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10A - 뒷 범버 에어팩 - Google Patents

뒷 범버 에어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10A
KR20090002510A KR1020070065883A KR20070065883A KR20090002510A KR 20090002510 A KR20090002510 A KR 20090002510A KR 1020070065883 A KR1020070065883 A KR 1020070065883A KR 20070065883 A KR20070065883 A KR 20070065883A KR 20090002510 A KR20090002510 A KR 2009000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ear bumper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최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수 filed Critical 최민수
Priority to KR102007006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10A/ko
Publication of KR2009000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1Rear collision or recoiling bounce after 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60R2021/01027Safing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 충돌시 에어백의 전개와 동시에 리어 범퍼 에어백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센서(2)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7)와, 에어백 시스템의 전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전기스위치(3) 및 제2 전기 스위치(4)와, 상기 스위치(3, 4)와 접속되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5)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는 리어 범퍼에 장착된 리어 범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7048062067-PAT00001
에어팩

Description

뒷 범버 에어팩 { rear bumper air pack }
제1도는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범퍼 에어백의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범퍼 에어백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공급부 2 : 안전 스위치
3 : 전기 스위치 4 : 전기 스위치
5 : 인플레이터 6 : CPU
7 : 가속도 센서 8 : 리어범퍼용 인플레이터
11 : 범퍼 페이스 13 : 에너지 업소바 폼
15 : 보강재 16 : 범프 사이드 플레이트
20 : 에어백 수용부 21 : 에어백 모듈
차량안전
안전사고예방 및 차량 수명 증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범퍼 에어백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 충돌시 운전석 및/ 또는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와 동시에 리어범퍼에 장착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리어범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일반적인 에어백 시스템은 전원 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공급을 제 어하기 위한 안전 센서(2)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7)와, 에어백 시스템의 전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전기 스위치(3) 및 제2 전기 스위치(4)와, 상기 스위치(3, 4)와 접속되며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5)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용 안전센서(2) 및 가속도 센서(7)에 의해서 차량 충돌을 중앙처리장치(6)가 인식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는 전기적인 스위치를 ON시켜, 결국 인플레이터(5)에 고전류가 흐르게 되어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한 것일 뿐, 다른 기능은 없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이 있는 경우, 차량이 뒤로 밀리게 되면, 뒤의 차량 또는 어떤 물체에 부딪혀 또 다른 2차적 충돌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 안의 목적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와 동시에 리어범퍼에 장착된 에어백을 전개시켜, 2차적 충돌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의 일예로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 센서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에어백 시스템의 전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전기 스위치 및 제2 전기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접속되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인플레이터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는 리어 범퍼에 장착된 리어 범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리어범퍼 에어백은 전원 공급부(1)와, 상 기 전원 공급부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 센서(2)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7)와, 에어백 시스템의 전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전기 스위치(3) 및 제2 전기스위치(4)와, 상기 스위치(3, 4)와 접속되며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5)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는 리어범퍼에 장착된 리어 범퍼 에어백(21)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8)가 접속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리어범퍼는 범퍼 페이스(11)와, 상기 범퍼 페이스(11)의 사이드부 내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6)와, 상기 범퍼 페이스(11)의 내면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에너지 업소바 폼(13)과, 상기 에너지 업소바 폼(13)을 지지하는 보강재(15)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리어 범퍼 에어백 모듈(21)은 에너지 업소바 폼(13)의 일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21)의 카바는 범퍼 페이스(11)의 에어백 수용부(20)에 정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리어범퍼 에어백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충돌이 일어나면, 가속도 센서(7) 및 안전센서(2)에 의해서 충돌을 중앙처리장치(6)가 인식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는 전기적인 스위치를 ON시켜, 결국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인플레이터(5)에 고전류가 흐르게 되어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며, 또한 중앙처리장치(6)는 리어 범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리어 범퍼 에어백용 인플레이터(8)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어 범퍼 에어백은 운전석 및/ 또는 조수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운전석 및/ 또는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와 동시에 리어 범퍼 에어백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차량의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no

Claims (1)

  1. 전원 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센서(2)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7)와, 에어백 시스템의 전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전기 스위치(3) 및 제2 전기 스위치(4)와, 상기 스위치(3, 4)와 접속되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5)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는 리어범퍼에 장착된 리어범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8)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 에어백.
KR1020070065883A 2007-06-30 2007-06-30 뒷 범버 에어팩 KR20090002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883A KR20090002510A (ko) 2007-06-30 2007-06-30 뒷 범버 에어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883A KR20090002510A (ko) 2007-06-30 2007-06-30 뒷 범버 에어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10A true KR20090002510A (ko) 2009-01-09

Family

ID=4048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883A KR20090002510A (ko) 2007-06-30 2007-06-30 뒷 범버 에어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160A (zh) * 2013-07-16 2013-10-02 常州先进制造技术研究所 汽车被动保护系统安全气囊控制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160A (zh) * 2013-07-16 2013-10-02 常州先进制造技术研究所 汽车被动保护系统安全气囊控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8781A1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JP6103145B2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
JP4258726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CN104590185A (zh) 汽车儿童行人保护装置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KR20090002510A (ko) 뒷 범버 에어팩
JPH0549523A (ja) エアバツグ装置を備えたヘツドレスト
KR0124788Y1 (ko) 리어 범퍼 에어백
JPH0538998A (ja) エアバツグセンサの配置構造
CN201021237Y (zh) 汽车外置防撞气囊
JP3788679B2 (ja) 車両用エアバックシステム
EP2733021B1 (en) A passenger airbag switch
US8444178B2 (en) Airbag apparatus
KR10025454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전개 단속장치
JP2006131230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H09109825A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0345081Y1 (ko) 에어백의 전개 제어를 위한 승객 정보 제어 장치
KR19980039036U (ko) 뒷좌석에 하체 보호용 에어 백을 설치한 차량
JP2007030811A (ja) 乗員保護装置
KR101028281B1 (ko) 외부보조전원을 이용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
CN114312620A (zh) 汽车儿童座椅安装自适应系统
CN110667507A (zh) 一种汽车
JP2020138636A (ja) 乗員保護装置
CN116605164A (zh) 车辆及其电力系统
KR20100131196A (ko) 헤드부 보호를 위한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