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741A -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741A
KR20090001741A KR1020070047507A KR20070047507A KR20090001741A KR 20090001741 A KR20090001741 A KR 20090001741A KR 1020070047507 A KR1020070047507 A KR 1020070047507A KR 20070047507 A KR20070047507 A KR 20070047507A KR 20090001741 A KR20090001741 A KR 2009000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terminal
channel
ubiquitou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110B1 (ko
Inventor
전찬석
문정훈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4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110B1/ko
Priority to US12/600,406 priority patent/US8914435B2/en
Priority to JP2010508292A priority patent/JP5081297B2/ja
Priority to PCT/KR2008/002528 priority patent/WO2008140201A1/en
Publication of KR2009000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벤트 오리지네이터(event originator)인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가입자 목록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중계 플랫폼에서 이벤트를 한 경로로 집적하여 푸시할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이벤트들을 중계 플랫폼에서 관리되는 가입자들에게 3 A(Anytime, Anywhere, Anydevice)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함으로써, 가입자는 자신의 이벤트 프로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이벤트 푸시 서비스의 가입 권한을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통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은 서비스에 연계된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및 상기 푸시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47507
푸시 엔진, 이벤트, 3A,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제공자, 가입자

Description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Ubiquitous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A Based Push Event}
도 1은 종래의 이벤트 통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의 이벤트 푸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이벤트 발생이 예상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별 채널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ED에 정의되는 데이터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커넥터(connector)
220: 푸시 엔진
310: 네트워크
320: 서비스 프로바이더
330: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
340: 사용자 단말
본 발명은 푸시형(push type) 이벤트를 제공하는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벤트 오리지네이터(event originator)인 서비스 프로바이더(provider)가 가입자 목록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중계 플랫폼에서 이벤트를 한 경로로 집적하여 푸시할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이벤트들을 중계 플랫폼에서 관리되는 가입자들에게 3 A(Anytime, Anywhere, Anydevice)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함으로써, 가입자는 자신의 이벤트 프로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이벤트 푸시 서비 스의 가입 권한을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통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벤트 통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 공중망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프로바이더(provider)인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 등에 가입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에서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거대한 양의 새로운 정보 중에서 필요한 이벤트 정보를 통지받을 수 있도록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이벤트 통지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는 각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각각 별도로 이벤트 통지의 수신을 등록하여야 하고, 등록의 변경, 추가, 삭제 등 이벤트 관련 프로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이벤트 통지와 관련된 각 사용자의 등록의 변경, 추가, 삭제 등을 각각 별도로 처리하여 일일이 가입관련 권한을 부여하여야 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 통지 관련 가입 권한을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비쿼터스의 시대가 점차 도래하고 있다. 위와 같이 기존의 인터넷 상 이벤트 푸시 서비스는 대부분 고정된 PC를 통하여 고속의 인터넷 라인을 통하여 제공받는 형태의 서비스이며, 이러한 서비스는 점차 이동성과 휴대성이 강조된 다양한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도록 발전이 이루어지 고 있다. 유비쿼터스화 된 서비스는 PC, 셀룰러 폰, PDA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이나 휴대 인터넷이 지원되는 다른 단말이나 LAN(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된 냉장고, 전자레인지, 밥솥, 자동 판매기, 메모리 스틱 등 보다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한 서비스이며, 이는 고객이 서비스에 다가가는 형태 보다는 점차 서비스가 고객에게 다가가는 프로액티브(proactive) 한 형태의 서비스이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추어 인터넷 등의 각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통합 집적하여 고객 개개인에게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푸시형 인프라가 필요하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각 서비스마다 다양한 형태의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이를 위해 푸시형 이벤트를 디바이스에 맞게 적절히 처리해 줄 수 있는 중계 플랫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받는 가입자는 자신의 이벤트 프로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이벤트 푸시 서비스의 가입 권한을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입자 목록을 중계 플랫폼에서 관리하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의 각 서비스의 이벤트들을 한 경로를 통하여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여 가입자들에게 3 A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브로커 커넥션들(broker connection)을 운영하고,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서비스 종류, 이벤트 종류, 및 이벤트의 포맷과 의미 등을 등록하는 디렉토리를 통하여 어떠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이라도 이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제공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이벤트를 그 양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프로바이더에서 피크 타임에 거대한 양의 이벤트가 발생되더라도 중계 플랫폼에 집적되어 통합 관리되는 이벤트들을 서비스별 또는 이벤트별로 분산처리하고 병렬처리함으로써 서버의 초대용량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제약없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기술의 구현들이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리거시(legacy) 서비스의 작은 변경만으로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통합형 푸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푸시 이벤트의 특성상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서비스에 밀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한 연결 고리를 제공하여 서비스 자체의 성장에도 상당히 기여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은, 서비스에 연계된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및 상기 푸시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유비쿼터스한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TCP/IP 또는 SMS 기반의 방식 등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전에,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UED(Unots Event Description) 파일을 제공자 정보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XML 형태의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은,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들 사이에서 푸시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복수의 이벤트들을 한 경로를 통하여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며, 상기 이벤트들 중 푸시 받고자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가입을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타입의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유비쿼터스한 단말에서 이벤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푸시 서비스의 가입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 요청에 