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380U -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380U
KR20090001380U KR2020070013127U KR20070013127U KR20090001380U KR 20090001380 U KR20090001380 U KR 20090001380U KR 2020070013127 U KR2020070013127 U KR 2020070013127U KR 20070013127 U KR20070013127 U KR 20070013127U KR 20090001380 U KR20090001380 U KR 20090001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inlet
drainage
pi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배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3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380U/ko
Publication of KR20090001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3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0Connecting baths or bidets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의 배수관 사에에 연결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배수용 연결관(1)의 내경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유입구(11)에서 소직경부(14)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11)측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유속이 급격히 증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오물 제거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변기의 막힘현상이 웬만해선 발생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용 연결관(1)의 꺽임부에서 유량이 직각으로 꺽이지 않고 완만하게 꺽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변기, 배수용, 연결관, 베르누이, 패킹, 유입구, 토출구

Description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Connecting tube for draining water of toilet stool}
본 고안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의 배수관 사에에 연결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의 흡입구 측에 내경이 상광하협의 경사형태로 된 경사부와, 소직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연결관으로 유입된 수량이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른 속도로 유출되게함으로써 오물 배출 및 배수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의 경우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 배수관까지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필연적으로 변기 외관이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그 결과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수로 형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이 다소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대신 별도의 접속유닛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종래에 사용된 접속유닛에서는 변기 자체에 수로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유닛을 사용하여 물을 배출하게되므로 변기의 내부구조가 단순화되고 돌출부위가 사라지게되는 장점은 있었지만, 유닛이 안정감있게 설치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사용도중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흔들림이 누적되어질 경우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변기 연결관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사이에서 연결되어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기 연결관의 유입구는 변기 본체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변기 연결관의 토출구는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에 연결된다.
대개 변기 연결관은 유입구측과 토출구측은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그 중간부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
Figure 112007057052752-UTM00001
"과 같은 형태가 되는데, 관로의 내경이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하므로 유입구 측과 토출측에서 유속이 대체로 균일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변기 연결관은 강력한 배출능력에 의해 오물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하고 중간에 물건이 끼이더라도 쉽게 배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변기연결관에서는 관로가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하고 유속의 변화가 없으므로, 오물 배출능력이 떨어지고 작은 물건에 의해서도 변기가 막히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로의 꺽임부에서 유량이 직각으로 꺽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꺽임부에서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여 유속 저하의 또 다른 원인이 되었으며, 소음을 크게 발생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관의 직경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흡입구에서 소직경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입구측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유속이 급격히 증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오물 제거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변기의 막힘현상이 웬만해선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에 첫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관의 꺽임부에서 유량이 직각으로 꺽이지 않고 완만하게 꺽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데에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연결관의 흡입구 측에 내경이 상광하협의 경사형태로 된 경사부와, 소직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연결관으로 유입된 수량이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른 속도로 유출되게한다.
따라서 오물 배출 및 배수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관의 꺽임부에서는 완만한 곡선부를 형성케함으로써,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용 연결관(1)의 내경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유입구(11)에서 소직경부(14)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11)측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유속이 급격히 증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오물 제거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변기의 막힘현상이 웬만해선 발생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용 연결관(1)의 꺽임부에서 유량이 직각으로 꺽이지 않고 완만하게 꺽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내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면,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에 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되어진 유입구(11)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과 연결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되어진 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12)사이에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유입구(11)측과 토출구(12)측에서는 각각 "ㄴ"자와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그 중간은 수평되게 연결되어진 중간연결관(13)으로 구성된다.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합성수지재에 의한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데,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굴곡이 비교적 심한 편이므로 좌, 우측 또는 상, 하측을 나눠 반단면의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열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기 본체 배출구(미도시함)와 유입구(11) 사이의 결합부에서 누수(漏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입구(11) 상부에는 패킹(2)이 끼워진채로 변기 본체 배출구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패킹(2)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서, 내주면이 상기 유입구(11)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짧은 관의 형태이며,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태로 된 비스듬한 경사통공부가 형성되어, 변기 본체 배출구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11)는 변기 본체 배출구가 끼워져 결합되어야 하므로, 중간 연결관(13)보다는 큰 직경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구(12)는 화장실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미도시함)에 연결되기 위 한 것으로,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하고 설치시에 발생되는 가변성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에는 로테이터(4)가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12)는 로테이터 패킹(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로테이터(4)와 결합된다.
로테이터(4)는 중심축이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진 두 개의 짧은 관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진 형태로서, 상기 배수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회전각도를 달리함에 의해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설치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는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배수관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배수용 연결관(1)의 내경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배수용 연결관(1)의 유입구(11)측에 내경이 상광하협의 경사형태로 된 경사부(16)와, 소직경부(14)를 구비함으로써, 배수용 연결관(1)으로 유입된 수량이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른 속도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 측에서는 상광하협 형태의 경사부(16)와, 그 하부에 연결된 소직경부(1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량이 상기 경사부(16)와 소직경부(14)를 경유하는 동안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유로 단면적의 감소가 유속의 증가로서 작용하게되므로, 이를 거치는 동안 급격한 유속증가와 함께 오물 배출능력이 크게 향상되어진다.
따라서, 배수용 연결관(1)을 경유하는 동안, 유입구(11)측에서 유속이 급증하게될 것이므로 이는 수량 및 오물을 배수구측으로 힘있게 펌핑하는 힘으로 작용하게될 것이다.
이에 따라, 오물 배출 및 배수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고, 변기 막힘현상이 웬만해선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도로서,
유입구(11)측의 꺽임부에서 완만한 곡선부(17)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유량의 흐름을 원활케할 것이므로 유속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므로 소음을 크게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배수용 연결관(1)의 꺽임부에서 유량이 직각으로 꺽이지 않고 완만하게 꺽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내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배수용 연결관(1)의 내경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유입구(11)에서 소직경부(14)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11)측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유속이 급격히 증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오물 제거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변기의 막힘현상이 웬만해선 발생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용 연결관(1)의 꺽임부에서 유량이 직각으로 꺽이지 않고 완만하게 꺽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유속의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내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용 연결관 2 : 패킹
3 : 로테이터 패킹 4 : 로테이터
11 : 유입구 12 : 토출구
13 : 중간 연결관 14 : 소직경부
15 : 수평 연장부 16 : 경사부
17 : 곡선부

