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458U - 전선 결선구 - Google Patents

전선 결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458U
KR20090003458U KR2020070016422U KR20070016422U KR20090003458U KR 20090003458 U KR20090003458 U KR 20090003458U KR 2020070016422 U KR2020070016422 U KR 2020070016422U KR 20070016422 U KR20070016422 U KR 20070016422U KR 20090003458 U KR20090003458 U KR 20090003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ire
connection
connection body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851Y1 (ko
Inventor
서완석
Original Assignee
서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완석 filed Critical 서완석
Priority to KR2020070016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5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twi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선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절연 신뢰성도 양호하며 특히 잘못 결선한 경우에는 원래대로 분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전선 결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외주에 웅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 결선체의 내부 바닥에 막힌 구멍과 관통공이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웅형 체결부에 대응하는 자형 체결부를 외주에 구비하는 제2 결선체의 내부 바닥에도 상기 막힌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막힌 구멍이 각각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며, 결선 대상으로 되는 한쪽 전선의 나선부는 제1 결선체의 관통공으로, 또 다른쪽 전선의 나선부는 제2 결선체의 관통공으로 각각 인입되어서 각각의 종단이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막힌 구멍으로 끼워져 지지가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를 상호회동하면 그 내부에서 전선의 나선부는 중간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꼬여져 결선 되게 하는 것이다.
전선 결선구, 전선 결속구, 접속구, 와이어 커넥터, 배선 연결장치,

