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66U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266U
KR20090003266U KR2020070016157U KR20070016157U KR20090003266U KR 20090003266 U KR20090003266 U KR 20090003266U KR 2020070016157 U KR2020070016157 U KR 2020070016157U KR 20070016157 U KR20070016157 U KR 20070016157U KR 20090003266 U KR20090003266 U KR 200900032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air conditioner
main body
fixing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훈
윤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266U/ko
Publication of KR20090003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트롤 박스의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회로물이 침수되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고 서비스 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와,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며, 컨트롤 박스는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일측에 회전축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트롤 박스를 간편하게 분리 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 장착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와 증발기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될 때 발생하는 기화열 및 액화열을 사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 하측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다수의 출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가 배설되고, 본체 전면 상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흡입된 공기를 냉풍으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하측에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면서 실내공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물을 집수하는 배수 접시가 배설되고,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덕트 부재와, 덕트 부재 일측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연동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 팬이 배설되며, 공기조화기의 운전 및 정지등의 조건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공기 조화기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 및 트랜스 등이 내장된 콘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부의 조작을 선택하여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면 모터가 구동되어 블로워 팬이 회전하고, 실내공기가 흡입그릴부재를 통해 흡입되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열교환되 토출구 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실내 공기가 열교환되면서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은 배수 접시에 집수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콘트롤 박스는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배수 접시에 집수된 물이 누수되면 콘트롤 박스 내측에 유입되어 콘트롤 박스 내측의 내장된 부품이 침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182571호에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 박스를 본체의 상단에 배치하여 컨트롤 박스가 침수되어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상부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며, 공기조화기 상부에 마련된 컨트롤 박스에 의해 설치 또는 수리 등의 서비스 시 작업자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트롤 박스의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 할 수 있어 서비스 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 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일측에 회전축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의 상기 회전축 삽입공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부품과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와이어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지지고정하기 위해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 자석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컨트롤 박스의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컨트롤 박스가 공기조화기의 하측에 배치되어도 누수에 의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가 전면을 향해 회전한 후 분리되도록 하여 분리 및 수리 시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는 컨트롤 박스(20)와, 컨트롤 박스(20)를 본체(10)의 전면을 향해 회전한 후 분리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컨트롤 박스 장착 구조(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이루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를 바닥에 지지하는 베이스(10e)와, 베이스(10e)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면(10d), 전면(10a)과 후면(10c), 그리고 전면(10a)과 후면(10c)을 연결하는 양 측면(10b)을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면(10a) 하측에는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본체(10) 내측에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가 설치되고, 열교환기(1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토출되는 토출구(12)가 본체(10) 전면 상측에 형성된다.
열교환기(11)의 하측에는 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되면서 실외공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된 물을 집수하는 배수 접시(11a)가 설치된다.
즉,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면, 본체(10) 하측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1)를 통과하며 열교환되고, 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 및 트랜스 등이 내장된 컨트롤 박스(20)가 본체(10)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20)는 컨트롤 박스 장착구조(30)에 의해 베이스(10e)에 설치되어 측면(10b)에 고정된다.
컨트롤 박스 장착구조(30)는 베이스(10e)에 고정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에 체결되도록 컨트롤 박스(20)를 소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하는 회전축 삽입공(23)을 포함한다.
회전축(31)은 고정부(31a)와 회전 지지부(31b)를 포함하고, 고정부(31a)는 본체(10)의 베이스(10e)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1c)이 하측 내부에 형성된다.
회전축(31)의 고정홀(31c)은 베이스(10e)에 설치된 고정 나사부(32)와 나사 체결되어 회전축(31)을 고정한다.
회전 지지부(31b)는 고정부(31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컨트롤 박스(20)의 회전축 삽입공(23)이 회전 지지부(31b)에 관통되어 컨트롤 박스(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즉, 컨트롤 박스(20)의 서비스 작업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컨트롤 박스(20)를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지지부(31b)와 단턱지게 형성된 고정부(31a)는 컨트롤 박스(20)가 베이스(10e)의 하측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컨트롤 박스(20)를 지지한다.