따라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채널 목록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후에, UED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UED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UED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UED 파일은 메시지 표시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UED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가입 요청으로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채널 목록 중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사용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 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가 상기 선택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는 UED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UED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UED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UED 파일을 파싱하여 메시지 표시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을 추출하고 해석하는 템플릿 파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은, 서비스에 연계된 이벤트를 푸시받는 이벤트 게이트웨이; 및 상기 푸시받은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로커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커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은,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의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UED 파일을 제공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하는 디렉토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게이트웨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렉토리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UED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로커는,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렉토리 관리부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이벤트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채널 단위로 상기 푸시받는 이벤트를 관리하고, 상기 브로커는 상기 채널 단위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로커는, 상기 채널의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브로커는, 상기 채널에 미리 정해진 구분자가 포함된 사용자 ID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만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브로커는, 필요에 따라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XML 형태의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채널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를 가입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가입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로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들 사이에서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비스 프로바이더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이벤트를 수집하는 커넥션 수단; 및 상기 커넥션 수단을 통하여 수집되는 복수의 이벤트들을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며, 상기 이벤트들 중 푸시 받고자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가입을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타입으로 생성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푸시 엔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푸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UnotS: Ubiquitous Notification System)(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200)은 서비스 프로바이더에서 푸시(push)되는 각 서비스의 이벤트들을 수집하 기 위한 커넥터(connector)(210)와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이벤트들을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며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단말)로 전달하는 푸시 엔진(push engine)(220)을 포함한다.
푸시 엔진(220)은 각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각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이벤트들을 커넥터(210)의 한 경로를 통하여 집적하고 통합 관리한다. 하나의 또는 복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지역 정보와 같은 커뮤니티(community), 이-메일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ve)와 같은 메시징, 경매 낙찰 등 알림 서비스, 긴급 조난 서비스, 증권/금융 정보, 카페 정보, 블로그 정보, 게임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에 관련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엔진(220)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단말들 중 푸시 받고자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가입을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타입의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푸시 엔진(220)을 통하여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연계된 가입 권한이 부여되며, 컴퓨터, 이동 단말, TV, PDA, 게임기 등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단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푸시 엔진(220)을 통하여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받기 위한 가입 절차에 참여할 수 있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이벤트를 푸시받고자 하는 가입자들에 대한 목록을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직접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중계 플랫폼인 푸시 엔진(220)에서 관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이벤트 푸시 서비스의 가입 권한을 푸시 엔진(220)의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 프로바이 더로부터의 각 서비스의 이벤트들은 한 경로를 통하여 푸시 엔진(220)에 집적되어 통합 관리되므로,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받는 가입자는 푸시 엔진(220)을 통하여 자신의 이벤트 프로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푸시 엔진(220)은 가입자들에게 3 A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디바이스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 이벤트의 특성상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서비스에 밀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한 연결 고리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푸시 엔진(220)는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기존에 제공하고 있던 푸시형 이벤트 등 리거시(legacy) 서비스를 작은 변경만으로 이용할 수 있고,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들에 적합하도록 푸시형 이벤트의 집적과 통합 관리, 및 가입 권한 부여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에 적응하여 대용량 트랜잭션(transaction) 처리가 가능한 중계 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300)은 인터넷, 무선 인터넷망, 휴대 인터넷망, 공중망, 코어망 등 네트워크(3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인 사용자 단말(340)을 포함하고,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사용자 단말(340)로의 푸시형 이벤트의 전달을 중계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을 포함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운영하여, 커뮤니티, 메 시징, 알림 서비스, 긴급 조난 서비스, 증권/금융 정보, 카페 정보, 블로그 정보, 게임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에 관련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40)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로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 CDMA/WCDMA 망이나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공중망 또는 IP 망 등에 연결되거나 LAN 통신이 가능한, TV, IPTV, 내장고, 전자 레인지 등의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들(340) 사이에서,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푸시되는 다양한 이벤트들을 한 경로를 통하여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며, 상기 이벤트들 중 푸시 받고자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가입을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타입의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구체적인 블록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는 이벤트 게이 트웨이(gateway)(3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로커(broker)(332), 디렉토리(directory) 관리부(333), 제공자 DB(database)(334), 가입(subscription) 게이트웨이(335), 및 가입자 DB(336)를 포함한다.
