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058U -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058U
KR20090002058U KR2020070014298U KR20070014298U KR20090002058U KR 20090002058 U KR20090002058 U KR 20090002058U KR 2020070014298 U KR2020070014298 U KR 2020070014298U KR 20070014298 U KR20070014298 U KR 20070014298U KR 20090002058 U KR20090002058 U KR 20090002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iameter
measurement
roll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영
Original Assignee
김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영 filed Critical 김혜영
Priority to KR2020070014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058U/ko
Priority to PCT/KR2008/001878 priority patent/WO2009028776A1/en
Publication of KR20090002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12Measuring or surveying wheel-ri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7/28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oun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G01M17/10Suspensions, axles or wh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차륜 직경을 측정함에 있어 좁고 어두운 차량 하부 및 측부에서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분리없이 차륜에 부착된 상태에서 롤러에 의한 슬라이딩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측정 시간의 단축과 함께 측정자의 측정시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력이 형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차륜에 밀착측정함과 함께 이전 측정값이 저장되어 있어 항상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경량으로 형성되어 휴대성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어떠한 조건에서도 손쉽게 조작하여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차륜의 직경 크기와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차륜측정, 게이지, 롤러, 자석

Description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PORTABLE WHEEL DIAMETER MEASURING DIGITAL GAUGE}
본 고안은 차륜직경 측정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롤러가 차륜에 밀착 슬라이딩되어 차륜의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있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열차, 지하철 등의 철도차량은 다수의 차륜이 레일 상에 위치되어 주행 이동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륜은 철도차량의 차축에 조립되어 레일 상에서 주행시 원활한 굴림을 위한 답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길을 안내하며 궤도이탈을 방지키 위한 산봉우리 형상인 ∩자형을 가진 플렌지부가 한 몸체로 일체화 된 바퀴로서 철도차량 주행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열차, 지하철 등의 철도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 등을 운송하는 운송수단의 특성상 철도차량의 차륜이 레일 상에서 주행과 정차를 반복적으로 행하 게 되어 차륜과 레일의 마찰로 인하여 차륜의 마모가 발생되게 된다. 즉, 레일과 직접 접촉되는 차륜의 답변은 자주 반복되는 정차와 주행으로 인하여 마모가 쉽게 일어나며, 차륜의 답면의 마모는 전체 차륜의 직경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의 승차감과 안전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또한, 차륜의 답면은 레일과의 마찰에 의하여 고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국부적인 구간에서 찰상과 같은 편마모가 발생되기 쉽게 되어 차량의 진동이 증가되며, 차량의 전자장비 및 구조물에 손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요인으로 인해 유지보수비용의 증가와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차량의 안전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 차륜 답면의 상태와 직경의 마모 정도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차륜의 답면을 재가공함에 따라 차륜의 직경을 전체 직경과 동일하게 맞추고, 편마모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한번 주행을 끝낸 열차는 검수자들에 의해 한 편성에 부착된 전 차륜에 대한 편마모 육안 검사 및 직경검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륜의 직경검사를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직경 게이지를 이용하여 검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차륜직경 게이지(10)는 차륜의 플랜지부 전면이 접하는 지지플레이트(21)가 형성되어 거치되는 프레임(2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 양단에 지지핀(30)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0) 상단에 설 치되되, 차륜의 직경을 측정하는 측정핀(44)이 형성되고, 상기 측정핀(44)에 의해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연산하여 직경값을 발광표시부(42)로 나타내는 디지털 게이지(4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철도차량의 차륜직경 게이지(10)를 이용하여 차륜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차륜을 측정하는 검수자가 차륜직경 게이지(10)를 차륜의 직경부 즉, 플랜지 내면에 프레임(20) 양단의 지지핀(30)을 위치시킨 후, 디지털 게이지(40)의 측정핀(44)을 통해 차륜의 직경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륜직경 게이지(10)는 프레임(20) 양단에 형성된 지지핀(30)이 차륜의 플랜지 내면에 밀착위치되어 차륜의 전체적인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검수자가 차륜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차륜과 게이지를 분리하여 측정위치를 바꿔가며 반복적으로 재측정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검수자가 측정위치를 바꿔가며 재측정을 실시했다고 해도 이전 값을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과 측정시간의 지연 및 측정값의 신뢰도는 크게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함께 차륜의 답면이 레일과 마찰되면서 주행과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에서 불규칙한 차륜의 마모로 말미암아 찰상과 같은 편마모 및 국부마모가 발생했을 경우, 차륜의 직경 측정에서 측정값이 누락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승객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차륜 직경 관리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차륜 직경을 측정함에 있어 좁고 어두운 차량 하부 및 측부에서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분리없이 차륜에 부착된 상태에서 롤러에 의한 슬라이딩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측정 시간의 단축과 함께 측정자의 측정시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력이 형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차륜에 밀착측정함과 함께 이전 측정값이 저장되어 있어 항상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경량으로 형성되어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어떠한 조건에서도 손쉽게 조작하여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차륜의 직경 크기와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는 본체 하우징(10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차륜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측정시 유동을 막고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내측면 슬라이딩롤러(201)가 전면 양측으로 각각 구비된 내 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차륜의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직경위치롤러(301)가 후면 양측으로 