Description

전선 결선구{wire connector}
본 고안은 전선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선을 결선할 수 있고, 결선 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 보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전선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전선 결선작업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전선 2가닥이나 3가닥은 한꺼번에 비틀어 꼬아서 결선하고, 결선부의 주변은 테이프로 감아 붙여 외부로부터 절연함이 일반적이지만, 이 방식은 오랜 시간 경과 하면 테이프가 열화 되는 문제와, 특히 외관이 불량하여 결선 정리가 산만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 결선부에 결선구를 개재시켜서 안정적으로 절연되고 결선상태가 깔끔하게 정돈되도록 하고 있다.
공지된 전선 결선구로는 원추형상의 커넥터 캡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커넥터 캡은 내부가 금속튜브이고 외부는 합성수지로 피복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것을 전선 결선부에 씌운 다음 니퍼나 프라이어 등의 수공구로 1, 2회 눌러 변형시키는 것으로 결선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커넥터 캡을 사용한 전선 결선작업의 결과를 보면, 결선부의 일부가 커넥터 캡의 출입구로 노출되어 절연 불량으로 되는 예가 빈번하여 별도의 테이프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상기 구조의 커넥터 캡은 일단 니퍼나 프라이어로 눌려진 것은 재활용이 곤란하여 잘못 결선하였을 때는 잘라 버리고 새것을 사용함에 따라 작업 중에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자재 수량도 상당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1991-0003219호에 개시된 와이어 커넥터는 상술한 종래의 커넥터 캡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보여 주고 있다.
개시된 와이어 커넥터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전선의 나선부(2)가 접속판(4)을 관통한 위치에서 꼬여져 연결되고, 또 접속판(4)의 상방으로는 캡(6)을 씌우고 회동시켜서 빗장(8)이 빗장 홈(10)으로 끼워져 결착 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커넥터 캡에 비하여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는 것이므로 절연성이 보장될 수 있고, 잘못 결선한 경우에도 캡을 분리할 수 있어서 재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개시한 예에서 빗장(8)은 사출분야 기술로는 성형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실시할 수 없는 구조라는 맹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절연 신뢰성도 양호하고 또 잘못 결선하였을 때는 원래대로 분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량한 전선 결속구를 제공함에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주에 웅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 결선체의 내부 바닥에 막힌 구멍과 관통공을 대칭이 되는 위치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웅형 체결부에 대응하는 자형 체결부를 외주에 구비하는 제2 결선체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막힌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막힌 구멍을 각각 대칭이 되는 위치로 형성 배치한 구성으로 된다.
웅형 체결부와 자형 체결부는 통상의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를 채용하거나 또는 한쪽을 내주 면에 나선 홈이 형성된 소켓으로, 또 반대쪽은 외주 면에 상기 나선 홈으로끼워지는 돌기를 갖춘 플럭으로 형성하여도 상대회동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의 상대회동으로 웅형 체결부와 자형 체결부 사이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결선체의 관통공으로 인입되어서 그 종단이 제2 결선체의 막힌 구멍으로 지지가 되는 한쪽 전선의 나선부, 또 반대로 제2 결선체의 관통공으로 인입되어서 그 종단이 제1 결선체의 막힌 구멍으로 지지가 되는 다른쪽 전선의 나선부는, 각각 상기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 내부 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져 변형되면서 꼬여져 결선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전선 결선구에서, 제1 결선체의 내부 중심과 제2 결선체의 내부 중심 사이로 축을 설치하여 양 결선체의 회동 중심으로 작용하도록 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선 결선구는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를 상대회동시키는 것으로 2가닥의 전선 나선부가 꼬여져 연결되기 때문에 결선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결선 되는 전선의 나선부는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의 내부에서 상호 꼬여져 결선 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절연 신뢰성이 높다.
그리고 일단 나사체결로 2가닥의 전선이 꼬여져 결선 되었어도 상기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를 다시 풀어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잘못 결선한 경우에도 다시 원래대로 풀어 분해한 다음 새로 결선작업에 재활용할 수 있어서 자재의 낭비를 없앨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전선 결선구를 일부 절단한 상태의 단면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웅형 체결부(20)를 갖춘 제1 결선체(22)와, 자형 체결부(24)를 갖춘 제2 결선체(26)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결선체(22)의 내부에는 한쪽에 막힌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칭방향에는 관통공(30)이 뚫려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선체(26)에 있어서도 한쪽에 막힌 구멍(32), 그리고 그 대칭방향에 관통공(34)이 각각 뚫려있다.
또,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의 내측 중심에는 각각 축공(36)(3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축공(36)(38) 사이로는 축(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축(40)은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 사이의 중심으로 작용하여 양 결선체(22)(26)가 상대회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것은 도시한 예에서 별도 마련된 부품으로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 결선체(22)의 축공(36) 위치에서 또는 제2 결선체(26)의 축공(38) 위치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결선체(22) 혹은 제2 결선체(26)에서 일체로 형성된 축의 자유 단은 반대쪽 축공으로 끼워져서 양 사이가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모든 막힌 구멍(28)(32)과 관통공(30)(34)의 입구 쪽 둘레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결속대상으로 되는 전선의 나선부(42a)(42b)를 쉽게 끼울 수 있다.
또, 이 실시 예에서 웅형 체결부(20)를 수나사부로, 자형 체결부(24)를 암나사부로 각각 형성하고 있으나 다른 예로서 한쪽은 내주 면에 나선 홈이 일체로 형성된 소켓으로 형성하고, 반대쪽은 상기 나선 홈을 타고 이동되는 돌기가 외주 면에 형성된 플럭으로 형성하여도 상대회동을 통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결선 예를 설명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전선의 나선부(42a)는 제1 결선체(22)의 관통공(30)으로 끼워져서 그 종단이 반대쪽 제2 결선 체(26)의 막힌 구멍(32)으로 삽입 지지가 되고, 또 다른 전선의 나선부(42b)는 제2 결선체(26)의 관통공(34)으로 끼워져서 그 종단이 제1 결선체(22)의 막힌 구멍(28)으로 삽입되어 지지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의 어느 한쪽을 회동시켜 웅형 체결부(20)와 자형 체결부(24) 사이가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결선작업이 종료된다.
도 3은 작업자에 의한 회동으로 제1 결선체(22)의 웅형 체결부(20)가 제2 결선체(26)의 자형 체결부(24)로 나사 체결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 사이의 상대회동에 의해 그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었던 양 나선부(42a)(42b)의 중간은 축(40)을 중심으로 둥글게 구부러져 변형되고, 이때 각 나선부(42a)(42b)가 구부러지는 방향은 상호 반대가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양 나선부(42a)(42b))는 상호 얽혀져 엮여진다.
이렇게 얽혀져 엮여지는 양 나선부(42a)(42b)는 웅형 체결부(20)와 자형 체결부(22) 사이의 나사 체결이 멈춰질 때까지 수회 반복되고, 그 말미에는 각 나선부(42a)(42b)가 나사 체결에 의한 인장력을 받아 긴장되면서 꼬여져 접속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선 결선구는 단지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를 상호 나사 체결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양 전선의 결선을 완료할 수 있어서 대단히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잘못 결선한 경우는 나사 맞춤된 웅형 체결부(20)와 자형 체결부(24) 사이를 풀어서 분리하면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 낭비 문제도 없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의 내부 중심으로 개재되는 축(40)은 본 고안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품은 아니고, 제1 결선체(22)와 제2 결선체(26)의 상대회동에 의한 나사체결이 가능하다면, 상기 축(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전선 결선구는 몇 가닥의 연동선으로 구성되는 전선의 결선작업에 특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로등 전원과 램프 배선 사이의 결선이나, 공사 현장의 전력선 배전공사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전선 결선구의 구성을 일부 절단 구조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련된 전선 결선구에서 전선 결선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관련된 전선 결선구에서 전선 결선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전선 결선에 관련한 종래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웅형 체결부 22: 제1 결선체
24: 자형 체결부 26: 제2 결선체
28, 32: 막힌 구멍 30, 34: 관통공
36, 38: 축공 40: 축