이벤트 게이트웨이(331)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각 서비스에 연계된 이벤트를 푸시받는다. 이벤트를 푸시받는 방법은 기존의 텍스트 방식 보다는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되어있으며, 해당 바이너리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하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Java Class등의 적응형 레이어(Adaptation Layer)를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도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벤트 게이트웨이(331)에 접속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는 디렉토리 관리부(333)에 의하여 제공자 DB(334)에 등록된 서버이어야 하고, 접속 시에 해당 서비스 ID와 인증키 등을 바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이벤트는 이벤트 게이트웨이(331)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용자 단말(340)을 관리하는 해당 브로커(332)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브로커(332)는 상기 푸시받은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 브로커(332)는 사용자 단말(340)의 인증, 접속 관리, 프레젠스(presence) 관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40)로의 이벤트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브로커(332)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브로커(332)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단말과의 통신 방식별로 구분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브로커(332)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SMS(Short Message Service), UDP(User Datagram Protocol), P2P(Peer to Pe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 단말에 적합한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단말들로의 이벤트 푸시를 지원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와 사용자 단말(340)간의 커넥션은 소정 메모리 상에서 포인터로 참조되도록 함으로써 단말로의 푸시 관련한 최고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동일한 이벤트가 하나의 브로커(332)에 의하여 다수의 가입자 단말들로 배포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게이트웨이(331)는 브로커(332)에 해당 하나의 이벤트와 수신 사용자 단말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브로커(332)는 해당 이벤트를 해당 각 가입자 단말로 배포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40)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지원하는 브로커(332)는 기본적으로 접속 기반과 비접속 기반의 브로커로 분류될 수 있다. 접속 기반 브로커의 경우는 접속해서 인증한 사용자 단말(340)을 유효 클라이언트로 보고, 이벤트 게이트웨이(331)에 접속되었다는 프레젠스 신호를 액티브시키고, 이에 따라 이후 이벤트 게이트웨이(331)로부터 전달된 이벤트를 해당 가입자 단말들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접속 기반 브로커의 경우에는, SMS 기반의 이동 단말, 혹은 팝업 서비스를 위한 주기적 폴링(polling)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 단말 등에서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의 세션(session) 정보는 따로 브로커(332) 쪽에서 관리를 한다. 예를 들어, 핸드폰의 경우에, Always-On Device(항상 온 상태로 대기하는 단말)라고 볼 수 있으므로, 서비스 가입 또는 취소가 인터넷 홈페이지 등의 로그인 또는 아웃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가 입 게이트웨이(335)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들(340) 중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DB(336)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외에도, 브로커(332)에서 해당 가입자 단말들의 프레젠스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할 수도 있다. 브로커(332)는 추가될 디바이스의 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해당 단말의 서비스 지원 방식에 맞게 개발되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브로커(332)는 필요에 따라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XML 형태의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지만,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고려할 때, 그러한 단말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binary) 프로토콜에 따른 페이로드(payoad:데이터)에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는 PC와 같이 데이터 전송이 자유롭고, 또한, 광대역의 데이터를 무리없이 전송할 수 있는 환경 보다는, 보다 데이터 전송이 제약적이고 프로세싱 파워가 제한적인 형태의 휴대형 단말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SMS 기반의 메시지 전송은 80바이트 정도에 불과하며, SMS를 이용한 이벤트 전송은 그 내용과 길이에 매우 제약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과도한 내용을 중복적으로 보내거나 XML의 형태로 이벤트 각각을 패키징해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러가지 제약이 있는 휴대형 단말에 용이한 적용을 위하여 이벤트의 고유한 의미만을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벤트 자체는 모두 서비스ID와 이벤트ID를 가지며,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의를 디렉토리 관리부(333)를 통하여 제공자 DB(334)에 먼저 등록한 다음, 해당 이벤트에 대한 바이너리 프로토콜을 정의한 UED(UnotS Event Description) 파일도 함께 등록한 후, 해당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대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된다. 이때, 바이너리 프로토콜을 기술하기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 타입은, 다양한 가입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 9의 설명에서도 기술하는 바와 같이, 8, 16, 32 비트 등의 정수나 문자열 함수로 정의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이미지,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위와 같은 데이터 타입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위 이외에도String2 또는 String4 등의 함수를 활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자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만을 메시지에 인코딩해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가입자 단말은 해당 이벤트 메시지를 해석하여, 멀티미디어 자체 내용은 URL 을 통한 서버 접속을 이용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도 기술하는 바와 같이, 가입자 단말은 가입 시 디렉토리 관리부(333)에 접속하여 제공자 DB(334)에 관리되는UED 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 단말은 브로커(332)에서 전송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해석함에 있어서, UED 파일의 정의에 따라 이벤트 메시지를 해석하고 표시해 줄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도 일부 언급한 바와 같이, 푸시형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는 각 이벤트에 대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ID와 이벤트ID 및 UED 등을 디렉토리 관리부(333)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즉, 디렉 토리 관리부(333)는 서비스ID와 이벤트ID가 포함되는 서비스 연계 채널을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받아 디렉토리 형태로 제공자 DB(334)에 저장하고, 이때, 해당 채널에서의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 타입 등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아래 [UED 포맷의 예시]와 같은 UED 파일도 제공자 DB(334)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서비스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구체적으로 등록한다. 이와 같이 제공자 DB(334)에 등록되는 각 서비스에 연계된 채널들과 UED 파일을 포함하는 제공자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게이트웨이(331)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상기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해당 이벤트를 푸시받게 된다. 만약, 제공자 DB(334)에 등록되지 않은 이벤트 포맷이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전송될 경우, 이벤트 게이트웨이(331)는 해당 이벤트 푸시를 거절한다.
