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00U - 한지원료를 이용한 향 증발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한지원료를 이용한 향 증발카트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3500U KR20090003500U KR2020070016506U KR20070016506U KR20090003500U KR 20090003500 U KR20090003500 U KR 20090003500U KR 2020070016506 U KR2020070016506 U KR 2020070016506U KR 20070016506 U KR20070016506 U KR 20070016506U KR 20090003500 U KR20090003500 U KR 2009000350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grance
- evaporation
- incense
- cartridge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공기상태로 향액을 기화시키는 증발식 향 기화장치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향 증발카트리지를 닥나무 인피(수피)가 원료인 한지제조용 재료로 성형하여 소재 특유의 함습성과 통기성을 이용하여 향액의 흡수와 증발을 극대화 시키는 향 증발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이 향 증발카트리지는 향액의 증발을 더욱 크게 하기위하여 공기의 통과를 원활케 하고 공기(바람)와 접촉하는 표면을 크게 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 통과공과 표면에 요철을 두어 제작 한다. 또한 향액 저장용기에서 직접 향액을 빨아올리는 기능을 함께하는 향 증발카트리지는 모세관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향 증발카트리지, 모세관, 통기공, 한지제조용 원료
Description
본 고안은 증발 기화식 향 공조장치 등에서 향액을 공조공기 또는 실내 상태의 공기로 증발시켜 향 공조를 함에 있어 그 향액의 증발을 용이하게 하고 인체나 주변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향취의 변화가 없게 향액을 증발시켜 원하는 향 공조를 할 수 있게 하는 향 증발(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의 도시화 복잡화로 인하여 스트레스나 질병 등에 시달리고 있어 이를 해소하고 질병을 치료하는데 향기요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향기 마켓팅과 업무능률 향상 등에 공간 향(향 공조)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개발된 공간 향(향 공조)의 기술은 대상 공간에 필요한 적정량의 향을 기화시키고 이를 공급하는 기술이 미흡하였다. 그 예를 살펴보면 향 공조용의 종래 기화 기술은 향액을 공조장치 내에 공기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향액을 다량 분무하는 방식 등이고, 소규모 향 발생장치는 실내나 차량용 소형방향제 이거나, 용기에 압축가스와 혼합 충진하여 계속적으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분사되는 분사식 향 발생장치와 가열 기화식 발향장치(모기향) 등으로, 향취의 변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필요한 향 기화량의 조절이 어려워 공간 향을 연출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또한 분사식의 경우 향액이 완전히 기화되질 않아 실내나 다른 물품에 침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향기 분포가 일정치 않는 등 향 기화 및 향기 공급방식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정한 극소량의 향액을 실내상태의 공기로서 기화시켜 향 공조를 할 수 있게 한 향 공조장치(특허등록번호 제10-0757912호)와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출원번호 10-2006-0044369)가 선행기술로 개발되었다. 위 향 공조장치는 중앙집중식 공기조화설비가 되어 있는 건축물의 공기조화설비에 장착하여 향 공조를 할 수 있게 한 장치(도 1)이고, 위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는 중앙집중식 공기조화설비가 안되어 있는 건축물 또는 소규모 공간에 독립하여 향을 공급하는 장치(도 4)이다.
