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53Y1 -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153Y1
KR200435153Y1 KR2020060025169U KR20060025169U KR200435153Y1 KR 200435153 Y1 KR200435153 Y1 KR 200435153Y1 KR 2020060025169 U KR2020060025169 U KR 2020060025169U KR 20060025169 U KR20060025169 U KR 20060025169U KR 200435153 Y1 KR200435153 Y1 KR 200435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ox
screw
conduit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호
Original Assignee
진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용호 filed Critical 진용호
Priority to KR2020060025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관 시공시 시공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용 콘넥터는 중간부분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숫나사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와 나사결합하도록 원통형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일측 단부 테두리에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뾰족한 단부의 고정단이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플러가 상기 연결부재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위치박스 외부로 나사부가 돌출되고, 상기 나사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박스의 관통공에 지지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박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 2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박스에 지지된 고정부재와 대칭형으로 배치된 커플러중 어느 하나와 원터치식으로 연결하므로서, 시공생산성이 향상된 이점이 있다.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

Description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CONNECTOR JOINT SWITCH BOX AND CABLE TUBE HAVE FOR ONE TOUCH TYPE CONCLUSION CONSTRUCTION}
도 1은 종래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b 도 2a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의 결합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콘넥터 100;연결부재
200;커플러 300;고정부재
본 고안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부분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숫나사로 형성된 연결부재의 양측으로 커플러가 대칭 형으로 배치되며, 스위치박스 외부로 돌출된 숫나사가 상기 커플러중 어느 하나와 원터치식으로 연결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박스와 합성수지재 가요 전선관(이하, "전선관"이라 칭함.)을 연결하는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콘넥터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콘넥터(CN)는 연결부재(JM)와 커플러(CL)와 고정부재(FM)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JM)는 통형상의 외형 몸체를 이루며 일측에는 숫나사(MS)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나사(WS)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JM)의 숫나사(MS)에는 커플러(CL)가 결합된다.
이 커플러(CL)는 일측에 상기한 숫나사(MS)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WSS)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WSS)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전선관(EL)과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BD)가 내주방향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름관식으로 형성된 전선관(EL)의 요부(H)에 상기한 걸림돌기(BD)가 걸리므로서, 빠지지 않고 견실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JM)의 상측에는 스위치박스(SB)가 배치되고, 이 스위치박스(SB)의 각 4면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미도시)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부재(FM)가 배치된다.
고정부재(FM)는 고정부(FA)와 나사부(SA)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부(FA)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8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면이 상기한 스위치박스(SB)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또한, 나사부(SA)는 스위치박스(SB)의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이 돌출된 나사부(SA)는 상기한 연결부재(JM)의 암나사(WS)와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 나사부(SA)는 대략 8~10산(山) 정도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연결부재(JM)를 8~11바퀴정도 돌려서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콘넥터의 결합구조는 나사식으로 결합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실내에 스위치박스와 전선관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시공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박스와 전선관을 원터치식으로 한번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넥터를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형상의 외형 몸체를 이루며 일측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와 일측에서 나사결합되며 타측은 전선관과 결합되는 커플러와, 상기 연결부재의 암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가 스위치박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스위치박스와 전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용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중간부분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숫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와 나사결합하도록 원통형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일측 단부 테두리에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뾰족한 단부의 고정단이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플러가 상기 연결부재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위치박스 외부로 나사부가 돌출되고, 상기 나사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박스의 관통공에 지지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박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 2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b 도 2a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의 결합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일측면도이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10)는 연결부재(100)와 커플러(200)와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0)는 길이방향 중공(中空)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간부분의 연결부(101)를 중심으로 양측이 숫나사(110)로 형성되며, 이 숫나사(110)에 각각의 커플러(200)가 대칭형으로 배치된다.(이하, 커플러(200)의 기술적구성은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커플러(20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에 상기한 연결부 재(100)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210)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210)의 단부에 걸림턱(211)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걸림턱(211)은 탄성부(211a)와 고정단(211b)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11a)는 그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단(211b)에 탄성을 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부(211a)의 단부에는 일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고정단(211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단(211b)의 단부는 뾰족하고, 원주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재(300) 나사부(310)의 요홈으로 형성된 나사골(315)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삽입은 용이하지만, 삽입이 완료되고 나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뾰족하게 형성된 고정단(211b)에 의해 견실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플러(200)는 대칭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는 합성수지제 가요 전선관(1)(이하, "전선관"이라 칭한다.)과 연결되며, 그 전선관(1)과 대칭형으로 배치된 커플러(200)는 후술하는 고정부재(300)의 나사부(310)와 결합된다.
고정부재(300)는 나사부(310)와 제 1, 2지지부(320)(330)로 이루어진다.
나사부(310)는 스위치박스(2)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10mm이상 15mm이하의 길이("L"표시부위)로 형성되며, 이 나사부(310)의 일측으로 제 1지지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 1지지부(320)는 상기한 스위치박스(2)의 관통공(2a)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므로서, 스위치박스(2)와 결합되었을 때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이 제 1지지부(320)의 일측으로 제 2지지부(3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제 2지지부(330)는 상기한 스위치박스(2)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300)의 나사부(310)는 전선관의 규격에 따라 달라진다. 즉, 16mm 전선관(1)을 시공할 때에는 M20이상 M22 이하로 형성하고, 22mm 전선관(1)을 시공할 때에는 M26이상 M28 이하로 형성하며, 28mm 전선관을 시공할 때에는 M32이상 M33 이하로 형성하며, 각 나사산의 피치(Pitch)는 2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한 커플러(200)의 각 단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걸림턱(211)의 고정단(21b)이 각 나사부(310)의 나사골(315)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 3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박스(2)에 고정부재(300)를 1차로 안착시킨 후, 연결부재(100)의 양측에 각각의 커플러(200)(300)를 나사결합한다.
그런 다음, 어느 하나의 커플러(300)에 전선관(1)을 원터치식으로 결합하고, 또 다른 커플러(200)를 상기한 고정부재(300)의 나사부(310)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켜 꽉 눌러 끼면 한번에 결합된다.
이때도, 커플러(200)의 내주에 형성된 걸림턱(210) 단부의 고정단(211b)이 고정부재(300) 나사부(310)의 나사산을 타고, 삽입된 뒤에 나사골(315)에 박히듯이 탄성되며, 견실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10)에 의해 스위치박스(2)와 전선관(1)을 연결할 때, 한번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내에 시공이 완료되므로서, 시공생산성은 향상된다.
또한, 스위치박스(2)에서 불가피하게 콘넥터(10)를 해체해야 할 경우는 고정부재(300)의 나사부(310)와 결합된 커플러(200)를 나사의 풀림방향으로 돌리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관과 스위치박스를 원터치식으로 빠르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시공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결합의 시공생산성을 향상시킨 콘넥터에 의해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은 이점이 있다.
또한, 불가피하게 스위치박스에서 콘넥터를 해체해야 할 경우에는 고정부재 나사산의 풀림방향으로 돌리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형상의 외형 몸체를 이루며 일측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와 일측에서 나사결합되며 타측은 전선관과 결합되는 커플러와, 상기 연결부재의 암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가 스위치박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스위치박스와 전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용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간부분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숫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숫나사와 나사결합하도록 원통형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일측 단부 테두리에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뾰족한 단부의 고정단이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플러가 상기 연결부재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위치박스 외부로 나사부가 돌출되고, 상기 나사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박스의 관통공에 지지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박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 2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과 연결용 콘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16mm 규격의 전선관일 때에는 M20이상 M22 이하로 형성하고, 22mm 규격의 전선관일 때에는 M26이상 M28 이하로 형성하며, 28mm 규격의 전선관일 때에는 M32이상 M33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피치(Pitch)는 공히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 콘넥터.
KR2020060025169U 2006-09-19 2006-09-19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KR200435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169U KR200435153Y1 (ko) 2006-09-19 2006-09-19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169U KR200435153Y1 (ko) 2006-09-19 2006-09-19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153Y1 true KR200435153Y1 (ko) 2007-01-09