[UED 포맷의 예시]
<?xml version="1.0" encoding="euc-kr" ?>
<ued event-provider-id="[eventProviderID]" event-id="[eventID]">
<description>[간략한 설명]</description>
<record>
<field name="[이름]" type="[데이터 타입]" />
[field element 반복)
</record>
<url>[추가정보 URL]</url>
<template>[화면에 표시될 템플릿]</template>
</ued>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이벤트의 손쉬운 추가, 확장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이벤트별 버전관리를 통한 서비스 업그레이드도 지원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에 의해 이벤트 포맷이 바뀔 경우에,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는 제공자 DB(334)에 새로운 이벤트를 등록하고 사용해야 하며, 과거 이벤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해당 이벤트를 디스에이블(disable)시켜야 한다. 가입자 단말은 사용하지 않는 UED에 대해서 처리 방침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UED가 삭제되면 해당 UED의 유효성(valid) 여부를 디렉토리 관리부(333)에 질의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가입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할 새로운 UED를 언제든지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브로커(332)는,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해당 단말의 사양별로 그에 적합한 데이터 타입이 정의된UED를 미리 알고 있으며, 가입자 단말의 UED 요청 시에 단말 기종 등 사양을 참조하거나 가입자가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에 맞게 그에 적합한 UED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바이더(320)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도 5와 같이, 네이버와 같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카페, 블로그, 메일, 뉴스, 금융/전자 상거래 관련한 경매, 주식 종목 시세, 계좌 정보, 방송 관련 프로그램 정보, 스포츠 중계, 홈쇼핑 정보, 지역 정보 관련한 프로필, 날씨, 쿠폰, 부동산 정보, 커뮤니케이션 관련한 부재 정 보, VoIP 메시지, 통화료 정보, 또는 개인 일정 관련한 일정 관리 정보, 관심 이웃 정보, 프라이버시 정보 등 무궁 무진하게 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 서비스에서 이벤트 발생이 연계된 채널을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이벤트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채널 단위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푸시받는 이벤트를 관리하고, 브로커(332)는 채널 단위로 가입자 단말에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메시지는 어떠한 그룹 또는 개인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의 입장에서는 특정한 이벤트 전달 그룹을 가입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푸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이러한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채널 개념을 도입하고, 제공자 DB(334)에 디렉토리 형태로 관리되는 이벤트 채널은 웹페이지에서의 서브디렉토리의 표현과 유사하며,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의 자료 구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채널은 모두 자유롭게 서브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상위 채널명으로 이벤트를 전송했을 경우는 하위 채널의 논리합에 해당하는 채널에 가입한 단말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즉, 브로커(332)는 해당 채널의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이 포함된 경우에,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의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그 하위의 서브 채널에 가입한 모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의 뎁쓰(depth)는 제약이 없으나, 사용자 단말 측에서 채널을 선택하여 각각 가입해야 하는 문제점을 고려할 때, 최대 2단계 까지만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의 경우는 채널을 나타내는 표기법과 유사하게 개인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개인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user1, 또는 @jhmoon과 같이 구분자 @와 사용자 ID를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에 미리 정해진 구분자가 포함된 사용자 ID가 포함된다면, 브로커(332)는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만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의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채널 "blog/indigo " "EX:ind/indigo"와 같이 구분자 EX등을 이용하여 ID가 indigo 인 사용자를 제외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 가입 게이트웨이(335)는 사용자 단말(3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에 의하여 등록된 각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사용자 단말(340)로 전송하는데, 이때 가입 게이트웨이(335)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에게 해당 사용자 ID를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프로바이더(320)가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점검하여 채널 등록 절차를 가질 수 있다. 권한이 인증된 사용자 단말은 가입 게이트웨이(335)에서 제공되는 채널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사용자 ID, 암호, 단말 고유 번호, 단말 기종 등의 사용자 정보를 가입 게이트웨이(335)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가입 게이트웨이(335)는 가입자별로 상기 선택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DB(336)에 등록한다. 이에 따라, 브로커(332)는 가입자 DB(336)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서비스 가입자가 특정 채널에 대한 권한이 변경되거나 없어졌을 경우, 서비스 프로바이더(320)가 해당 가입자의 해당 채널 에 대한 등록 해제 (deregistration) 명령으로 가입 게이트웨이(335)에게 알려주어야하고, 이에 따라, 가입 게이트웨이(335)는 가입자 DB(336)에 해당 가입자의 권한을 해제하여 그 가입자 단말에는 이벤트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 카페에서는 '어떤 카페의 어떤 게시판에 누가 어떤 글을 올리셨습니다.' 등과 같은 이벤트를 푸시할 수 있고, 해당 카페의 동호회 회원은 자신에게 필요한 위와 같은 카페 이벤트에 대한 관련 메시지를 자신의 단말 형태에 무관하게 언제 어디서든 푸시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블로그에서는 '누구의 블로그에 새글 어떤 것이 등록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이벤트를 푸시할 수 있고, 해당 블로그 회원 등은 자신에게 필요한 위와 같은 블로그 이벤트에 대한 관련 메시지를 자신의 단말 형태에 무관하게 언제 어디서든 푸시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비쿼터스한 사용자 단말들(340)에 대응한 적절한 브로커 커넥션들(broker connection)과 서비스 프로바이더(320)가 서비스 종류, 이벤트 종류, 및 이벤트의 포맷과 의미 등을 등록하는 디렉토리를 운영하여, 어떠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340)이라도 디렉토리를 참조하여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의 서비스 기획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창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사용자는 서비스가 다른 UED 포맷으로 변경되더라도 UED 관련 클라이언트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 없이 자동으로 이벤트를 해석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3의 사용자 단말(34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41),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 메모리(343) 및 템플릿 파서(template parser)(344)를 포함한다.