이러한 향 공조장치와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 등과 같이 실내상태의 공기를 송풍기로 통풍시켜 향을 증발시키는 향 기화장치에서는 향 증발이 용이한 향 증발카트리지가 핵심적인 기술이 된다. 이 향 증발카트리지는 향 기화장치에서 향액의 증발을 극대화 하고,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향 증발을 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인체나 주변에 해가 없어야 하고, 향취의 변화를 주지 않아야 하며, 향 기화 량의 조절이 용이한 방식이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 재료를 닥나무 인피(수피)로 하 여 전통방식으로 제조되는 한지원료를 사용하여 만든다. 이 한지원료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전통방식으로 제조함으로서 향 증발카트리지의 재료로 쓸 때 향의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인체에 안전하고 또한 화학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향취의 변화가 없다. 이 한지원료로 제조한 향 증발카트리지는 오래 사용하여도 변하지 않아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성형 시 압착하지 않고 카트리지를 제작하면 그 밀도가 낮아져 향액의 함습기능과 통기기능이 더욱 높아져 향 증발이 원활해진다. 또한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 등에 쓰여 지는 향 증발카트리지는 향 증발기능과 함께 모세관 기능도 같이 할 수 있게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서 향액 저장용기에서 직접 향액을 빨아올리는 향액 공급 모세관 능력이 탁월하다. 이는 한지원료 특성상 섬유의 길이가 평균 20 - 30mm로 길고 가늘며 결합조직이 균일하고 성글기 때문이다. 옛날 우리선조들이 이 한지로 등잔심지를 만들어 쓴 것을 보면 그 모세관 기능을 짐작할 수 있고, 또한 한지를 창호지로 쓸 경우 실내 습도조절기능과 통풍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향 공조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는 요구하는 향 증발량에 따라 그 면적의 크기와 매수(겹)를 다르게 하면 다양한 크기의 공조 대상공간에 적응할 수 있는 향 공조장치 등에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는 상단 증발카트리지 부분의 표면적 증감으로 원하는 필요 증발량을 만족시킬 수 있고, 하단 모세관 부분의 단면적의 증감으로 향액의 공급량(빨아올리는 량)을 다르게 할 수가 있어 이 둘을 잘 조절하면 원하는 향의 증발을 기대할 수 있어, 상기 향 공급장치의 향 공급능력을 다양하게 함으로서 대상 공간의 적응력을 높이는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는 강제통풍방식이 아닌 실내 공기상태에서 상시 발향되는 일반 방향제품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고, 무공해인 한지재료가 향과의 조화를 이루어 그에 따라 향취가 변하지 않는 등 향 분야에서 전통한지재료의 유용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향 증발카트리지는 한지재료 특성상 오래 사용하여도 변하질 않고, 폐기되는 카트리지는 회수하여 에탄올 등으로 세척하여 다시 쓸 수가 있어 공해가 발생치 않는다.
그 외 유사한 용도의 화공약품 기화장치 등에 응용하여 사용하면 소재로 인한 화학반응 없이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 장치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향 공조장치(100)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 계통 및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향 공조장치(100)는 공조덕트(170)에서 공조용 공기를 흡기관(140)을 통해 인입하여 팬(120)으로 압입 송풍한다. 이러한 공조덕트(170)의 공기를 인입하는 것은 다양한 공조장치의 정압을 극복하고 공조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사용함으로서 열손실 방지와 향취의 변화를 방지하는 목적이다. 팬(120)으로 송 풍된 이 공조공기는 향 기화기(110)로 보내지고, 이 향 기화기(110)에서는 향액 저장용기(130)로부터 공급되는 향액을 점적관(113)을 통하여 향 증발카트리지(10)에 흡수시켰다가 위 팬(120)으로 공급되는 흐름이 빠른 공기로 증발(기화)시킨다.
이 기화된 향은 토출관(150)을 통해 공조덕트(170)로 보내져 공조공기와 혼합되어 실내로 유입 향 공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2는 향 공조장치(100)의 향 기화기(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향 기화기(110)는 흐름이 빠른 공기를 급기구(112)를 통과하여 원통형의 향 기화기(110) 내부로부터 망체(111)와 다공구조인 향 증발카트리지(10)로 이루어진 벽면을 통과시키고, 이 향 증발카트리지(10)에 점적관(113)에서 점적된 적은량의 향액을 흡수시켰다가, 위 흐름이 빠른 공기에 의해 증발(기화)시키는 것이다. 이 향 증발카트리지(10)의 겹 수와 표면적 및 팬(120)의 풍량/풍속의 증감으로 향의 증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향 공조장치(100)용 향 증발카트리지(10)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향 공조장치(100)용 향 증발카트리지(10)는 한지 원료를 재료로 하여 판형(11)으로 성형되며, 압착하지 않고 성형과 건조를 시켜 밀도를 적게 하여 보습과 통기기능을 높인다.
또한 이 향 공조장치(100)용 향 증발카트리지(10)는 성형 시나 성형 후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공기통과공(12)을 두어 공기흐름을 용이하게 하고, 표면요철(13)을 주어 공기의 와류를 유도해 향 증발능력을 크게 한다.
또한 이 향 공조장치(100)용 향 증발카트리지(10)는 적어도 한 겹 이상 겹으로 사용하고, 그 사이에 필요한 량의 향액을 점적(點滴)하면 이 향 공조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10)가 향액을 보습하고 있다가 공기통과공(12)으로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향의 증발이 이루어져 상기 향 공조장치(100)로 향 공조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는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20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200)는 향액 저장용기(240)로부터 모세관(24)을 통하여 향액을 빨아올려 향 증발카트리지(20)로 보내지고 이 향 증발카트리지(20)에서는 급기팬(230)으로부터 강제 송풍된 흐름이 빠른 실내상태의 공기에 의해 향의 증발(기화)이 이루어져 이 향기가 실내로 보내져 공간 향(향공조)이 연출되는 것이다.