마련된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와; 상기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차륜의 회전축 방향의 동일한 수직선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차륜직경이 측정되도록 직경측정롤러(401)가 구비된 직경 측정부(40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전후에 구비된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각각의 일면에 측정된 값이 표시되는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부(200)는 차륜의 내측면의 밀착과 슬라이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내측면 방향으로 구비된 내측면 고정자석(202)과; 상기 내측면 고정자석(202) 보다 차륜의 내측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면 슬라이딩롤러(201);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면 고정자석(202)의 자력에 의해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롤러(201)가 차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경측정롤러(401)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직경 측정부(400)에서 획득한 변위 값은 현재의 직경값, 현재까지의 최대 직경값, 현재까지의 최소 직경값, 현재까지의 평균 직경값이며, 상기 값들은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를 통하여 본체 하우징(100)의 전후로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와 직경측정롤러(401)는 차륜 외주면과의 부착을 위해 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사이에서 수평과 수직이 고정되도록 구비된 연결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휴대시, 또는 사용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부(700)가 더 형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한 본 고안은 차륜 직경을 측정함에 있어 좁고 어두운 차량 하부 및 측부에서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분리없이 차륜에 부착된 상태에서 롤러에 의한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구간을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현재값,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을 현시함으로써, 검수자가 원하는 다양한 수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측정 시간의 단축과 함께 측정자의 측정시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력이 형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차륜에 밀착측정함과 함께 이전 측정값이 저장되어 있어 항상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경량으로 형성되어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어떠한 조건에서도 손쉽게 조작하여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차륜의 직경 크기와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전면측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배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전면측에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배면측에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 게이지의 본체 하우징(100)에는 내측면 슬라이딩부(200), 직경위치 슬라이딩 부(300), 직경 측정부(400), 디스플레이부(500), 연결부(600), 핸들부(700)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제어부(도시없음)가 내설된다. 상기 제어부는 후술되는 직경 측정부(400)로부터 차륜의 직경이 측정된 변위값을 디지털값으로 변위하여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하고, 아울러, 상기 측정값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부(20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차륜의 플랜지부측 내측으로 좌우 대칭되게 내측면 고정자석(202)과 내측면 슬라이딩 롤러(20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 고정자석(202)은 본 고안에 따른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시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륜의 플랜지부측에 밀착되도록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 롤러(201)는 전술한 내측면 고정자석(202)내측면 고정자석(202)랜지부측으로 더 돌출되어 차후 본원 고안의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 게이지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좌우 한쌍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내측면 슬라이딩 롤러(201)는 슬라이딩 되어 차륜의 측정시 플랜지부측에 밀착되어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자석으로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는 본체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차 륜의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직경위치롤러(301)가 후면 양측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는 차후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게이지 전체가 차륜상에서 슬라이딩시, 차륜의 회전축 방향의 수직선상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되, 차륜의 회전축 방향의 수직선상은 차륜의 내측면으로부터 70mm 또는 75mm 떨어진 차륜의 직경위치가 지시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는 전술한 내측면 슬라이딩 롤러(201)와 동일하게 차륜상에서 슬라이딩 시, 차륜에 밀착되어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자석으로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 측정부(400)는 전술한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와 차륜의 회전축 방향의 동일한 수직선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고,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수평을 이루도록 된 직경측정롤러(401)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본체 하우징(100)의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2디지털표시부(50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에는 전술한 직경측정롤러(401)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직경 측정부(400)에서 획득한 변위 값인 현재의 직경값, 현재까지의 최대 직경값, 현재까지의 최소 직경값, 현재까지의 평균 직경값을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검수자가 쉽게 확인가능토록 LED 램프(도시없음) 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가 본체 하우징(100)의 전후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차륜측정시, 어느 방향에서도 확인가능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600)는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사이에서 수평과 수직이 고정되도록 다수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휴대시, 또는 사용시에 용이하게 파지하여 핸들링되도록 핸들부(700)가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작용은 아래의 설명과 같으며, 이하 사용상태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측면 슬라이딩부(200)를 차륜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구비된 내측면 고정자석(202)의 자력으로 본 고안의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게이지가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면 고정자석(202)이 차륜의 플랜지부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내측용 슬라이딩롤러(201)가 내측면 고정자석(202)의 자력에 의해 차륜의 플랜지부측으로 자력이 발생되어 밀착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와 직경 측정부(400)의 직경측정롤러(401)는 차륜의 회전축 방향의 동일 한 수직선을 따라 슬라이딩을 위해서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와 직경 측정부(400)의 직경측정롤러(401)는 차륜의 내측면으로부터 70mm 또는 75mm 떨어진 차륜의 직경위치을 가리키도록 한다.