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40)은 TCP/IP 기반 인터넷 단말이나 SMS 기반의 이동 단말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댁내에 설치하여 유무선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유비쿼터스한 단말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40)이 SMS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과 같은 경우에, 이와 같은 단말은 일반적으로 항상 온(On) 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SMS를 담당하는 브로커를 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게 된다. 일반적인 TCP/IP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의 경우에는, 초기 인증절차(SMS 디바이스의 경우는 처음 서비스 가입이 인증 절차이다)를 거쳐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TCP/IP를 담당하는 브로커에 연결이 되어 메시지를 받게 된다. 이외에도, UDP(user datagram protocol) 혹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에서도 이벤트 메시지를 푸시받을 수 있는 단말 인터페이스가 있다면 그에 맞게 이벤트 메시지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에는 이에 맞는 브로커가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에 역시 구비되어야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디스플레이 수단 이나 스피커 등 음성 출력 수단,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 자료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하고, 또한 이들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까지도 모두 포함하며, 사용자가 각종 정보의 입출력 시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수단들을 포함한다.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에서 운영되는 푸시 중계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하여, 가입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UED 파일을 다운받기 위한 UED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는 상기 가입 요청으로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디렉토리 관리부(333)로부터 서비스 프로바이더(320)의 각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채널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채널들에 대한 선택 정보와 사용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사용자 ID, 암호, 단말 고유 번호, 단말 기종 등)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생성하여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가입 게이트웨이(33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입 게이트웨이(335)가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DB(336)에 등록하면, 그 후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가 상기 선택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41)를 통하여 표시된다.
또한,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는 UED 파일을 다운받기 위한 UED 요청으로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디렉토리 관리부(333)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또는 채널 관련 UED 파일을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343)에 저장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해당 단말의 사양별로 그에 적합한 데이터 타입이 정의된UED를 미리 알고 있으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의 UED 요청 시에 단말 기종 등 사양을 참조하여 그에 적합한 UED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를 통하여 가입자가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에 맞게 그에 적합한 UED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UED에 정의되는 데이터 타입은 도 9와 같이, 다양한 가입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도록, 8, 16, 32 비트 등의 정수나 문자열 함수로 정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는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브로커(332)로부터의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는 수신하는 XML 형태의 이벤트 메시지를 직접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 올려 표시되도록 할 수 있지만, UED에 있는 템플릿에 적용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에는 템플릿 파서(344)가 제공되며, 템플릿 파서(344)는 UED 파일을 파싱하여 메시지 표시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을 추출하고 해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341)는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변환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간단한 얼러팅(alerting)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템플릿의 윤택성(richness)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템플릿에는 글꼴에 관련된 사항 (색상, 굵기,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미지 등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템플릿이 Ful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의 일부분으로 생성되도록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의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ID가 파라메타(parameter)로 넘어올 때는 자동으로 프로필 페이지로 링크시키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하,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동작 흐름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중계 플랫폼에 따른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ID, 이벤트 ID 등을 포함하여 도 6과 같이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UED(Unots Event Description) 파일을 제공자 정보로서 등록한다(S11).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제공자 DB(334)에 제공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이때 UED 파일을 채널별로 관리하거나 서비스별로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340)은 서비스 프로바이더(320)가 제공하는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푸시 서비스의 가입 요청을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가입 게이트웨이(335)로 전송한다(S12). 이에 따라, 가입 게이트웨이(335)가 각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전송할 때(S13), 사용자 단말(340)은 채널 목록 중 이벤트 푸시 받고자 하는 채널들을 선택하여 선택한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와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사용자 ID, 암호, 단말 고유 번 호, 단말 기종 등) 등 가입자 정보를 가입 게이트웨이(335)로 피드백한다(S14).
