')의 점검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핸들(75)을 조작하여 동력장치(7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페달(81)을 밟아 송전선로(A, A') 상에 스페이샤 카를 고정시키고 작업을 하게 된다.
즉, 페달(81)을 밟으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86)가 아래로 당겨져 이동대(83)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패드(84)가 상승하여 송전선로(A, A')에 밀착되므로 송전선로(A, A') 상에 스페이샤 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송전선로(A, A')를 따라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고자 페달(81)에서 발 을 떼어 페달(81)의 누름을 해제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5)의 복원력으로 이동대(83)가 하강하고, 그에 따라 패드(84)가 하강하여 패드(84)의 하부가 걸림구(82)에 걸려 정지하게 됨으로써 송전선로(A, A')에서 패드(84)가 분리되며, 이 상태에서 동력장치(70)을 구동하여 동력장치(70)의 동력으로 송전선로(A, A')를 따라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페이샤 카에 엔진을 갖는 동력장치를 장착하여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시 동력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므로 작업자의 체력 소모를 적게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전력선의 경사가 심한 곳에서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많은 인력절감을 달성할 수 있으며, 2도체 전력선 스페이샤 점검 및 정비시 선로의 경사면을 따라 동력으로 스페이샤 카를 이동시키므로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선 한 가닥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므로 기존의 2도체, 4도체 스페이샤 카에 용이하게 동력장치를 탈부착하여 채용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사각의 모서리에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10a ~ 10d)와; 상기 지주(10a ~ 10d)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20)와; 상기 지주(10a ~ 10d)의 하단에 모서리부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사각 바스켓 상의 좌대(30)와; 상기 지주(10a ~ 10d)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40a ~ 40d)과;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모서리에 브라켓(41a ~ 41d)을 통해 세워서 고정 설치되는 롤러 지지대(50)와; 상기 롤러 지지대(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롤러(60a ~ 60d)와; 상기 연결 프레임(40a ~ 40d)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롤러(70a, 70b) 및 엔진(71)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70) 및; 상기 연결 프레임(40b, 40d)과 좌대(30)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a ~ 10d)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20)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지주(10a ~ 10d) 들을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주(10a ~ 10d)의 하단에는 사각 바스켓 상 좌대(30)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의 모서리부를 돌출시켜 형성한 브라켓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지주(10a ~ 10d)의 하단에 좌대(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a ~ 10d)의 상단부에는 "ㄷ"형 상기 브라 켓(41a ~ 41d)의 하부 돌출부가 볼트와 너트로서 고정되고, 이 브라켓(41a ~ 41d) 각각의 일측면에 연결 프레임(40a ~ 40d) 각각의 선단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ㄷ"형 브라켓(41a ~ 41d) 내에 롤러 지지대(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70)는 엔진(71)과, 상기 엔진(71)의 일측에 세워서 설치되는 "ㄱ"자형 지지대(71a)와, 상기 엔진(71)의 회전축(71b) 상부에서 회전축(71b)과 기어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기어(73)와, 상기 제 1기어(73)의 상부에서 제 1기어(73)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지지대(70a)에 설치된 제 2기어(74)와, 상기 제 2기어(74)의 상부에서 제 2기어(74)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지지대(70a)에 설치된 롤러(70a)와, 상기 지지대(70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롤러(70b) 및; 상기 지지대(70a) 상부 선단에 설치되어 엔진(7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핸들(75)로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70b)는 롤러 브라켓(70c) 내에 설치되고, 롤러 브라켓(70c)의 상부에 상기 지지대(71a)를 관통하여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볼트(70d)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며, 상기 볼트(70d)의 상단에는 조정핸들(70e)이 연결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71a)의 내측면에 설치된 안내가이드를 따라 롤러(70b)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6. 