Claims (1)

  1. 외주에 웅형 체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한쪽 전선의 나선부 종단이 끼워지는 막힌 구멍과 다른쪽 전선의 나선부가 인입되는 관통공이 대칭으로 배치된 제1 결선체(22)와, 상기 웅형 체결부에 대응하는 자형 체결부가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한쪽 전선의 나선부가 인입되는 관통공과 상기 다른쪽 전선의 종단이 끼워지는 막힌 구멍이 대칭으로 배치된 제2 결선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결선체와 제2 결선체의 상대회동에 의한 웅형 체결부와 자형 체결부의 나사체결로 상기 양 전선의 나선부가 내부에서 꼬여져 결선 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전선 결선구.
KR2020070016422U 2007-10-10 2007-10-10 전선 결선구 KR200447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22U KR200447851Y1 (ko) 2007-10-10 2007-10-10 전선 결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22U KR200447851Y1 (ko) 2007-10-10 2007-10-10 전선 결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58U true KR20090003458U (ko) 2009-04-15
KR200447851Y1 KR200447851Y1 (ko) 2010-02-24

Family

ID=4128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422U KR200447851Y1 (ko) 2007-10-10 2007-10-10 전선 결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31Y1 (ko) 2015-07-27 2016-01-07 이승덕 와이어 커넥터
KR102517423B1 (ko) * 2022-08-31 2023-04-03 원광전력 주식회사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219Y1 (ko) * 1988-05-03 1991-05-13 하병희 와이어 콘넥타(wire connector)
KR0157202B1 (ko) * 1996-09-30 1998-11-16 배순훈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US6358103B1 (en) * 1999-08-02 2002-03-19 Swenco Products, Inc.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KR20060068122A (ko) * 2004-12-16 2006-06-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851Y1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8637B2 (en) Wall plate devices and systems
CN102144337B (zh) 电连接器
JP2005310640A (ja) コネクタ
US10256566B2 (e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KR20090003458U (ko) 전선 결선구
KR20090017141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070004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KR200435153Y1 (ko)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CN201112862Y (zh) 防水式连接器组合装置
KR100469035B1 (ko) 슬리브 커버
KR101400527B1 (ko) 풀림방지 너트 조립체
CN210326171U (zh) 连接螺栓、电缆连接头及高压开关柜
CN210326204U (zh) 连接头及高压开关柜
US10454207B1 (en) Packing member for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KR200297045Y1 (ko) 슬리브 커버
KR100900314B1 (ko)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KR200353247Y1 (ko) 일체형의 이동식 케이블 릴
JP2007018740A (ja) 端子台装置
KR20090018351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431684Y1 (ko) 놀이기구용 파이프 연결조인트
KR200395920Y1 (ko) 파이프의 밀폐를 위한 접속구
CN210576771U (zh) 一种双螺纹线缆连接器
CN208571134U (zh) 一种具备锁紧结构的线束
WO2003087666A1 (en) Articulated mechanical device particularly for lighting apparatuses
KR102176476B1 (ko) 조명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