이에 따라 가입 게이트웨이(335)는 사용자 단말(340)로부터의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DB(33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S15).
사용자 단말(340)은 선택한 채널 관련한 UED 파일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16), 없으면 디렉토리 관리부(333)로 자신 단말의 사양에 적합한 UED 요청을 전송하고(S17), 이에 따라 디렉토리 관리부(333)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41)를 위한 UED 파일을 다운받아(S18) 소정 메모리(343)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S19).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디렉토리 관리부(333)는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의 UED 요청 시에 단말 기종 등 사양을 참조하여 그에 적합한 UED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342)를 통하여 가입자가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에 맞게 그에 적합한 UED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340) 중 가입된 가입자 단말은 이후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의 이벤트 발생때마다 실시간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를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브로커(332)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S20). 서비스 프로바이더(320)로부터 발생되는 해당 채널의 이벤트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서버(330)의 이벤트 게이트웨이(331)를 통하여 푸시받으며(S21), 이때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UED에 정의된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이벤트를 푸시받을 수 있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XML 형태로 이벤트를 푸시받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벤트를 푸시받는 경우에 이벤트를 푸시받을 가입자 단말 목록이 함께 수신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가 브로커(332)를 통하여 전송된다(S22). 브로커(332)는 유비쿼터스한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TCP/IP 또는 SMS 기반의 방식 등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브로커(332)는 이와 같은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XML 형태의 데이터(페이로드)에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지만, 가입자 단말의 소규모 자원을 고려할 때,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UED파일의 데이터 타입(도 9 참조)으로 하고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로커(332)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이벤트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채널 단위로 이벤트들을 관리하여 채널 단위로 가입자 단말에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브로커(332)는 채널의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이 포함된 경우에는, 이벤트 메시지를 서브 채널에 가입한 모든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브로커(332)는 채널에 개인 또는 제외 등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구분자가 포함된 사용자 ID가 포함된 경우에,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만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도록 이벤트를 관리하거나,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만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지 않도록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위의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XML 형태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특히, UED파일에서 지 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해당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은 브로커(332)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클라인언트를 통하여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341)에 해당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클라인언트는 XML 형태의 이벤트 메시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41)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지만, 특히, 템플릿 파서(344)를 이용하여 UED 파일의 템플릿에 따라 메시지 표시 형식을 변환할 수 있다(S23). 템플릿 파서(344)는 서비스 또는 채널별로 소정 메모리(343)에 데이터베이스화된 UED 파일 중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에 대응되는 UED 파일을 추출하여 템플릿을 파싱함으로써UED 파일의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메시지 형식을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나 글꼴 등을 포함하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340)은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이벤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ED에 따라 프로토콜 자체에 대해 분석하고 자체 단말에 맞는 필요 이벤트를 요청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이로부터 다양한 유비쿼터스 단말들에서 메일, 새글, 쪽지, 덧글 알림 등의 단순한 알리미(alert) 기능을 이용할 수 있지만, 더욱 나아가 유비쿼터스한 단말의 제조사나 제3자는 등은 금융, 전자 상거래, 쇼핑, 지역 정보 등의 적시 이벤트 연동이 물류,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계, 상세 정보로의 연결, 재연동 이벤트의 시도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또 다른 차원의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목록을 중계 플랫폼에서 관리하고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의 각 서비스의 이벤트들을 한 경로를 통하여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여 가입자들에게 3 A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제공하므로,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받는 가입자는 자신의 이벤트 프로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프로바 이더는 이벤트 푸시 서비스의 가입 권한을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유비쿼터스한 사용자 단말들에 대응한 적절한 브로커 커넥션들(broker connection)과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서비스 종류, 이벤트 종류, 및 이벤트의 포맷과 의미 등을 등록하는 디렉토리를 운영하여, 어떠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이라도 디렉토리를 참조하여 이벤트 푸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서비스 기획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창출하고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사용자는 서비스의 변경에 따라 클라이언트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 없이 자동으로 이벤트를 해석하여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프로바이더에서 피크 타임에 거대한 양의 이벤트가 발생되더라도 중계 플랫폼에 집적되어 통합 관리되는 이벤트들을 서비스별 또는 이벤트별로 분산처리하고 병렬처리하여 서버의 초대용량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제약이 없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제공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이벤트를 그 양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위와 같은 기술의 구현들이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리거시(legacy) 서비스의 작은 변경만으로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통합형 푸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푸시 이벤트의 특성상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서비스에 밀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한 연결 고리를 제공하여 서비스 자체의 성장에도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이벤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UED에 따라 프로토콜 자체에 대해 분석하고 자체 단말에 맞는 필요 이벤트를 끌어다 쓸 수 있는 형태이므로, 다양한 유비쿼터스 단말들에서 메일, 새글, 쪽지, 덧글 알림 등의 단순한 알리미(alert) 기능을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개념을 확장하여 유비쿼터스한 단말의 제조사나 제3자는 등이 금융, 전자 상거래, 쇼핑, 지역 정보 등의 적시 이벤트 연동이 물류,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계, 상세 정보로의 연결, 재연동 이벤트의 시도 등 또 다른 차원의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6)

  1. 서비스에 연계된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및
    상기 푸시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유비쿼터스한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은 TCP/IP, SMS, UDP, P2P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전에,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UED(Unots Event Description) 파일을 제공자 정보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ED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XML 형태의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전 또는 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채널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를 가입자 정보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UED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D 파일은 메시지 표시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UED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단계 후에,
    각 서비스에 대하여 이벤트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채널 단위로 상기 푸시받는 이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단위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 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에 가입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에 미리 정해진 구분자가 포함된 사용자 ID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만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도록 상기 푸시받는 이벤트를 관리하거나,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만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지 않도록 상기 푸시받는 이벤트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5.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들 사이에서 푸시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복수의 이벤트들을 한 경로를 통하여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며,
    상기 이벤트들 중 푸시 받고자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가입을 등 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타입의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방법.