상기 멈춤수단(80)은 상기 좌대(30)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ㄷ"자형 페달(81)과, 상기 연결 프레임(40b, 40d) 각각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걸림구(82)와, 내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홈(83a)을 구비하여 장홈(83a)에 상기 걸림구(82)가 삽입되고 귄취롤(83b)이 장착된 이동대(83)와, 상기 이동대(83)의 당단에 고정 설치되는 패드(84)와, 일측단이 상기 이동대(83)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좌대(30)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스프링(85) 및, 일단이 상기 페달(81)에 연결되고 타단이 귄취롤(83b)을 통해 상기 이동대(83)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8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KR1020070066298A 2007-07-03 2007-07-03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KR10088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98A KR100889996B1 (ko) 2007-07-03 2007-07-03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98A KR100889996B1 (ko) 2007-07-03 2007-07-03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61A true KR20090003561A (ko) 2009-01-12
KR100889996B1 KR100889996B1 (ko) 2009-03-25

Family

ID=4048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98A KR100889996B1 (ko) 2007-07-03 2007-07-03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9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44B1 (ko) * 2013-09-06 2014-10-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 압축기 고정장치
KR200476907Y1 (ko) * 2013-11-28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점검 장치
CN106571598A (zh) * 2016-11-12 2017-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聊城供电公司 免拆防震锤式导线飞车
CN107863716A (zh) * 2016-09-22 2018-03-30 国网河南省电力公司濮阳供电公司 双分裂架空输电线路下线滑车
CN110429508A (zh) * 2019-07-25 2019-11-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巡检电动飞车的行走装置及巡检电动飞车
KR20220166124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점검 장치
KR102547247B1 (ko) * 2022-05-23 2023-06-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경량 엔진 스페이서 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9500A (zh) * 2015-08-03 2015-12-02 施宝林 一种汽油机式索道车
CN112172950B (zh) * 2020-10-16 2021-08-31 长沙理工大学 一种履带式爬绳机器人
CN112208661B (zh) * 2020-10-16 2021-08-31 长沙理工大学 一种自适应运输设备
CN112193258B (zh) * 2020-10-16 2021-09-21 长沙理工大学 一种运输系统的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7643B2 (ja) * 1990-02-05 1998-06-18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架空電線上走行装置
KR100278473B1 (ko) * 1998-12-30 2001-01-15 유제철 송전선의 스페이서댐퍼 통과형 작업차
KR19990045912A (ko) * 1999-02-11 1999-06-25 김광열 스페이서댐퍼작업차의구동장치
KR100632056B1 (ko) * 2004-07-21 2006-10-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선 가설용 자주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44B1 (ko) * 2013-09-06 2014-10-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 압축기 고정장치
KR200476907Y1 (ko) * 2013-11-28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점검 장치
CN107863716A (zh) * 2016-09-22 2018-03-30 国网河南省电力公司濮阳供电公司 双分裂架空输电线路下线滑车
CN106571598A (zh) * 2016-11-12 2017-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聊城供电公司 免拆防震锤式导线飞车
CN110429508A (zh) * 2019-07-25 2019-11-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巡检电动飞车的行走装置及巡检电动飞车
KR20220166124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점검 장치
KR102547247B1 (ko) * 2022-05-23 2023-06-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경량 엔진 스페이서 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996B1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996B1 (ko) 동력장치를 구비한 스페이샤 카
CN115319785B (zh) 一种旋转型夹爪
CN111498762A (zh) 一种轨道车辆用接触网防倾翻作业梯车
CN111624002B (zh) 一种汽车四轮定位辅助装置
KR100278473B1 (ko) 송전선의 스페이서댐퍼 통과형 작업차
JP3096966B2 (ja) 駐輪装置における前輪クランプ機構
JP2927424B2 (ja) 紡績機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台車
CN210530350U (zh) 一种便移插入式混凝土振动装置
JP2821966B2 (ja) 消防用ホースの巻取り装置
JP4029962B2 (ja) 昇降装置
JP2939900B2 (ja) 駐輪装置
JP2551093B2 (ja) バッテリ移送装置
CN215329413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门式架桥机
CN218407423U (zh) 一种采煤机电缆拖缆装置
JP3095789U (ja) 船舶の側壁に沿って移動する作業用ゴンドラの移動装置
CN113491396B (zh) 一种料架
CN219041227U (zh) 检修飞车
CN214775814U (zh) 汽车维修用汽车倾斜装置
KR19990045912A (ko) 스페이서댐퍼작업차의구동장치
JPS5932170Y2 (ja) 送電線用宙乗機
CN219579814U (zh) 亲子互动式骑马机
CN110295785B (zh) 一种市政工程施工用隔离设备
CN217388056U (zh) 一种电缆敷设牵引装置
CN214218090U (zh) 双臂拱架安装台车
KR101444792B1 (ko) 인삼 해가림 시설용 지주목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