한편, 직경 측정부(400)의 직경측정용롤러(401)는 좌우측의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프링으로 밀고 있는 형태로 차륜의 직경위치를 가리킨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 게이지가 차륜상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L 만큼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어 직경을 측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거리 L은 내측면으로부터 70mm 또는 75mm 가 바람직하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게이지를 차륜에 고정시킨 후, 직경 측정부(400)의 직경측정롤러(401)가 수직방향으로 밀려들어가면 그 변위값이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에 동시에 현시된다.
상기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에 현시된 값은 디스플레이부(500)에서 다수의 제어버튼(503)에 의해 제어되되, 예를 들면 데이터홀드버튼을 누르면 측정값이 일시 고정되고, 자체 조명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조명버튼을 통해 발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게이지가 직경의 연속값 측정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후,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한 점에 대한 직경측정이 끝나면, 특정구간의 연속된 값을 현시하기 위하여 내측면 슬라이딩 롤러(201) 및 직경위치 롤러(301)를 차륜상에서 이동시켜 직경측정 롤러(401)에 의해 측정토록 시행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측정이 끝난 상태에서 검수자는 본체 하우징(100) 위의 핸들부(700)를 잡고, 차륜의 회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차륜의 내측면으로부터 70mm 또는 75mm 떨어진 차륜의 직경위치의 특정구간에 대한 모든 연속된 직경값을 측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속된 직경값의 결과는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에 실시간으로 디지털값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의 표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의 상단 첫 번째에는 현재 직경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두 번째는 현재까지 측정한 값들 중 최대값이 현시되며, 세 번째는 현재까지 측정한 값들 중 최소값이 현시되며, 네 번째는 현재까지 측정된 값들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값이 표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시는 차륜직경의 연속값을 산출할 경우 현재 값은 물론이고, 최대값과 최소값, 평균값이 함께 표시됨으로써, 차륜의 편마모 및 찰상과 같은 국부마모도 함께 측정되도록하여 검수자에게 보다 신뢰높은 측정값을 동시에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차륜직경 측정 디지털게이지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은 PC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되어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전면측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배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전면측에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배면측에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하우징 200 : 내측면 슬라이딩부
201 : 내측면 슬라이딩롤러 202 : 내측면 고정자석
300 : 직경위치 슬라이딩부 301 :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
400 : 직경 측정부 401 : 직경측정롤러
402 : 직경 측정바 500 : 디스플레이부
501 : 제 1 디지털표시부 502 : 제 2 디지털표시부
503 : 제어버튼 600 : 연결부
700 : 핸들부

Claims (6)

  1. 본체 하우징(10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차륜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측정시 유동을 막고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내측면 슬라이딩롤러(201)가 전면 양측으로 각각 구비된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차륜의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직경위치롤러(301)가 후면 양측으로 마련된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와;
    상기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차륜의 회전축 방향의 동일한 수직선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차륜직경이 측정되도록 직경측정롤러(401)가 구비된 직경 측정부(40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전후에 구비된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각각의 일면에 측정된 값이 표시되는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부(200)는
    차륜의 내측면의 밀착과 슬라이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내측면 방향으로 구비된 내측면 고정자석(202)과;