  16. 단말에서 이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푸시 서비스의 가입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 요청에 따라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채널 목록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후에,
    UED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UED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UED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UED 파일은 메시지 표시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UED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제공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21. 이벤트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가입 요청으로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채널 목록 중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사용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고,
    상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가 상기 선택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는 UED 요청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UED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UED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노티피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ED 파일을 파싱하여 메시지 표시 형식을 지정하는 템플릿을 추출하고 해석하는 템플릿 파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템플릿에 기초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서비스에 연계된 이벤트를 푸시받는 이벤트 게이트웨이; 및
    상기 푸시받은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로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커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의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UED 파일을 제공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디렉토리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게이트웨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이벤트를 푸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UED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는,
    상기 UED파일에서 지정하는 데이터 타입의 바이너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관리부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이벤트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채널 단위로 상기 푸시받는 이벤트를 관리하고,
    상기 브로커는 상기 채널 단위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는,
    상기 채널의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에 가입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는,
    상기 채널에 미리 정해진 구분자가 포함된 사용자 ID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만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만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커는,
    각 가입자 단말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XML 형태의 데이터에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5. 제2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채널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선택 정보를 가입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가입 게이트웨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로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른 해당 채널에 대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36.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유비쿼터스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들 사이에서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프로바이더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푸시되는 이벤트를 수집하는 커넥션 수단; 및
    상기 커넥션 수단을 통하여 수집되는 복수의 이벤트들을 집적하고 통합 관리하며, 상기 이벤트들 중 푸시 받고자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가입을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타입의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해당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푸시 엔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KR1020070047507A 2007-05-16 2007-05-16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10090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07A KR100906110B1 (ko) 2007-05-16 2007-05-16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US12/600,406 US8914435B2 (en) 2007-05-16 2008-05-06 Ubiquitous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A based push type event
JP2010508292A JP5081297B2 (ja) 2007-05-16 2008-05-06 3a基盤のプッシュ型イベントを提供するユビキタス通知方法およびシステム
PCT/KR2008/002528 WO2008140201A1 (en) 2007-05-16 2008-05-06 Ubiquitous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a based push type e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07A KR100906110B1 (ko) 2007-05-16 2007-05-16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41A true KR20090001741A (ko) 2009-01-09
KR100906110B1 KR100906110B1 (ko) 2009-07-07

Family

ID=4000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507A KR100906110B1 (ko) 2007-05-16 2007-05-16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14435B2 (ko)
JP (1) JP5081297B2 (ko)
KR (1) KR100906110B1 (ko)
WO (1) WO20081402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72A1 (ko) * 2012-08-16 2014-02-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6128A (ko)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1962A1 (en) 2008-08-05 2012-08-30 Eugene Lee Lew Social messaging hub system
US11172067B1 (en) 2008-08-05 2021-11-09 HeyWire, Inc. Call center mobile messaging
US9356907B2 (en) 2008-08-05 2016-05-31 HeyWire, Inc. Messaging system having multiple number, dual mode phone support
JP2011530875A (ja) 2008-08-05 2011-12-22 メディアフレンズ,インク. 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装置のsms技術
WO2010053479A1 (en) * 2008-11-05 2010-05-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ing personalized information in a handheld device
CN102891877B (zh) * 2011-07-22 2017-08-25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实现终端应用的在线处理系统及方法
KR20130070308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정책 제공을 위한 정책 결정 장치와 주소 변환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3121400A2 (en) * 2012-02-17 2013-08-22 Danielli Alberto Method for managing via web data related to an event and/or a person and/or an organization