Family

ID=4155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169U KR200435153Y1 (ko) 2006-09-19 2006-09-19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1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65B1 (ko) * 2018-01-10 2018-09-05 노희인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KR102045265B1 (ko) * 2019-07-12 2019-11-15 김태용 일체형 전선관 커플링 커넥터
KR102226861B1 (ko) * 2020-07-07 2021-03-11 주식회사 커넥터 단축형 전선관 커플링 커넥터
KR20220100181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커넥터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65B1 (ko) * 2018-01-10 2018-09-05 노희인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KR102045265B1 (ko) * 2019-07-12 2019-11-15 김태용 일체형 전선관 커플링 커넥터
KR102226861B1 (ko) * 2020-07-07 2021-03-11 주식회사 커넥터 단축형 전선관 커플링 커넥터
KR20220100181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커넥터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KR102557647B1 (ko) 2021-01-08 2023-07-21 주식회사 커넥터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339B2 (en)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RU2213899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35153Y1 (ko)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스위치박스와 전선관 연결용콘넥터.
KR101856949B1 (ko) 철근 이음 장치
KR200474526Y1 (ko) 가요전선관 연결구
KR20170097357A (ko) 콘크리트 전주용 전주 연결구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KR102084957B1 (ko) 원터치 피팅 이음새 장치
EP3446018A1 (en) Tap connector with flow stabilization
CN217177759U (zh) 快装螺母组件以及卫浴套件
TWM404531U (en) Waterproof connection member
KR101262540B1 (ko)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KR20100097932A (ko)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KR101160091B1 (ko) 수전 연결구
CA2267339C (en) High pressure tube with a fitting to connect it to a corresponding connecting part
CN217469356U (zh) 一种可提高连接稳定性的电缆保护管
KR20130001979U (ko) 호스연결용 소켓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JP2001054221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CN210462105U (zh) 一种塑料软管快接头及泵
KR200185783Y1 (ko) 금속 전선관 연결체
KR20170004410U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US1193025A (en) Renewed
KR20090003458U (ko) 전선 결선구
KR20050026801A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