    상기 내측면 고정자석(202) 보다 차륜의 내측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면 슬라이딩롤러(201);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면 고정자석(202)의 자력에 의해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롤러(201)가 차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측정롤러(401)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직경 측정부(400)에서 획득한 변위 값은 현재의 직경값, 현재까지의 최대 직경값, 현재까지의 최소 직경값, 현재까지의 평균 직경값이며, 상기 값들은 제1디지털표시부(501)와 제2디지털표시부(502)를 통하여 본체 하우징(100)의 전후로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위치 슬라이딩롤러(301)와 직경측정롤러(401)는 차륜 외주면과의 부착을 위해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슬라이딩부(200)와 직경위치 슬라이딩부(300)의 사이에서 수평과 수직이 고정되도록 구비된 연결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휴대시, 또는 사용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부(7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KR2020070014298U 2007-08-29 2007-08-29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KR20090002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98U KR20090002058U (ko) 2007-08-29 2007-08-29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PCT/KR2008/001878 WO2009028776A1 (en) 2007-08-29 2008-04-03 Portable wheel diameter measuring digital ga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98U KR20090002058U (ko) 2007-08-29 2007-08-29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58U true KR20090002058U (ko) 2009-03-04

Family

ID=4038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298U KR20090002058U (ko) 2007-08-29 2007-08-29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02058U (ko)
WO (1) WO20090287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46B1 (ko) * 2013-07-22 2014-09-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압연기의 롤 크라운 측정기
KR20160038458A (ko) * 2014-09-30 2016-04-07 국방과학연구소 정밀 곡면추종기구를 이용한 노즐곡률 및 형상 자동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9102B1 (de) * 2009-12-04 2012-04-15 Nextsense Mess-Und Pruefsystem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essung von raddurchmessern
DE102021105522A1 (de) 2021-03-08 2022-09-08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Radsystem, insbesondere für einen Kra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968A (en) * 1979-08-20 1981-05-26 Pullman Incorporated Railway wheel profilometer and diameter gage
US5653040A (en) * 1995-10-24 1997-08-05 Hayes Wheels International, Inc. One touch face gage for vehicle wheels
US6408532B1 (en) * 2000-11-01 2002-06-25 The Clorox Company S-gau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46B1 (ko) * 2013-07-22 2014-09-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압연기의 롤 크라운 측정기
KR20160038458A (ko) * 2014-09-30 2016-04-07 국방과학연구소 정밀 곡면추종기구를 이용한 노즐곡률 및 형상 자동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8776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24208B (zh) 一种轮对加载跑合试验台
CN104742111A (zh) 一种电缆隧道巡检机器人行走机构
KR20090002058U (ko) 휴대용 차륜직경측정 디지털게이지
JPH11502752A (ja) 娯楽装置
KR20130123878A (ko) 궤도 레일의 종구배와 횡구배 및 레일 궤간 자동 측정 장치
JPH0924828A (ja) スラブとレール間のはなれ測定装置
CN104908775A (zh) 非接触式钢轨磨耗检测装置
Hisa et al. Rail and contact line inspection technology for safe and reliable railway traffic
CN115478456A (zh) 一种铁路轨道平直度检测装置
CN101700777B (zh) 一种轨道几何参数测量小车
CN116588774A (zh) 一种货运电梯寿命预测装置及方法
CN201553165U (zh) 一种轨道几何参数测量小车
CN206095620U (zh) 一种轮对加载跑合试验台
CN213951794U (zh) 一种激光搭载测量装置
US20120260818A1 (en) Lightweight transport vehicle
US20110290590A1 (en) Safety brake for incline elevators
CN102589379B (zh) 涂装生产线底漆悬链轨道自动测量监测器
CN210618147U (zh) 一种轨道扣件检修设备
CN211567960U (zh) 一种轨检小车提示机构
CN215326262U (zh) 一种电梯故障检修装置
KR20020003676A (ko) 레이저 편위계
CN216741556U (zh) 一种隧道施工用支撑架的滑动机构
CN216684423U (zh) 平行连杆调节钢轨中心自动数显轨检车
CN219447000U (zh) 分拣机轨道检测装置
CN214523785U (zh) 一种连续式道岔钢轨廓形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