또한, 컨트롤 박스(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컨트롤 박스(20)의 후면에 고정부(22)를 형성하며, 고정부(22)에 자석(22a)을 부착하여 별도의 조립 공정 없 이도 컨트롤 박스(20)가 본체(10)의 측면(10b)에 고정되도록 하여 컨트롤 박스(20)의 탈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0)는 공기조화기의 부품과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와이어(40)가 관통되도록 와이어 홀(21)이 형성된다.
와이어 홀(21)은 컨트롤 박스(2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측면 또는 후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컨트롤 박스(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10)의 베이스(10e)에 고정 설치된 회전축(3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측면(10b)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컨트롤 박스(2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공(23)은 회전축(31)의 회전 지지부(31b)에 삽입되어 컨트롤 박스(20)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단턱진 고정부(31a)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 지지부(31b)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컨트롤 박스(20)는 평상시에는 본체(10)의 측면(10b)에 고정되며, 서비스 작업시 전방을 향하게 회전하다.
이때 컨트롤 박스(20)의 고정부(22)에 부착된 자석(22a)을 이용하여 컨트롤 박스(20)를 본체(10)로부터 원활하게 탈 부착시킨다.
본체(10) 측면(10b)에서 탈착된 컨트롤 박스(20)를 작업자는 작업에 편리하게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컨트롤 박스(20)의 분리 시에는 회전축(31)의 회전 지지부(31b)에서 컨트롤 박스(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회전축(31)과 컨트롤 박스(20) 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회전축(3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31)의 상측 단은 사용자가 구부리는 등의 성형을 가해 컨트롤 박스(20)의 설치 후 컨트롤 박스(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 박스(20)를 본체(10)의 측면(10b)에 위치시킴으로써, 응축수의 누수에 의한 전기적 쇼크 발생을 방지 할 수 있고, 컨트롤 박스(20)를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전면으로 회전한 후 분리시키는 구조로 인해 서비스 성을 개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장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열교환기
12 : 토출구 20 : 컨트롤 박스
21 : 와이어홀 22 : 고정부
23 : 회전축 삽입공 30 : 컨트롤 박스 장착구조
31 : 회전축 32 : 고정 나사부
40 : 와이어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일측에 회전축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의 상기 회전축 삽입공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부품과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와이어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지지고정하기 위해 고정부를 형성하 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 자석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20070016157U 2007-10-04 2007-10-04 공기조화기 KR200900032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57U KR20090003266U (ko) 2007-10-04 2007-10-0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57U KR20090003266U (ko) 2007-10-04 2007-10-0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66U true KR20090003266U (ko) 2009-04-08

Family

ID=4132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157U KR20090003266U (ko) 2007-10-04 2007-10-0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26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8747A (zh) * 2014-08-28 2014-11-26 阿尔西制冷工程技术(北京)有限公司 热交换机组
CN104913392A (zh) * 2015-06-26 2015-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管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8747A (zh) * 2014-08-28 2014-11-26 阿尔西制冷工程技术(北京)有限公司 热交换机组
CN104168747B (zh) * 2014-08-28 2017-02-22 阿尔西制冷工程技术(北京)有限公司 热交换机组
CN104913392A (zh) * 2015-06-26 2015-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管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6086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AU2014349358C1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US10480799B2 (en) Outdoor unit
KR102341728B1 (ko) 공기조화기
JP2010169273A (ja) ヒートポンプ式温水暖房装置
KR20090003266U (ko) 공기조화기
KR20100007303A (ko) 공기조화기
JP5169684B2 (ja) 空気調和機
CN212618699U (zh) 一种空调室内机
KR2011003410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00037230A (ko) 공기조화기
JP462548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85573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825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7057752U (zh) 换热器及空调室内机
KR102538124B1 (ko)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WO2023176438A1 (ja)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及び、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CN218820727U (zh) 除湿机
KR102538127B1 (ko) 제습장치
WO2023176518A1 (ja)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及び、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CN219415017U (zh) 一种空调室外机
JP2008082632A (ja) 空気調和装置
WO201708173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JP2010078220A (ja) 床置型室内機
KR10056933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