Claims (2)

  1.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되어진 유입구(11)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과 연결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되어진 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12)사이에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유입구(11)측과 토출구(12)측에서는 각각 "ㄴ"자와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그 중간은 수평되게 연결되어진 중간연결관(13)으로 구성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있어서,
    배수용 연결관(1)의 내경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배수용 연결관(1)의 유입구(11)측에 내경이 상광하협의 경사형태로 된 경사부(16)와, 소직경부(14)를 구비함으로써, 배수용 연결관(1)으로 유입된 수량이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른 속도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유입구(11)측의 꺽임부에서 완만한 곡선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
KR2020070013127U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KR200900013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127U KR20090001380U (ko)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127U KR20090001380U (ko)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80U true KR20090001380U (ko) 2009-02-11

Family

ID=4129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127U KR20090001380U (ko)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3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494A (ko) 2015-05-07 2016-11-16 퍼스트레이저몰드 주식회사 목금형의 조립구조
KR101691604B1 (ko) * 2016-03-29 2017-01-02 주식회사 한일라바테크 양변기용 패킹 슬리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494A (ko) 2015-05-07 2016-11-16 퍼스트레이저몰드 주식회사 목금형의 조립구조
KR101691604B1 (ko) * 2016-03-29 2017-01-02 주식회사 한일라바테크 양변기용 패킹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3662B2 (ja) 水洗式便器
AU2012351164B2 (en) Water closet
US20160024774A1 (en) Anti-overflow toilet with detachable primary and secondary drain tubes
JP5178017B2 (ja) 排水ソケット
KR20090001380U (ko)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JP2017145631A (ja) 水洗大便器
CN207760951U (zh) 一种双水槽排水管组件
CN110965619A (zh) 抽水马桶
CN106764219B (zh) 一种用于排水系统的消能消音器
JP6807803B2 (ja) 逆流防止弁
CN108730636A (zh) 三段式止水套管的密封方法及三段式自补水水封止水套管
KR101827385B1 (ko)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JP5566571B2 (ja) 排水ソケット
JP5674231B2 (ja) 水洗大便器
JP6454848B2 (ja) 排水配管
JP6820173B2 (ja) 排水トラップ
CN106468073A (zh) 便器冲洗结构
JP2003096887A (ja) 水洗式大便器
JP3613991B2 (ja) サイフォン式水洗便器の排水構造
JP7025518B2 (ja) 逆流防止弁
CN204983102U (zh) 一种偏心式地漏
JP7058707B2 (ja) 排水ます
JPS5820709Y2 (ja) サイホン式水洗便器の排水管接続用パツキング
JP6094939B2 (ja) 水洗大便器
KR102648361B1 (ko) 초절수 회오리 수압 직하 자연배수방식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