이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200)는 전동 액츄에이터(220)에 의해 구동되는 증발 개폐캡(210)의 개폐로 필요할 때에만 향기가 공급된다.
도 5는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20)의 결합상태를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20)는 상부 향 증발카트리지(21)부분과 하부 모세관(24)부분이 일체를 이룬 구조이다.
도 6는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20)용 향 증발카트리지(2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200)용 향 증발카트리 지(20)는 상기 한지원료를 재료로 하여 막대형으로 성형되며, 압착하지 않고 성형과 건조를 시켜 밀도를 적게 하여 보습과 모세관 기능을 높인다.
또한 상단 향 증발카트리지(21)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과공(22)과 표면요철(23)을 두어 증발면적을 크게 한다.
또한 하단 모세관(24) 부분은 상하 단면적의 크기를 같게 하여 모세관 기능을 좋게 하고 그 길이는 2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향 공조장치의 전체 계통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 공조장치의 향 기화기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 공조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향 공조장치 120 : 팬
110 : 향 기화기 130 : 향액 저장용기
111 : 망체 140 : 흡기관
112 : 급기구 150 : 토출관
113 : 토출구 160 : 자동제어부
114 : 점적관 170 : 공조덕트
10 : 향 공조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 180 : 플로우스위치
11 : 향 흡수/증발 판지 12 : 공기통과공
13 : 표면요철 200 ;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
20 :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 카트리지
21 : 증발카트리지 220 : 전동 액츄에이터
22 : 공기통과공 210 ; 증발 개폐캡
23 : 표면요철 24 : 모세관
Claims (2)
- 향 공조장치(100)에서 향 공조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10)는 닥나무 인피(수피)를 원료로 하여 성형하고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공기통기공(12)과, 표면에 증발 면적을 크게 하고 공기의 와류를 유도해 향의 증발을 촉진하는 표면요철(13)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향 증발카트리지.
-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200)에서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용 향 증발카트리지(20)는 닥나무 인피(수피)를 원료로 하여 성형하고, 향 증발카트리지(21) 부분과 모세관(24) 부분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단 향 증발카트리지(21) 부분에 하나 이상의 공기통과공(22)과, 표면요철(23)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향 증발카트리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6506U KR20090003500U (ko) | 2007-10-11 | 2007-10-11 | 한지원료를 이용한 향 증발카트리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6506U KR20090003500U (ko) | 2007-10-11 | 2007-10-11 | 한지원료를 이용한 향 증발카트리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500U true KR20090003500U (ko) | 2009-04-15 |
Family
ID=4128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6506U KR20090003500U (ko) | 2007-10-11 | 2007-10-11 | 한지원료를 이용한 향 증발카트리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3500U (ko) |
-
2007
- 2007-10-11 KR KR2020070016506U patent/KR2009000350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174116A1 (en) | Evaporation cooler and pad | |
KR101403960B1 (ko) | 자연 기화 가습기 | |
KR100990679B1 (ko) |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
JP2016521841A (ja) | Hvacシステムのための加湿ユニット | |
JP2009276017A (ja) | 空気調和機 | |
KR100530387B1 (ko) | 응축열을 재활용하는 공기조화기 | |
KR100970006B1 (ko) | 고정형 기화식 가습기 | |
JP2012149812A (ja) | 滴下式気化機 | |
KR101144909B1 (ko) | 가습기의 가습유도장치 | |
JP2002327940A (ja) | 空気調和機 | |
KR100650595B1 (ko) |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 |
KR100776268B1 (ko) |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 | |
JP4825190B2 (ja) | 空気調和機 | |
KR200388854Y1 (ko) | 기화식 가습기용 엘레먼트 | |
KR20090003500U (ko) | 한지원료를 이용한 향 증발카트리지 | |
KR20160077261A (ko) | 자연증발식 피톤치드 공급 및 전열구조의 스탠드형 환기장치 | |
KR100757912B1 (ko) | 향 공조장치 | |
KR200261390Y1 (ko) | 기화용 흡습패드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 조화기 | |
JP6335418B2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JPH01260233A (ja) | 空気調和機 | |
JPS5854577Y2 (ja) | 簡易冷房装置 | |
JPH116640A (ja) | エアコンディショナーの加湿装置 | |
JPH02223745A (ja) | 建物用の空気清浄加湿装置 | |
KR101574079B1 (ko) | 송풍펜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조절하는 부직포가습기 | |
JP2562525B2 (ja) | 空調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