US8923823B1 (en) 2012-06-28 2014-12-30 Emc Corporation System for delivering and confirming receipt of notification messages across different notification media
US10348657B1 (en) 2012-06-28 2019-07-09 Open Text Corporation System for delivering notification messages across different notification media
EP2706727B1 (en) * 2012-09-11 2014-09-10 BlackBerry Limi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endpoints of a push pathway
KR101263423B1 (ko) * 2012-10-19 2013-05-10 김봉주 이동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로그인 확인 및 승인 서비스 구현 방법
JP5665831B2 (ja) * 2012-10-31 2015-02-04 エルジー シーエヌエ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LG CNS Co., Ltd. 電子商取引ドキュメンテーション
US9450904B2 (en) * 2013-07-15 2016-09-20 Dropbox, Inc. Coordinated notifications across multiple channels
US10469423B2 (en) * 2014-02-14 2019-11-05 Salesforce.Com, Inc. Cloud hosted multimedia file handling on mobile devices
US10064024B2 (en) * 2014-02-14 2018-08-28 HeyWire, Inc. Cloud hosted multimedia file handling on mobile devices
WO2015148579A1 (en) * 2014-03-24 2015-10-01 Omalley Matthew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traffic in a mobile network
US10360309B2 (en) 2015-04-30 2019-07-23 Salesforce.Com, Inc. Call center SMS-MMS language router
CN109327496B (zh) * 2018-07-23 2021-10-22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161076A (zh) * 2019-12-31 2020-05-15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金融市场产品的推送方法及装置
CN114006940A (zh) * 2021-12-31 2022-02-01 思创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建筑集成管理信息推送方法、系统、计算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2634B2 (en) * 2001-03-14 2007-11-27 Microsoft Corporation Schema-based services for identity-based data access
US7668535B2 (en) * 2001-07-09 2010-02-23 Palm, Inc. Notification infrastructure for sending device-specific wireless notifications
US7698276B2 (en) * 2002-06-26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Framework for providing a subscription based notification system
JP2005012264A (ja) * 2003-06-16 2005-01-13 Ntt Docomo Inc マルチキャスト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中継装置
US7660856B2 (en) * 2003-10-06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web-based event notification
US20050096999A1 (en) * 2003-11-05 2005-05-05 Chicago Mercantile Exchange Trade engine processing of mass quote messages and resulting production of market data
KR20050080948A (ko) * 2004-02-11 2005-08-18 전자부품연구원 유비쿼터스 피에이엔을 활용한 개인 지향 홈 서버 시스템및 개인 차별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1076517B1 (ko) * 2004-05-28 2011-10-24 (주)네오위즈게임즈 새로운 업데이트 내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7505482B2 (en) * 2004-11-15 2009-03-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lication services infrastructure for next generation networks
KR20060067183A (ko) 2004-12-14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맞춤형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1834484A4 (en) 2005-01-07 2010-04-07 Korea Electronics Telecom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BROADCASTING USING CLASSIFICATION SCHEMES FOR USE ENVIRONMENTAL DESCRIPTION
EP1861970B1 (en) * 2005-03-24 2010-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for delivering messages to a recipi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72A1 (ko) * 2012-08-16 2014-02-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6128A (ko)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110B1 (ko) 2009-07-07
JP2010527480A (ja) 2010-08-12
JP5081297B2 (ja) 2012-11-28
WO2008140201A1 (en) 2008-11-20
US20100161722A1 (en) 2010-06-24
US8914435B2 (en)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110B1 (ko)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100906109B1 (ko) 3a 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제공하는유비쿼터스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392832B2 (en) Display placeholders for rich media content
US821968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rvice selection, and client application server
US8130668B2 (en)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WO2006081725A1 (fr) Méthode et système pour assortir la page web d’un terminal mobile de communication
WO2011038564A1 (zh) 网络应用中移动终端屏幕显示的自适应方法及系统
EP2102763A1 (en) Provision of services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CN102291243A (zh) 业务处理服务器、系统和方法
EP1652392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CN101771928B (zh) 一种网页发送方法和系统以及代理服务器
KR20090042018A (ko) 차별화된 콘텐츠 표현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시스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단말기
CN105812460A (zh) 一种面向企业客户的移动互联网消息推送技术
KR20100112979A (ko) 휴대 광고 시스템에서 휴대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790135A (zh) 互动手机报
KR100433531B1 (ko) 사용자 개인 정보 데이터 관리 방법, 사용자 개인 정보 데이터 관리 컴퓨터 및 기록매체
US20080176587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sending digital content to a mobile device
KR100732855B1 (ko) Api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741310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730986C (en) Display placeholders for rich media content
JP5414495B2 (ja) 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KR101018492B1 (ko) 모바일 단말기간 개인형 통합 멀티미디어 보드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arolidis et al. WEMON: An Integrated Mobile and Web-based Environment which adds Value and Interoperability in the Push Services
KR20090088499A (ko) 광고 데이터 제공방법
Xu Research and Design of WAP-Based Mobile E-Commer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